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드라마에 나타난 역사이미지의 구성 - 『헤르만전투』를 중심으로 -

        김영목 ( Kim¸ Young-mok ) 한국헤세학회 2020 헤세연구 Vol.44 No.-

        본고는 클라이스트와 그라베가 쓴 역사에 ‘관한’ 드라마 『헤르만전투』에서 역사이미지의 구성작업을 다룬다. 클라이스트의 텍스트는 ‘역사적’ 지식과 ‘민족적’ 지식의 대립에서 개인의 영웅성으로 고정된 기존 역사이미지에서 벗어난 하나의 역사탐색이다. 여기서 전통수립의 행위들은 헤르만 개인이 아니라 민족성에서 보존된다. 이점에서 헤르만은 자신의 역사이미지를 역사책이 아니라 독일인들의 신체에 ‘쓰고’ 있다. 그라베의 극에선 사건변두리의 에피소드들에서 문자로 전승된 공식적 역사이미지의 저편에서 짧은 순간 역사의 흔적들이 나타난다. 에피소드들은 종래 역사이미지로 저장된 집단적 지식과 개인적 경험의 틈새를 드러낸다. 이 틈새를 통해 탐색될 수 있는 것은 ‘역사’에 새겨졌던 목소리와 역사이미지 이면에 있는 신체들이며 이것들의 고유성을 통해 이미지나 목소리로는 전해질 수 없는 경험이 얻어진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상 속에 일어나는 역사탐색, 문자 이면에 일어났던 것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미지의 역사탐색이다. 이를 가능케 하는 심미적 드라마텍스트의 구조를 통해 역사이미지에서 ‘구멍’이 다시 채워질 수 있다. Diese Arbeit beschäfitigt sich mit der dramatischen Konstruktionsarbeit von Geschichtsbildern in Kleists und Grabbes Die Hermannsschlacht. Im Gegensatz zu historischem Wissen ist Kleists Text ein Drama über Geschichte selbst - als Suche nach einer Geschichte, die nicht zum Spielball des überlieferten, offiziellen Geschichtsbildes wird, das auf das Heldentum des Individuums fixiert ist. Seine Akte der Traditionsstiftung knüpfen nie an Hermann an, sondern werden im Charakter des Volkes tradiert. So schreibt Hermann sein Geschichtsbild nicht in Geschichtsbücher, sondern in die Körper der Deutschen. In Grabbes Text sind es hingegen die Episoden am Rande des Geschehens, in denen in kurzen Momenten Spuren einer Geschichte auftauchen, die jenseits des offiziellen Geschichtsbildes der schriftlichen Überlieferung liegt. In diesen Episoden zeigt sich der Riss zwischen gespeichertem kollektivem Wissen und individuellen Erfahrungen. Hinter den Stimmen, die sich der Geschichte eingeprägt haben, auch hinter ihren Bildern, sucht dieser Riss die Körper, denen eine Erfahrung eigen ist, die weder Stimme noch Bild zu vermitteln vermag. Hier geht es um die Suche nach einer unbekannten Geschichte, die in der lebendigen Imagination möglich ist. So kann die Lücke im Bild der Geschichte durch die Konstruktion des ästhetischen Dramentextes wieder gefüllt werden.

      • KCI등재

        GNSS 반송파 위상을 이용한 정밀 측위에서 미지정수 전파기법

        한덕희(Deokhee Han),윤희학(Heehak Yun),박찬식(Chansik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7

        GNSS 반송파 위상 측정치를 사용하는 정밀 측위 혹은 자세결정에서 미지정수의 결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한번 구해진 미지정수는 위성 추적상태가 변화하지 않으면 상수로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미지정수 검색과정을 통하지 않고 이미 구해진 미지정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RCE를 변형하여 한번 구해진 미지정수와 새로운 측정치를 이용하여 환경 변화에서도 미지정수를 재구성할 수 있는 미지정수 전파기법을 제안하였다. 초기 미지정수는 LAMBDA로 구하며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여러 epoch 동안 연속해서 비율검사를 통과한 미지정수를 사용한다. 한번 구해진 미지정수는 위성의 배치, 위성 신호의 단락 등의 변화에도 미지정수 검색기법을 통하지 않고 제안한 기법을 사용하여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미지정수 결정의 성공률이 향상되며 계산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 측정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제안한 방법은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Many researches on the GNSS integer ambiguity resolution methods for precise positioning and attitude determination applications have been done. However, by the time invariant property of the integer ambiguity, the reuse of integer ambiguity without performing time consuming integer search procedure is possible. In this paper, a new efficient integer ambiguity propagation method is proposed. The initial integer ambiguity can be determined using the famous LAMBDA method and it is propagated with the propag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n reconfigure the integer ambiguity using the previous epoch’s integer ambiguity and new carrier phase measurements under environmental variations such as geometry changes, signal blockage and reacquisition. Experiments with real measurements show the proposed method can determine an integer ambiguity effectively.

      • 이중 주파수 측정치를 이용한 실시간 정밀측위 기법 성능 비교

        이대규,성태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5 論文集 Vol.23 No.-

        실시간 정밀측위를 하기 위해서는 GPS 반송파와 코드 측정치를 이용하여 미지정수를 빠르고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미지정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미지정수 공분산에 의하여 정의되는 검색 범위 내의 미지정수 후보들에 대하여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실시간 미지정수 결정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지정수 검색 범위를 줄이고 미지정수 결정 확률을 높이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LSAST와 ARCE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한편 한 에폭 내에서 여러 가지 조합의 독립미지정수를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미지정수후보를 평가하는 FRAVO 방법을 이용하면 ARCE나 LSAST 방법에서 미지정수 결정 속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RCE와 LSAST가 동일한 방법임을 증명하고 이들 중에서 계산량이 적은 ARCE에 FRAVO를 적용한 기법을 제안한다. 높은 신뢰성과 신속한 미지정수 결정을 위하여 L1, L2 주파수를 이용하여 얻은 이중 주파수 측정치와 확장파장기법을 사용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LAMBDA 기법과 성능을 비교한다.

      • KCI등재

        청년 여성 프레카리아트의 얼굴 : 웹툰 『미지의 세계』를 중심으로

        김홍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0 No.-

        이 연구는 웹툰 『미지의 세계』의 주인공 조미지의 얼굴 표상을 사회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미지의 사회적 위치와 그 위치에 부합하는 심리적 성향을 분석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지의 얼굴 표상의 두 계열을 각각 ‘괴물적 안면’과 ‘사회적 안면’으로 구분하고, 그 상이한 스타일을 분석한다. 강한 정서적 충동의 발현과 동시적으로 등장하는 괴물적 안면은 미지가 살아가는 세계에서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회적인 것의 약화를 보여주는 징후이며, 사회관계가 공포, 적대, 적의, 혐오의 정서에 압도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미지의 사회적 안면은 프리케리어스한 존재를 상징하는데, 이때 미지가 체화하는 취약성은 계급, 젠더, 세대의 세 가지 사회학적 차원들의 중첩을 보여준다. 계급적으로 프레카리아트에 속하며, 젠더적 취약성에 노출되어 있고, 소위 n포 세대의 일원인 미지에게는 이 여러 차원들의 모순이 집약되어 있다. 이 모순을 제기하는 세계가 ‘헬조선’이며, 그 핵심에는 꿈-자본이라는 공적 자원의 고갈이 자리 잡고 있음을 보였다. This article attempts at interpreting sociologically the representation of Jo Mi-ji’s face appearing in the Webtoon entitled The World of Mi-ji, and also at analysing the social position and psychological disposition of the heroine. I distinguish two different types of face represented in the work, that is the monstrous face and the social face of Mi-ji. The monstrous face which appears at the moments of emotional eruption of the heroine shows the shrinking of the social in that the social relations between persons are overwhelmed by fear, hatred, animosity. The social face of Mi-ji symbolizes the precarious being. And the precarity embodied in Mi-ji’s face is the superposition of that of class, gender, and generation. Those three contradictions merge into the character of Mi-ji, and her world is none other than what is called nowadays in Korean society the ‘Hell-Choson’, at the center of which is situated the phenomenon of the weakening of the dream-capital.

      • KCI등재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박지훈 ( Ji Hoon Park ),오규진 ( Kuy Jin Oh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0 No.4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일대에 거주했던 고대인들이 어떤 지형인식을 갖고 그들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이하 주거지) 입지를 선택했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적이 입지하고 있는 구릉사면을 미지형 규모(scale)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미지형 단위와 본 유적에서 확인된 주거지와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안천의 지류인 장재천 최상류부에 위치한 백석동유적그룹은 4개의 유적(10개 구역 포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206기의 주거지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적이 입지하고 있는 구릉사면은 크게 8개의 미지형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미지형 단위들 중에서 주거지는 정부사면(103기), 정부평탄면(83기), 상부곡벽사면(15기), 곡두사면(4기), 상부곡벽요사면(1기)의 순으로 많이 분포하고, 주거밀도(단위: 주거지수/1000m2)는 정부평탄면(2.6), 상부곡벽요사면(2), 정부사면(1.2), 상부곡벽사면(0.3), 곡두사면(0.3)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곡두와지, 하부곡벽요사면, 록부사면에서는 주거지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조사지역에 거주했던 청동기인들은 주거지의 입지를 선택할 때, 정부평탄면과 정부사면을 가장 선호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장재천 최상류부에 거주했던 청동기인들은 그들의 주거지 입지 선택에 있어서 ①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작은 미지형, ② 퇴적 보다는 침식기원의 미지형 - 특히 침식 진행 속도가 늦어 상대적으로 지형변화가 안정된 미지형-, ③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비고가 높은 미지형, ④ 인접한 다른 미지형과의 상호관계를 매우 중요시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kind of geomorphological awareness of the people of the Bronze Age, who lived in the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hereinafter CBR-group)``, on which they selected for their dwelling site. For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landform units and the dwelling site were analyzed for dwelling sites among relics discovered in the CBR-group. The CBR-group is located in the uppermost part of Jangjaecheon stream. The analysis results are followed. A total of 206 settlements were validated in 8 relics (including 4 districts) distributed in the investigated relic group. In addition, the relic was composed of eight micro-landform units. For the major micro-landform where the dwelling site is distributed, they are in the order of the Crest slope (103 settlements), the Crest flat (83 settlements), the Upper side slope (15 settlements), the Head slope (4 settlements), and the Upper side-hollow (1 settlements). Furthermore, as the major microform of high residential density (unit: No. of residences/1000m2), they are in the order of the Crest flat (2.6), the Upper side-hollow (2), the Crest slope (1.2), the Upper side slope (0.3), and the Head slope (0.3). Accordingly, it can be known that when people of the Bronze Age selected their dwelling location, the Crest flat and Crest slope was the most preferred. And they also preferred ① the micro-landform with small gradient, ② the micro-landform whose morphological change was relatively stable because of slow erosion speed, and ③ the micro-landform whose relative height was high in the watershed. Finally, the correlation of adjacent micro-landform was revealed to be of very high importance.

      • KCI등재후보

        百濟 遷都 地名 ‘枳慕蜜地’와 俗地名 ‘모질매’

        박종희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8 馬韓, 百濟文化 Vol.32 No.-

        ‘枳慕蜜地’에서의 ‘枳(~支~只)’는 [*ki]~[*kʌ]~[*ko]의 변이 관계를 나타내고, ‘慕(~牟~馬)’는 [*mo]~[*ma]~[*mʌ]의 변이 관계를 나타내므로 ‘枳慕~支牟~只馬~古馬’ 등은 이표기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다음 기록은 ‘馬’를 ‘古馬’와 대응시키고 있다. 馬邑縣 本百濟古馬彌知縣 景德王改名 今遂寧縣(삼국사기 권36 잡지5 지리3). 위의 ‘馬’는 訓을 차용한 것이고, ‘古馬’는 音을 차용한 것이다. ‘馬邑’은 ‘大邑, 雄邑’을 의미하므로 ‘古馬’의 의미는 ‘大, 雄’과 같게 된다. 이로 미루어 ‘古馬~只馬~枳慕~支牟’ 등의 의미도 ‘大, 雄’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중국측 사서에는 ‘固麻’를 ‘格們’의 전음으로 본다. ‘격문(格們)’이란 ‘도회지(대도시, 대처)’ 또는 ‘서울’ 즉 수도(首都)를 가리키는 것으로 ‘固麻’를 비롯해서 ‘枳慕~支牟~只馬~古馬’ 등은 ‘大’의 의미를 갖는다. ‘枳慕蜜地’의 후행 요소 ‘蜜(密)地’는 [*mʌlj-ti]로 재구할 수 있다. 이때 [lj]가 모음화하면 [*mʌj-ti]가 되므로 ‘蜜地’는 ‘彌知[*mʌj-ti]’와 동음성을 보인다. 이것은 고대국어 한자음에서 ‘未, 米, 彌’ 등의 한자음이 중세국어와 같은 [mi/미]가 아니라 [mʌj/ᄆᆡ], [mɨj/믜], [məj/메], [maj/매] 등에 가까운 音(김무림 2015: 116-8)이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知, 地, 遲, 至’의 고대국어 한자음은 모두 [ti/디]로 재구할 수 있다. [l/ㄹ]이 지닌 [+continuantclassic] 자질이 후행 모음의 자질과 이화를 일으키면 [t/ㄷ]으로 변해 ‘彌里[*mʌj-li/ᄆᆡ리]’는 ‘彌知[*mʌj-ti/ᄆᆡ디]’로 변하게 된다. 그리하여 ‘蜜(密)地~彌知~彌里~彌離’ 등은 이음동의어 관계를 이룬다. 아울러 현대국어의 潮水名에서 ‘한매-한물, 두매-두물, 세매-세물’(도수희 2005: 176) 등과 같이 북방인 어청도에서는 ‘-매’이고, 남방인 흑산도에서는 ‘-물’인 점도 ‘買, 未, 米, 彌’와 ‘勿, 蜜(密)’의 고대 음가 및 관련성을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馬邑縣 本百濟古馬彌知縣에서 ‘彌知’가 ‘邑’으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邑 = 彌知~蜜(密)地~彌里~彌離~密’이 된다. ‘彌里 鄕之小者’(遼史 卷116)라 한 것을 보면, ‘枳慕蜜地’의 일반적인 의미는 ‘大邑, 雄邑’이 된다. 시대에 따라 聚落의 규모가 커지거나 작아져 의미가 확장되면 首都, 城, 村(일어 mura), 要塞 등의 의미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枳慕蜜’과 속지명 ‘모질매’의 음운론적 관련성은 첫째, 어두 음절에서의 도치 현상을 들 수 있다. 왜냐하면 고지명 표기에서의 도치(臨津縣 本高句麗津臨城 景德王改名 今因之(三國史記 地理 二) 현상은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이다(도수희 1975: 61). 두 번째는 ‘-蜜(密)’과 ‘-매’의 음운론적 관련성이다. ‘-蜜(密)’의 고대 한자음은 [*mʌlj]([*ᄆᆞᆯ])~[*mʌj]([*ᄆᆡ])로 재구되며, 그 의미는 ‘邑’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枳慕+蜜/慕枳+蜜’의 구성을 이루어 ‘大+邑’의 의미를 갖는다. 세 번째는 k-구개음화와 관련된 것이다. 전설 고모음 앞의 연구개 파열음이 동일 환경의 경구개-치경 파찰음과 음향적으로 유사해서 청자들이 쉽게 혼동한다는 사실(Guion 1998)은 밝혀진 바 있다. 연구개음의 구개음화는 단일한 음 변화에 있어서 조음적 요인 및 음향적·인지적 요인이 모두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박종희‧권병로 2011). [ʧ]와 비슷한 스펙트럼 정점의 진동수를 가지는 전설 고모음 앞의 [k]는 인지적으로 [ʧ]와 ... ‘枳慕密地’ was the well known place name where the King Mu of Paek Je Dynasty had trnsferred the Capital from PuYeo.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honetic value of the several Chinese characters in the Old Korean relating with this place name. In general ‘枳(~只~支)’ represented the variants which had the phonetic value of [*ki~*kʌ~*ko] and 慕(~牟~馬) represented the variants which had the phonetic value of [*mo~*ma~*mʌ]. Therefore I would presume that ‘枳慕~支牟~只馬~古馬’ etc. had been used as a different transcriptions at the old times. Among these, ‘古馬彌知’ was correspondent with ‘馬邑’ in the place name reformed by the King Kyung Deok at the time of Unified Sylla Dynasty. In this case ‘馬’ represented the meaning of ‘big’ or ‘large’ which modified the following noun ‘邑’(town, city) and so ‘馬邑’ was intended to record for the meaning of a ‘big town’. According to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interprete that ‘古馬彌知’ was used to represent ‘a big town/city’ or ‘a large community’. In the Chinese records ‘固麻’ was correspondent with Old Korean ‘古馬’ and then it referred to ‘格們’ in the Manchuria historical records. At the Keum Dynasty, ‘格們’ meaned to ‘a big town’. So I should ascertain that they all had the same meaning of ‘big’ or ‘large’. ‘密’ could be reconstructured as the [*mʌlj/*mɨlj/*ᄆᆞᆯ/*믈] which was the same as the phonetic value of ‘彌, 未, 米’ etc. Because [*mʌlj/ᄆᆞᆯ] had experienced a vocalization to [*mʌj/ᄆᆡ] and then it became to [mæ/매] by the monothongization. Vowel harmony variants [*mɨlj/믈] was changed to [*mɨ] by [j] deletion or [*mi] by [ɨ] deletion. ‘地, 知, 遲, 至’ etc. could be also reconstructured as [*ti/디] which was historically changed to [ci/지] by the palatalization in Modern Korean. The feature [+continuantclassic] of the [l/ㄹ] would be dissimilated with the following vowel feature [+continuant] and then [l/ㄹ] should become to [t/ㄷ] having a feature [+continuant]. Therefore ‘密地~彌知~彌里~彌離’ etc. could be composed of synonyms. These variants like [mʌj~mɨj~mɨ~mʌ~mi] and [mæ] were respective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ir regional and social situation. For example the name of tides was divided into two group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outh and North. In the South ‘한물, 두물, 세물, …’ were widely used on the other hand ‘한매, 두매, 세매, …’ were used in the North. The different forms of ‘물’ and ‘매’ were used at present. The ‘물’ was originated from the ‘密’ and ‘勿’ which had the same phonetic value as that of ‘水/water’. On the other hand the ‘매’ was originated from ‘彌, 未, 米, 買’ which had the same phonetic value [*mʌj]. These synonymous ‘密地, 彌知, 彌里, 彌離’ etc. had the same meaning as a ‘邑, 城, 村, 首都, 聚落’. The frequency of a velar and a palatal-alveolar was more similar before a front vowels other than back vowels. Moreover in the casual speech style the frequency of a [k] and [c] was appeared more similar before a front high vowel other than non-front high vowels. The acoustic similarities of [k] and [c] would be showed up their perceptive similarity. Consquently a hearer seemed to confuse [t] with [c] easily before a front high vowels. ‘枳慕[*kimo/기모]’ was frequently confused with the [*cimo] and would become to [*moci] by the syllable inversion of [*cimo] in Old Korean. The result of syllables movement still survive within the modern place name ‘모질매’ where the site of the Paek-Je Royal Palace was located at Ik-San.

      • KCI등재

        미지원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역할 부담을 매개하여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 지원 한부모가족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현숙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of un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and 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affects the difficulty of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role burden of single-parents. Additionally,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ingle Parent Family Survey 2015. 1,723 single-parent families with at least one child under the age of 7 to 18 (1,723 single-parent families consist of 1,250 single-parents who do not have public support, and 473 single-parents who are supported by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were selected. Data were examin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using AMOS 21.0. The Sobel test was use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supported single-parents had the higher level of difficulty of raising children and the lower level of role burden than those of supported single-parents. Second, the social exclusion level of un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was high in order of health, housing, income, social relationship, employment, and community environment dimension. The social exclusion level of 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was high in order of income, health, housing, employment, social relationship, and community environment dimension. Third, it showed that un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had the higher social exclusion level in the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 than that of 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Fourth, i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and 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fth, role burden did play a mediating role in both unsupported single-parents and supported single-parents when the social exclusion level influenced the difficulty of raisi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support measures to solve difficulties in raising children of unsupported single-parent families. 이 연구는 미지원 한부모가족과 지원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한부모의 역할 부담을 경유하여 자녀 양육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부모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7~18세 미만의 자녀가 한명이라도 존재하는 한부모가족 1,723명이다(공적 지원을 받지 않는 미지원 한부모 1,250명,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지원을 받는 지원 한부모 473명). 연구방법은 Amos 21.0을 이용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지원 한부모의 자녀 양육 어려움은 지원 한부모보다 더 높으며, 역할 부담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지원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배제 수준은 건강차원, 주거차원, 소득차원, 사회적 관계차원, 고용차원, 지역사회환경차원의 순으로 높으며, 지원 한부모가족은 소득차원, 건강차원, 주거차원, 고용차원, 사회적 관계차원, 지역사회환경차원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지원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관계차원의 사회적 배제 수준은 지원 한부모가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지원 한부모가족과 지원 한부모가족의 다집단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미지원 한부모와 지원 한부모의 역할 부담은 사회적 배제 수준이 자녀 양육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지원 한부모가족이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지정수 후보 타당성 검정 기법간의 비교 분석

        고재영,신미영,한영훈,조득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GNSS를 이용한 정밀측위에서 미지정수 결정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정확한 미지정수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수 mm에서 수 cm 의 정밀한 측위결과를 가져오지만 부정확한 미지정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측위결과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보장할 수가 없다. 미지정수 결정 은 IR(Integer Rounding), IB(Integer Bootstrapping), ILS(Integer Least Squares) 등의 기법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중에서 ILS는 이 론적, 실험적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른 기법들과 달리 ILS는 미지정수에 대한 후보를 검색하기 때문에 올바른 미지정수 를 판단하기 위한 타당성 검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타당성 검정 기법간의 실험적인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실험에는 타당성 검정 기법 으로 자주 쓰이는 R-ratio, F-ratio, W-ratio가 사용되었다.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성능을 정상동작, 검출, 미검출, 오검출로 나누어 평가하였 다. 실험결과로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적용환경에 따라 기법이 선택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In high precision positioning systems based on GNSS, ambiguity resolution is an important procedure. Correct ambiguity leads to positioning results which have high precision between millimeters and centimeters. However, when the ambiguity is determined incorrectly, ensuring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positioning result is impossible. An ambiguity validation test is required to obtain correct ambiguity when ambiguity resolu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LS (Integer Least Squares), which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point of theory and experiment when compared with other methods such as IR (Integer Rounding) and IB (Integer Bootstrapping). Comparison between the candidates of the validation test is needed to judge ambiguity correctly, because ILS searches for candidates of integer ambiguity, unlike other methods which calculate only one integer ambiguity.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ambiguity validation tests. R-ratio, F-ratio and W-ratio were adopted fo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validation tests was evaluated by classifying normal operation, detection, missed detection and false alarm. As a resul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lidation tests was showed to experimental. we concluded that validation tests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environment.

      • 3중 주파수를 이용한 ARCE 미지정수 결정기법

        구훤준,박찬식,이상정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4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의 반송파 위상을 이용하여 정밀측위를 할 경우 미지정수 결정이 필수적이다. 최근 미국은 GPS 현대화 계획에 따라 기존의 L1 및 L2 주파수에 L5를 추가하고 있다. 미지정수 결정을 위해 3개의 독립미지정수항을 사용하는 ARCE를 확장시켜, GPS 3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EWL 단계에서 구해진 미지정수를 이용하여 나머지 미지정수를 구하는 미지정수 결정기법(TF-ARCE)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미지정수 검색범위를 줄이면서 참값결정확률 및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Ambiguity resolution is essential for the precision positioning using GNSS carrier phase measurements. Recently, United Stetes of America added to the existing L1 and L2 to L5 frequency according to the GPSS Modernization Plan. This paper propose the new ambiguity resolution technique, TF-ARCE which is obtained the dependent ambiguities from the ambiguities of EWL step using GPS three frequency. Using the TF-ARCE, the probability for true value and reliability will be grown with the reduction of search range.

      • KCI등재

        미지정수 후보 타당성 검정 기법간의 비교 분석

        고재영,신미영,한영훈,조득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1

        In high precision positioning systems based on GNSS, ambiguity resolution is an important procedure. Correct ambiguity leads to positioning results which have high precision between millimeters and centimeters. However, when the ambiguity is determined incorrectly, ensuring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positioning result is impossible. An ambiguity validation test is required to obtain correct ambiguity when ambiguity resolu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LS (Integer Least Squares), which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point of theory and experiment when compared with other methods such as IR (Integer Rounding) and IB (Integer Bootstrapping). Comparison between the candidates of the validation test is needed to judge ambiguity correctly, because ILS searches for candidates of integer ambiguity, unlike other methods which calculate only one integer ambiguity.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ambiguity validation tests. R-ratio, F-ratio and W-ratio were adopted fo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validation tests was evaluated by classifying normal operation, detection, missed detection and false alarm. As a resul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lidation tests was showed to experimental. we concluded that validation tests must be selected according to environment. GNSS를 이용한 정밀측위에서 미지정수 결정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정확한 미지정수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수 mm에서 수 cm의 정밀한 측위결과를 가져오지만 부정확한 미지정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측위결과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보장할 수가 없다. 미지정수 결정은 IR(Integer Rounding), IB(Integer Bootstrapping), ILS(Integer Least Squares) 등의 기법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중에서 ILS는 이론적, 실험적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른 기법들과 달리 ILS는 미지정수에 대한 후보를 검색하기 때문에 올바른 미지정수를 판단하기 위한 타당성 검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타당성 검정 기법간의 실험적인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실험에는 타당성 검정 기법으로 자주 쓰이는 R-ratio, F-ratio, W-ratio가 사용되었다.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성능을 정상동작, 검출, 미검출, 오검출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적용환경에 따라 기법이 선택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