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석의 시적 지향과 표현방법

        이숭원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백석의 시는 매우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다. 그의 시는 1988년 납월북 문인에 대한 해금이 이루어진 후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일제강점기의 어느 시인보다 대단한 인기를 누리고 있고, 그에 대한 연구도 단기간내에 아주 많은 업적이 산출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그의 시는 후대의 시인들에게 자발적인 모방의 대상이 된다. 시인들은 가능한 한 전대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것에서 벗어나려 하거나 영향을 거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백석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본고는 백석 시의 독특한 개성을 파악하기 위해 백석이 중점적으로 표현한 대상이 무엇이며 그것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방법상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했다. 백석은 자신의 고향이나 거주지 주변의 풍물만이 아니라 여러 곳의 생활 국면을 관찰하고 그것을 시의 재료로 삼았다. 한 곳에 안주하지 않고 여러 곳을 편력하면서 관찰과 사색과 탐색을 거듭한 체험을 그의 시에 담아냈다. 그는 대상의 표면만 보지 않고 그 안에 감추어져 있는 정신적인 요소를 찾아내려 했다. 그의 시는 대상의 숨은 의미를 발견하는 작업이고 그것을 자신의 삶과 연결시키려는 탐색의 과정이다. 대상의 숨은 의미를 찾아내려는 노력은 마음의 영역을 발견하는 데서 시작되는데 그러한 경향을 처음 드러낸 시가 「탕약」(1936.3)이다. 그는 자신의 독특한 체험과 사색을 개성적 어법으로 표현하려 했다. 백석의 표현방법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서술성을 중심에 두면서 압축적인 어법을 결합시키는 것, 이항 대립의 발상을 축으로 하여 이항 대구의 형식미를 추구하는 것, 이 두 가지로 집약된다. 백석의 시가 서술적 경향이 두드러진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백석은 서술성을 활용하는 시에서도 압축과 생략의 기법을 집중적으로 구사했다. 백석의 시가 표면적으로 진부한 형식을 취하면서도 상당히 새로운 느낌을 주는 것은 바로 이 서술성과 압축성의 결합 방식 때문이다. 백석의 시는 유년의 충족감과 성인의 결핍감 사이의 이항 대립, 누추한 세상과 높고 맑은 정신 사이의 이항 대립의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이항 대립의 양상은 주제나 의식의 측면만이 아니라 형식의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거의 대부분의 백석 시는 이항 대립 내지는 이항 대구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항 대구의 형식적 구성이 백석 시 전편에 일관되게 흐르는 시작 원리로 작용했다. 백석 시의 독특한 개성은 이러한 정신적 지향과 표현방법이 창조적으로 결합하여 탄생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적 요소들은 밀접하게 결합하여 백석시의 미학을 창조하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이 요소들이 백석의 시에서 유기적으로 결속하여 백석의 독특한 방법적 미학으로 승화된 것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백석 시의 미학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를 검토한 것이다. Baek Seok’s poems exhibit very unique features. His poems are far more popular than those of any other poet during Japanese imperialism, and research on him has led to great many achievements within a short period. Besides, his poems have become the objects of voluntary imitation to the poets in next generations. This article aims to figure out what the objects Baek Seok intended to express intensively 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thods used to express them in order to understand his poems’ unique features. Baek Seok observed not only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of his own hometown and around his residence but also the aspects of life in many other places in order to take them as the subject matters of his poems. Not settling down in one spot but exploring many places, he observed things and repeated meditation and exploration to put them into his own poems. He did not see the objects only from the surface but attempted to discover the spiritual elements hidden inside. The effort to find the hidden meaning of an object starts from discovering the area of mind, and the poem that shows such tendency first was 「Tangyak」[medicinal decoction](1936.3). He tried to express his own unique experience and meditation with unique gramma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Baek Seok’s expressional metho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1. combining compressive grammar as focusing on narrativity, and 2. pursuing the beauty of form of binomial antithesis as taking the idea of binarity as the axis. It is known that the narrative tendency is noticeable in Baek Seok’s poems, and Baek Seok employed the method of compression and omission intensively even in the poems using narrativity. The reason Baek Seok’s poems take the outdated form superficially but present very fresh feelings is this method of combination of narrativity and compressibility. Baek Seok’s poems take on the structure of binomial contrast between the vulgar world and aloof spirit. The aspect of binomial contrast is shown not just in the aspect of the subject or consciousness but also in the aspect of form. Most of the Baek Seok’s poems take on the structure of either binomial antithesis or binarity. The formal composition of binomial antithesis works as the principle of writing poems flowing over the whole works of Baek Seok’s consistently. The unique features of Baek Seok’s poems were born by combining such spiritual pursuit and expression creatively.

      • KCI등재

        백석 시 전집 출간 및 어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경수(Lee, Kyung Soo)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출간된 네 종의 백석 시 전집을 중심으로 백석 시 전집의 출간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백석 시에 대한 어석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숭원 주해ㆍ이지나 편 『원본 백석시집』과 고형진 편 『정본 백석시집』은 원문 시 수록이나 시어 풀이에서 서로 이견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이전까지 출간된 백석 시전집의 오류를 상당 부분 극복한 의미 있는 성과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1948년까지 발표된 백석 시만 싣고 있어서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의 시를 확인할 수 없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한 두 시전집의 원문 수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그 원인은 당시 신문이나 잡지의 편집 양식이나 기술의 미비로 인한 백석 시 원문의 불확정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백석 시 원문의 시행 분절이나 연 구성 등에 대해 판단해 정본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백석 시의 일반적인 시행 구성의 특징 및 시의 의미 단위, 시상의 전개와 흐름, 호흡과 리듬, 문체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연구자가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설득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2012년에 출간된 두 권의 백석 시 전집, 이동순ㆍ김문주ㆍ최동호 편 『백석문학전집 1ㆍ시』와 송준 편 『백석시전집』의 경우에는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의 시는 물론이고 새로 발굴된 작품들도 포함하고 있어서 백석의 창작시 전체를 수록하고자 한 노력이 인정되나, 원문 수록 및 시어 풀이에서 상당한 오류가 발견된다. 면밀한 실증적 검토를 통해 두 시전집의 오류가 보완될 때 백석 시의 전모를 온전히 파악하고 정본을 확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백석 시의 어석 연구에서 쟁점이 되어 온 문제는 다음 네 가지로 유형화된다. 첫째, 근거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시어의 정확한 의미가 밝혀지지 않아 연구자에 따라 의견이 갈리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둘째, 문맥 속에서의 해석이 연구자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셋째, 문맥에 따른 해석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고 사전에 의존해 기계적으로 해석하면서 이견이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넷째, 해석상의 이견이라기보다는 단순한 표기상의 오류로 보이는 불일치가 눈에 띄기도 한다. 이상의 오류들이 적절히 수정되고 보완될 때 백석 시의 전모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백석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아이-시인`의 표상

        이경수 ( Lee Kyung-soo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논문에서는 아이와 시인을 관련짓는 백석의 시 「촌에서 온 아이」에 주목하여 백석이 생각한 아이와 시인의 관계를 살펴보고 시인의 표상이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시를 통해 백석이 생각한 시인관은 어떠한 것이었는지 분석해 보았다. 백석의 시인관(詩人觀)은 아이에 대한 백석의 관점과 분단 이전의 시에서부터 긴밀히 관련되어 있었고, 그러한 백석의 관점이 분단 이후 재북(在北) 시기의 백석에게까지 지속성을 가지고 이어진다고 보았다. 따라서 분단 이후 재북 시기의 백석이 아동문학에서 `시`를 강조하고 동화시를 창작하는 데까지 나아가게 된 원인을 분단이전 시와의 내적 연관성 속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분단 이후 재북 시기의 백석의 변모에 대해서는 북한 사회와 문단의 특수성 속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외적인 영향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판단이 주를 이루었고, 그로 인해 재북 시기에 쓰여진 백석의 동화시와 아동문학 평론에 대해서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촌에서 온 아이」를 실마리로 해서 일제 강점기 말의 백석 시에서부터 아이와 시인을 공동운명체로 보는 백석 특유의 관점이 나타나고 있었고, 몇 편의 시에서 그러한 관점이 지속되었으며, 이후 재북 시기의 아동문학평론과 동화시에서 그러한 관점이 좀 더 강화되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Focusing on A Child from the Country, which connects a child with a grown-up, by Baek Seok,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children and poets based on his ideas. The study also analyzed his views of poet in his poems that presented the representations of poet directly. His views of poet are closely related to his views of children and his poems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His views held their continuity even when he stayed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The investigator thus tried to find the causes behind his emphasis on “poetr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creation of even fairy tale poems during his stay in North Korea in the internal connections to his poems before the division.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understand his aspects during his stay in North Korea based on the uniqueness of North Korean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The mainstream judgment was that he was forced into them by the external influences, and some would not recognize the value of his fairy tale poems and criticisms of children`s literature during his stay in North Korea in often cases. With the leads of A Child from the Country,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his own unique perspective of seeing children and poets as a group of common destiny began to appear in his poems at the end of Japanese rule, continued in some of his later poems, and was further reinforced in his criticism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fairy tale poems during his stay in North Korea.

      • KCI등재

        해방을 전후로 한 백석 시의 이행 양상 연구

        강정화(Kang, Jung-hw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3 No.-

        해금 조치 이후, 한국의 문단은 백석이라는 시인에게 주목했다. 그가 사용 했던 토속적인 어휘와 풍경은 연구자들은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두루 읽히며 193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리 잡아갔다. 하지만 전쟁 후 백석이 북한에서 했던 문학 활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서사가 있는 서정시를 중점적으로 썼던 남한에서와 달리, 북한에서의 백 석은 창작 활동을 일절 멈추고 번역 활동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아동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창작 활동을 재개한다. 백석이 아동문학으로 창작을 재개한 시점은 학자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어 논란이 되고 있지만, 본고에서는 백석이 고리끼의 글을 번역한 1954년을 그 기준으로 잡고 서정시를 쓰던 전쟁 전의 성향과 동화시를 쓰던 전쟁 후의 성향을 비교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른 청자를 대상으로 했던 서정시와 어린이 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화 시는 상반되는 독자를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수반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 차이는 백석 자신이 번역해 소개한 글 ‘아동문학론 초’에서 기인한다. 백석은 서로 다른 곳에서 발표된 고리끼의 글을 모아 번역하는데, 이는 고리끼의 이론에 잠정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고리끼는 아동문학을 창작함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을 ‘교육성’과 ‘우스움’ 그리고 ‘시의 형식’으로 꼽았다. 백석은 고리끼의 이론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1957년 발표한 시집 「집게네 네 형제」에 이 같은 형식을 반영한다. 동심을 지향하고, 서사양식을 시에 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석의 시 세 계는 전반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자세하게 짚고 들어가면 그의 시 세계는 전후를 기점으로 변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백석이라는 시인의 전반적인 시 세계를 알기 위해서는 해방을 기점으로 한 변모 양상을 더욱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번역가이자 아동 문학가 였던 백석의 작품 세계도 풍부하게 연구되길 바란다. After removal of an embargo, the Korean literary circle gave attention to Baeksuk, a poe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 prewar disposition written a lyric poetry with the postwar inclination written the children’s verse to take cardinal point about time of the year 1954. It couldn't help being attended with a fundamental difference in point of forming the readers who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a lyric poetry which aimed at adult readers and a children’s verse which aimed at children readers. And such a difference is caused by the ?Excerpts from the children’s literature theory? which he, himself translated. Maxim Gorki stressed that the writing of literature for children pointed an educational factor, humor and a poetic form as a point to be considered He wholly accepted Gorki's theory and reflected such a form in 「Jipge's four brothers」 of the poetical works which were published in 1957 by him. It could be put that Baeksuk's world of poetry belongs to same form generally in point of introducing an epic poetry form into his poetry, however, if examine them in details, we could find that his world of poetry was changed to take a cardinal point about the time of liberation. Accordingly, we have to clarify some changeable aspects which his world of poetry took a cardinal point about the time of liberation in order to understand his world of poetry called Baeksuk generally.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이상숙(Lee Sa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 KCI등재

        시인 존재론의 탐구에서 동화시에 이르는 길 : 백석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김진희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4

        백석의 후기시는 독자적인 특성을 보유하는 한 시기로 만주시편, 북방시편 등의 명칭으로 불리면서 논의되어왔다. 백석은 이 시기에 내면 성찰을 통해 존재론적 위기를 시적인 성취로 전환하고 있는데,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내면 성찰의 중심에 ‘시인’으로서의 자의식이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일제 말기 모국어를 쓸 수 없고, 제국의 억압이 강화되어 가면서 많은 문인들은 문학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시기 백석은 시인이란 쓸쓸하고 슬픈 천명이라는 생각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폭력적인 현실에 대응하는 고고한 시인의 자의식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시인으로서의 존재론에 대해 고민하고, 이에 대해 탐구하는 백석의 시의식을 낭만주의와 폭넓게 관련시키면서 당대 시론이나 문학사적 상황 속에서 백석의 낭만성을 논의하고 있다. 백석은 후기시의 많은 작품에 ‘시인’의 존재를 등장시켜 시인으로서의 삶에 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한 내면 성찰은 물론 시인 존재에 대한 인정과 확신을 요청한다. 백석이 강조하는 이런 고민은 1930년대 말 정지용이 강조하는 고도의 정신주의와 맞닿아 있다. 정신이란 옳지 않은 현실과 거리를 두는 힘으로 시의 고고성, 자존성, 순수성을 의미하는데, 이는 낭만주의적 시 정신과 근본적으로 상통한다. 백석이 고민했던 시인 존재와 정신에 대한 추구 그리고 예술성의 문제는 해방 이후 북한 문단의 도식주의에 문제를 제기하고 동화시의 창작과 발전에 풍부한 자양분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후기시에 나타난 시와 시인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백석 개인을 넘어 남한과 북한 문학사 모두에서 의미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Baeksok’s poems have been discussed as called with such names of Manchuria Psalm and northern specimens, especially for the ones written in the later period of his career, when uniqueness features in most of his literary works. During this period he had changed ontological crisis into poetical achievement through introspection; what this study focuses on is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poet lying in the core of his introspection.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years when Korean was forbidden to use with more strengthened oppression, many writers could not help but agonize over the literary act itself. In this time, however, consistently retaining his thought that being a poet is to face a lonely and sad fate, he emphasized self-consciousness of a noble spiritual poet corresponding to a brutal reality. This study will examine ontology (substantial existence) in being a poet and understand Baek’s romance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poetics and literary history while closely relating his exploring poetic world to Romanticism. With presenting the existence of "a poet" in many of his later works, he requests from a sense of consciousness of crisis and introspection to recognition and conviction of being a poet. Such his stressing concerns encounter intense spiritualism that Jeong Jiyong highlighted in the late 1930s. This spirit is referred to as a power that puts a distance from unrighteous reality. This power can mean nobleness, self-reliance, and innocence of poets. This can be a core of a poetic spirit in Romanticism and be fundamentally well-aligned with the spirit. The worries about the existence of being a poet and the pursuit of his spirit and artistic matter not only could raise a question on the negligence of the then North Korean literary world after the liberation, but could be also abundant nourishment for creativity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poets. In this sense, studying on the essence of the poet Baeksok and his later poetry can be a significant feat for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of Arts as well as for Baeksok himself.

      • KCI등재

        분단 후 백석시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제언

        이상숙 ( Sang Sook Lee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6

        이 논문은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를 바라보는 학계의 시선과 관점에 문제 제기를 하였다. 서정적인 언어와 쓸쓸한 감성이 백석시의 핵심이고 성취이지만 그것으로 인해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를 부정하는 것은 북한에서 발표한 백석시의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생존을 위해 억지로 쓴 시이기 때문에 백석시의 범주로 넣어 적극적으로 분석하려 하지 않았고, 북한 시의 분석틀 안에서 본격적인 평가를 시도한 연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해방 후 북한에서 수십 편에 이르는 시를 창작하고 수 백 편에 이르는 번역시와 동화시 등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살았던 백석에 대한 정당한 평가라 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를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한 몇 가지 문제를 점검하였다. 백석이 북한에서 발표한 시들에서 분단 전 백석시의 흔적을 찾는 연구 경향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이 백석시 전체를 인정하고 새롭게 보는 시각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분단 후 백석시는 북한시의 변화와 흐름 안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1957년에서 60년대 초반 사이에 있었던 북한시의 급격한 변화는 백석시의 변화와도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백석이 러시아시 200여 편을 번역했다는 사실 또한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스탈린의 죽음 이후 전개된 러시아 문학의 ‘해빙’은 백석이 번역시와 작가를 선정하는 문제와 매우 긴밀하기 때문이다. 또, 백석시에 대한 북한 문단의 변화된 입장에 주목해야 한다. 아동문학논쟁과 30년대 시에 대한 평가가 대부분이지만 백석시를 평가하는 북한문단의 관점은 분명히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이 제안하는 몇 가지 관점이 분단 후 백석 시를 평가하는 유일한 해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시인, 소설가, 아동문학가, 번역가로서 매우 넓고 다양한 면모를 가진 문인으로서 백석을 전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작이라고 믿고 싶다. This study questions the view and perception of South Korea`s literary academia regarding the poems of Baekseok written during his life in North Korea. The South Korean literary academia perceives that the core values of Baekseok`s poems written in North Korea are mainly about its lyrical language and melancholy tones. This view does not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nalysis and assessment of Baekseok`s poems. His body of work during his days in North Korea is considered as pieces forced out of him to secure his survival, hence, his work has not been actively analyzed as the academia does recognize those works as Baekseok poetry. Also, not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conduct a serious assessment of his poems within the analytic framework of North Korean poetry. This is not an adequate assessment of Baekseok who lived as a poet in North Korea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releasing numerous poems, in addition to hundreds of children`s poems as well as translation poems. The study examines a few areas of concern in analyzing and assessing the poems by Baekseok, published in North Korea. It is essential to assess Baekseok`s poems regarding the changes and context of North Korean poetry. The radical transformation in North Korean poetry from 1957 to the early 1960s is intertwined with the changes in Baekseok`s poetry. He translated approximately two hundred Russian poems into Korean and this significant fact requires close examination. The ``thaw`` of Russian literature after Stalin`s death is closely linked to Baekseok`s decision in selecting specific author`s works or poems to translate.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North Korea`s literary world is shifting its position on Baekseok`s poetry. North Korea`s discussion thus far has mainly evolved around the children`s literature debate and Baekseok`s poems from the 1930s; nonetheless, their view is undoubtedly shifting. The view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not the only answers to assessing the poetry of Baekseok in North Korea. However, it can be a starting point for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Baekseok, who was a versatile writer; as a poet, a novelist, an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and a translator.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 북한문학계의 평가와 1960년대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08 No.17

        <P>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P><P>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P>

      • KCI등재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

        임재욱 ( Jae Wook Yim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을 형식, 율격, 소재의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시상의 전개에서 백석의 3연시 가운데 상당수는 제1·2연에서 외면적 세계를 제시하고 제3연에서 감정이나 주제를 표현하는, 시조 3장의 시상 전개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율격의 측면에서는 2·3·4음보격과 같은 전통적 율격을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러한 경향은 해방 이전보다 이후의 작품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백석의 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식은, 단순한 식용이 아니라 어린 시절 고향에서 함께 지낸 그리운 사람들을 떠올리고 서로 다른 시간과 세계를 이어주는 매개물로 활용되거나 영혼과 신성성을 지닌 대상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런 경향은 우리의 고전시가 작품에서도 두루 확인되는 것이다. 특히 사설시조 <즁놈이 졈은 샤당년을>이나 <祭奠> 및 <龜旨歌>에서 백석 시의음식과 유사한 의미를 지니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다만 백석이 음식을 시적소재로 활용하면서 그것에 미각을 포함한 섬세한 감각과 풍부한 감정을 결부시킨 것은 고전시가에서는 쉽게 찾기 어려운 것으로, 그가 근대 시인으로서 이룩한 중요한 성취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시에는 무속 등의 토속적 신앙과 귀신도 자주 나타난다. 그의 작품에 표현된 귀신은 사람과 동등한 입장에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화자는 그것들을 두려워하면서도 그리워하는 이중적인 감정을 지니기도 한다. 귀신에 대한 이러한 태도와 감정은 우리의 고전 시가 가운데 서도잡가 <罷經>과 신라시대의 <處容歌>에도 그대로 담겨 있다. 특히 백석의 <오금덩이라는 곳>·<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와 고전시가 <파경>·<처용가>는 친밀성과 이중성이라는 귀신에 대한 관념에서뿐만 아니라 노랫말의 표현 형식, 관용을 통한 퇴치 등의 측면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와 <처용가>에는 모두 귀신에 대한 이중적 감정이 드러나지만 전자에서 그것이 보다 미묘한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런 것 또한 백석 시의 현대시적 성취에 해당한다. 김소월이 정서와 율격을 중심으로 전통을 비교적 충실하게 계승하는 길을 택했다면, 백석은 거기서 나아가 시상 전개 방식과 소재 등의 차원으로까지 전통 수용의 범위를 넓히면서 동시에 고전의 수준을 넘어서는 창조적 성과를 이룩했다. 아울러 백석의 시와 몇몇 서도잡가 사이에 지역적·시대적 배경, 소재, 언사의 형식, 표현 기법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친연성이 존재한다는 점 또한 고전시가 계승과 관련된 백석 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inherited in Baekseok`s poetry around the unfold of poetic concept, the meter, the materials containing the foods and ghosts. Many of his poetry which consist of three stanzas show the externals in the first and second stanza, and the internals in the third stanza. This way of the unfold of poetic concept is commonly seen in Sijo(時調). His poetry make use of the traditional rhythm made up of 2 or 3 or 4 meters. This metrical tendency is more strongly seen in the works compos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t 1945 than before. Foo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material in his poetry. They are not the edible things but the media by which he recalls longing persons of his home and connects the different time and world. They exist as the subjects which have the soul and the sanctity as well. These characters of foods are widely found in Korean classical poetry. We can find the examples especially in Saseolsijo(辭說時調) <Gyungnomi gjeomeun syadangnyeoneul(즁놈이 졈은 샤당년을)>, Seodojapga(西道雜歌) <Jejeon(祭奠)> and Korean ancient poetry <Gujiga(龜旨歌)>. In his poetry folk religions such as shamanism and the ghosts are main materials also. Men in his poetry make friendly relation with the ghosts and the speaker has the double feelings which are fear and longing for them. These attitudes and emotions are implied in Seodojapga(西道雜歌) <Pagyeong(罷經)> and Shinar<Cheoyongga(處容歌)> among Korean classical poetry. This two pieces are alike with <Ogeumdeongiraneun got(오금덩이라는 곳)>and <Maeuleun mancheon gushini doaeseo(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not only in the idea about the ghost but also in the lyrical forms of expression and the eradication by generosity. Through these discussion we can evaluate Baekseok`s poetry as follows. Unlike Kimsoweol(金素月) who faithfully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emotions and meters, he extended the scope of inheriting traditions to the dimensions of unfolding the poetic concept and the materials, and achieved the creative result beyond the level of classics as well. There exist remarkable affinities between his poetry and some pieces of Seodojapga(西道雜歌) from the various aspects of the areal and temporal background, materials, forms of poetic language and expressive technique. These affinities can bepointed out a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related with inheriting Korean classical poetry too.

      • KCI등재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이상숙(Lee, Sang Sook)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이 논문은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이다. 백석은 1930 년대부터 1950 년대 후반까지 시, 소설, 아동문학, 평론 등의 장르를 망라하여 활발하게 번역을 하였고, 그 양 또한 적지 않았지만 백석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분단 전 백석시가 꾸준히 학계의 관심을 받으며 관련 연구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만큼, 번역을 포함한 분단 후 북한 문단에서의 백석 문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커지리라 기대한다. 이에 이 연구는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논의를 점검하고자 한다. 수백 여 편에 이르는 번역시와 십 수 명의 대상 작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란 논문 한두 편으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그를 위해 방향과 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목표를 한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백석 번역 문학과 번역시의 경계를 조망하고 대상 작품을 정리할 것이다. 요즈음 백석 번역 문학에 대한 발굴이 학계 내외의 노력으로 본격화되고 있어 1차 텍스트의 확보와 텍스트 한정이 매우 유동적이지만 현재 확보된 텍스트에 대한 규정은 필수적인 작업일 것이다. 또, 대상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문학적 배경과 문학 일반의 이해를 시도한다. 이 논의가 백석의 번역시, 번역 문학에 대한 후속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lthough Baek was a prolific translator of literary works ranging from poems, novels, children’s literature and literary reviews from the 1930s until the late 1950s, his work as a translator has received limited academic attention. With an increasing scholarly awareness of Baek Seok’s collection of pre?Korean War poetry, it is expected that greater academic attention will be placed on the translations and other literary works he produced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discourses required to study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 full?scale study of hundreds of poems and more than a dozen authors is a journey that cannot be completed in one or two pape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the direction and boundaries of ongoing efforts.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division between Baek Seok’s literature in translation and the poems he translated, limiting the works to objects of study. Through the efforts of people within and outside of academia, the unearthing of Baek Seok’s translation works has been gaining momentum, thereby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and selection of primary texts. Nevertheless, it is still indispensable to identify the texts currently available. Anothe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e author and his works. Also included in this essay are observations on the preparation required in assessing the translation works of Baek Seok, objectively reviewing his role as a translator of poetry and not as a poet. It is hoped that the dialogue initiated in this paper will be followed by additional debates on the poems and other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Baek Se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