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제품개발 과정에서의 복잡성에 대한 관리방안

        김종배(Jong Bae Kim) 한국경영사학회 2008 經營史學 Vol.48 No.-

        복잡성(complexity)은 신제품개발에 있어서 주목받는 중요한 속성이다. 이는 신제품 개발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또한 이의 미흡한 대처로 인해 유발되는 부정적 영향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당면하는 복잡성을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신제품개발의 성과를 위해 중요시 된다. 본고는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당면하는 복잡성에 대처하는 제반 방안들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복잡성의 속성을 살펴보고, 그런 다음 복잡성의 관리 방안들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정리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제반 복잡성 관리방안들을 유기적으로 묶을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복잡성 관리와 연관된 주요 이슈들을 정리하겠다. 신제품개발 과정의 복잡성 관리에 대한 이러한 고찰은 점차 증대되는 복잡성의 문제에 대처하는데 있어서뿐 아니라 향후 이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있어서도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New product development(NPD) programs are increasingly complex and difficult to manage. The consequences of poorly managed development complexity can be highly visible and even lead to project failure. To effectively screen new product proposals and manage NPD projects more efficiently, NPD teams need to be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identify development complexity and possess the knowledge to manage it.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few studies which specifically illuminate the challenges and experiences product developers face in dealing with complexity. The study focuses on examining methods for handling complexity NPD teams encounter. Based upo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complexity in developing new products and then identifies several approaches for managing complexity. Though it cannot maintain that the research illustrates all of the methods used to manage complexity, it suggests that the methods reported here are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Final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a company s development process is helpful in integrating diverse approaches for managing complexity in NPD projects. The work is exploratory and the purpose is to identify several methods for managing complexity. While findings from an exploratory study need further, more rigorous verification, this exploratory study will provide a platform for new studies. Complexity is worthy of additional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ike. Those organizations that can accurately identify, assess, and manage the complexity inherent in projects are likely to gain important competitive advantages.

      • KCI등재

        시각적 복잡성 연구고찰 Ⅱ - 건축과 가로경관의 시각적 복잡성

        윤성원 ( Yoon Seong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시각적 복잡성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시각적 복잡성Ⅰ’과 연결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경관의 시각적 복잡성 영향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특히 건축에서의 ‘컴플렉서티(Complexity)’의 개념은 번역서와 원서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다양한 분야의 ‘컴플렉서티’의 개념, 건축에서의 혼돈되어 번역되고 있는 ‘컴플렉서티’의 개념, 건축 장식과 또 다른 복잡성으로 번역되는 인트리커시, 현재 디자인코드에 녹아 있는 건축의 복잡성 요소, 그리고 건축구성과 복잡성의 관계를 논하였다. 가로경관의 시각적 복잡성에서는 ‘시각의 질’과 미학적 측면의 유형, 그리고 시각적 복잡성 연구에서 중요한 고든, 케빈, 레포포트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각적 복잡성은 시각적 물리량, 시각의 질, 시각적 구성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일종의 질서체계라 할 수 있으며, 영향요소 도출의 방향도 이 질서체계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시각적 복잡성은 이러한 세 가지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질서와의 균형을 이루는 정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0과 1’을 구성 요소로 하는 계량적 연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시각적 복잡성의 영향요소 연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던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영향요소에 대한 규명 없이 시각적 물리량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디자이너에게 유용하지 않았다. 향후 연구는 실제 가로공간에서의 영향요소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틀을 시각적 물리량, 시각의 질, 시각적 구성별로 설정하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researcher's paper, 'Visual Complexity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search direction to derive the influence factors of visual complexity of the street landscape.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translation with the original, discussed the complexiti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omplexity in various fields, 'complexity' i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coration and intricacy. Second, the complexity of architecture that remains in the current design co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composition and complexity. Third, in the visual complexity of the street landscape, the types of 'visual quality' and aesthetic aspects. Fourth, a related study of important scholars Gordon, Kevin, and Amos Repoport in the study of visual complexity.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s found that visual complexity should be approached in three aspects: visual physical quantity, visual quality, and visual compos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kind of order system, and the direction of the derivation of influencing factor must follow this order system. Therefore, the appropriate visual complexity is a balance of these three aspects working together to form order.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was able to set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visual complexity which can improve the problem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the existing '0 and 1'.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not useful to designers because they concentrated on visual quantities without identifying the influence factors. Future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o set the analysis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influence factors in the actual space based on visual physical quantity, visual quality, and visual composition.

      • KCI등재

        공급사슬 복잡성이 공급사슬복잡성실행 및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Park Eun Hee),김승철(Kim Seung Chul),윤선희(Youn Sun Hee)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2

        Recently, the companies have been confronting not only the problem of the overseas relocations of the production factories for the cost reductions due to the acceleration of the global competition but, also, the problem regarding the 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 including the sal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upply network in the entire world and others of the like. Also, because, in the situation of Korea, the continuous innovations of the supply chains of the large and the medium-sized companies have been demanded, the need for the securing of th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supply chain with the cooperating companies has been coming to the fore. The situation is that, despite such a need, there have been nearly no researches related to the supply chain complexity in Korea. As a result, in this research, with regard to the supply chain management, the decision elements of the complicatedness and the scope of the execution of the complicated shall be def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pply chain complexity, the execution, and the productivity will be verified, and, based on such results, an execution of a strategic supply chain management will be proposed. As a result of a hypothesis testing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mong the 7 hypotheses, 4 were adopted and 3 were dismissed.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 It appeared tha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complexity and the execution of the supply chain complexity, among the supply chain complexities, the product complexity and the financial complexity had the positive (+) influences on the execution of the supply chain complexity.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lthough the complexity levels of the supply chains that are faced by the Korean corporations are the regulations and the technologies, the variable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actual execution of the supply chain complexity are the products and the financial complexity.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ly chain complexity execution and the productivity, the execution of the supply chain complexity had the positive (+) influences on the productivities and the flexibilities of the corporations. As a result of such an analysis, it appeared that the executions of the supply chain complexities that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which are the information sharing, cross-functional process implementation, shared coodination mechanism, acted as the very useful variables regarding the productivity and the flexibility of the corporation. It looks as though, regarding the Korean corporations, the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timely and meaningful, with the supplying companies and the client companies, the realization of the joint business ideas between the corporations, and the executions of the joint products, the service improvements, etc. are very useful for the actual production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stro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it was attempted for the very first time in relation to the supply chain complexity in Korea. 최근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의 가속화로 인해 원가절감을 위한 생산공장의 해외이전 뿐 아니라 전세계적인 판매 및 공급망 구축 등의 글로벌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국내의 상황에서는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공급사슬에 대한 지속적인 혁신이 요구되고 있어 협력업체와의 공급사슬관리 구축 및 관리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공급사슬복잡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관리에 있어서 복잡성의 결정요소와 복잡성의 실행의 범위를 정의하고 공급사슬 복잡성과 실행 및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해 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인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실행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가설검증결과 7개의 가설 중 4개가 채택되었고 3개가 기각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급사슬복잡성과 공급사슬복잡성실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급사슬복잡성 중 제품복잡성과 금융복잡성이 공급사슬복잡성 실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의 기업이 처한 공급사슬상의 복잡성수준은 규정이나 기술이 높지만 실제 공급사슬복잡성 실행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이나 금융복잡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사슬복잡성실행과 생산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급사슬 복잡성실행이 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분석에 이용한 공급사슬 복잡성실행인 정보공유, 교차기능실행, 협업메카니즘은 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에 매우 유용한 변수로 작용됨이 검증되었다. 한국기업에서 공급사 및 고객사와의 시의적절하고 의미있는 정보공유와 기업간 공동의 사업아이디어 실현 및 공동의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등의 실행이 실제 생산성과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공급사슬복잡성에 관하여 처음으로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안내사인의 복잡성과 이용자 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도시철도 환승역사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현수 ( Kim Hyeonsoo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역의 경제, 문화, 산업의 발전의 중요한 운송수단인 도시철도는 대중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되며, 새로운 노선이 증가함에 따라 역사 내부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복잡해지고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읽기 쉬운 정보 안내사인에 대한 요구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도시철도역사 건축이 완료된 후에 운영사마다 각기 다른 매뉴얼을 통해 안내사인을 계획 및 설치하는 경향이 강하여 정보의 복잡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철도 환승역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사 내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복잡성이 이용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파악하고, 용이한 정보전달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잡성을 가진 환승역사와 이용자의 인지성에 초점을 두고 이론 고찰 및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복잡성이 환승역사 이용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 공공의 관점에서 안내사인에 대한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출한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국내·외 총 6개소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고 복잡성이 환승역사 이용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인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의 과부하 현상이나 인지 부하 현상을 통해 정보의 소화 판단 결정이 더 많이 작용하도록 유도하므로 이용자들이 혼돈 및 스트레스를 초래하게 되어 안내사인 인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안내사인 체계에 대한 통합가이드라인의 부재, 혹은 미적용에 따라 계속해서 추가되는 새로운 노선과 환승역이 되는 경우 무계획적으로 안내사인이 추가하게 되면서 점차 역사 내 안내사인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용자에게 불편과 이동간의 동선 흐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철도 안내사인의 복잡성이 이용자의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복잡성과 인지복잡성 및 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지복잡성이 증가하고 인지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복잡성 개선을 위하여 시지각적, 심리적 접근성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용자 중심에서 연속성을 높이는 안내사인의 구성 및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명료성을 확보하고 연계성을 높여 이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선 유도를 통해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점차 복잡해지고 대형화가 되어가는 도시철도역사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통합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적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Metro, which is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s economy, culture, and industr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s an increasing number of new routes have emerged, station building interior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large-scale, and the need for easy-to-read metro signboards has become more urgent. Currently, there is a strong tendency in Japan to plan and install signboards using different manuals for each operating company after construction on a metro station building has been completed; thus creating information complex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information complexity in metro stations from users’ standpoint by analyzing the metro’s transfer station buildings with the goal of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facilitate eas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With a focus on metro station users’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information complexity affects metro station use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looking at signboard components from a public point of view. Six case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pertaining to how information complexity affects metro station users’ recognition were derived. (Results) Since the information digestion decision is more frequently stimulated by the overload and cognitive load phenomena with respect to information in users’ cognitive processes, users were found to experience confusion and stress, which greatly influence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signboards. In the case of a new route or a transfer station that is added due to the absence or non-application of an integrated signboard system guideline, unplanned guidance prevails, and as the complexity of the guidance that is offered in the metro station gradually increases, the flow of traffic between user inconvenience and movement is affected. (Conclusions) Increased cognitive complexity and reduced cognitive efficiency were noted, based on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complexity, cognitive complexity, and recognition. In sum, the complexity of metro signboards affects user recogni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rengthen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access, and organize and deploy a guide that enhances user-centered continuity. In addition, to ensure clarity, there must be enhanced cooperation. Furthermore,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natural-flow line guidance for us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ever-increasing metro station complexity and size, and research on ways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guidelines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프랙탈 이미지의 복잡성, 색의 유무와 아름다움 지각의 관계

        정우현,엄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6

        이미지의 복잡성은 아름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복잡성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합의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복잡성과 이미지의 물리적 복잡성을 구분하여 아름다움 지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주관적 복잡성은 이미지에 대한 참가자들의 복잡도 평정값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미지의 물리적 복잡성은 이미지 압축 파일 형식에서의 압축률의 역수로 정의하였다. 또한 아름다움 지각과 복잡성 지각에 미치는 색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컬러이미지와 흑백이미지에 대한 아름다움 지각과 복잡성 지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의 아름다움 지각은 물리적 복잡성보다 주관적 복잡성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아름다움 지각에 있어 주관적 복잡성이 물리적 복잡성보다 더 유용한 추정치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컬러 프랙탈 이미지에서의 아름다움 지각과 주관적 복잡성은 역 ‘U’자형 관계를 보였으며 흑백 이미지에서는 복잡한 자극일수록 덜 아름답게 지각되었다. 흑백 이미지뿐만 아니라 컬러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복잡성도 컬러 이미지의 물리적 복잡성보다 흑백 이미지의 물리적 복잡성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색의 유무에 따라 아름다움과 복잡성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복잡성을 판단할 때는 색 정보보다 형태 및 패턴 정보가 더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o clarify the effects of complexity on beauty perception, the relation among subjective complexity, physical complexity, beauty perception of color fractal images and gray-scaled fractal images were examined. Subjective complexity was defined as rating scores for fractal images, while physical complexity was defined as the reciprocal of compression ratio for compressed image file format. The results showed subjective complexity was more related with beauty perception than physical complex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ive complexity could be a better estimate than physical complexity in beauty perce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auty and subjective complexity for colored fractal images was described by an inverted U-shaped function. As gray-scaled images was complex, participants perceived the images more beautifully. The perceived complexity for colored images as well as gray-scaled images had higher correlation with the physical complexity for gray-scaled images than the physical complexity. This result imply that form and pattern information should have more used for complexity judgment than color information and color could affect the relation between beauty and complexity.

      • KCI등재

        진화하는 콤플렉스티(Complexity) 또는 복잡성(複雜性) 개념

        안호영(Ahn, H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2 문화와 융합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콤플렉스티 개념과 연관이 있는 연구에 대한 영어권과 라틴계 전통을 통합하는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복잡성이라는 용어를 좀 더 미묘하게 사용하기를 제안한다. 이렇게 할 때 우리는 복잡성을 특정된 또는 한정된 것들로 표현하려는 개념의 단순화를 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선‘ 콤플렉스티’의 어원을 검토함으로써, 이 개념을 통해 영미권에서 형성된 세 세대에 걸친 이론의 연대기적인 성격, 그리고 인식적이고 사회문화적인 근원을 논의할 것이다. 인식론적인 관점에서는‘ 콤플렉스(Complex)’에 대한 경쟁적인 해석들을 조명하고,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는 모호하기 때문에 콤플렉스티가 자유롭지만 낯설기까지 하다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모호성으로부터 복잡성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콤플렉스티는 복잡성으로 온전하게 번역될 수 없음을 지적할 것이다. 오히려 콤플렉스티와 복잡성은 고정된 개념이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재귀적인 되먹임이며 스스로 운동하고 있음을 주장함으로써 진화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복잡성에 기초한 교육과 연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수업을 진행하거나 과제를 수행할 때, 복잡성에 대한 적대감을 배움의 한 과정으로 삼아야 할 것이며, 나아가 그들 자신이 이러한 복잡성 개념의 진화에 동참하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nvestigating on the study which integrates the both American and Latin traditions about the concept of complexity, we would suggest the more delicate using of the term Bokjabsung. With this consideration, we could avoiding the simplicity of this concept when expressing the specific and limited things. It further explores the etymology of complexity and offers a chronological presentation of three generations of theories that have shaped its uses, and then epistemic and socio-cultural roots of these theories are also introduced. we address, from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at this reflection sheds light on the competing interpretations underlying the definition of what is considered as complex, and from an socio-cultural point of view, that the ambiguity gives us the feeling of free but that of unfamiliar. When we examine critically the concept of Bokjabsung with this ambiguity, we could indicate that the term complexity could not translate to the term Bokjabsung entirely. On the contrary, no more static for the concept of complexity and Bokjabsung, we should accept as the evolving things that these are recurrently feed-back and floting by itself. Therefore, when the men who have interested in the education and research based on the term Bokjabsung are teaching and researching, they should adopt the rejection of the term Bokjabsung as one process of the learning, furthermore they should notice that they are participating these evoluving concepts of Bokjabsung by themselves.

      • KCI등재

        영상에서 시지각적 주의를 이끄는 복잡성 요인 연구 -뉴스 프로그램 로고를 중심으로-

        김인경 ( Kim In Kyung ),이현주 ( Lee Hyunju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에서 대상이 선택적으로 시지각적 주의를 가질 수 있는 조건 중 하나로 복잡성이 관련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이와 관련한 복잡성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지상파 방송 3개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 4개사(TV조선, JTBC, MBN, Channel A)에서 나타난 뉴스 프로그램 로고들로 로고 셈플들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셈플 분석을 통하여 복잡성이 서로 다른 4가지 유형의 로고를 디자인하였으며 로고의 배경 영상으로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텔레비전에서 송출된 광고에서 가장 익숙하게 본 광고의 유형 중 시각적 표현 방식이 다르며 복잡성에 차이를 가진 3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4가지 유형의 로고 디자인을 각각 3가지 유형의 광고 위에 각각 위치시켜 12가지 유형의 표본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된 표본들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평가를 통해 영상에서 선택적으로 시지각적 주의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드는 복잡성 요인을 실험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배경이 된 영상보다 프로그램 로고에 대한 주의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시각적 복잡성은 로고에 주의를 갖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복잡성은 그 자체로 혼란스러워 보이지만 복잡성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주의 지각에 영향을 주었다. 2) 상대적으로 복잡성의 수준이 중간단계 일 때의 광고 위에 복잡성의 수준이 중간단계(Medium Low Level)인 로고 유형을 위치시켰을 때 로고에 대한 시지각적 주의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극이 너무 단순하거나 혹은 너무 복잡해도 시지각적 주의를 갖기 힘들며 자극이 중간 정도의 각성상태일 때 만족을 얻는다는 베를린(Berlyne, 1974)의 이론을 뒷받침 해주었다. 본 연구는 영상에서 대상이 시지각적 주의를 얻기 위한 복잡성의 적절한 자극 수준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시각적 주의를 일으키는 지각적 특성으로 복잡성이 관련한다는 베를린의 이론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인간의 시지각적 주의가 고려되는 다양한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에서 앞으로 복잡성의 요인이 적극적으로 고려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complexity is one of the conditions that cause subjects to selectively pay visual perceptive attention in moving imag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related to this. For the experiment, logo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news program logos from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KBS, MBC, SBS) and four General Service Program Provider companies(TV Chosun, JTBC, MBN, Channel). Through analysis of the collected samples, four types of logos with different complexity were designed, and the background videos of the logos were the most familiar advertisements on television from January 1, 2023 to June 30, 2023. Among the advertisements, three were selected with different visual expression methods and differences in complexity. For the experiment, 12 types of samples were designed by overlapping 4 types of logo designs on 3 types of advertisements each. The designed samples were tested for complexity factors that enable selective visual perceptive attention in moving image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lthough the attention on the program logo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background moving image, visual complexity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cause attention to the logo. Complexity itself seems chaotic, but it affects human perception of atten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physical factors that make up complexity. 2) When the logo type with a medium level of complexity was placed on top of an advertisement with a relatively medium level of complexity, visual perceptive attention to the logo appeared. These results supported the theory of Berlin (Berlyne, 1974)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visual perceptual attention even if the stimulus is too simple or too complex, and satisfaction is obtained when the stimulus is in a state of moderate arousal. This study allowed us to predict the appropriate stimulus level of complexity for subjects to gain visual perceptive attention in moving image. It also proved Berlin's theory that complexity is a perceptual characteristic that causes visual attention.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factor of complexity will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future in variou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studies that take human visual and perceptual attention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지각적 복잡성과 정서가가 IAPS 자극 처리에 미치는 영향: ERP 연구

        박수담,박태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ffective valence and perceptual complexity of the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pictures on affective picture processing using ERP (event-related potential) component analysis. ERP components as EPN (early posterior negativity) and LPP (late positive potential) have been reported to be modulated by valence, but some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LPP could be modulated by perceptual complexity as well as valence. To elucidate the modulatory effects of perceptual complexity and valence of IAPS pictures on ERPs, we examined the interaction of perceptual and affective modulations at EPN (220-280ms time window), LPP (350-600ms time window) and delta frequency (1-3Hz). Participants were asked to do affective judgement about each of IAPS pictures while ERPs were recorded. Average amplitudes of EPN at occipito-tempor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perceptual complexity, and interaction of valence and complexity. For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complex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simple pictures, but no complexity effect was found for negative pictures. For complex pictures, negative pictures showed low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EPN emotion effect of negative pictures), but no valence effect was found for simple pictures (no EPN emotion effect). Average amplitudes of LPP at pariet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and perceptual complexity. Negativ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for both complex and simple pictures (LPP emotion effect of negative pictures). For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simpl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complex pictures, but no complexity effect was found for negative pictures. No hemisphere-related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t both EPN and LPP. Maximum peak-to-peak difference amplitudes of delta at parietal area demonstrated significant effect of valence, but no significant effect of perceptual complexity was found. Negative pictures showed higher amplitude than neutral and positive pictu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both LPP and EPN components are modulated by perceptual complexity as well as valence of affective pictures, but perceptual complexity effect can be attenuated or eliminated by negative valence. Delta frequency elicited by parietal area seems to be related with LPP, but contributes to only valence effect. Overall results suggest the motivational importance and priority of processing of negative stimuli. 본 연구는 IAPS 사진자극의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이 정서자극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ERP(event-related potential) 성분 분석 및 진동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PP(late positive potential)나 EPN(early posterior negativity)과 같은 ERP 성분들은 정서가 뿐만 아니라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는다고 최근 보고되었다. IAPS 사진자극의 지각적 복잡성(단순/복잡)과 정서가(긍정/중립/부정)를 조작하고 EPN(220-280ms), LPP(350-600ms), 그리고 delta파(1-3Hz) 상에서 두 변인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참가자들에게 IAPS자극에 대해 정서적 판단을 요구하면서 ERP를 측정 추출하였다. 그 결과, 후두-측두영역의 EPN 평균진폭에 있어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 그리고 상호작용의 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는데,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서는 복잡조건이 단순조건보다 진폭이 더 컸지만 부정자극에서는 복잡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복잡조건에서는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작았지만(부정자극의 EPN 정서효과) 단순조건에서는 정서가조건들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EPN 정서효과가 없었음). 두정영역의 LPP 평균진폭에 있어 정서가와 지각적 복잡성의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두 복잡성조건 모두에서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컸으며(부정자극의 LPP 정서효과),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서는 단순조건이 복잡조건보다 진폭이 더 컸지만 부정자극에서는 복잡성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LPP와 EPN 모두에서 반구 관련 상호작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정영역의 delta파에 대해 최대 정점간 진폭을 분석한 결과 복잡성효과는 관찰되지 않았고 정서효과만 관찰되었는데, 긍정자극과 중립자극에 비해 부정자극의 진폭이 더 컸다. 요약하면, LPP와 EPN이 정서가 뿐만 아니라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았지만 부정자극은 긍정자극이나 중립자극과 달리 지각적 복잡성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두정부위의 delta파는 LPP와 관련되지만 지각적 복잡성에는 기여하지 않고 정서가에만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부정자극 처리의 동기적 중요성과 우선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시각적 복잡성 연구고찰Ⅰ -문헌고찰을 통한 문제점 도출-

        이광호 ( Lee Kwang Ho ),윤성원 ( Yoon Seong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미가 존재한다는 가설에서 출발하며, 그 실마리를 시각적 복잡성에서 찾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디자이너가 시각적 복잡성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발적으로 분포해 있는 시각적 복잡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2장은 실험·형태·환경·예술심리학에서 복잡성과 관련된 이론을 정리하였다. 3장은 구성 원리와 평면, 입체(건축과 가로)의 복잡성 측정방법을 논문 중심으로 고찰하고, 질서와 시각적 복잡성의 상관관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중들이 시각적 복잡성의 중간단계를 선호하는 것과 향후 구성요소 선정 시 부분보다는 총체적으로 지각하는 요소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양성·질서와 시각적 복잡성과의 관계 규명과 함께 구성요소의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새로운 연구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잡성에 대한 정의는 아직까지 합의가 없었다. 둘째, 복잡성 자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연구방법의 주류가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하는 계량적 방법이다. 넷째, 시각적 복잡성과 매우 긴밀한 관계인 질서에 대한 연구가 없다. 다섯째, 시각적 복잡성을 판단한 설문 참여자들이 하나의 자극에만 노출됐다. 본 연구의 주제는 국내·해외 모두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평면·입체를 통합하여 고찰한 연구도 거의 없다. 특히 국내 연구 자료는 매우 부족하여 후속연구자에게 매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common favorite among the general public. I look for the clues in the visual complex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at enable the designer to control the visual complexity.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on visual complexity distributed sporadically is reviewed and draw out the problems of advance research. First, the theory related to complexity is summarized in experiment, Gestalt, environment, and art psychology. Next,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measurement methods of visual complexity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public preferred the medium level of visual complexity and that when studying the components of the future, they need access to overall perceived elements rather than pa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new research method is required for studying the components together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order and visual complexity. The problems of the advance research through psychology and measurement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complexity is not complete. Seco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omplexity itself. Third, the mainstream of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entropy. Fourth, there is no research on order, which is very closely related to visual complexity. Fifth, survey participants who judged visual complexity were exposed to only one stimulu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ack of related data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re are few studies that integrated pattern and three-dimensional.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follow-up researchers in situations where domestic data on visual complexity is very scarc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복잡성, 구문복잡성 및 언어능력 변인들 간의 상관에 관한 융합 연구

        이미경,노병호,강안영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의 어휘복잡성 및 구문복잡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이들의 한국어 실제 능력을 알아보며, 이를 토대로 이들에 대한 한국어 지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적에 따른 어휘복잡성 및 구문복잡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어휘복잡성과 구문복잡성을 살펴본 결과 어휘복잡성의 하위 변인 중 다른 낱말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구문복잡성의 하위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한국거주기간, 한국어학습기간 및 언어관련 변인들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한국어 학습기간과 TTR을 제외한 다른 변인들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융합적 관점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적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for Korean learners by telling stories to see pic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nationality. Second, we checked the differences on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according to Korean studying period, only number of difference word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lexical complexity sub variabl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syntactic complexity sub variables. Third, we also checked correlation among staying period of Korea, Korean studying period, and other language related variables. It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staying period in Korea and other language related variable except Korean studying period and TTR. The directions for teaching Korean learners were suggested on the point of converge view according to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