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향유자 인식 연구 :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윤희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consumers’ cognition embedded in discourses regarding Korean multicultural space, by conducting the social medial sentiment analysis. The multicultural space, a place in which a variety of nations, languages, religions and cultures are mingled or the ethnicity of immigrants staying in Korea is strongly manifested, is a fluid space which is formed by immigrants and produces their identity and even commoditizes it. Such a space where the exchange among various subjects including immigrants, multicultural policy officers, non-immigrants, tourists, etc. occurs aims for the communication among the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spatial stories intended by space producers are told. This study drew the network relationship by collecting the unstructured data about Seorae Village and Daerim-dong in Seoul, Multicultural Stress in Ansan and Dongsang-dong, Kimhae-si in Gyeongnam, which were issued by a Naver blog in 2019, and analyzed the discourses about each space by conducting a sentiment analysis. This is an analysis on texts recreated by enjoyers and the Korean society’s discourse regarding the spaces. The findings, the real results derived from non-immigrants’ perspectives on the Korean multicultural spaces, can be used as strategies for the future storytelling about multicultural spaces.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감성 분석을 통하여 국내 다문화 공간 관련 담론에 내재된 공간 향유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 공간은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문화가 혼재되거나 국내 체류 이주민의 에스니시티가 강하게 표출되는 장소로 이주민에 의해 형성되고 이주민 정체성을 생산하며 생산된 이주민 정체성을 상품화하기도 하는 유동적인 공간이다. 이주민, 다문화 정책 담당자, 비이주민, 관광객 등 다양한주체의 교류가 일어나는 다문화 공간은 이들 간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간 생산자가 의도한 공간의 이야기가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서래마을, 서울 대림동, 안산 다문화거리, 경남 김해시 동상동 일대를 대상으로 2019년 네이버 블로그에 발행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계를 도출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각 공간에 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는 향유자가 재창조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으로 해당 공간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이주민이 국내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현실 그 자체로 향후 다문화 공간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역문화공간 설립을 위한 문화공간 콘텐츠 연구

        이영주,이병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se days, urban local cultural space has expanded its concept as a place for cultural community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based on culture while also stimulating the local economy by transcending its significance as a space for exhibition and creativity. However, most local cultural space has not been operated properly due to the limit of diversity in its spatial content. Thus, it is necessary to map out strategic plans to fashion the content to be suited for the multifunctional role of a local cultural space as a crucial part of local cultural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uideline for forming the cultural spatial content necessary for local cultural space planning by analyzing the exemplar domestic and overseas models utilized to promote local culture. (Method) This study reconstructs the functional roles of local cultural space by integrating related literature and common communal elements presented by G. A. Hillery, as the concept of local cultural space is extended to that of cultural communit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pace content were also derived from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onnectivity between functional roles that would need to be taken on by contemporary local cultural space and cultural space content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o build an analytical model and subsequently analyze the practical cases. T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or the future course of formation of cultural space cont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local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space in cities would need to take on roles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other complex roles on the basis of mutual exchange and interchange among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medium of culture and art so as to serve as an arena for the formation of cultural community. Out of the ten characteristics formulated through prior research, case analysis revealed that eight characteristics were suitable for cultural space content: artisticity, creativity, leisure, historicity, educativeness, experientiality, communication, and preservation. Finally, local cultural space will be able to have the creative, relational, regenerative, and communication-oriented characteristics when cultural space content is formed as mentioned above, which will ultimately strengthen cultural cohesion of local communities, allowing the local cultural space to serve its functions as a competitive local cultural spac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ultural space content should be formed with a focus on its multifunctional role of as cultural community place so as to form a cultural community based on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added vitality. (연구 배경 및 목적)오늘날 도시의 지역문화공간은 창작·전시시설의 의미를 넘어, 문화를 통해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문화 커뮤니티 장소로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상당수가 공간 콘텐츠 다양성의 한계로 운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지역문화 커뮤니티의 다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적 구성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한 국내외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지역문화공간 계획에서 필요한 문화공간 콘텐츠의 구성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역문화공간이 문화 커뮤니티 성격으로 그 개념이 확장됨에 따라, 관련 문헌연구와‘힐러리(G. A. Hillery)가 제시한 커뮤니티 공통요소’를 종합하여 지역문화공간의 기능적 역할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공간 콘텐츠의 정의 및 특성을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지역문화공간이 가져야 할 기능적 역할과 문화공간 콘텐츠 특성간의 연계성을 찾아내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 사례를 분석한 후, 문화공간 콘텐츠 구성 방향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역문화공간은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장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 문화예술을 통한 상호교류 및 지역사회 교류를 통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역할과 복합적인 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위해 문화공간 콘텐츠는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10개 특성 중 사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8개 특성인 예술성, 창작성, 여가성, 역사성, 교육성, 체험성, 소통성, 보존성이 문화공간 콘텐츠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공간 콘텐츠가 이와 같은 계획에서 구성되어질 때 지역문화공간은 창조ㆍ관계ㆍ재생ㆍ소통지향적 성격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의 문화적 결속력을 강화시켜 경쟁력을 지닌 지역문화공간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연구를 통해 지역문화공간이 지역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문화공동체를 형성하고, 나아가 지역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화커뮤니티 장소로서의 다기능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문화공간 콘텐츠를 구성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는 공간적 관점에서 다문화공간의 형성,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인종, 민족, 국적 등의 차이가 다문화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공간을 바라보는 차별적, 이중적 시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공간은 다양한 인종, 민족, 국적, 언어, 종교 등에 따라, 그리고 외국인 공동체의 사회자본에 따라 공간적으로 세분화, 개별화되고 있었다. 또한 우리사회의 차별과 편견 속에서, 지역적 특성을 보이면서 그 분포를 달리하고 있었다. 외부 세력에 의해 대중적인 장소성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외국인들은 특정 공간, 구체적 장소에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들의 특정 공간 점유뿐 아니라 다른 외부의 힘과 관계망에 의해 공간의 성격은 변화되고 공간 구조는 재구성되고 있었다. 아울러 선망과 배제의 이중적 시선에 따라 또는 상품가치, 시장가치의 논리에 따라 다문화공간에 대한 양극화,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에스니시티와 초국가적 사회공간은 상품화되거나 주변화되고 있었다. 특히 주변화되고 있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치안 유지와 더불어 슬럼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문화공간은 아직 수용국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외국인들의 태도는 대부분 수동적이었다. 따라서 다문화공간이 공생의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생성,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체성, 문화 등 상호 인정을 위한 외국인들의 주체적, 실천적 행위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first, examine the form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s while taking the approach of spatial point; seco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in race, ethnicity, nationalit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paces; and next to, find out about the discriminative, dualistic viewpoint towards multi-cultural spac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spaces are spatially subdivided and individualized according to various races, ethnicities, nationalities, languages, relig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immigrants community as well. While faced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y are also distributed differently and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utside power built popular placeness or immigrants made social capital and new placeness in the definite space and specific place. In other word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nd spatial structures are reconstructed through immigrants possession on specific place, external forces and networks. In addition, according to dualistic eyes of envy and exclusion or depending on commercial value and market value, multi-cultural spaces are polarized and discriminated. The ethnicity and transnational social spaces accordingly have be commercialized or marginalized. Particularly,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currently maintain the public order in multi-cultural spaces that are being marginalized. Also receiving nation-state takes the lead still about multi-cultural spaces and immigrants take a passive attitude in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nd maintain multi-culture spaces as symbiotic spaces continually, this study indicated that immigrants have to retain subjective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for the mutual recognition of identity and culture.

      • KCI등재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 탐색

        윤갑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learning space organization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aim, I had interview with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 expert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three categories: First was purpose, method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as practices and learning spa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ird was directions of multicultural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learning space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organize for young children to be able to understand multi-culture with body and mind sincerely. Secon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formed for re-thinking and anti-bias. Thir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designed for emotional empathy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Last, the learning space need to designed based on ideas come from teacher’s multicultral attitude and belief. That is, it meant that the learning spa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designed for making not only social, emotional space but also positive relationship each other beyond space as a phy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implicated that further research about dynamic multicultural learning process of young children within the learning spaces, re-engineering about learning spaces design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bout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유아교사와 유아다문화교육 전문가 총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질문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과 교수방법 및 내용, 유아다문화교육 실제와 학습공간, 유아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으로 나누어졌다. 그 결과, 유아 다문화학습을 위한 공간은 첫째, 몸과 마음이 만나 진정한 이해를 할 수 있는 공간 둘째, 편견을 깨닫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 셋째, 정서적 공감과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공간 넷째,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가 묻어나오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학습 공간은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공간을 넘어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공간으로 유아들이 몸과 마음으로 다문화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생성해내는 공간이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습공간의 틈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유아 다문화학습 과정의 탐색과 학습공간 디자인에 대한 재공학 및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에 대한 비판적 사고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온돌문화전통’의 지속과 변용에 관한 시론(試論)

        강재철(Kang Jae-Chul)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일제 강점상황 하에서도 우리 민족성과 민족문화의 상징으로서 우리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온돌문화의 ‘온존설(溫存說)’이 주장된 이래 해방 후에도 온돌문화 담론은 지속되었다. 본고는 온돌문화전통이 한국에서 유교문화전통의 ‘온존’과 지속’의 토대가 되었으나 근대화와 산업화 속에서 온돌문화전통이 변용되었음을 논한 시론(試論)이다. 온돌은 인류역사의 시작에서부터 불의 공유에서 비롯한 것으로 우리 민족은 특히 ‘신화적 인식의 불’의 관념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고 ‘우리 의식’이 강한 민족이었다. 그러한 의식은 자연히 온돌 공간을 통해서 만들어져 계승되어 왔다. 다음은 본고가 논급한 온돌문화전통에 관한 요약이다. 온돌의 온기 전달로 반복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일체감, 연대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온돌공간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동질성이 강한 공동소유의식이 만들어졌다. 또한 온돌생활공간은 작은 공간을 추구한 절제된 생활공간으로서 인류 초기 역사부터 경험한 작은 공간에 대한 ‘원초적 그리움’과 같은 것이었다. 온돌공간은 타인과의 빈번한 접촉의 공간으로서 당연히 질서와 예의가 요구되었기 때문에 교육이 이루어진 공간이었다. ‘동방예의지국’의 기초예절교육은 이와 같은 온돌공간에서 길러졌다. 한국음식문화 가운데 국문화와 탕문화는 온돌문화전통에서 만들어졌다. 취난과 취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었던 온돌문화 속에서 탕문화와 국문화가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농경정착문화와 깊은 관련을 갖는 온돌문화는 우리 문화의식 가운데 “계대(繼代)의식”을 만들어냈고 ‘한 방[-室]’은 곧 조상에 대한 숭조(崇祖)와 봉사(奉祀)의 공간이 되었다. 끝으로 온돌문화전통은 우리 민족의 은근과 끈기문화의 ‘태반’이 되었다. 서서히 더워지고 서서히 식어가는 온돌의 속성에서 은근과 끈기의 민족성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온돌문화전통은 일제 강점 상황 하에서 내선일체론의 주창과 함께 ‘온돌부정론’에 의하여 해체 위기에 직면하였으나 해체에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그러한 온돌문화전통은 해방 후 미군정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한국사회의 가치관변화와 함께 변질되어 갔다. 그 변질의 본격화는 1980년대에 들어서 전통온돌가옥이 서구화되고 아파트의 대량 보급에 따라 그 토대가 무너져갔다. 그러나 본고에서 궁극적으로 온돌문화전통의 바람직한 ‘재창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우리의 온돌주거의 양식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지속ㆍ변화되더라도 중요한 우리의 전통 가치관에 다시 한 번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이다. Despite the circumstances, since the initial publication of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the culture of ondol (underfloor heating), Korea under Japanese rule had witnessed the continuing debate among a group of Korean intellectuals, and even among Japanese people, over the culture of ondol, the symbol of Korea's national sentiment and culture. The theory of preservation of ondol cult ute was based on the tradition of ondol that has been a part of Korean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theory of poetry on the acculturation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in the midst of Kore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le such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tor the "preservation" and "persistence" of Korea's Confucianism. The earliest use of ondol began with the use of fire in ancient times. The Korean people firmly believed in the "mythological concept of tire" and had developed a strong sense of "we-ness (togetherness),"or unity. This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long with the invention of ondol space. Below is the summary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ondol : Not only did direct heat transfer used in ondol help people establish a sense of community, but it also strengthened their bonds and sense of common ownership of shared ondol space. Ondol had been used as a limited living space and evoked 'nostalgia' for the old small space thar people had experienced since ancient rimes. A small place where people had to snuggle together, an ondol room essentially required order and respect, and functioned as an educational place where people taught themselves to respect one another. Therefore, ondol was one of those factors giving shape to the customs and manners of Korean people as "the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cultures of guk (soup) and tang (boiled water) of Korea originated from the ondol culture. Since ondol allowed people to warm themselves up, eat, and sleep in a single space, it helped create the cultures of guk and tang. The ondol culture was deeply related to Korea's agricultural settlement, subsequently forming the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One room (一室)" became regarded as a space of honoring ancestors and of respectful submission. Last, the ondol culture and traditions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s culture of courtesy and tenacity. Living in the ondol room that required gradual heating and cooling, Korean people learned to be courteous and tenacious. Under the Japanese rule, however,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faced existential threat as the regime advocated the theory of total annexation, although it barely continued to exist. After the liberation,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underwent major changes during the U.S. military army government and Korean War,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values into Korean society. In the 1980s, the traditional ondol houses became westernized and their foundations were broken down with the distribution of apartments. This paper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creation" of the traditions of ondol culture becaus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values that are important to us despite the changes in housing styles.

      • KCI등재

        폐교를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사회적 역할 연구 - 부산 ‘놀이마루’와 도쿄 ‘3331 아트 치요다’를 중심으로

        남영희(Nam, Young-Hee),조영미(Jo, Young-Mi),이순욱(Lee, Soon-W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이 논문에서는 폐교를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사회적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도심지 폐교를 문화예술교육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부산 ‘놀이마루’와 복합문화예술 공간이자 커뮤니티 활동 거점 공간인 도쿄 ‘3331 아트치요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두 공간의 조성방식, 운영방식, 주요 기능, 사업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폐교를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주된 역할을 공공성과 지역 커뮤니티 회복, 지역구심주의의 강화와 지역문화 발전 견인, 문화예술가치와 교육의 확산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규명하였다. 폐교와 같은 도시의 빈 공간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이 지역 사회에 존속하면서 이러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유권을 기반으로 한 공적인 개념의 공공성에서 나아가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한 공동성과 개방성으로서의 공공성 확보가 필요하다. 아울러 커뮤니티 활동, 지역문화 발전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에 관한 인식도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ocial roles of culture and arts spaces reusing closed schools. To this end, the case of ‘Nori-maru’ in Busan which is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center and ‘3331 Arts Chiyoda’ in Tokyo which is culture and arts complex as well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activities were analyzed. Both were created by remodeling closed schools located in downtown. The two spaces were respectively reviewed in the way of creation, operation system, projects and main functions. As a result, the social roles of culture and arts spaces reusing empty spaces including closed schools in cities were identified in three categories; securing publicness and recovering local community, enforcing local centripetal tendency and leading local culture and arts development, diffusing culture and arts value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exist and perform these roles successfully in local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spaces reusing closed school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wareness of publicness from the notion of official thing by government institutions based on proprietary rights to the idea of common and open thing by members of the local society based on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Further, knowing how to contribute to the local society as the station of community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and arts development is also required.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나타난 지리적 타자성 : 2000년대 다문화소설을 중심으로

        이미림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다문화적·디아스포라적 상황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다문화사회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문화공간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자국민이 기피하는 3D업종이나 성산업, 돌봄노동 영역에 대체된 이주노동자는 공장주변과 노래방, 클럽, 기지촌 등의 일터와 옥탑방, 쪽방, 컨테이너, 돼지축사를 개조한 방, 재개발지역 등에 모여 산다. , 의 배경인 구로구 가리봉동은 ‘옌벤거리’, ‘작은 중국’, ‘조선족 타운’이라는 명칭처럼 조선족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이산생활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한다. 다문화공간은 낙후하고 지저분하며 위험한 곳으로 소설 결말엔 살인사건이 발생하는 우범지대, 슬럼가, 재개발지로 묘사되고 있다. 의 배경인 이태원은 윤락과 유흥업소가 밀집되어 있으며, 외국인이 많이 모여드는 곳이다. 자신이 머무는 옥탑방과 클럽이 안식처나 휴식처가 되지 못하는 러시아 출신 이주여성인 쏘냐는 애인과 브로커에게 폭행, 금전탈취, 강제섹스를 당하며 고단하고 굴욕적인 이산생활을 한다. 성, 돈, 술, 폭력이 도사린 이곳에서 쏘냐는 성적 욕망의 대상이자 순종적이고 침묵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아시아 여성으로서 다루기 쉬운 초국적 통제대상으로 취급된다. 《나마스테》 는 공장단지인 부천과 고양시 식사동이 공간적 배경이다. 건강권과 주거권을 침해당하는 이곳 역시 허름하고 악취가 풍겨나며 지저분한 재개발지역이다. 두 편의 소설에서는 네팔과 한국, 높고 성스러운 히말라야 산과 낮은 공장단지를 이분법적으로 묘사하면서 차별적이고 편견으로 가득 찬 우리 사회를 고발한다. 이와 같이 조선족 디아스포라 공동체인 가리봉동과 외국인이 밀집되어 있는 이태원, 서울주변 공단지역의 다문화공간은 지리적 타자성을 표상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공간은 비다문화공간과의 경계긋기가 분명하며 ‘그들’만의 문화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약한 장소감과 장소상실을 갖는 이주자는 사회구성원(한국인) 되기와 정주에 실패한다. 쓰레기처럼 방치되어 있고 불결하며 위험하고 공포스러운 다문화공간은 우리 사회의 경계 너머에 위치함으로써 진정한 다문화사회의 도래는 요원하다. The reality of reinforcing multicultural and diaspora situations has been witnessing the progress of multiculturization and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spaces. Being located in the areas of 3D jobs, sex business, and caregiving labor avoided by the Korean citizens, immigrant workers live in groups at job sites such as the surroundings of their plants, karaokes, clubs and military campside towns, dwelling arrangements such as rooftop rooms, single rooms, containers, and pig shed-turned rooms, and in redevelopment zones. Indicated by its titles including “Yanbian Street,” “Little China” and “Joseongjok Town,” Garibong-dong of Guro-gu, which is the backdrop of The Love Song of Garibong and The Lamb Skewers of Garibong, forms a network of Joseonjok diaspora and exchanges and shares information for dispersed life. Deteriorated, dirty, and dangerous multicultural spaces are described as crime-ridden districts, slums, and redevelopment zones where homicide takes place at the ends of the novels. The backdrop of Nine Blue Sonyas, Itaewon is full of prostitution and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and attracts a lot of foreigners. Sonya, who is an immigrant Russian lady, cannot find comfort or rest at her rooftop room and club and is subjected to violence, extortion, and forced sex by her boyfriend and broker. She leads such a hard and humiliating life. She is treated as the object of sexual desire and that of transnational control that can be easily handled as an obedient and quiet Asian woman of Orientalism at this place overwhelmed by sex, money, alcohol, and violence. Namaste and The Elephant have their backgrounds at the plant complex of Bucheon and Shiksa-dong, Goyang, respectively. Violating the health and housing rights, those places are located in shabby and dirty redevelopment zones with an odor. The two novels describe Nepal and South Korea as the high sacred Himalayas and the low plant complex, respectively, in a dual fashion, reporting the South Korean society full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 multicultural spaces in Garibong-dong, the community of Joseonjok diaspora, Itaewon with a dense population of foreigners, and industrial complexes near Seoul represent geographical otherness. In addition, multicultural spaces draw a line from non-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 a culture and space of “their own.” Immigrants with a weak sense of place and loss of place fail to become the members of society(Koreans) and settle down. Dirty, dangerous, and fearful multicultural spaces neglected like garbage are locat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ociety, which makes the advent of true multicultural society a thing of distant future.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 연구

        조성실(Cho, Sung-sil)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인류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내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과 관련된 종목을 제안한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이란 ‘무형문화유산 전승주체들이 공유하는 삶의 영역’이자 ‘해당 문화유산의 전승행위가 실천되는 물리적 영역’이다. 본고는 국내의 문화재보호법에서 간과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도구, 사물, 가공물, 문화공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을 해당 문화유산 전승에 필요한 장소로서 인식, 이에 대한 속성을 밝히고 있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은 공동체에 기반을 둔 ‘살아있는 유산’일 때 그 가치가 있으며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과정에서 변이되거나 사라지기도 하고 때로는 새로운 모습으로 재창조되는 특징이 있다. 연구자는 유네스코에 등재된 19개의 문화공간 사례를 통해 이 점을 확인하였다. 문화공간은 유형문화유산의 건조물군이나 유적지 등과 종종 혼동되기도 하나 전혀 다른 성격을 갖는다.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은 고정적이기보다는 유동적이며 경계는 불분명하고 비정형적이다. 또한 문화공간은 복수의 형태로 존재하며 그 형체가 나타났다 사라졌다를 반복하는 속성이 있다. 4장에서는 국내, 특히 전라북도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문화공간 종목을 제안하고 있다. 전통시장, 빨래터, 전통마을공동체, 경로당, 이야기마을 다섯 가지의 종목은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문화공간이 사라지면 그 안에 전승되어 오던 무형문화유산도 함께 절멸될 것이다. 이는 곧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있어서 물리적 장소인 문화공간을 중요하게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ltural spaces’ which is part of UNESCO-registe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now on ICH)and to suggest Korean cultural spaces associated with ICH. UNESCO sai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ans the practices, representations, expressions, knowledge, skills-as well as the instruments, objects, artefacts and cultural spaces associated therewith-that communities, groups and, in some cases, individuals recognize as part of their cultural heritage.” ICH-related to space is physical place to practice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s and areas of lif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ICH descended up to this day, it has been changed or reinvented into modern ones sometimes. The cultural space associated with ICH is flexible and has characteristics of blurred boundaries by comparison with tangible cultural heritages : historic sites, archaeological sites and groups of traditional buildings etc. This paper introduces five cases of cultural spaces with respect to ICH in Jeonbuk province, Korea. This research proposes lists which are traditional markets, a wash place, two traditional villages and senior citizen community. If cultural spaces are missed, cultural heritages also will become extinct. That is why it is essential that the cultural space should be a top priority of ICH protection and transmission.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신윤선,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쇠퇴로 인해 도시의 곳곳에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건축물와 폐산업시설 등 흉물처럼 남아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이 중요한 사업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중 지역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으로 한정하였고,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며 교류의 중심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간특성과 공간구성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앞으로 추진될 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문화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공간의 공공공간 특성요소와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공공공간 특성요소 항목은 평가의 항목으로 선정하고, 공간구성 요소는 사례조사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내용을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도시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특성은 복합성, 체험성, 접근성, 장소성, 역사성, 심미성, 쾌적성이 도출되었으며, 공간구성 요소는 체험공간, 휴식공간, 상업공간 및 창작·교육공간으로 조사되었다. 각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 공간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으며, 공공공간의 특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복합성과 역사성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공간에 대한 장소성과 심미성이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체험성과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공간특성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화적 관점에서 복합성을 고려한 공공공간 구성이 필요하며 둘째, 재생의 공간이라는 시대적 역사성을 공간에 담아야 하고 셋째, 미학적 요소를 살려 공간의 심미성을 중점으로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넷째,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적 거점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재생공간의 정체성과 문화적 장소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문화중심의 도시재생 공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복합문화공간 구축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이상균,이금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re malfunctioning, and they are left idle industrial facilities emerged. The neglec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reduced to local hate facilities that degrade the city's landscape and cause urban degradation. However,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of non-physical value, not only in physical form but also as asse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ra of the industrial age.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modern people's experiential art culture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promoted. The Cultural Regeneration Business aims to recreate the idle space as a place of social valu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 art, and community, and to expand cultural enjoyment to residents, workers and local artists and revitalize the region.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regeneration cases with industrial asset value return to idle facilit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in operation, lack of will of the operator, and diversity of programs.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ways to successfully build a social platform centered on a sustainable creative culture that utiliz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vestigate the propulsion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regeneration project sites to derive uniqueness of programs and spaces between each cas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that can be operated even after project support.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value of regeneration are synthesized.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ior research and cas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spaces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cultural spaces. Cas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programs affecting sustainability at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Results) A total of 10 si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gram characteristics (resident artist support program,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and education)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Cases involving both resident and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come stable operations eve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renov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stages from the pilot oper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fter the opening, the residency program will provide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it should be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self-sustainability as a commercial facility.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발전에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존 산업시설들이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되어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났다. 방치된 유휴산업시설들은 도시의 경관을 저하하고, 도시쇠퇴를 유발하는 지역혐오시설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유휴산업시설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의 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자산으로 비물리적 가치가 있다. 이와 함께 현대인들의 체험형 예술문화교육과 유휴산업시설의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지역 재활성화를 목표로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문화재생사업은 유휴공간을 문화와 예술, 지역사회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주민, 근로자, 지역 예술인에 문화향유 확대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산업자산의 가치를 갖는 재생사례들이 사업지원이 이후 운영의 전문성 결여, 운영주체의 의지 부족, 프로그램 다양성 등의 문제로 다시 유휴시설로 되돌아가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한 창의문화 중심의 사회적 플랫폼 구축의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재생사업대상지들의 추진체계 및 현황을 조사하여 각 사례 간 프로그램 및 공간의 특이점을 도출하고 종합 분석하여 사업지원 이후에도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도록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재생가치를 종합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의 공간특성을 분석하여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대상지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별로 사례를 분류하여 분석한다. (결과) 총 10곳의 대상지를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프로그램특성(입주작가 지원공간, 상업시설, 전시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입주작가 지원프로그램 및 상업시설을 겸비한 사례가 사업이 끝난 후에도 안정적 운영이 되고 있다. (결론)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하기 위해서는 시범운영 프로그램부터 리노베이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개관 후에는 입주작가 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상업시설로 자생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