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부의 공유시간 변화와 갈등관리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찬경,구본용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부부의 공유시간 변화와 갈등관리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한 남녀 각각 1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방식으로 최근 3∼4개월 간 공유시간의 변화, 부부의 갈등관리유형 및 부부관계 만족도 등을 측정하여 2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갈등관리유형 중 강요유형과 회피유형이 부부관계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부의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에 부부관계 만족이 높았지만, 이 변인들과 공유시간 변화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공유시간 변화와 부부갈등관리유형 군집에 따른 부부관계 만족을 확인한 결과, 공유시간이 감소한 경우, ‘소심한 강요’ 군집의 부부관계 만족이 낮았지만, ‘문제·타협·양보’ 군집의 부부관계 만족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부가 겪는 부부갈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부부관계의 만족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통합적 갈등관리유형이 갖는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changes in the sharing time of couples before and after Corona 19 and conflict management types affect marital satisfactio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to measure changes in sharing time, types of conflict manag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past three to four months (the 19th period of Corona) for each man and woman who are staying married. 20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insincere answers from 220 men and women collected,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was utilized by the IBM SPSS V2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and the type of avoidanc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shorter the marriage perio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low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low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and the lower the marital satisfaction rate of more than 20 years, and the lower the sharing time. Third, marital satisfaction with changes in sharing time and the number of children showe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with fewer childre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ith changes in sharing time. Fourth, marital satisfaction due to shared time and occupational status was high in marital satisfaction when there was a job,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with shared time. Fifth, after checking the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due to changes in sharing time and the type of marital conflict management,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timid coercion group was the lowest, but the problem, compromise, and concession group showed the highest marital satisfaction. The above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change in shared time did not directly affect marital satisfaction, the change in shared time, marriage period, number of children, shared time, and job interaction also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as well as shared time change and conflict management type clusters. By referring to these results, measures to enhance marital satisfaction, pay attention to conflict management experienced by couples, the need for new awareness of integrated conflict management types, and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윤해옥(Yoon, Hae-Ok),최효식(Choi, Hyosi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7

        이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종단적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1차부터 4차까지 4개년도의 종단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네 시점에 걸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의 교차지연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직무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도와 부부갈등은 상보적 인관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부갈등은 이후 시점의 결혼만족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이전 시점의 결혼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직무만족도,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간의 상호 영향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Four waves(2008-2011) of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upported our hypotheses. First, it was found from the data of the four waves that the job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in the total four waves data. Seco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n the prior job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the lat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s of infants significantly as well 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predicted the later job satisfaction. However, a reciprocal-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In addition, prior marital conflic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ate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prior marital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ter martial confli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longitudinal analysis of dynamic causation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효선(Hyosun Kim),박정윤(Jeong-Yun Park) 한국가족치료학회 2023 가족과 가족치료 Vol.31 No.1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궤적을 파악하고,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남녀 차이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중년기 부부관계만족도와 우울감,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감의 상승은 부부관계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의 증가는 부부관계만족도 증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남녀 차이에 있어서 중년기 우울감의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의 경우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변화가 부부관계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년기 부부관계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trajectory i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and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s: Analysis was performed apply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was perform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middle-aged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decreased over time. Moreover, changes in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For the gender gap,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depression on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was only found for women, while the influence of the rate of change i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children on the rate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was related to both men and women, although the effect size of the rate of change was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various approaches are required to strengthe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의 조절효과

        김민정,이창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의 조절효과 김 민 정ㆍ이 창 현 연구 목적: 내현적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연구 대상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부부의사소통만족도가 조절하였다. 셋째, 내현적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가 부부의사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러한 결과는 상담 현장에서 내현적자기애로 인해 낮은 결혼만족도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정서표현양가성 혹은 부부의사소통만족도를 포함한 개입을 실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내현적자기애, 정서표현양가성, 부부의사소통만족도, 결혼만족도,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injeung Kim*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235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implicit narcissism, marital satisfactio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 on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counseling settings when clients complain of low marital satisfaction due to implicit narcissism. Key Words: Implicit Narcissism, Ambivalence in Emotional Expression, Couple Communication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 접수일: 2024년 4월 4일, 수정일: 2024년 4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주저자, 성북구가족센터 전문상담사(First Author, Counselor, Seongbuk-Gu Family Center, Email: jayatina@naver.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Director, Hana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

        기혼자의 내현적자기애성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의사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홍천덕,유영달 한국가족학회 2023 가족과 문화 Vol.35 No.3

        본 연구는 기혼자의 내현적자기애성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가 부부의사 소통만족도에 조절되는 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자 351명의 자료를 Spss 21.0 및 Spss Macro Process ver3.0 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자기애는부부의사소통 만족도, 정서인식명확성,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으로, 부부의사소통 만족도는정서인식명확성, 결혼만족도와 정서인식명확성은 결혼만족도와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연령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내현적자기애가 정서인식명확성을 경유하여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부부의사 소통만족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간접효과는 부부의사 소통만족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test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clarity in the process of married people's implicit narcissistic tendency on marital satisfaction is moderated by mari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using data from 351 married people living across the country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ver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licit narciss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clarity of emotion recogni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hile satisfaction with marital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gender and age on marital satisfaction, the indirect effect of implicit narcissism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emotion recognition clarity was found to be controlled by marit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indirect effect was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couple communication decreased as the couple's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creas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부 비동거의 거주형태와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경선(Min, Kyungsun),진신(Chen, Che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최근 한국에서는 부부가 비동거하는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부부의 공동거주를 전제로 하는 전통적 정의와 평가를 기준으로 부부관계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부부의 거주형태, 특히 비동거가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는 거주형태가 한국의 가족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거주형태의 외형적 변화와 함께 부부의 주관적 인식을 함께 고려하고자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2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관계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로짓 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남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모두 낮았고, 배우자와 비동거하는 경우 다른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것에 비해 혼자 거주할 때 여성의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동거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고, 배우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른 가족원에 대한 돌봄은 개인, 특히 여성에게 큰 부담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배우자와 비동거 시에 경험하는 부부역할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가사노동에 대한 성역할관과 취업여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이라는 책임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여성에게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전통적 성역할관을 갖지만 자신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 낮은 부부관계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는 근래에 분화되어 온 가족의 거주형태와 전통적인 성역할관이 맞물리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Family studies tend to approach to marital-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oncept which assumes cohabitation of married couples though the number of couples who live separately with various reasons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r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ried couples' living arrangement on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role perceptions and to argue that the family studies need to consider living arrangement as an important factor. As an empirical demonstration, we conduct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pendent variable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2012 Social Survey' data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lower level of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spouses. Also, women who live alon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cohabitate with other family members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husbands. These mean that cohabiting is still important in maintaining good marital relationship and caring family members could be a burden especially for women when spouses are absent.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n who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ink that women are responsible for housework showed low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flect that combined effects of recent changes in living arrangement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ffect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family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기혼부부의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정도 및 이혼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구혜경(Ku Hye-Kyung),유영달(You Young-Dal)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4

        본 연구는 기혼부부의 결혼생활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결혼만족도와 이혼고려 정도, 이혼장애요인들 간의 관계, 이들 변인들에서 부부간 차이, 그리고 이들이 심각한 이혼고려 경험 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기혼부부 218쌍을 소그룹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첫째,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정도, 이혼장애요인의 상호상관을 분석한 결과, 결혼만족도와 (특히 가족관계문제 상황 및 부부관계문제 상황의 경우)이혼고려 정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혼고려 정도와 이혼장애요인간 그리고 그 모든 하위요인들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와 이혼장애요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세 변수 모두에서 부부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의 경우 전체적 점수에서는 부부간 차이는 없었으나, 그 하위요인들인 정서적의사소통만족도, 문제해결의사소통만족도, 경제적만족도에 있어서는 남편이, 성적만족도와 자녀만족도에 있어서는 아내가 더 높았다. 또한 여러 문제 상황에서 이혼고려의 정도는 아내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 개인이나 배우자 가족과 관련된 상황에서나, 부부관계 문제 상황에서나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이혼고려 시 장애요인을 인식하는 정도에서는 아내가 남편보다 높았으며, 특히 이혼 후 삶에 대한 염려가 남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이혼에 대한 사회적 통념, 가족에 대한 걱정이 이혼장애요인으로 인식되는 정도는 부부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심각한 이혼고려 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남편집단과 아내집단 사이에 다르게 나타났다. 남편의 경우 본인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간 연령차이가, 아내의 경우 본인의 결혼만족도 및 결혼 기대수준, 남편과의 이혼고려 정도 차이가 그들의 심각한 이혼고려 경험 여부를 예측해주었다. 부부간의 이러한 여러 가지 차이가 기혼부부들의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어떠한 시사점을 갖는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marital satisfaction, divorce consideration, and barriers to divorce in married couples, focused on intra-couple difference. It aimed also to find the predictors of married couples' severe consideration of divorce. 218 couples living in Busan were interviewed in couples or in small groups by trained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rtial satisfaction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negatively with divorce consideration(in total, couple-related, and family-related problem situations, except for individual problem situations) but not with barriers to divorce, while divorce consideration and barriers to divor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tals and all their subfacto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pouses in divorce consideration (in total, individual, couple-related, family-related problem situations) and barriers to divorce(in total, worry about post-divorce life, but not in social steretypes about divorce and worry about family), but not in marital satisfaction. However, husbands were higher than wives in 3 subscales(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financial satisfactions) of K-MSI, while wiv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husbands in regard to sex and children. Third, husbands' severe consideration of divorce throughout marriage life was predictable at a satisfactory level by lower marital satisfaction and couples' age difference, while wives' severe divorce consideration were predictable by lower marital satisfaction, higher expectations for marriage, and gap in couples' divorce consideration level in risk situations. The implications of these intra-couple differences were discussed in regard to development of marital enrichment/ counseling programs.

      • KCI등재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이선희,임성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3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marital satisfaction enhancement program for wives based on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original family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were selected as influential factors on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 magnitudes of correlations of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oth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the four factors as therapeutic ones, and was 3-hour per one session, 8 weekly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ee groups(i.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and in self-differentiation,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marital satisfaction at one month after treatment. Wiv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uple relationship, communications, self-differentiation, marital satisfaction after treatment and further improvements in one-month follow-up. These results suggest the new program could enhance wives' marital satisfaction. 본 연구는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부부 및 가족상담전문가 61명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원가족관계, 자아분화를 결혼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선정하고, 기혼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이 네 요인과 결혼만족도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의 부부문제에는 통합적 행동부부치료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이 가정과 전략을 반영한 모델에 위 네 가지 요인을 치료요인으로 설정하여, 한 요인을 각기 두 개의 회기에 배정한 1회 3시간 8회기 총 24시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거주 30-40대 기혼여성 27명에게 실험집단으로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27명의 비교집단 및 27명의 무처치 집단과 사후, 추수 시점에서 공변량 분석으로 치료요인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후시점에서 실험집단의 자아분화, 결혼만족도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추수시점에서는 실험집단이 자아분화,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에서 다른 집단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집단내 분석에서도, 실험집단은 사후시점에서 자아분화, 부부관계, 부부의사소통, 결혼만족도가 사전시점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추수시점에서는 사후시점에 비해서도 더 향상되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부부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장진경(Jin Kyung Chang),전종미(Jong Mi Jun),이주원(Ju Won Lee)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본 연구는 결혼만족도가 낮은 3-40대 부부들을 대상으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간중심상담이론과 긍정주의 심리치료를 통합하여 결혼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총 6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 부부 6쌍, 통제집단 부부 6쌍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 부부들은 주1회 90분씩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 부부들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분석한 결과, 부부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부부들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결혼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인간중심상담이론과 긍정주의 심리치료를 토대로 통합적 이론의 틀을 사용하여 다각적인 면에서 접근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대한 예방적이고 실천적인 부부교육 및 상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to improve their marital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to married couples who were from 30’s to 40’s and showed low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for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dealing with couple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wo therapy theories. These theorise are the Person-Centered Therapy(PCT) and Positive Psychotherapy(PPT) theori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ouples was consisted of six sessions and the time required for each session was 90 minutes.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welve cou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se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ix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while six couple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Afterwards, they were compared to their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reveals effective factor for improving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What Makes Husband and Wif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s

        Kiseon Chung(정기선),Yoshinori Kamo,Jihye Yi(이지혜)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간 비교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결혼만족도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 한국과 2004년 일본에서 각각 조사한 전국가족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배우자와 동거하고 있는 5,308명의 한국인 성인남녀와 4,920명의 일본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혼관계에서의 한국과 일본 간 문화적 차이와 유사성을 살펴보기 위해 교육수준과 결혼기간, 가구수입과 재혼 여부를 통제한 가운데 교육수준, 소득수준, 취업에 있어서 비전형적인 부부결합(marriage gradients), 가족스트레스,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U자형 결혼만족도 변화패턴을 보였으며, 전 생애에 걸쳐 일관적으로 남편이 부인보다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한국과 일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공통적으로 배우자에 대한 깊은 신뢰와 관심, 성생활 만족을 포함한 질 높은 부부 상호작용이었으며, 한국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보다는 부부 상호작용의 질이 결혼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일본인 부부는 성생활 만족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nd to find its determinants in Korea and Japan.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surveys on family in these two countries including 5,308 Korean and 4,920 Japanese men and women living with their spouses. In order to see the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in marital relations, the effects of education, income, employment, marriage gradients (normative patterns between the spouses), family stress, and quality of conjugal interactions on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showed a U-shape pattern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couples. In both countries husbands tend to have higher marital satisfaction than wives over the entire life cours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Korean and Japanese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are good qualities of conjugal interactions including deep trust and concerns for spouse and sex life satisfaction. For Korean couples good conjugal interactions is better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sex life, while for Japanese couples sex life is more important determinant of mari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