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소창본(小倉本) 『청구영언(靑邱永言)』에 대하여 -육당본(六堂本) 『청구영언(靑丘永言)』과의 차이점 대비를 중심으로-

        임재욱 ( Jae Wook Yim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4 No.-

        이 논문은 『청구영언』 육당본과 소창본을 비교하여 둘 사이의 차이점을 밝히고, 이를 통해 소창본의 필사 경위와 그것이 한국 가집의 역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소창본은 육당본을 전사하여 이루어진 가집이기 때문에 둘은 많은 부분에서 일치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편제, 서문, 수록 작품, 표기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점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소창본에는 육당본에 실린 시조 998수와 가사 16편 외에 이유원의 한역시 10수, <팔정시>, <길군악>과 <매화가> 이본 각 1편, <적벽가>를 추가로 수록하고 있다. 두 가집의 서문은 대략 비슷하지만, 몇몇 글자에서 차이점이 드러나기도 한다. 특히 ‘제청구영언후’에 나오는 세 수의 한시 가운데 제2수는, 네 개의 글자가 두 가집에 다르게 표기되어 있어 소창본의 표기를 참고할 경우 다른 식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창본에 한자로 씌어 있는 노랫말에는 대체로 한글 독음이 달려 있는데, 이는 가창자가 노래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보면 소창본은 실용적 성격의 가집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육당본과 소창본에는 공통 오기가 다수 존재한다. 이는 시기적으로 늦은 소창본이 육당본을 전사했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경위로 이루어진 소창본은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육당본의 원본에 준하는 가집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 소창본에는 육당본의 오기를 수정한 곳도 많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소창본은 육당본의 수정본으로서의 가치 또한 지닌다. 이렇게 소창본은 육당본과 유사하지만 차이점을 통해 보건대 다른 성격도 많이 지닌다. 그것은 육당본의 전사본·증보본·수정본이면서 동시에 갈래 확충이라는 새로운 시도와 가창 편의의 도모라는 실용성을 함께 추구한 가집이기도 하다. 소창본은 육당본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도달하지 못한 새로운 성취를 일정 부분 보여주고 있으므로 ``청구영언’ 계열의 마지막 버전으로 평가되기에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transcriptional details and meaning of Cheongguyoungeon(靑邱永言) possessed by Sochang(小倉) collection in Tokyo University. It is similar to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which had been possessed by Yukdang(六堂) Choinamseon(崔南善), but there are various differences between Sochang`s and Yukdang`s in the organization, preface, contained works and orthography. Sochang`s has more pieces of poetry than Yukdang`s in which there are 998 pieces of Sijo(時調) and 16 pieces of Gasa(歌詞), and the pieces written only at Sochang`s belongs to various genres. The prefaces of the two collections of poems are approximately same except a few differences in some letters. At Sochang`s, there are phonetic signs in korean beside the lyrics written in chinese, and it seems to be a sort of consideration for the singers. The are many common spelling mistakes at Sochang`s and Yukdang`s, and it means that Sochang`s was made by transcription of Yukdang`s. And the transcriber of Sochang`s corrected many spelling mistakes in Yukdang`s also. Sochang`s is the transcribed, enlarged and corrected version of Yukdang`s. And it pursued the expansion of genre and convenience of singing too. It can be evaluated as the final version of the collection of poems which belongs to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series, because it not only succeeded to Yukdang`s fathfully but also achieved some new results which Yukdang`s don`t has.

      • KCI등재

        〈청산별곡〉 제8연의 “매와”에 대하여

        임재욱(Yim, Jae-wook)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5 No.-

        이 논문은 〈청산별곡〉 제8연에 나오는 “매와”를 새롭게 이해할 길을 마련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악장가사』의 표기 “매와”는, 종전의 방식대로 ‘맵다’(辛)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맵다’는 술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고 누룩에 대한 표현으로서는, 그 용도(술을 만드는 재료일 뿐이지 술 자체는 아니라는 점)와 속성(술과 같은 강렬한 향이나 맛을 지니지 못한다는 점)을 통해 보건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그 주체는 누룩이 될 수 없고 술이 되어야만 한다. 실제로 ‘술이 맵다’는 용례는 있지만 ‘누룩이 맵다’는 용례는 찾을 수가 없다. 이런 이유로 인해 선행연구에서도 “누록이 매와”를 누룩으로 빚은 ‘술이 매워’ 정도의 뜻으로 이해했던 것이다. 그러나 누룩은 술을 빚는 재료로 사용될 뿐이지 술과는 엄연히 다른 것이고 먹거나 향을 음미하기에도 적합하지 않은 대상이다. 이에 본고는 ‘누룩’을 술로 대체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로 “매와”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아보고자 했다. 다행스럽게도 『악학편고』에 이 어구가 “믜와”로 기록되어 있어, 그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단서를 마련할 수 있었다. “믜와”는 “ 와”의 오기로 볼 여지도 있지만, 16세기 이후의 문헌에서 ‘ㆍ’와 ‘ㅡ’가 흔히 통용된다는 점, 그 통용은 제2음절 이하에서 주로 일어나지만 제1음절에서도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와”를 “믜와”의 다른 표기 형태로 볼 여지가 있다. 이런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악장가사』의 “매와”를 “믜와”로 보고 그것의 의미를 고찰한 결과, “믜와”는 ‘미워하다’는 뜻의 ‘믜다’의 어간 ‘믜’에 접사 ‘오’를 붙여 만든 말로, 기본형이 ‘믜오다’이며 그 의미는 ‘미워하여’로 파악된다. 〈청산별곡〉 제8연에 표현된 시적 정황과 정서는 동시대의 다른 작품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청산별곡〉 제8연은 〈처용가〉와 제3자에게 임을 빼앗긴 상황과 체념적·달관적 정서를 표현한 구절인 “엇디 하리잇고”를 공유할 뿐 아니라, 제8연에 표현된 “설진 강술”과 “누록”, “잡사와니”와 “믜와” 등의 어구에는 〈정과정〉에 표현된 것과 같은 상대로부터 받은 미음과 참소, 그로 인해 임금에게 버림받게 된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uiwa"(매와) in the 8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aiwa(매와)" in the sense of "spicy" in the conventional way. But it is also possible to understand it as "muiwa(믜와)", because not only there is no case in which the yeast that is set as the subject has taken the "maiwa( 와)" as a predicament, but also the words are written as “muiwa(믜와)" in the book of Akhakpyeongo(樂學便考). The basic form of "muiwa(믜와)" is "muioda(믜오다)", and considering some examples it is understood to mean hate. The poetic context and emotions expressed in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 may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contemporary works. The eigh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and Cheoyongga(處容歌) shares a phrase expressing the emotion of resignation and lamentation,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aker loses his or her lover by others. In addition to that, in terms of "Seoljin gangsul(설진 강술)" and "Nurok(누록)" and "Jobsawani(잡사와니)" and "maiwa(매와)" of the eighth stanza, the hate and accusation received from the opponent and the situation in which someone is abandoned by the wage is implied.

      • KCI등재

        <이화(梨花)에 월백(月白)□고>의 의미 재검토 - “아라마□”을 “알건만”으로 해독한 견해에 의거하여-

        임재욱 ( Yim Jae-wook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이 논문은 <梨花에 月白□고 >의 의미를 “아라마□” 의 정확한 해독에 근거하여 다시 검토한 글이다. 지금까지 이 작품의 중장에 포함된 구절 “아라마□” 은 ‘알랴마는’으로 풀이되어 왔지만, 정확한 어학적 해석에 따르면 ‘알건만’으로 풀이되어야 한다. 이 구절을 그렇게 풀이하면 이 작품의 나머지 구절도 거기에 맞추어 새롭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一枝 春心”의 “春心”은 사전적으로 ① ‘남녀 간의 정욕’(戀情) 또는 ② ‘봄의 정취’(자연친화적 정서)의 뜻을 지니는데, 그 앞의 시어인 “一枝”가 초장에 나오는 “梨花”의 ‘한 나뭇가지’를 뜻하는 것으로 보면, “春心”의 의미는 자연스럽게 ‘봄의 정취’로 귀결된다. 이 작품의 중장을 “一枝春心을 子規야 알건만”으로 풀이하면, ‘알건만’ 뒤에는 ‘나는 모른다네.’가 생략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 중장 전체는 “자규”는 잘 알고 있는 “춘심”을 화자는 모르고 있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그에 따라 종장의 “多情”은 중장의 “일지춘심”과는 다른 정서인 ‘戀情’으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된다. 그렇게 보면,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황조가>나 <동동> 등에 나타나고 있는 “春來不似春”의 심정을 표현한 사랑의 노래로 읽힌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子規”, “多情도”의 “도”, “病인 양”의 “양”과 같은 시어들은 다양한 시적 기능과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子規”는, 작품의 시상이 초장의 경물에서 종장의 순수 정서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하는 과도적 혹은 경과적 연결 장치요, 경물과 시적 자아의 순수 정서가 대비될 때 올 수 있는 정서적 충격을 완화하는 시적 장치, 곧 일종의 완충물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多情도”의 “도”는 “자규”와 자아의 동병상련의 상황 혹은 물아일체의 경지를 말하는 동시에, “자규”와 자아가 함께 걸려 있는 “病”의 원인이 ‘자연 사랑’과 “多情”(‘戀情’)으로 서로 다르다는 뜻을 함축하기도 한다. “病인 양”의 “양” 또한 ‘겸양과 역설’, ‘차별’, ‘정서 조절’과 같은 몇 가지 섬세한 의미나 기능을 내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작품의 정서는, 자연의 아름다움만이 표현된 무정한 상태(초장)에서 봄밤의 흥취에 젖은 자규의 유정한 상태(중장)로 옮아갔다가, 그리움과 애절함에 잠 못 이루는 화자의 다정한 상태(종장)로 흘러가, 점차 심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간다. 이와 같은 이 작품의 시상 전개 방식은 선경후정의 이분법적 구도를 3장 구성의 시조 형식에 맞추어 매우 세련된 양식으로 변화시킨 것이라고 할 만하다. 이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다양한 가집을 두루 검토해 보면, 『병와가곡집』 이후로 1)작자 표지가 없고, 중장 마지막 어구가 “아라마□” 이나 “알건마□” 표기되었으며, 閨情·相思·離恨 등을 표현한 사랑의 노래로 이해되었던 유형과 2) 작자가 이조년으로 표기되고, 중장 마지막 어구가 “알냐마□” 으로 표기되었으며, 자연 친화적 사상(煙霞痼疾, 泉石膏?)이나 ‘忠’과 같은 남성적 정서를 노래한 작품으로 인신되었던 유형의 두 가지 작품군이 공존하다가, 19세기 후반의 『가곡원류』(1876) 이후로는 후자가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이 작품은, 물아일체를 표현하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점, 함축과 생략을 다양하게 구사하여 섬세한 정서를 미묘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 그렇기 때문에 매우 다층적이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 애정의 감정을 매우 절제된 방식으로 우아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점, 선경후정이라는 전통적 시상 전개 방식을 시조 양식에 적합한 3단 전개의 양식으로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점 등에서 매우 수준 높은 형상화 기법을 구사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examination of the correct decoding of “aramanan(아라마□)” in “Ewhae WolBaek Hago.” So far, the word “aramanan(아라마□)” in this work’s second line has been interpreted as “alyaman(알랴만).” This would mean he does not know. However, the correct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is word is “algeonman(알건만),” which means he does know. If we interpret this word this way, the rest of this work needs to be reinterpreted accordingly. The phrase “spring mind(春心)” in “one branch spring mind(一枝春心)” refers to either the lust between men and women or the mood of spring (a friendly, natural feeling). The meaning of “spring mind(春心)” naturally results in the reading “the mood of spring,”while the “one branch(一枝),” which is in front of it, refers to “a branch of” a “pear tree(梨花)”. If the second line of this work is interpreted as “the scops owl knows the mood of spring but,”it is assumed that “I do not know” is omitted after “aramanan(아라마□).” Thus, the whole of the second line expresses that the speaker does not know the “mood of spring” that the scops owl knows well. As a result, it becomes natural to understand the “affection(多情)” of the third line as “the heart of l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od of spring (春心).” As a result, this work is read as a song of love, expressing that “Spring is here, but it is not like spring,” a sentiment that appears in < Hwangjoga(黃鳥歌) > and < Dongdong(動動) > as well. There are many words in this poem that have various poetic functions and implications. These include: “jagyu” (‘子規’, which means ‘scops owl'); the postposition “do”(‘도’, which means ‘as well') in “dajeongdo”(‘多情도’, which means ‘affection as well’); and “yang”(‘양’, which means ‘like’) in “byeogin yang” (‘炳인 양’, which means ‘like sickness’). The emotion of this work becomes more profound as it goes on. First, it moves from a heartless state expressing only the beauty of nature to the emotional experience of a scops owl singing on a spring night, and then flows to the affectionate state of the speaker who cannot sleep because of his sadness and longing for his lover. It is worth saying that the way to spread this work’s ideas is to change the dichotomous composition of the “seongyeonghujeong”(先景後情) into a very sophisticated style, that of the three-line form of the Sijo(時調).

      • KCI등재

        <대한매일신보>에 발표된 ‘개’ 소재 시조 「살구(殺狗)」의 연원

        임재욱(林在旭) ( Yim Jae-wo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본고는 1909년에 <대한매일신보>에 발표된 ‘개’를 소재로한 시조 「殺狗」의 연원과 그 함의에 대해 살펴본 논의이다. 이 작품은 사설시조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를 직접 차용하고 있지만,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원작과 달리 당대 우리 민족이 직면한 국가와 사회의 중요한 문제를 시적 표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또한 좀 더 이른 시기에 향유된 하기야키와 『고금명작가』의 ‘개’ 소재 시조에도 연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기야키와 『고금명작가』의 ‘개’ 시조가 화자와 개 사이의 상호 소통과 공감을 표현하고 있는 것과 달리 <살구>는 개에 대한 적개심만을 표출하고 있어서 양자 사이에는 거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두 작품의 화자는 모두 자신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을 향해 개가 짖지 않게 하려는 의도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살구>는 우리 고전시가가 개화기를 지나 근대라는 격동기를 맞이하여 시대의 고민을 담는 문학으로 발돋움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외세에 대한 저항과 반역자들에 대한 비판 의식을 표현함으로써 민족과 조국에 대한 사랑과 그 독립에 대한 염원을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origin of < Killing the dog(殺狗) > published as a Sijo(時調) works in the Daehanmaeilsinbo at 1909. < Killing the dog(殺狗) >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Saseolsijo < Gaereulyeonameuninagireudoi(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 > and a dog-themed sijo in Hagiyaki. Unlike the original work, however, it sings about criticism of the traitor and love for his country. This work expresses the desire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freedom of the people through the threat to dogs referring to the traitor. The form of wishing for hope through threats also appears in ancient Korean songs, < Gujiga(龜旨歌) >, and < Cheoyongga(處容歌) > of the Goryeo Dynasty. This work also indirectly expresses love for the people and their country by expressing resentment and anger toward dogs. Such an indirect expression of love can also be found in < Seokyeongbyeolgok(西京別曲) >, a Goryeo song that expresses love for lover in a roundabout way in the form of resentment toward Sakong. This work also uses the dog rule, which was announced in 1909 as part of the oppression of Joseon people. The dog rule announced at that time was that the owner's dog without a name tag would be killed, and the author of the work would define the traitor as an unknown dog and express his will to kill them according to the rules. This work is one of the important examples that shows that our classical poetry was growing into literature that contained the concerns of the times in the modern era, ostensibly showing a sense of criticism of foreign powers and the traitorous people, but behind it expresses a love for the people and their country and a desire for its independence.

      • KCI등재

        <청산별곡>의 “에졍지”에 대한 새로운 고찰 : ‘御井址’의 변형일 가능성

        임재욱(Yim, Jae-wook)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4

        본고는 〈청산별곡〉 제7연의 난해구 “에졍지”가 ‘御井址’의 변형일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한 글이다. ‘임금이 마시는 물을 긷는 우물’을 뜻하는 ‘御井’은 오랜 옛날인 삼국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왕도가 있었던 수많은 장소에 존재했고 지금도 전국 각지에 다수의 유적지가 남아있다. 우리의 옛 문헌에는 ‘御井’이라는 말과 함께 ‘御井洞’, ‘御井直’, ‘御井村’과 같은 합성어가 나타나고 있으며, 현실 세계의 언어에서는 ‘御井址’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기 때문에, 〈청산별곡〉이 향유되던 시대에도 ‘御井址’라는 단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御井址’의 조선 초기 한자음은 ‘어졍지’였다. 이 ‘어졍지’가 〈청산별곡〉에 기록된 형태인 “에졍지”로 바뀐 것은 i-모음역행동화(움라우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어졍지”의 “졍”에 포함된 반모음 ‘j’의 영향으로 그 앞의 모음 ‘어’가 ‘에’로 바뀐 것이다. 〈청산별곡〉을 임과 헤어진 여인의 노래로 보는 관점에서 읽을 때, ‘御井址’에 포함된 ‘御’ 자는 왕을 상징하는 제7연의 “사슴”과 관련되어 화자의 애정 상대가 임금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다른 고전 문학 작품에서와 같이 애정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井’은 사랑의 노래로 해석되는 이 작품의 전체적 정서 및 주제와 잘 호응한다. 어떤 것이 있다가 사라지고 흔적만 남은 ‘터’를 의미하는 ‘址’는 ‘흔적만 남은 사랑’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고 이 작품의 제3연에 ‘떠난 임’을 가리키는 “믈아래 가던 새”가 등장하는 것과 조응한다. 이렇게 볼 때 “에졍지”가 포함된 제7연은, 임금에게 버림받은 신하가 ‘御井’ 터를 지나가다가 임과의 옛 사랑 또는 궁중에서 임금과 함께 지낸 지난 시절을 회상하면서 부른 노래로 읽을 수 있다. “에졍지”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청산별곡〉이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어 쓴 남성 작가의 작품으로 남녀 간의 사랑을 통해 戀君之情을 노래한 또 하나의 사례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reviews the new possibility that “eoijeongji(에졍지)” in the seventh stanza of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may be a variation of “eojeongji(御井址).” “Eojeong(御井),” which means “a well that collects the king’s drinking water,” existed in many places where there were royal island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and still remained in many historical sites throughout the country. In our ancient literature, compound words such as “eojeongdong(御井洞),” “eojeongjik(御井直),” and “eojeongchon(御井村)” appear along with the word “eojeong(御井).” The word “eojeongji(御井址)” is also used in real-world languages. Therefore, it is plausible that the word “eojeongji(御井址)” existed even in the era when “Cheongsanbyeolgok” was enjoyed. The pronunciation of “eojeongji(御井址)”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eojyeongji(어졍지).” The change of this “eojyeongji(어졍지)” to “eoijyeongji(에졍지),” which is recorded in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might be due to i-vowel regressive assimilation(Umlau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half vowel ‘j’ included in the “jyeong(졍)” of “eojyeongji(어졍지),” the preceding vowel “eo(어)” was changed to “eoi(에).” When reading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from the perspective of a song about a woman who broke up with her lover, the letter “eo(御)” included in “eojyeongji(御井址)” suggests that the narrator’s lover is the king symbolized by the “deer” in the seventh stanza of this work. As in other classics, the meaning of “jeong(井)” as a space of love is suited to the overall emotion and theme of this work, which is interpreted as a song of love. “Ji(址),” which means “the place” where something disappears and merely traces are left, is interpreted as “love left only traces” and corresponds with the appearance of “a bird that has left downstream(믈 아래 가던 새)” in the third stanza of the work. Hence, the seventh stanza, which includes “eoijyeongji(에졍지)” can be interpreted as a song of a servant abandoned by the king, recalling his past love when he lived in the palace, while passing through the “eojyeong(御井)” site. This interpretation of “eoijyeongji(에졍지)” suggests that “Cheongsanbyeolgok(靑山別曲)” may be another example of a male author’s work written in the voice of a female speaker, singing of longing for a king through the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 KCI등재

        11,12월 노래에 나타난 <동동(動動)> 화자의 정서적 변화

        임재욱 ( Jae Wook Yim ) 韓國古典文學會 2009 古典文學硏究 Vol.36 No.-

        이 논문은 <동동> 11월과 12월 노래에 포함된 구절들을 어학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중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고찰한 것이다. 어학적 분석을 통해 새롭게 해석한 것들은 다음과 같다. 11월 노래의 "슬□□온뎌"에서 `□라`는 `녹이다(銷)` 또는 `사라지게 하다`의 뜻을 지닌 말로 보고 시적 문맥을 고려하여 `삭이다`로 풀이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고, "고우닐스?옴녈셔"의 `녈셔`는 `가게 하노라`의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12월 노래에 나오는 `므□□노이다`는 기본형이 `므□다`이고 `물려받다(承)`의 의미를 지닌 타동사로 볼 수 있는데, 그렇게 이해하면 거기에 포함된 객체존대 선어말어미 `□`과 1인칭 주어와 호응하는 선어말어미 `오`의 쓰임을 모두 적절히 해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본고는 <동동> 화자의 정서가 11월과 12월의 노래에서 임에 대한 집착을 단념하고 새로운 만남을 수긍하게 되는 쪽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화자의 정서적 변화는 9월과 10월의 노래에서도 감지된다. <동동>은 전체적으로 볼 때, 임에 대한 간절한 사랑을 표현한 1월에서 8월까지의 노래와 어느 정도 정서적인 여유를 찾고 임에 대한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게 된 심정을 표현한 9월과 10월의 노래 및 돌아오지 않는 임을 단념하고 새로운 상대를 맞이하게 된 상황을 노래한 11월과 12월의 노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한 정서가 아니라 변화된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 researched in this thesis the change of poetic speaker`s emotions in <Dongdong(動動)> through the linguistic analyses about the phrases contained in the songs of November and December. The new interpretations proposed through the linguistic analyses is as follows. It is proper that we understand `sara(□라)` in the phrase of `슬□□라온뎌` as `sagida(삭이다)` which has the meaning of `to melt` or `to make disappeared`, `nyeolsheo(녈셔)` in the phrase of `gounilsushiomnyeolsheo(고우닐스?옴녈셔)` as the meaning of `to make go` which has the nuance of exclamation. And we can interpret `murasapnoida(므□□노이다)` in the song of December as a transitive verve of which the fundamental form is `murada(므□다)` and the meaning is `to take over`. If we understand `murasapnoida(므□□노이다)` in this way, we can explain the morphemes such as `seop(□)` and `o(오)` that have grammatical functions in that phrase. `Seop(□)` has the meaning of respect to the object and `o(오)` agrees with the first person subject. I understood through these analyses that the poetic speaker`s feeling changed to abandon the deep attachment to her lover and to assent to a new relationship in the songs of November and December. The change of the poetic speaker`s feelings can be perceived in the songs of September and October too. <Dongdong(動動)>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emotive state of poetic speaker. First part lies between January to August, second from September to October and third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the songs which lie between January to August the poetic speaker expresses her earnest love to her lover. In the songs of September and October she represents her heart which was composed more or less and got free from the cling to her lover. And in the songs of November and December she sings her changed emotion with which she abandoned her lover and became to meet a new partne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ongdong(動動)> shows not consistent but changed feelings.

      • KCI등재

        고려가요 〈가시리〉와 『增補古琴譜』 소재 시조 〈가시리〉의 비교

        임재욱(Yim, Jae-wook)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2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oryeogayo (高麗歌謠) Gasiri and Sijo (時調) Gasiri included in jeungbogogeumbo (增補古琴譜) and to find meanings which they have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by comparing the two songs. Goryeogayo Gasiri and Sijo Gasiri are similar in both words and music. This suggests that the author of Sijo Gasiri refered to Goryeogayo Gasiri in not only writing the words but also composing the music. Until now several cases have been presented that support the theory which argues Sijo had been originated from Goryeogayo. But It can be argued that Goryeogayo Gasiri also had a great effect on the words and music of Sijo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this paper I also studied on the adaptation that the author of Sijo Gasiri carried out. He took the tack changing adequately the phrases in Goryeogayo Gasiri, “shyeolon nim (셜온 님)” and “seonhamyeon (선하면)” which seem to have been hard to interpret, while borrowing most part of the words of Goryeogayo Gasiri. The adaptation which was carried out in Sijo Gasiri has a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shows an awareness and action of the people in their time toward the phrases hard to interpret.

      • KCI등재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

        임재욱 ( Jae Wook Yim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39 No.-

        이 논문은 백석 시에 수용된 한국 고전시가의 전통을 형식, 율격, 소재의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시상의 전개에서 백석의 3연시 가운데 상당수는 제1·2연에서 외면적 세계를 제시하고 제3연에서 감정이나 주제를 표현하는, 시조 3장의 시상 전개법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율격의 측면에서는 2·3·4음보격과 같은 전통적 율격을 활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러한 경향은 해방 이전보다 이후의 작품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백석의 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음식은, 단순한 식용이 아니라 어린 시절 고향에서 함께 지낸 그리운 사람들을 떠올리고 서로 다른 시간과 세계를 이어주는 매개물로 활용되거나 영혼과 신성성을 지닌 대상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런 경향은 우리의 고전시가 작품에서도 두루 확인되는 것이다. 특히 사설시조 <즁놈이 졈은 샤당년을>이나 <祭奠> 및 <龜旨歌>에서 백석 시의음식과 유사한 의미를 지니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다만 백석이 음식을 시적소재로 활용하면서 그것에 미각을 포함한 섬세한 감각과 풍부한 감정을 결부시킨 것은 고전시가에서는 쉽게 찾기 어려운 것으로, 그가 근대 시인으로서 이룩한 중요한 성취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의 시에는 무속 등의 토속적 신앙과 귀신도 자주 나타난다. 그의 작품에 표현된 귀신은 사람과 동등한 입장에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화자는 그것들을 두려워하면서도 그리워하는 이중적인 감정을 지니기도 한다. 귀신에 대한 이러한 태도와 감정은 우리의 고전 시가 가운데 서도잡가 <罷經>과 신라시대의 <處容歌>에도 그대로 담겨 있다. 특히 백석의 <오금덩이라는 곳>·<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와 고전시가 <파경>·<처용가>는 친밀성과 이중성이라는 귀신에 대한 관념에서뿐만 아니라 노랫말의 표현 형식, 관용을 통한 퇴치 등의 측면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와 <처용가>에는 모두 귀신에 대한 이중적 감정이 드러나지만 전자에서 그것이 보다 미묘한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런 것 또한 백석 시의 현대시적 성취에 해당한다. 김소월이 정서와 율격을 중심으로 전통을 비교적 충실하게 계승하는 길을 택했다면, 백석은 거기서 나아가 시상 전개 방식과 소재 등의 차원으로까지 전통 수용의 범위를 넓히면서 동시에 고전의 수준을 넘어서는 창조적 성과를 이룩했다. 아울러 백석의 시와 몇몇 서도잡가 사이에 지역적·시대적 배경, 소재, 언사의 형식, 표현 기법 등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친연성이 존재한다는 점 또한 고전시가 계승과 관련된 백석 시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inherited in Baekseok`s poetry around the unfold of poetic concept, the meter, the materials containing the foods and ghosts. Many of his poetry which consist of three stanzas show the externals in the first and second stanza, and the internals in the third stanza. This way of the unfold of poetic concept is commonly seen in Sijo(時調). His poetry make use of the traditional rhythm made up of 2 or 3 or 4 meters. This metrical tendency is more strongly seen in the works compos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t 1945 than before. Foo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requently used material in his poetry. They are not the edible things but the media by which he recalls longing persons of his home and connects the different time and world. They exist as the subjects which have the soul and the sanctity as well. These characters of foods are widely found in Korean classical poetry. We can find the examples especially in Saseolsijo(辭說時調) <Gyungnomi gjeomeun syadangnyeoneul(즁놈이 졈은 샤당년을)>, Seodojapga(西道雜歌) <Jejeon(祭奠)> and Korean ancient poetry <Gujiga(龜旨歌)>. In his poetry folk religions such as shamanism and the ghosts are main materials also. Men in his poetry make friendly relation with the ghosts and the speaker has the double feelings which are fear and longing for them. These attitudes and emotions are implied in Seodojapga(西道雜歌) <Pagyeong(罷經)> and Shinar<Cheoyongga(處容歌)> among Korean classical poetry. This two pieces are alike with <Ogeumdeongiraneun got(오금덩이라는 곳)>and <Maeuleun mancheon gushini doaeseo(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not only in the idea about the ghost but also in the lyrical forms of expression and the eradication by generosity. Through these discussion we can evaluate Baekseok`s poetry as follows. Unlike Kimsoweol(金素月) who faithfully succeeded to the traditional emotions and meters, he extended the scope of inheriting traditions to the dimensions of unfolding the poetic concept and the materials, and achieved the creative result beyond the level of classics as well. There exist remarkable affinities between his poetry and some pieces of Seodojapga(西道雜歌) from the various aspects of the areal and temporal background, materials, forms of poetic language and expressive technique. These affinities can bepointed out a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related with inheriting Korean classical poetry too.

      • KCI등재

        노랫말과 곡조를 통해 본 향악 정재 <舞鼓(무고)>와 <黃鷄詞(황계사)>의 관계

        임재욱 ( Jae Wook Y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무고>의 연행에 사용된 노랫말과 곡조가 <황계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고려 시대부터 전하고 있는 <무고>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연행된 정재 중 하나이다. 조선 시대 정재 연행상황이 기록된 각종 문헌을 조사해보면, 그것의 연행에 다양한 곡과 노랫말이 사용되었고, <무고>와 관련된 곡조와 노랫말이 <동동> 및 <무애>의 연행에 사용된 것들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고>를 연행할 때 부른 노랫말에는 <정읍사>, 승전무의 노랫말인 <지하자~>, <오관산>, <정동방곡>, 한문 가사 등 여러 가지가 존재했다. 그런데 이것들 중에서 <정읍사>, <지하자~>, <오관산>의 세 작품에 보이는 몇몇 구절이 <황계사>로 수용되었다. 그뿐 아니라 <무고>의 반주음악으로 쓰인 <정읍>의 선율 가운데 일부도 <황계사>로 계승되었다. <정읍>과 <황계사> 선율의 유사성에 기대어 판단할 때, <황계사>의 곡조는 <정읍>의 선율을 변주하여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고>의 춤이 통영 지방으로 전해져 <승전무>로 계승되었고 그 노랫말 인 <정읍사>와 <오관산>이 12가사 <황계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선행 연구에서도 이미 언급된 내용이지만, <승전무>의 노랫말과 <무고>의 반주곡 <정읍>이 <황계사>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본고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사실이다. This paper is the records about the results of study on the problem as follows. What kind of relation do the lyrics and melodies used at the performance of Mugo (舞鼓) make with those of Hwanggesa (黃鷄詞)? Mugo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court dance in Joseon dynasty. It can be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ut various books recording the performative circumstance of court dances that many lyrics and musics were used at performing Mugo, and the lyrics and musics related Mugo outnumbered those of Dongdong (動動) and Muai (無애) which are another court dances in Joseon dynasty. There exist various lyrics such as Jeongeupsa (井邑詞), Ogwansan (五冠山), the lyrics of Seunggeonmu (勝戰舞), Jeongdongbanggok (靖東方曲) and so on. Some phrases of Jeongeupsa (井邑詞), Ogwansan (五冠山), the lyrics of Seunggeonmu were continued in Hwanggesa. And Jeongeup (井邑) which is the music of Mugo were inherited to Hwanggesa as well. So it can be said that the music of Hwanggesa were made by variation of the melodies of Jeongeup. It was already revealed that the dance of Seunggeonmu succeeded to that of Mugo and Jeongeupsa and Ogwansan, the lyrics of Mugo were continued in Hwanggesa. But It is first revealed in this paper that the lyrics of Seunggeonmu and Jeongeup, the melodies of Mugo was inherited to Hwangge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