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과에서 미래문제 접근으로서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한 미래교육과정 구성 방안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사회에서 야기될 것으로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미래연구의 역사와 미래학자가 본 미래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미래에 직면하게 될 문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문제를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과에서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미래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을 육성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researching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which will be expected in future society using Scenario Planning. The study i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analyze history of future research and feature seen by futurist and deduct the issues facing in the future. Second, analyze Scenario Planning as a way to approaching the future problems. Third, find the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placing emphasis on necessity of future education and goal,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of future education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foundation of future society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about the future society and promoting citizenship which can react pushfully about future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지현 ( Yoon Jihyun ),홍섭근 ( Hong Sub-keun ),임재일 ( Lim Jae Ill ),백병부 ( Baek Byoung-b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수행된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을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총 11개의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이며,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비전 및 목표, 미래교육의 인재상,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정책 및 전략의 총 5가지 영역에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교육 현안에 대한 해결 및 새로운 사회구조와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다소 제한적인 측면의 교육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역량을 갖춘 인재뿐 아니라 인성, 감성, 소통과 공감 능력을 지닌 전인적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인구구조 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개별화 및 학습자 맞춤형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평가,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기반의 교육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교육의 주요 정책은 교육에 대한 현안 해결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목적의 정책들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대에 필요한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교육이 우리 사회문화의 가치를 세우는 철학적 바탕이 된다는 역할을 상기하여, 교육의 본질과 기본 이념에 충실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 및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reports rega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meta-analysis approach. The 11 reports analyzed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8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ive domains such as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 talented students, the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are focusing on the current educational issues and problems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f long terms goal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talented students are supposed to have not only the capabiliti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lso the upright character, human emo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future education were emphasized on the differentiated and customiz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focus of educational policy in future education was to recover the trust fo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To conclude, the important roles of education are not only to foster the citizen who leads to the future but also to establish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so the inclusive and long-term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launched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and essence of education.

      • KCI등재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

        심상보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의 방향을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연구 분석결과, 두 가지 경향이 관찰되었다. 첫째, 미래 교육의 관점에서 강조하는 내용들은 감성, 창의성, 우뇌적 사고, 통합적 사고 등이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내용(교과군, 학년군, 집중이수제, 교과 증감권 20%)에서 미래 교육의 특징을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기본적 핵심문제인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정작 미래 교육을 위해 무엇을 가르치고 준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보다는 교과군, 학년군, 집중이수제, 교과 20% 증감권 등 교육과정 운영 및 제도적인 측면들을 중점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한 국가의 교육과정 개정에는 반드시 미래적 사고 전략이 중요하고 이를 위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재평가가 요구된다.

      • KCI등재

        서울시 교육주체의 미래농업에 대한 교육수요 분석

        정진철(Jinchul Jeong),서예린(YeLin Suh),강민지(MinJi Kang),조홍용(HongYo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중등단계에서 교육의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확인하고, 서울시 소재 중학교에 소속된 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도출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교육수요를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1차 전문가자문을 실시하여 미래농업 유망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후 도출된 분야에 대해 2차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여 미래 농업에서의 중요성, 인력의 충분성,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의 필요성 지표를 통해 중등단계 교육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중학생 및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를 바탕으로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농업과 관련된 교육수요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문가 자문실시 결과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신품종 개발과 같이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것을 제외하고, 고등학교 단계에서의 인력양성 필요성이 인정되었다. 도출된 16개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한 서울시 교육주체의 교육수요를 분석한 결과, 농산물이력정보, 반려동물, 도시농업 등의 미래농업 유망분야에 대해 교육수요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등단계에서부터 학생들이 미래농업 유망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양 수준의 교육과 진로교육, 나아가 전문적인 직업교육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특히 미래농업 유망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농업계열 중등교육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인 서울시에서도 향후 미래농업 종사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 혹은 교육기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mising fields for future agriculture and to confirm whether the necessity of education is recognized at the secondary level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by experts and to confirm the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a promising field for future agriculture was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And then experts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econdary education by using the importance of future agriculture, the sufficient of workforce, and the necessity of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Results As a result, 16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were derived, and except for those requiring high-level knowledge and skill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the necessity workforce develop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was recognized. Second, a revised IP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amiliarity and preference for promising fields in future agriculture for educational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ducation demand related to future agri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mand for education in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ch as agricultural product history information, companion animals, and urban agriculture. Conclusions This study's results contribute to the necessary to provide libe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s well as vocational education, to help students choose a career path from secondary school to a promising agricultural field. In particular, the Seoul, which does not have agricultural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to foster promising fields of future agricultur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rriculum or educational institution to foster future agricultural workers in the future.

      • 미래 특수교육 교실을 위한 소고

        이성용(Yi, Seong-Yong)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1 미래교육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최근 일반교육에서의 이슈인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 고찰 연구로 현재까지 발간된 국내 여러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헌의 내용은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과 관련된 정책 연구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교육에서 수행된 연구를 활용하였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특수교육에서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교육, 미래학교, 미래형 교실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을 때, 특수교육에서도 미래학교와 미래형 교실에 대한 관심을 갖고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 및 지역교육청에서도 미래 특수교육 교실에 대한 연구와 지원이 매우 필요하다. This study reviewed the direction of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 and future classrooms, which are recent issues in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llected and analyzed of various policy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e contents of the literature were collected focusing on policy studies related to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general education. Becau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as presented concepts on the keywor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education, future schools and future classrooms. We were able to gain insight into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First, you will have to pay attention and carry out various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offices will have to study and support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 KCI등재

        교육분야에서 ‘미래’의 의미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은택(Eun-taek Lee),이은정(Eun-j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분야에서 ‘미래’가 어떻게 사용되고, 의미부여 되었는지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미래교육에 대한 성찰과 실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2013년부터 2022년 5월까지 교육 분야에서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제목에 ‘미래’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학술논문 중 89편을 선별하여 논문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는 NetMine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단어 출현 및 동시 출현 단어 쌍 빈도분석, 네트워크 구조 분석, 중심성 분석, 응집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역량’과 ‘교사’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으며,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모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나 미래교육과 관련하여 미래사회에 갖추어야 할 역량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교육’은 연결중심성과 근접 중심성 대비 매개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키워드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교육 관련 논의의 하위 주제 커뮤니티를 확인하기 위해 응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량기반교육’, ‘초중등교사’, ‘지역사회학교’, ‘융합진로교육’, ‘유아교육’의 다섯 개 범주가 도출되어 미래교육에서의 역량중심 교육의 실현방법, 미래 사회를 대비한 초등, 중둥, 유아, 지역사회 교육현장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교육의 본질에 대한 관심과 실천의 필요성, 미래교육 관련 연구 방법의 다양화와 연구 내용의 구체성 확보의 필요성,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으로의 미래교육 논의 확장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future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We collected 372 keywords from 89 domestic academic papers containing the keyword “future” on the title, published from 2013 to 2022 in the domains of education. keyword network models were constructed by using NetMiner program. Keyword appearance and co-occurance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degree, betweeness and closeness) analysis and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first, ‘competence’ and ‘teacher’ appeared to be the most extensively discussed keywords, given that both keyword appearance frequency and centrality(degree, betweeness, closeness) were highest. second, ‘school education’ turned out to play a critical role in bridging keywords since the betweeness centrality was higher than the other two centrality. thirds, 5 subnetwork communities were constructed, which were <competency-based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ocal community school>, <convergence career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iverse and practical trials on the research in regards to future education with a deeper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future” is suggested.

      • KCI등재

        시·도 교육청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김혜란 ( Kim Hyelan ),손준종 ( Son Joo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해 ‘미래교육’ 정책이 그리는 미래의 교육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미래교육’ 정책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정당성은 무엇인가. 둘째, ‘미래교육’은 어떤 학생을 길러내고자 하는가. 셋째, ‘미래교육’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먼저 ‘미래교육’은 비교육적 관행과 소외를 극복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에 대비한다는 데에서 정책의 정당성을 찾고 있었다. ‘미래교육’이 길러내고자 하는 학생은 지식과 정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생비자, 배움과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학생,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미래인재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흥미, 진로, 요구 등 학생들이 지닌 특성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해야 하며, 학생들이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선택하여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 정책이 형성하는 교육 담론을 사회적 구성물이자 특정한 미래를 형상화시킨 결과로 바라보며, 이에 정책에 가시적으로 드러난 교육적 사고, 가치, 행위과 더불어 주변화된 것은 무엇인지 주목하고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실천하는 것들은 과연 무엇인지 성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logical justification that supports the “Future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students does “Future Education” aim to raise?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utilized.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uture Education” looks for the legitimacy of its policy in overcoming non-educational practices and alienation, solving social problems, and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future society. It wants students to be prosumers who not only consum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to lead their learning and life, and to be talent with democratic citizenship. Finally, the “Future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d that we need to teach and learn what students want and need and that students should manage self-directed learning by themselves. This study views the educational discourse formed by the policy as a result of selecting specific educational thoughts, values, and practices, not educational and justifiable in itself.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see both what is visible and what is marginalized in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what we think and practice in the name of education.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관계 연구

        장효민,배애란,김혜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제4차 산업혁명 이후의 미래사회는 기존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 간 유기적인 통합을 기저로 하는 미래지향적인 특성을 지닌다. Klaus Schwab이 2016년 다보스 경제 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최초로 언급한 이후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의 물결이 다가왔다. 특히 학문 간의 경계선은 점차적으로 약해져 어느새 시공간을 초월한 광범위한 정보공유의 시대가 다가왔다. 따라서 미래교육의 패러다임에 적합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그 구성요인의 구조 모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의 14가지 문항과 미래교육의 13가지 문항,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특수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의 구성요인은 교육기대, 교육다양성, 학교교육이며, 미래교육의 구성요인은 교육유연성, 교육전문성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구성요인별 관계는 적합도 기준의 충족을 통해 확보되었다. 둘째,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미래사회와 미래교육에 대한 구성요인별 구조 모형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래사회의 구성요인 중 학교교육은 미래교육에 대하여 교육유연성과 교육전문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래사회의 나머지 구성요인은 미래교육에 대하여 유의미한 영향력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특수교사는 미래사회의 학교교육이 미래교육에 대한 유연성과 전문성의 증진을 가져온다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향보,이동원,이민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COVID-19 has changed, humanity has recently faced a path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tech-related content is active. However, it is rare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to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so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practical way to apply EduTech to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by developing and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de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of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competencies in inventions highly related to creativity and cre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ur classes (97) in the fifth grade of two schools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sangnam-do, and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one class (2 classes, 50 students) for each schoo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 was verified by conducting future competency and invention core competency tests. First,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develop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references of 27 teachers and 216 students, selecting two topics with high preference of 54 UCC (22.22%) and 47 work activities (19.34%). Secon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set two units consisting of UCC and 3D pens, and presented a total of six sessions and 18 sessions at three level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for each unit. In addition, workbooks for students were produced according to MOOA class modules such as Make a Foundation, Open an activity, Organize evaluation, and Activation to be consistently and eff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class module. Thir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applied 18 times to 50 students in two classes, which are experimental groups, and its effectiveness on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in inven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no significant results are produced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average of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s improv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ll sample items are 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01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and invention core competencies. Since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tudent competency in that it can improve both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duTech. In particular,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which has secured connection with the school's regular curriculum, can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approach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distribution or students subject to application when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Future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5th grade, so in-dept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check the connection with other school levels and grades, and if future education materials are developed with other contents, it is expected to add a small foundation to the growth of future talents. 이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창의․창조와 관련성이 높은 발명에서의 핵심역량과 미래역량의 신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중소도시에 소재한 2개교 5학년 4학급(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고, 학교별 1개 학급(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컨텐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결측값을 제외하고 교사 27명, 학생 216명의 유의미한 응답을 확인하였다. 미래교육 실행에서 별도의 에듀테크 기기 필요 여부에 따라 1순위를 중심으로 UCC, 작품활동이 선정되었다. 둘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UCC와 3D펜의 2개 단원을 설정하고 단원별 초급, 중급, 고급의 3 수준으로 총 6회기, 18차시 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미래교육 수업 모듈을 4단계로 설정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인 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18차시 적용하고, 미래역량 및 발명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바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자료는 내용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이 미래역량과 발명핵심역량 모두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확보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미래역량 함양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래의 교사교육 탐구

        정영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과 교사교육의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첫째, 시대 변화의 흐름을 결정짓는 메타 트랜드(추세)를 분석하고, 둘째, 미래의 학교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의 번화 추세를 예측하며, 셋째,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사의 새로운 역할을 찾고, 마지막으로, 미래의 교사교육을 전망하고, 교사교육의 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 밝혀진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교사교육의 과제를 다음 7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사회에 적합한 교사의 위상 확보, 다감각적 교수학습 수업모형의 개발, 교사교육의 책무성 제고, 현장과의 협력체제 구축, 탐구와 반성적 사고능력 개발, 효과적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 교사양성기관의 학습조직화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