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 FTA가 미디어 시장개방에 미치는 영향

        강태영(Tae Young Kang) 한국정보법학회 2006 정보법학 Vol.10 No.2

        세계화는 글로벌 경제의 미래와 부의 흐름을 규정짓는 개념으로 한 국가의 선택이 아닌 필수적 기반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무수한 관점 가운데 하나만이 옳고 다른 건 그르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세계화에 반대하는 것과 미국의 입장을 비난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며,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이 자국에 유리한 쪽으로 세계화를 이루어 나가려면 세계화를 보는 미국의 시각을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세계화의 정의와 우리에 다가오는 의미, 기술의 발전과 개방화 속에서 급변하는 산업의 구조변화, 아울러 등장하고 있는 국가간의 FTA에 대한 입장과 현재 직면하고 있는 한미 FTA의 진행과정 등은 매우 시의성이 크다. 특히 미디어 융합시대에 방송과 통신을 중심으로 하는 한미간의 FTA는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한미 FTA의 경우 국내 방송시장에 대한 개방은 ① 외국자본의 소유나 투자제한, ② 외국에서 제작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유통과 편성제한, ③ 케이블TV나 위성방송과 같은 다채널 서비스에서 외국방송 재송신 채널 수의 제한을 완화하고, ④ 외국방송재송신 서비스에 대한 현지어 더빙과 광고 허용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통신 분야는 한미 FTA 협상과정에서 ‘기술 선택의 자율성 부여’와 ‘통신사업에 대한 외국인 지분제한의 추가 확대’가 주요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한미 FTA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어떤 형태로든 타결이 될 경우 우리나라의 미디어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적지 않다. 미디어 소유의 집중화와 다각화가 이루어지면서 나타나는 미디어 시장구조의 변화와 규모, 미디어 콘텐츠의 세계적 배급과 유통을 통해 제작과 재원조달의 국제화가 가속화되면서 나타나는 국가간 교류의 기본구조, 미디어에 대한 산업적 접근을 바탕으로 나타나는 세계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대안,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매체간의 상호관계, 소프트웨어의 수급, 매체 간에 유통되는 소프트웨어의 지적소유권 보호와 유통질서, 미디어 소프트웨어시장의 개방에 따른 다국적 미디어 기업의 영향력 증대와 자국문화의 보호에 관한 사항 등이 이에 해당된다. 통신과 방송의 융합추세 속에서 소비자가 접하게 될 미디어의 진화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맥락에서 한미 FTA의 추진과 함께 고려해야 할 사항은 우리나라 미디어 시장의 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다. Globalization is defined as the critical concept for the future of global economy and revolutionary wealth and thus has been the necessary condition for a nation-state to survive in the world system. It nevertheless is hard to say right or wrong to many different viewpoints on the globalization. It is also evident that the protest against globalization and the criticism against the American way are totally different issues in this case. Instead It is reasonable thinking for many countries to try to understand the American approaches to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individual nation-state s goals and aims toward globalization in its own ways. It is greatly important and timely for us to deliberate the definition and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rapidly transforming industri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global economic system, emerging FTAs among nationstates, and the current Korea-US FTA under processing. The Korea-US FTA issues on the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are as follows; ① no limitations on foreign capital investment/ownership, ② free flow of foreign programs, ③ no limitations of foreign re-transmission channels in domestic cable and DBS, ④ local language dubbing and advertisement in foreign re-transmission services. The issues in telecommunications are concerning about the autonomy of technical choices in new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nd the allowances of additional foreign capital investment to major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s. The impact of Korea-US FTA to our domestic media industry, if it reaches an agreement, will not be ignored and it will be present in many ways; they are media concentrations and diversifications, changes in size and structure of media industry, global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s, international productions and finances, global media strategies and policy options, intermedia relationsh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business practice, MNCs influences, protection of local culture, and so on. Within this context of media evolution and Korea-US FTA, we need to prepare for the competitve edges in our media industry.

      • KCI등재

        아리랑국제방송의 발전 방안에 관한 근무자의 인식과 태도 연구

        이진로,김현주 한국소통학회 2013 한국소통학보 Vol.22 No.-

        정치, 외교, 경제, 무역 분야의 세계화와 함께 우리나라는 문화 분야에서도 2000년도를 전후해 시작된 한류 현상에 힘입어 빠르게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문화의 세계화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디어의 하나로 국제방송을 들 수 있다. 국제방송은 우리나라의 국제적 이미지 제고를 비롯해 상품, 인력의 국제화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국가 이익의 추구에 직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국제방송 아리랑TV는 1997년 개국 이후 16년간 한국의 문화와 정보, 그리고 오락 프로그램을 국내는 물론 전 세계를 대상으로 방송해 오면서 한류의 확산과 한국의 문화적 이해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 이 연구는 국제화 시대에 중요성이 커지는 국제방송의 역할과 현황, 문제점을 아리랑국제방송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국제방송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했다. 국제방송에 대한 근무자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아리랑국제방송의 운영 활성화와 영향력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법적 근거의 확립을 비롯해 예산의 안정성 제고와 적정 규모 확보, 프로그램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인력 강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The globalization is rapidly under progress not only in the areas ofpolitics, diplomacy, economics and international trade. The same is asmuch true in the area of culture, thanks to the ‘Hallyu(Korean wave)’ that began blossoming in the early 2000’s. International broadcasting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gents in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International broadcasting promotes national image in the global arena, enhances the reputation of domestic products and human resources, and in the end benefits national interests. Arirang TV, a Korean international broadcasting channel, since its inauguration in 1997, has tremendously contributed to the proliferation of Hallyu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the global scale. The current study purports to delineate the development plans for international broadcastingin Korea, by interviewing in-depth Arirang TV’s employees, in particular. The major foci of the interview were on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of the roles, practices, and the weaknesses of Arirang TV. To guarante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nts, this study proposed suggestions for Arirang TV in terms of bolstering legal foundation, securing the stability of budget supply, and upgrading the quality of human power.

      • KCI등재

        방송콘텐츠 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

        설진아(Jinah Seol) 한국언론법학회 2011 언론과 법 Vol.10 No.1

        이 논문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라 세계 방송시장의 주요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방송콘텐츠 산업의 현황분석을 통해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상파 방송사들의 대응 방안을 탐색하였다.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세계 방송 콘텐츠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해외 방송사들은 매체이용자의 분화현상을 신속하게 멀티 크로스플랫폼 비즈니스 모델로 수렴하면서 이제까지 보유한 다량의 우수콘텐츠들을 광범위하게 유통시킴으로써 비즈니스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있었다. 국내 지상파방송사들도 멀티 플랫폼을 이용한 사업다각화 전략을 펼치고 있으나 수용자 분화현상에 따른 니치콘텐츠 전략이 부족하고, 다량의 고품격 HD급의 드라마 및 프리미엄 콘텐츠를 주도적으로 제작해 국제 경쟁력을 키워가거나 자사의 콘텐츠들을 온라인상에서 적극 유통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콘텐츠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방송 제작시장의 규모 확대를 통한 선순환구조를 마련하고, 방송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위한 단계별 전략을 세우며, 공동대응전략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지상파 방송사들의 대응전략으로는 HD급의 방송콘텐츠 제작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비롯해 콘텐츠 산업의 제작관행을 개선하고 보다 선진적인 제작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아울러 유, 무료 방송시장과 방송통신 융합 매체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이 이뤄지고 경쟁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가 성공할 수 있도록 시장여건을 조성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요망된다. In the age of ever-changing mediascap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broadcasting content market and reviewed in-depth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overall strategies with aim towards increas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overseas broadcasters are quickly adapting to the fragmentation of their audience base by multi-cross-platform strategy, distributing the contents of their huge media resources over the extended channels and thereby ensuring a higher efficiency. Domestically, however, market itself is very small and at a point of near-saturation. Its production development area is also very weak. Because TV-Internet-Mobile linked models are weak, distribution method, OSMU (One Source Multi Use), has not been fully utilized. Especially with development costs, including those for dramas, being valued so low compared vis-a-vis actual market size, a robust growth domestically in the content development side is unlikely without a serious effort. Thus, in order to achie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paramount that local content development base be enlarged. Then, after establishing a stage-by-stage strategy, content market liberalization and cooperative arrangements among the broadcasters should be weighed for their merits. A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merge, content development will become ever more important to the success of the industry, and that aggressive investment in HD infrastructure be made. Also, terrestrial broadcasters need to take the central role of improving and reforming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to overhaul the production system at its core. Publicly, the government needs to ensure that free and pay-for media market and converging media industry can operate in a fair environment so that the content development can truly flourish.

      • KCI등재
      • KCI등재

        라디오가 들려주는 소리 정치성-영어 교통방송을 통해 본 우리 사회의 세계화와 다문화 개념

        김수진 대중서사학회 2015 대중서사연구 Vol.21 No.2

        ‘다문화’, ‘세계화’라는 개념이 다양한 학문 분야와 우리의 삶 속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 글은 영어 교통방송(TBS eFM)을 통해 우리 사회가 재구축하고 있는 다문화, 세계화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 교통방송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방송되는 것을 시작으로 해 광주, 대구, 부산 등의 지역 라디오 채널로도 만날 수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의 실생활 편의 도모와 국제 사회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마련된 이 라디오 프로그램은 라디오 채널 이름이 보여주듯이 한 개의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영어로만 방송 되고 있으며 방송에서 다루는 음악은 영국과 미국, 그리고 한국의 대중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음악 연구에서의 다문화 관련 논의를 살펴본다. 그리고 머레이 쉐퍼(Murray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을 살펴본다. 소리가 사회 구조의 변화를 반영한다고 하는 그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은 소리를 통해 다변화 되고 있는 우리 사회를 보는 통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 다음 부분에서는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의 노이즈 개념을 살펴보면서 다문화의 다양한 소리들을 사실상 주변의 소음으로 간주하고 통제해온 소리의 정치성을 논의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래 아리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김영운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6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past and present of Arirang in celeb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Arirang's registration in UNESCO,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templation for the desirable transmission of Arirang in the future. First, in the discussion of Arirang's past,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horuses of Goryeo Song < Cheongsanbyeolgog; 靑山別曲> and <Daeguk(大國) 1>, < Daeguk 2>, and < Daeguk 3> that were singing yali yali yala yalasheong yala' in similar melodies were changed into the choruses of Arirang-based music such as 'Arirang, Ari Ari, Arari' of today was examined. Thereafter, the fact that citing my previous study, <Jeongseon Arari>, a folk song of Gangwon-do, was transmit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became <Gujo Arirang>, and <Bonjo Arirang>, the theme song of the movie <Arirang>, was made based on <Jajin Arari>.was presente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after, various Arirang-based songs were created and sung nationwide, and that various Arirang songs were sung in the communities of Koreans who migrated to China and Russia in the 1930s. It was found out that although various Arirang-based songs are sung in North Korea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today, important songs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existence aspects of Arirang in Korean society of today, all the songs broadcasted for one year of 2021 by the Gugak Broadcasting Foundation (GBF-FM), which broadcasts Korean traditional music 24 hours a da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ut of all Korean traditional musical pieces broadcasted in 2021, 2,468 pieces (including duplicate songs), which were 4%, were various Arirang-based songs. Of them, about one-fourth were close to the original, and the rest were mostly popular fusion musical pieces made by diversely arranging existing songs. By musical piece, in addition to <Bonjo Arirang>, <Jeongseon Arirang>, <Miryang Arirang>, and <Jindo Arirang>, which ar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three major Arirangs', occupy a large portion, suggesting the public's preference for Arirang today. Finally, with regard to the localization/domesticization/globalization of Arirang, the efforts made thus far, which were somewhat declarative but lacking in concreteness, were looked back and the necessity of discussion about concrete plans for the activation/diffusion/ habituation/popularization/modernization/ globalization of Arirang in new performance environments was argued. 이 글은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10주년을 맞아 아리랑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고, 미래 아리랑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한 고민의 필요성을 제안한 글이다. 먼저 아리랑의 과거에 대한 논의는 ‘얄리 얄리 얄라 얄라셩 얄라’를 유사한 선율로 노래하던 고려가요 <청산별곡(靑山別曲)>과 <대국(大國)1>ㆍ<대국2>ㆍ<대국3>의 후렴이 오늘날 ‘아리랑ㆍ아리 아리ㆍ아라리’ 등 아리랑계 악곡의 후렴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자의 선행 연구를 인용하여 강원도의 토속민요였던 <정선아라리>가 서울ㆍ경기지방에 전해져 <구조아리랑>이 되고, <자진아라리>를 바탕으로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인 <본조아리랑>이 만들어졌음을 제시하였다. 이후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들이 만들어져 전국적으로 불려졌고, 1930년대 중국ㆍ러시아 등으로 이주한 동포사회에서도 다양한 아리랑이 불려졌음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분단된 한반도의 북녘땅에서도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이 불려지지만, 중요한 악곡들은 남한과 다르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아리랑의 존재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하루 24시간 국악을 방송하는 국악방송(GBF-FM)에서 2021년 1년간 방송된 악곡을 모두 분석하여 다양한 아리랑계 악곡들이 방송된 전체 국악곡의 4%인 2,486곡(중복 악곡 포함)이 방송되었으며, 이 중 원형에 가까운 곡은 1/4 정도이고, 나머지는 기존의 곡을 다양하게 편곡한 대중성이 강한 퓨전음악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악곡별로는 <본조아리랑> 이외에 속칭 ‘3대 아리랑’으로 꼽히는 <정선아리랑>ㆍ<밀양아리랑>ㆍ<진도아리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오늘날 대중들의 아리랑에 대한 선호도를 짐작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아리랑의 지역화/국내화/세계화와 관련하여 다소 선언적이지만 구체성이 부족했던 그동안의 노력을 되짚어 보고, 새로운 공연환경 속에서 아리랑의 활성ㆍ확산ㆍ생활화ㆍ대중화ㆍ현대화ㆍ세계화 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TV 국제방송 'KBS World'의 채널운용과 편성전략에 관한 연구

        황우섭 한국방송공사 2003 방송 문화 연구 Vol.15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 why Korean broadcaster makes inroads into global market and what are the strategic management and programming for international TV broadcasting channel.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how has been transforming the mission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since media environments have changed? Second, how have managed the international broadcasting and what strategies have made use the foreign broadcasters like BBC and NHK? Third, what should be the strategies of the channel management and programming for Korean international TV Broadcasting ‘KBS World’? In progressing media environments and digital technology, the mission of international TV broadcasting has changed. Currently, the main goal of international broadcasting is to enhance the power of national brand for global marketing and making profits with it rather than publicity activities for country. Many foreign broadcaster, especially BBC and NHK have successfully made use of a global network system for globalization of broadcasting. In South Korea, KBS has been working for this by building an international TV broadcasting, KBS World. This is very useful wa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roadcasting. KBS World will be contributed to the globalization of broadcasting and development of broadcasting industry.

      • KCI등재후보

        KBS의 국제적 위상 강화 전략

        탁재택 한국방송공사 2004 방송 문화 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international positioning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For the approach of this theme, globalization theory and information society theory were examined. Then, the buildup necessity of international positioning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was discussed. As case studies, the activities of German ARD and Japanese NHK were examined. In a global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many condition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positioning of the Korean Broadcasting System. First of all, high quality programming and marketing ability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 most impressive and powerful brand of broadcasting is programming. Additionally, these factors are important: program co-production with foreign broadcasting, global homepage, international award, communication with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leaders, broadcasting support to the developing countries etc. For successful practice of buildup of international positioning, there should be active internal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corporation and adequat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