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강인성의 매개역할

        정은선,조한익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parental care and parental overprotection to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Furthermore, this study tested if students' hardnes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of parental care and parental overprotection to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among 241 undergraduate stud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and lower depression. Second, a series of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 of parental care to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were mediated by students' hardiness. Implication include future parental education should focus on parental care and that the desirable attitude of counselors in effective helping involves enhancing hardiness.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부모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 과정을 개인 성격 특성으로서 강인성이 매개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2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거된 253부 중에서 241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먼저 각 변인간의 관계를 상관분석으로 제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강인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로서 돌봄이 높고 과보호가 낮을수록 강인성과 주관적 행복감은 높았고 우울감은 낮았다. 또한 부모 돌봄이 주관적 행복감 및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인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과 동시에 강인성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요인임을 밝혔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와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가정위탁보호지속에 미치는 영향

        이혜영,이혜원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luences of foster car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foster care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bility on foster care continuity. To do i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19 foster care parents of general foster care families. The analyt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ster care parent's affectionate child-rearing attitud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oster care continuity. Second, foster children psychosocial adapta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foster care continuity. Also the age gap between foster care children and natural children is under five years, it proves foster care continu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pecialized parental education and regular supervision for foster care parents and establish social support systems for the benefit foster care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와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가정위탁보호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위탁가정의 부모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가정위탁보호지속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위탁아동 관련 특성 가운데 위탁아동과 친자녀 간 연령 차이가 5살 이하인 경우, 가정위탁보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위탁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가족상담, 사회적지지망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김영미(Young Me Kim),강지연(Ji Yeon Ka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1

        본 연구는 아동들이 부모 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린 시절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부산지역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이다. 표집방법은 유의할당표집이며, 근무기간을 할당하여 연구에 도움을 주기로 한 기관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기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2월과 3월에 이루어졌으며 배포된 설문지 500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48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보육교사가 아동기에 경험한 부모양육태도는 직무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아동학대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직무스 트레스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부모양육태도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제언으로 보육교사의 직무환경 개선 및 직무스트레스의 근본 원인에 대한 개입을 위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experienced in childhood by child care teachers and child abuse in child care centers. Our research hypotheses were Job stress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 abuse. The sample consisted of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Busan. We used a purposive sampling and collected data through a conducted in February and March 2015 of the 500 surveys administered, 20 surveys with in since 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48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job stress among child care teachers moderates parenting attitudes experienced in childhood and child abuse. Specifically, for child care teachers with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experienced in childhood and child abuse was strong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of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of child care teachers, and addressed the potential source for job stress to prevent child abuse in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나예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has an impact on their aggression and to verify of direct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in according to attitude of parent caring.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adolescents who were 5th and 6th elementary graders with 564 subjects in Gwangju and Jeonnam. The analytic results are following below. According to the verifying results the impact of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on their aggression, the game addiction was main key variable which has affect as negative cause on adolescent's agg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s of game addiction of parent car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aggression.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attitude of parent caring has a positive effects as lower levels aggression. According to the verifying of moderating effect on attitude of parent caring which effect on game addiction, the positive attitude of parent caring were shown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on their aggression, the results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5, 6학년 청소년 564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중독이 높은 경우에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 KCI등재

        가족자원 및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 ( Seon Ae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1

        본 연구는 가족자원과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았다. 가족자원으로 가족의 소득, 모학력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부모양육태도로는 부모애착, 부모감독을 하위변인으로 하였다. 청소년패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족자원은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부모양육태도는 1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청소년성적은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자원(가족소득, 모의학력) 및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매개모형에서 빈곤가족의 부모양육태도는 가족자원과 청소년성적 간 부분적으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s and determines whether they influence an adolescent`s longitudinal school record. The family resources scale has subordinate scales like family income and mother`s education, and the parent`s care attitude scale has subordinate scales like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supervis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The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 scale comes from the 2003 Korea Youth Panel and adolescent`s school records come from the 2006 Korea Youth Panel. The major findings are: Family resources and parent caring attitude significantly influence an adolescent`s longitudinal school record. Family resource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arent`s caring attitude. In a poor family, parent`s car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at family resources affected an adolescent`s record.

      • KCI등재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강인성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선(Eun-Sun Jung),이자영(Ja-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15.0과 Amos 7.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부모 양육태도와 강인성을 그리고 강인성은 사회적 지지와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 양육태도는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한 강인성을 통해 자녀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주관적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사회적 지지와 강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8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e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SPSS 15.0 and Amos 7.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Social support confirmed mediating variable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hardiness, and hardiness confirmed mediating variable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That is, parenting attitudes had som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hardiness based on social support. Finally, the needs of development about the counseling and the education contents as a special intervention was discussed, and that contents were reflected social support and hardiness to be improved. Also,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subsequent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이서영(Seo-Young, Lee),곽대훈(Dae-Hoon, Kwak)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2018년 당시 중학교 1학년 2,590여 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를 활용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행경험이 더 많았고 비행, 부모의 양육태도, 그릿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비행유무에 따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비행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행의 관계에서 그릿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비행과 부모의 양육태도의 실증적 관계 및 선행연구를 재검증하였고, 특히, 청소년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 그릿의 역할 및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청소년 비행 분야에서 그릿과 관련한 데이터를 축적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Using the 2018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of 2,590 panels at that time,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rearing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confirmed that boys were more likely to commit delinquent behaviors than girls and delinquency, parental attitude, and Gri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Also, the results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linquent group and non-delinquent group in terms of Grit, positive, and negative parental attitudes. Finally,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test suggested that Gri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itude and delinquency.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urrent knowledge of this particular topic. Moreo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ccumulated data related to Grit in the field of juvenile delinquency by linking delinquency and Grits with them.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방식과 섭식태도와의 관계 : 자기대상욕구 갈망과 회피의 매개효과

        김영미(Young-Mi Kim),한기백(Gi-Baeg Han)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1 가족과 상담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양육방식의 두 가지 차원인 돌봄과 과보호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부모의 돌봄과 과보호가 자기대상욕구를 갈망하거나 회피하는 형태로 섭식태도를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Kohut의 자기심리학에 근거하여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 지역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82명(N=382)의 자기보고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기대상의 갈망과 회피를 완전매개로 섭식태도를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부모 양육방식의 돌봄과과보호가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를 경유해 섭식태도를 예측하는 경로는 다르게 나타났는데 돌봄은 자기대상욕구의 회피를, 과보호는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를 각각 매개하여 역기능적으로 섭식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친밀감이 중심인 돌봄이 낮으면 자기대상욕구의 회피는 커졌고 통제와 자율성 침해를 기반으로 한 과보호가 높으면 자기대상욕구의 갈망과 회피가 각각 높게 나타나 섭식태도를 매개했다. 자기대상이 중요해지는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을 고려할 때 청소년의 섭식문제를 예방하고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는 좌절에 대한 욕구 충족으로서 자기대상욕구의 활성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갈망과 회피의 두 가지 자기대상욕구 유형은 상담 장면에서도 다르게 드러나므로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도 욕구 유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적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 and overprotection of parenting style on eating attitude, and to verify whether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has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path structure model was set up based on self psychology as a psychological path to predict eating attitude in the form of parental care and overprotection as a hunger or avoiding desire for selfobject needs. Analysis of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of 382 adolescents (N = 382) attending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area showed that parenting style predicted eating attitude with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hunger or avoiding desire of selfobject needs. Parental care and overprotection showed different path in predicting eating attitudes via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Care mediated avoidance, and overprotection mediated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affecting eating attitude in dysfuntional way. When care is low,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increases, and when control overprotection is high,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increases,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focus on the activation of selfobject needs is needed to prevent eating problem of adolescents and intervene in therapy. Also, since hunger and avoidance of selfobject needs type appear different in counseling setting, needs type should be examined for the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관련요인 -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

        박선희(Sun-Hee Park),최은숙(Eun-Suk Choi),이선희(Sun-Hee Lee),성정혜(Jeong-Hye S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 형성에 대한 요인으로 식이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므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비만을 관리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도 A시에 소재한 11개의 지역아동센터 방문하는 아동 중 취약계층 아동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부모와 아동이 함께 서면 동의한 대상자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ver.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요인으로는 식이자기효능감,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형태 · 편부모가정, 부모비만여부 · 한 부모비만이었고, 취약계측 아동의 이들 변수의 비만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32%였다. 따라서 취약계층 아동의 비만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겠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취약계층 아동들이 가지는 환경적요인 즉 부모양육태도, 가족형태 등을 고려한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전략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self-efficacy, physical self-efficacy, and parental rearing attitudes considering obese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that utilized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Methods In this study, sampling was conducted and 126 children from the vulnerable class who visited 11 region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A city, K province were chos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dow 22.0.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esity factors of vulnerable children included dietary efficacy, parents" parenting attitude, family type, single-parent family, parental obesity. Parental obesity held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as 32% of the vulnerable children had at least one obese parent.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which children and parents can participate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al attitude and family type of vulnerable children visit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전춘애,박철옥,이은경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dolescents' demographic, psychosocial, family environmental, and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s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629 males and 807 females) of middle school which are located in Seoul. We analyzed t-test and ANOVA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Internet Addiction depends on the variable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to comprehend the relative influences between these variables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is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family economic status, self-esteem, control of anger,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parents' rearing attitud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peer and teacher's support). Also, the Internet Addiction is affected by numerous variables such as adolescents' gender, economic status, self-control, others-oriented stress coping strategy, father's caring, father's control, mother's caring and mother's contro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xtensively the variables which to predict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s and to examine the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the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청소년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심리․사회적 특성, 가정환경 특성, 사회 환경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차이가 있는지와 이러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11개 중학교 남학생 629명과 여학생 807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들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가정경제수준, 자아존중감, 분노조절,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친구 지지, 교사 지지)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성, 경제수준, 자기 통제력,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 방식, 아버지 돌봄, 아버지 통제, 어머니 돌봄, 어머니 통제 변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예측하는 관련 변인들을 광범위하게 탐색하여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들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