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法律行爲解釋方法으로서 自然的 解釋과 規範的 解釋 檢討

        이동형(LEE, Dong-Hyong)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32

        법률행위해석이란 법률행위의 내용·의미를 밝히는 것 또는 이를 확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좁은 의미의 법률행위 해석(단순해석 또는 밝히는 해석)과 보충적 해석으로 나누어진다. 좁은 의미의 해석방법을 자연적 해석과 규범적 해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이 최근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류방법 중에는 첫째 자연적 해석은 표시행위에 관하여 쌍방의 이해가 일치하는 경우의 해석방법으로, 규범적 해석은 그 이외의 경우의 해석방법으로 나누는 견해와, 둘째 자연적 해석은 표의자의 내심의 효과의사를 밝히는 해석방법으로, 규범적 해석은 의사와 표시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해석방법으로 나누는 견해로 나누어진다. 규범적 해석방법에 관해서는 모두 상대방(수령자)의 시각에서 행해지는 해석이라고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학설을 중심으로 자연적 해석과 규범적 해석의 개념 및 기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자연적 해석 및 규범적 해석 개념의 인정 및 그 구별은 의사표시이론 및 법률행위해석의 대상·목적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으나, 결론적으로 법률행위해석은 법률행위 또는 의사표시 그 자체가 갖고 있는 객관적 의미를 밝혀 확정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하며, 표의자의 ‘내심의 효과의사’ 또는 ‘진정한 의사’를 밝히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내심의 의사는 법률행위의 해석을 위한 기준 또는 보조자료나 참고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뿐이라고 할 것이다. 법률행위해석이 내심의 의사를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자연적 해석을 해석방법의 하나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표시행위에 관하여 당사자 쌍방의 일치하는 이해가 있는 경우 그에 따라서 해석하는 것 또는 오표시 무해의 법리에 따른 해석방법은 해석의 방법이라기보다는 해석 과정에서 당사자 쌍방의 이해가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경우 그에 따라 법률행위가 성립한 것으로 보는 것이므로 이를 독자적인 해석방법이라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규범적 해석방법에 관해서 보면, 내심의 효과의사와 표시행위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법률행위해석이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의 문제로서 착오, 사기?강박 등의 문제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법률행위해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해석방법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법률행위해석은 법률행위(표시행위)의 의미 또는 내용을 객관적?합리적으로 확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법률행위 당사자가 달성하고자 한 목적, 법률행위를 전후한 사정, 관행, 관련법규 등을 고려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하며, 법률행위해석의 방법으로서 자연적 해석과 규범적 해석이라는 개념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 Interpretation of legal acts is to make clear or to decide the contents or the meaning of a Juristic Act. Narrow interpretation (a simple interpretation or a clear interpretation) and supplementary interpretation are two prominent examples of interpretation of juristic acts. This essay focuses on issues related to narrow interpretation. Regarding narrow interpretations, many scholars say that there are two ways by which an act is interpreted: natural interpretation and normative interpretation. For some scholars, natural interpretation is the way of interpretation under the principles of "falsa demonstratio non nocet" as an applicable and n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way that other cases are interpreted. For others, natural interpretation is to make real intention of agents clear, whereas normative interpretation is the way that is to deal with intention and declaration of intention. However, it is true in both perspectives that normative interpretation should be used when intention and declaration do not coincide. In this article, I examine concepts and standards of the two methods of interpretation, the natural and the normative. Interpretation of legal acts is not for construing intention of agents but for determining objective meanings of a legal act itself. Intention in the context of natural interpretation must stop at providing supplementary measures. Hence, the idea of natural interpretation that interpretation is to study the real intention of agents is not proper. Moreover, the proper way to examine the foundation of "falsa demonstratio non nocet" is not through interpretation, but through a presumption that both parties’ intentions are to be made clear through the course of interpretation. For proponents of normative interpretations, when the intention and declaration of the doers do not coincide, we need not interpret legal acts, but should rather attempt to solve it as a problem of discords,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doers’ intentions and declarations according to Article 109 or 110 of the Civil Act. The ultimate purpose of interpreting a legal act is to make it clear. It is to determine the meaning of the legal act from the standpoint of a third party. When making such decision, we should take several factors into consideration, including: the purpose that parties want to attain, circumstances in which a legal act takes place, the customs of the time, and related regulations. Therefore, we do not need to distinguish between natural or normative interpretations.

      • KCI우수등재

        법률행위의 당사자 확정 - 대법원 2017. 11. 14. 선고 2014다21021, 21038 판결; 대법원 2019. 01. 17. 선고 2016다256999 판결 -

        박수곤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행위자 아닌 타인의 명의로 법률행위가 이루어진 경우에 당사자 확정의 문제가 대두되기도 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법률행위 해석의 문제로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본고에서 분석한 대법원판결들에서는 행위자가 타인의 명의로 법률행위를 하지 않은 경우에도 그 타인을 법률행위의 당사자로 확정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부분이며, 특히 무효행위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에 기대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판결들이 다루고 있는 사안들에서 과연 법률행위의 해석이 필요하였는지 그리고 무효행위의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를 적용한 논리의 전개가 자연스러웠는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제3자가 법률행위에 개입한다고 하더라도 특별히 제3자의 명의를 이용하거나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법률행위를 한다는 표지가 드러나지 않는다면, 그 제3자는 법률행위로 인한 권리의 귀속 및 의무의 이행과정에서 단순히 권리를 취득하거나 의무이행의 전부 또는 일부를 대행하는 자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논리의 귀결이라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즉 본고에서 검토한 판결들이 다루는 사안에서 제3자는 당사자 중 일방의 채무이행을 대행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하더라도 논리적으로는 문제가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이 판결들에서는 법률행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제3자가 당사자로서의 지위를 취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우리 민법상 뚜렷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무효행위의 추인 또는 대리의 법리를 차용한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법률행위가 강행법규에 반하거나 사회상규에 반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 않는 한, 사적자치의 원칙에 입각하여 법문의 규정에 얽매이지 않고 그 유효성을 인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고에서 검토한 판결들에서 다루는 사안들은 본고에서 살핀 바와 같이 기존의 ‘제3자를 위한 계약’ 법리에 기초하거나, 소위 ‘제3자의 행위에 대한 약속’ 또는 ‘제3자의 행위 담보계약’의 법리에 의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었을 것이며, 향후 제3자의 행위가 관여되어 있으나 당사자의 확정이 문제되는 사례들에서는 이러한 법리들도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When a legal act is performed in the name of someone other than the actor, the issue of determining the parties has emerged, and in this regard, it is generally treated as a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he legal act. However,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s analyzed in this paper, it is noteworthy that the other person is confirmed as a party to the legal act even if the actor did not perform the legal act in the other person’s name.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by relying on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f invalid acts or representation.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interpretation of legal acts was really necessary in the cases covered by these rulings and whether the development of logic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r representation of invalid acts was natural. Even if a third party intervenes in a legal act, if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third party’s name is specifically used or that the legal act is performed for the benefit of the third party, the third party may simply be involved in the process of attributing rights and performing obligations resulting from the legal act. In other words, even if it had been judged that a third party was a person acting on behalf of one of the parties to fulfill the obligation in the cases covered by the rulings reviewed in this paper, there would have been no logical problem. However, in these rulings, based on the judgmen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basis under our civil law for a third party not directly involved in a legal act to acquire the status of a part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egal principles of ratification of invalid acts or representation was adopted. However, as long as a legal act does not contain content that is contrary to mandatory laws or social norms, its validity may be recognized without being bound by the provisions of the law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n other words, the issues covered in the rulings reviewed in this paper could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legal principle of ‘contract for third party’, ‘promise for the acts of a third party’ or ‘contract guaranteeing the actions of a third party’. It is hoped that these legal principles will also be applied in the future to cases where the actions of a third party are involved but the determination of the parties is problematic.

      • KCI등재

        법률위반과 부정경쟁행위

        박윤석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1

        In Korea Law System, it is not common that a breach of law could be an unfair competition.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which restricts types of unfair competition acts does not regulate a breach of law as the unfair competition.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EU countries and US, the breach of law has been recognized as unfair competition. In particular, the breach of law which has been acknowledged as unfair competition by Federal Supreme Court of Germany(BGH) was codified Nr.11, Article 4 in Unfair competition Act of Germany, during 2004 revision of Unfair competition Act. In US case, an unlawful act may constitute unfair competition according to California statue law and a violation of almost any federal, state, or local law may serve as the basis for a claim under California s Unfair Competition Law. Such an unfair competition could be prohibited only by civil code article 750 in korean law system, because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has recognised only nine types of acts as unfair competition. So, a breach of law that is not covered by The Korean Unfair Competition Law could be an unfair competition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An illegality of article 750 should be admitted to mark a breach of law as a character of unfair competition. In order to constitute illegality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we need a standard of the illegality, that unlawful practices should mean a breach of law which regulates market behavior related to interest of participants in market because all unlawful practices would not be accepted as unfair competition. this standard is used in some of EU countries, but they regulate a breach of law as unfair competition based their competition law, not civil law.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d that an unfair business practice could be unfair competition based on Civil Code article 750, even though they are not covered by unfair competition law. We need to discuss whether a breach of law is a new type of unfair competition act or just one of torts based on Civil Code. 영업주체가 경제활동을 하면서 법률을 위반하는 행위는 충분히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위반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제재를 받는다. 하지만 법률위반 행위가 부정경쟁의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위반자는 법적으로 허용될 수 없는 경쟁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경우에 따라 위반한 법률에 규정된 법적 제재는 상대적으로 경미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이러한 법률위반을부정경쟁행위의 수단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독일의 경우 판례에 의해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해 오다가 2004년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을 통해 성문화하였다. 우리나라 부정경쟁방지법에서는 부정경쟁행위의 개념을 한정 열거적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열거된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한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로 인정될 수 없다. 따라서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현행법상 민법 제750조의 일반불법행위로 인정 될 수밖에 없다. 법률위반행위를 일반 불법행위 또는 특별법상의 부정경쟁행위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요소들이 검토 되어야 한다. 독일의 입법례를 검토하여 보건데, 모든법률위반행위가 부정경쟁행위로서 인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장참여자의 이익과 관련하여 시장행위(Marktverhalten)를 규제하는 법률을 위반하는 경우에만 인정된다는 점은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구성요건 중 하나인 위법성 인정 여부와관련하여 참고할만하다. 현행법상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는 사례와 학설이 부족함으로 우리법상 법률위반을 통한 부정경쟁행위를 단순히 일반 불법행위의 영역에 머물게 할 것인지 부정경쟁행위로 포함할 수 있는지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法律行爲의 要件

        박찬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가천법학 Vol.1 No.1

        Majority scholars distinguish formative requisites of legal act and validating requisites of legal act. The writer treats two subjects in this article on this basis. One subject relates to who bears burden to prove the obstructive facts for effectiveness. Almost all the scholars allege a person who presents obstructive objection for effectiveness bears burden of proving the related facts. But the writer concludes a person who asserts the pending legal act is effective from the time of agreement. The reason to this conclusion bases whether the fact related to effectiveness is obstructive or extinctive belongs to the ex officio judgment. This conclusion draws collateral one that vis absoluta manifestation of will belongs to the ex officio judgment. Second subject relates to whether validating requisites of legal act can be classified into attributing requisites and non attributing effective requisites. One of commonly referred attributing requisites is the power to dispose. The writer proposes to treat this requisite with agency and denies the necessity of classification. Some scholars assert ratification is allowed only to attributing requisites. But the writer does not agree this opinion, as Civil Act provide the ratification of null act(§139) and voidable act(§143) without restricting its application to attributing requisites.. 필자는 이 글에서 법률행위의 성립요건과 효력발생요건은 구별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서서 두 가지 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 살펴보고 있다. 첫째는 증명책임의 소재와 관련한 것으로, 권리장애사실에 대해서는, 그 증명책임은 권리장애사실을 주장하는 자에게 있다고 보는 통설과는 달리, 법률행위의 성립을 주장하는 자에게 있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 이는 법원의『직권판단』의 대상이라는 점을 명백히 하였다. 이와 같은 법리의 정립은 항거불능의 강제상태 하에서의 의사표시는 법률행위의 불성립으로 보아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종전의 통설은 이를 단순한 효력요건으로 보고 주장 및 증명책임에 대해 효력을 다투는 자에게 있다고 봄으로써, 국가권력기관의 강압에 의한 항거불능상태에서의 재산헌납 등이 단순한 법률행위의 취소사유에 그치고 제척기간의 경과로 취소권행사가 봉쇄되는 어처구니없는 판결이 양산되었다. 둘째는 법률행위의 효력요건을 효과귀속요건과 효력발생요건으로 나누는 일부학설과 관련하여, 처분권부여와 관련한 문제는 대리권의 수여와 동일한 문제로 처리하여야 한다는 점, 그리고 법률행위의 추인은 반드시 무권대리의 경우에만 허용되는 것은 아니고, 법률행위의 무효․취소에 널리 인정되기 때문에, 굳이 효력요건을 효과귀속요건과 효력발생요건으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법과 독일법상의 법률행위 개념비교

        서봉석(Bongseock Seo) 은행법학회 2023 은행법연구 Vol.16 No.1

        한국민법은 독일민법체계를 계수하였다. 따라서 구성체계뿐만 아니라 많은 법률제도(Rechtsinstitution)가 매우 유사하며 단지 일부에서 차이가 있다. 그 중에서 법률행위 제도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나타난다. 민법에서 법률행위 제도는 사적 자치 이념을 구현하는 핵심적 도구로서 그 중심적 역할을 한다. 그런데 독일민법체계에서 법률거래(Rechtsgeschäft)라는 제도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민법에서 법률행위(Rechtsakt)로 변형되었다. 따라서 독일법에서 법률거래라는 추상적 복합적 정의 및 법적 본질은 한국민법의 법률행위 개념과 차이가 나게 되었다. 법률거래란 그 용어적 개념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거래의 효과가 발생하는 하나의 거래 완성을 중심으로 하는 포괄적 추상적 개념이다. 즉, 하나의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하나 또는 수 개의 행위들의 결합체이다. 이는 법률효과 발생적 관점에서의 법적 본질을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이에 반해 한국민법상의 법률행위는 개개의 행위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논리체계로, 하나의 법률효과가 발생하면 하나의 행위가 완성되는 행위 중심적 개념이다. 법률용어 차원에서, 법률행위를 거래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독일민법에 따르면 청약, 승낙의 의사표시를 계약의 일부일 뿐이라고 하고 있으며 각각의 행위가 법률행위인지 아닌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필요 없다. 반면에 법률행위를 행위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한국민 법의 경우 그 법률행위의 정의에 부합하도록 행위를 분류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약, 승낙의 의사표시는 각각 법률행위로서의 법적 본질을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한국민법에서와 같은 법률행위 제도는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각각의 행위를 하나의 법률행위로 보기 때문에 법률거래라는 개념보다도 객관적 명확성이 확보되어 체계적 완성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물권적 법률행위에 있어서 물권변동계약(Einigung), 등기 시 또는 점유이전 시의 합의(Einigsein) 등을 하나의 물권행위(Dingliche Rechtsgeschäft)로 취급하는 독일민법체계적 방법론과 달리 한국민법에서는 물권변동계약, 등기 시 또는 점유이전 시의 합의를 각각 하나의 법률행위로 취급하여야 한다. 이처럼 한국민법의 법률체계와 법률제도의 개념이 독일민법을 계수하는 과정에서 다르게 변형되었다. 그런데 한국의 법률행위 개념이 그 명확성과 체계성 차원에서 독일의 법률거래 개념보다 좀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Korean civil law inherited the German civil law system. Therefore, not only the constitutional system but also many legal institutions (Rechtsinstitutionen) are very similar, only differing in some institutions or structures. Among them, important differences emerge in the legal practice system. In civil law, the legal act system plays a central role as a key tool to realize the ideology of private autonomy. However, under the German civil law system, a system called legal transaction (Rechtsgeschäft) is used and it can be seen that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legal act (Rechtsakt) in Korean civil law. Therefore, the abstract complex definition and legal essence of legal transaction in German law became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legal act in Korean civil law. As shown in its terminological concept, legal transaction is a comprehensive abstract concept centered on the completion of a transaction in which the effect of a transaction occurs. In other words, it is a combination of one or several acts in which one legal effect occurs. This can be said to represent the legal ess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occurrence of legal effects.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legal act in the Korean civil law is an action-oriented concept in which one act is completed when one legal effect occurs as a logical system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individual ac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legal transaction at the conceptual level of these legal terms, the expression of intention of offer and acceptance is only a part of the contract, and there is no need for a clear statement on whether each act is a legal act or not. In the case of Korean civil law, which uses the concept of a legal act, the act must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legal a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xpression of intent of offer and acceptance represents the legal essence as a legal act, respectively. The legal act system, as in the Korean civil law, regards each act that has a legal effect as one legal act, so it can be said to have secured systematic completeness by securing objective clarity than the concept of legal transaction. In addition, unlike the systematic methodology of German civil Law, which treats a property change contract (Einigung), an agreement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r transfer of possession (Einigsein), etc. as a single property act (Dingliche Rechtsgeschäft), Korean civil Law treats the agreement at the time of transfer of possession should be treated as a single legal act.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legal system and its concept of Korean civil law were differently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counting German civil law. However, in terms of clarity and systematicity, the legal act is superior to the concept of the German legal transaction.

      • KCI등재

        무효행위(無效行爲)와 취소행위(取消行爲)의 추인(追認)

        박찬주 ( Chan Ju Park ) 延世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08 法學硏究 Vol.18 No.1

        필자는 이 글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주장하고 있다. 무효인 법률행위의 追認의 性質은 실질적으로 새로운 법률행위를 하는데 필요한 請約에 해당하며, 다만 그 내용을 종전의 법률행위 그대로 하겠다는 의사표시인 것이다. 즉 契約內容의 援用이다. 이와 같이 추인을 무효인 법률행위의 원용이라고 보는 경우에 약정된 법률관계에서 일부 이행된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추인이 이루어지기 전에 이미 이행기간이 도과하여버린 것들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제137조는 상대방에게는 신의성실의 원칙에서 요구되는, 성실하게 새로운 법률행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협력하여야 할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추인에 있어서 제137조의 추인과 약정에 의해 소급효가 인정되는 추인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고는 보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효인 법률행위에서 비록 무효인 법률행위이기는 하지만 약정에 의해 정해진 이행기가 이미 도과하였다면 소급적 추인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추인에 의해 바로 채무불이행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는 계약 해제사유에 해당하기 때문에 추인에 의해 바로 채무불이행을 가져오는 불합리를 피하기 위해서는 어떤 의미에서건 불합리를 피하기 위한 약정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추인에 있어서는 추인을 하더라도 이행기가 전혀 문제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는 바에야 반드시 해결하여야 하는 점이고, 따라서 추인은 청약과 승낙이라는 계약이론으로 흡수되어야 한다.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추인은 단순히 취소권을 포기한다는 의사의 통지에 불과하다고 보기보다는, 취소권의 행사에 의해 법률행위를 확정적으로 유효하게 하는 의사표시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法定追認이란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 대해 일정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당사자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법률상 당연히 추인이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를 말한다. 제145조에서는 법정추인사유로 여섯 가지의 사실을 규정하고 있다. 독일민법에서는 법정추인제도를 두지 아니하고 있기 때문에 追認의 推斷(Konkludenz)에 의해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는데, 법정추인제도의 부존재가 독일에서 事實契約理論의 등장을 가져온 것이라고 본다. 학자들이 주장하는 무권리자의 처분행위는 본질적으로 무권대리행위 문제에 해당한다. 일부학자들이 처분권부여와 수권행위를 구분하지만, 이는 대리행위를 함에 있어서 顯名主義를 관철하고, 우리민법 제115조 단서와 같은 예외규정을 두지 아니한 독일민법의 영향을 받은 것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를 따를 필요가 없다. The writer asserts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in this article. Characteristic of ratification of null and void act is materially an offer for forming a new legal act with same content. In other word, it is an invocation of the former contract. Bu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content of contract concluded by ratification and the former contract should not be the same to the letter. The reason is as follows: Usually the residual, except virtually performed, part of the contract lapsed the prescribed period of performance by the former contract before the former contract is ratified. So even though the former contract is ratified, the contract is in a defaulting condition at the very time of ratification. In this respect, ratification is meaningless if the contract is not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ratification. This conclusion requires the parties to cooperate bona fide to modify it to make the ratification effective. Though almost all the scholars assert that there exists material difference between retroactive, i. e. ex-tunc ratification and futuroactive, i. e. ex-nunc one, the writer do not agree with those opinion on the above-mentioned ground. Ratification of revocable act is not mere a notification of declarant`s will, but a manifestation of will to make the act conclusively valid. Statutory ratification is a system to regard a act valid despite the declarant`s will when prescribed in §145 events take place. German Civil Act does not provide statutory ratification, For this reason German Courts and scholars have developed implied ratification theory, and this theory invites de facto contract theory. The so-called disposition by an unempowered pers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unauthorized agency`s disposition. Some scholars distinguish between empowerment and delegation of authority. But those opinions has been affected by the attitude of German Civil Act not enacting a similar provisio of §115 of Korean Civil Act. The writer does not agree with this opinions.

      • KCI등재

        중국 회계법률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종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3

        동일한 불법행위에 대하여 중국 「회계법」과 경제 관련 기타 법률들의 책임은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법률규범의 불일치는 필연적으로 실제 법 집행과정에서 법률은 규정되어 있으나 실무차원의 적용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며, 불법을 자행한 기관 또한 제각기 상이한 법률규정의 허점을 발견하여 법적 처벌을 회피하는 기회로 삼는 등 그 폐해가 적지 않다. 따라서 회계법률과 기타 법률의 규정이 최대한 일치하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회계법」내 민사책임과 관련한 규정이 없는데 「민법통칙」과 「민사소송법」의 민사권리침해에 대한 원칙적 규정 또한 회계분야에서의 권리침해의 구체적 해석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었다. 실무과정에 적용하기 어렵고 이론적으로도 논쟁이 존재하였다. 그 예로 입증책임, 소송시효, 배상기준 및 손해범위 등의 문제가 그것이다. 단지 월급수준 정도의 차이만 존재하기도 하고, 소송비용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즉 민법 내 회계와 관련한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규정이 대폭적으로 제정 및 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관책임자의 회계책임 추궁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중국 「회계법」제6장은 기관에 회계영수증과 회계장부의 위조․변조, 허위재무회계보고 편성이 존재하고, 법에 따라 보존해야 하는 회계정수증과 회계장부, 재무회계보고를 은닉 또는 고위 훼손하는 행위는 법적 책임을 추궁하게 된다. 이를 부담해야 하는 개인은 “직접 책임을 지는 주관인원과 기타책임자”로 기관책임자범위를 다소 모호하게 확대한 개념으로, 그 함의가 모호하기 때문에 책임추궁이 어렵다. 「회계법」제33조 1항 규정에 의하면 재정, 심계, 세무, 인민은행, 증권감독관리위원회, 보험감독관리위원회는 모두 회계감독의 법 집행기관이다. 심계부처는 국유기업의 재무수지 및 국유자산, 국가자산 사용상황을 감독하며, 국가세무국은 납세인의 납세액 상황을 감독한다. 인민은행과 증감위, 보감위는 해당부처 관리와 관련한 상황을 감독한다. 그러나 감독부처가 다원화되고 권한이 모호하여 회계감독에 있어서 서로 미루거나 중복감사가 진행되는 문제가 출현하는데, 그 이유는 법 집행부처간에 상호 통보제도가 부족하고 지방정부의 이익이 걸려 있는 문제에서는 중복감사문제를 피하기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중국 「회계법」제6장은 국가공무원의 불법회계행위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내려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규정은 두 가지 문제가 있다. 하나는 행정처분의 적용범위가 단지 국가기관이나 국유기업에만 적용되고 나머지 기타 민간기업의 불법회계행위를 실시한 자에 대해서는 법적 효력이 없다는 점이다. 사영기업이나 독자기업의 책임자가 자신의 불법회계행위에 대해 아무런 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 상황에서 행정처분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형식이건 간에 이에 대해 앞으로 논의를 해서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1999년 개정된 「회계법」제6장 법률책임에서는 기본적으로 행정책임과 형사책임에 대해 규정을 하였다. 반면 불법회계행위의 민사책임은 언급된 바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민사배상의 범위와 기준, 입증책임과 소송시효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해야만 한다. 21세기에 접어든 이래 중국은 분식회계정보로 인한 소송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허위 회계정보의 판정... The Liability of the China "Accounting Act" and other economic law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illegal act. The disagreement between these legal norms is inevitable, but the law is enacted in the actual law enforcement process,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practical level, and the illegal organization also finds loopholes in different legal regulations and avoids legal punishment And it is not so ba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trive to make the accounting laws and other legal provisions as consistent as possible. In addition, there is no rule concerning the civil liability in the "Accounting Act". The principle of "infringement of civil rights" in the "Civil Act Ordinance" and "Civil Procedure Act" was not concerned with the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infringement of rights in the accounting field. It was difficult to apply to the practical process and there was theoretical debate. Examples include the burden of pro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e criteria for compensation, and the extent of damage. There are only differences in salary levels, and they may not reach the cost of litigation. In other words, the liability for lia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related to accounting in the civil law should be enacted and revised extensive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serve accountability of the responsible person in charge of the institution. Chapter 6 of the Chinese Accounting Act states that there are falsification, alteration, and misrepresentation of accounting receipts and accounting books in institutions, and there is a need to preserve accounting records, accounting books, financial accounting reports, The act is subject to legal liability. An individual who has to bear this responsibility is a concept that is somewhat ambiguous to the ext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rganization as "responsible person and other person with direct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33 (1) of the 「Accounting Act」, Finance, Cardiology, Taxation, People's Bank, Securities Regulatory Commission, and Insurance Supervision and Management Committee are all law enforcement agencies of accounting supervision. The Deputy Director supervises the financial bal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state-owned assets and state assets, and the State Taxation Bureau oversees the taxpayers' tax payment status. The People's Bank of Korea and the approval and supervision committee oversee the situation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relevant ministri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upervision departments are pluralized and their powers are ambiguous and delayed or overlapped audits are carried out in accounting supervis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mutual notification system between law enforcement agencies, There is a limit to the difficulty of avoiding auditing problems. Chapter 6 of the Chinese accounting law stipulates that admini- strative actions should be taken against illegal accounting practices of state officials. However, this provision has two problems. One is that the scope of administrative dispositions applies only to state or state-owned enterprises and the other private companies have illegal accounting practices. Since it is impossible for a director of a private company or a private company to make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in the absence of any legal sanction against his illegal accounting act, he should revise the law by discussing it in any form. In the "Accounts Act" revised in 1999, Chapter 6, "Legal Liability" basically stipulated administrative and criminal liability. On the other hand, civil liability of illicit accounting practices is rarely mentioned. For this reason, the scope and standards of civil compensation, the burden of proof and the prescription of lawsuits must be specifi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lawsuit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China due to misplaced accounting informatio...

      • KCI등재

        무효행위의 추인

        허명국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이 논문은 무효행위 추인의 가능성, 추인의 요건 및 효과에 관하여 기존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무효행위의 추인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우리 민법 제139조의 합리적인 해석방법 및 개정방향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그 중요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1) 법률행위의 무효는 당사자가 원한대로 법률관계 변동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무효인 법률행위는 법적으로 無(nullum)인 것이 아니라 무효인 상태로 성립하여 관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2) 따라서 그 법률행위를 무효로 만들었던 무효원인이 해소된 후에 이를 다시 유효로 하겠다는 추인(Bestätigung)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다만 추인은 법률행위의 소급적인 유효를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추인에 소급효를 인정할 것인지 장래효만 인정할 것인지는 입법자가 법정책적 목적에 따라 결정할 문제이다. 우리 민법 제139조 본문이 무효인 법률행위는 추인하여도 그 효력이 생기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추인가능성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법률관계의 명확성 및 안정성을 위하여 추인의 소급효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3) 동조 단서는 당사자가 그 무효임을 알고 추인한 때에는 새로운 법률행위로 본다고 규정하여 비소급적 추인을 인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소급적 추인을 인정한 이유는 동일한 내용의 법률행위를 새로이 처음부터 다시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당사자 간의 급부와 반대급부에 대한 종래의 평가를 존중하려는 데 있다. (4) 다만 동조 단서가 비소급적 추인의 요건으로 들고 있는 무효에 대한 인식은 무효행위의 추인의 개념요소는 아니라고 할 것이고 추인의 유효여부를 당사자의 주관적인 인식에 좌우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신뢰를 해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동조 본문과 단서의 조화로운 해석을 어렵게 만들게 된다. (5) 무효행위의 추인에 있어서 무효에 대한 인식은 추인의사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묵시적인 추인에 있어서 무효에 대한 인식이 없는 경우에는 행위자에게 어떤 법적인 의미가 있는 행위를 한다는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법률행위의 규범적 해석을 통하여 표시의사 없는 추인행위가 성립하게 되고 행위자는 이 무효행위의 추인을 민법 제109조 1항 착오규정의 유추적용을 통하여 취소할 수 있을 뿐이라고 할 것이다. (6) 따라서 민법 제139조 단서에서 ‘그 무효임을 알고’부분을 삭제하여 무효행위의 추인의 의사적 요소에 무효에 대한 인식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학설과 판례의 태도에 따라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 (7) 민법 제139조 단서에 따라 비소급적 추인이 인정되면 그 법률효과는 종래 무효였던 법률행위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새로운 법률행위가 그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즉 동조 단서가 새로운 법률행위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은 무효행위의 추인과 새로운 법률행위를 구성요건적 측면에서 동일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법률효과의 측면에서만 동일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Der Vorliegende Aufsatz beschäftigt sich mit der Bestätigung des nichtigen Rechtsgeschäfts. Dabei möchte ich durch eine kritische Überprüfung eine vernünftige Auslegung und Änderungsvorschlag von §139 KBGB anstreben. Die wichtigen Punkte lassen sich wie folgt zusammenfassen:(1) Das nichtiges Rechtsgeschäft ist nicht etwas rechtlich überhaupt nicht Vorhandenes. Nur die in dem Rechtsgeschäft gesetzte Regelung gilt nicht so, wie sie gesetzt ist. (2) Daher ist es logich sehr denkbar, daß nach dem Wegfall von Nichtkeitfgründen durch eine Bestätigung das Rechtsgeschäft gültig wird. §139 KBGB verweigert nicht die Möglichkeit der Bestätigung, sondern wegen der Klarheit und Sicherheit der Rechtsverhältnisse nur die Rückwirkung der Bestätigung. (3) §139 KBGB, der die Bestätigung ohne Rückwirkung anerkennt, dient der Wahrung des Willens der Beteiligten und der Erleichterungen im Vergleich der Neuvornahme des nichtigen Rechtsgeschäfts. (4) §139 KBGB setzt den Bewusstsein der Nichtigkeit für die Bildung eines Bestätigungswillens voraus. Aber die Kenntnis der Nichtigkeit ist nicht der Bestandteil des Begriffs der Bestätigung. Wenn die Gültigkeit der Bestätigung auf der subjektiven Wahrnehmung der Partei beruht, besteht das Problem, dass das Vertrauen der anderen Partei gefährdet ist. (5) Bei der konkludenten Bestätigung erklärt der Handelnde, der nicht in der Kenntnis der Nichtigkeit ist, seinen Bestätigungswille ohne Erkärungsbewusstsein. Der Erklärende kann nach §109Ⅰ KBGB analog seine Bestätigung anfechten. (6) Es ist daher sinnvoll, ‘in der Kenntnis der Nichtigkeit’ aus §139 KBGB zu streichen. Es sollte Lehren und Rechtsprechungen überlassen werden, ob der Bestätigungswille die Kenntnis der Nichtigkeit voraussetzt. (7) Bei der Bestätigung ohne Rückwirkung ergeben sich die Rechtsfolgen nicht aus dem Bestätigungsgeschäft, sondern aus dem bestätigten Rechtsgeschäft. Also nur hinsichtlich der Rechtsfolgen ist die Bestätigung als erneute Vornahme zu beurteilen.

      • 約款의 解釋과 例文解釋

        박찬주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아주법학 Vol.2 No.1

        法律行爲의 解釋이란 당사자의 意思表示및 행위의 全趣旨로부터 법률행위 의 내용을 명확히 하여 당사자가 어떤 법률효과를 발생시키려는 것인가 라는 점을 확정하는 規範的作業을 말한다. 법률행위해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보통 自然的解釋, 規範的解釋및 補充的解釋의 세 가지를 들고 있다. 법률행위 해석에 있어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계약서가 不動文字의 형태로 인쇄된 경우이다. 필자가 이 글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논지중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 다. 첫째는, 有效解釋의 原則이 법률행위해석의 당연한 결론은 아니라는 점이 다. 유효해석의 원칙은 개별당사자의 의사표시의 해석에 있어서는 당연하지 만, 청약과 승낙이라는 두 개의 의사표시가 합치되어 성립하는 경우에는 법 률행위를 해석하는 자의 해석에 임하는 기본태도는 법률행위의 당사자가 해 석자가 형성하고자 하는 假定的意思나 보충된 법률행위의 내용을 법률행위 의 당사자가 그 당시에 알고 있었다면 그 법률행위의 형성에 나아갔을 것인 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표의자가 가정적 의사와 보충된 내용에도 불구하고 법률행위로 나아갔을 것이라는 점에 대한 확신이 설 때, 유효해석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진정성립이 인정된 처분문서는 그 내용을 계약내용으로 삼는다는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는 판례의 법리는, 약관규제법이 시행된 후에도 사업자가 명시의무 및 설명의무를 이행한 것을 전제로 그대로 적용된다는 점 과, 완결조항이 포함된 계약서에서 완결조항 자체가 개별적으로 교섭되어 삽 입된 경우에는 약관의 내용에 대해서 명시의무 및 설명의무가 이행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는, 약관규제법의 적용을 받지 아니하는 계약서에 기재된 부동문자를 例文이라고 하는 경우에 예문은 두 가지의 의미가 포함된다. 계약체결에 앞 서서는 단순한 계약의 초안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의미에서 예문에 해당하지 만, 계약이 체결되었으나 계약에 편입되지 아니한 조항은 삭제되었어야 하는 데도 삭제되지 아니한 채 남아 있다는 의미에서의 예문이다. 이 경우에 예문을 적용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를 修正解釋이라고 불러서는 아니 된다. 이러한 필자의 주장은 논란이 예상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동료교수님 들의 많은 논의를 기대한다.

      • KCI등재

        행정행위의 해석에 관한 소고

        남하균(Nam, Ha-Kyoon)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6 행정법연구 Vol.- No.47

        법률 해석론은 법학일반이론에서, 사법상의 법률행위 해석론은 민법학에서 기초적인 주제로 강조되고 있는 데 반하여 행정행위 해석에 관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행정행위에 추상적이고 불분명한 표현이 있을 때 해석을 통하여 확정된 의미내용에 따라 행정행위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행위의 법적 성격이 해석으로써 확정된다. 비록 ‘해석’이라는 쟁점으로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행정법학의 곳곳에서 개별적인 주제로서 논의되어 온 것이 적지 않다. 행정쟁송의 대상적격으로서 처분성 인정여부, 행정행위의 취소 또는 철회 여부, 부관의 성질 판명, 후행처분이 선행처분에 미치는 영향 등이 그것이다. 행정행위는 법률의 틀 안에서 그를 집행하는 성격을 가지는 만큼 행정행위의 해석은 곧 법률 해석의 문제로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더라도 행정법학 전반의 개별 주제들을 아우르는 행정행위의 일반적 해석 방법론을 시론적으로 모색해볼 의미가 있을 것이다. 먼저, 기존의 법률 해석론 및 법률행위 해석론을 간략히 살펴보고 행정행위 해석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상대방 있는 행정행위는 일반적 효력을 발생하는 법률과 달리, 그 해석이 구체적 사례에 고유한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개별적 성격을 띤다. 이 점에서는 쌍방적 구조를 공유하는 법률행위의 해석에 접근한다. 행정행위의 해석은 법률행위의 해석과 그 방법적 측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만, 당사자의 실제 의사를 최대한 실현시킴으로써 사적자치의 이념을 지향하는 사법상의 법률행위 해석과 달리, 탈주관적인 공동체 이익을 지향하는 행정행위에서는 표의자인 행정청의 실제 의사에 결정적인 중요성을 부여할 수 없는 객관적 성격이 보다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행정행위의 해석 기준에 관한 판례를 유형별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대법원은 문언중심의 해석 원칙에 입각하여, 행정청이 문서에 의하여 처분을 한 경우 그 문언에 따라 처분의 내용을 해석하되, 처분서의 문언만으로는 불분명한 경우에는 처분 경위나 처분 이후의 상대방의 태도 등 다른 사정을 고려하여 처분서의 문언과 달리 그 처분의 내용을 해석할 수도 있다고 본다. 서면주의를 취하는 행정행위의 해석이 문언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일방적 규율로서의 행정행위의 성격상 문언중심원칙은 법률행위 해석에서보다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판례는 신청에 대하여 행해진 행정행위는 처분 자체뿐 아니라 상대방의 신청행위 등의 문언 내용과 함께 행정행위의 목적, 행정행위가 행하여진 경위, 당사자들의 이해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야 한다고 한다. 특히 신청에 대한 거부처분은 행정청의 적극적인 내용 구성이 없고 신청내용에 의존하기 마련이므로, 그 해석은 신청행위까지 아울러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그밖에 사례 검토와 기존의 법률 및 법률행위 해석론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행정행위 해석방법을 정리해보았다. While the legal interpretation theory is emphasized in the general theory of law and also the interpretation of private legal act as a basic theme in the civil law, the interest in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has been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that is unique to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The administrative act has the nature to enforce the law within it"s own framework, and the opinion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is often limited to reproducing the effects specified in the law in specific cases. As results of examining each precedent, we can fi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First, there are not many instances in which interpretation of agency action is an issue. This is because, as seen from the beginning, the agency action has the character of law enforcement, and the intention of the administration is not created by various contents.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nterpretation of private legal act,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in interpreting the agency actions consider the agency or the other party"s intention, but does not put the exploration for it as an explicit interpretation goal. It is also possible that there is a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law relations, which have a strong objective character. Finally, in the cas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administrative act, there are many cases where interpretation results are diverted not only between the agency and the other party but also between the courts. This is different from legal interpretation. If the general proposi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established, there is not much doubt about its application. On the contrary, It seems hard to expect to improve the general proposition of the case or to elicit any more new proposition. It is also difficult to predict the outcome of each case because the individuality of each judge plays a large role. Therefore, it would be required to seek a practical operating system such as a way to clarify the text of the disposal letter from the front line administration and to make it cross-chek between the persons in charge and confirmation of the legal department so that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a disp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