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초 동북지역의 유배 지식인 — 함가(函可)와 시 창작을 중심으로

        박영순 중국문화연구학회 2020 중국문화연구 Vol.0 No.47

        The first one banished, with literary persecution, to Shenyang(瀋陽) in Dong Bei district in early Qing Dynasty was Han Ke(函可: 1611-1660), a monk. In the time of Nan Ming(南明), he was banished to Shenyang In Shun Zhi (順治) 5th year (year 1648) with the trouble that he had written an unauthorized history, Zai Bian Ji(再變紀) , which has become the first literary persecution happened in early Qing Dynasty. As an adherent of Ming Dynasty and an exile in early Qing Dynasty, Han Ke organized Bing Tian Shi She(氷天詩社) in Shenyang together with other exiles. In general, if you viewed a literary work as ‘knowledge’ produced by literature, this knowledge (such as Tian Shan Shi Ji) should be produced the producers (exiles) by a practice (poetic creation) in a particular case (literary persecu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is, this paper would like to take a loot into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of ‘knowledge-producer-practice-knowledge’ to understand the poets’ club of exiles, and its meaning, periodical and regional. The ultimate end of this paper is to come to understand what knowledge (works) was produced by the exiles (intellectuals) in the conception of ‘knowledge production (exile poetry) by exile literary persons group (Poets’ Club)’ in what a situation, and to grasp its meaning. For that purpose, this paper would take Han Ke as an example, to take a look into the life and poetry creation of the literary persons banished to Dong Bei district. Qian Shan Shi Ji(千山詩集) , where the poems written by Han Ke are collected, is selected as the principal content for this study. The conten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situation of banishment in the Qing Dynasty and the reasons for which Han Ke was banished would be examined. Second, analysing the poems written by Han Ke. Third, the influences of Han Ke to the literature of Dong Bei district and its evaluation be checked.  In addition, this paper would also take note on literary practices of the exiles, their poetic creation and feelings and others. 청초에 문자옥(文字獄)으로 인해 가장 먼저 동북지역 심양으로 유배 간 사람은 승려 함가(函可: 1611-1660)이다. 그는 남명(南明) 시기에 개인적인 사서(私史) 『재변기(再變紀)』를 쓴 화근으로 순치 5년(1648) 심양으로 유배되었고, 이는 청초 최초의 문자옥 사건이 되었다. 함가는 명대 유민(遺民)이자 청초의 유배자 신분으로 심양에서 유배자들과 함께 빙천시사(氷天詩社)를 설립하였다. 일반적으로 문학 작품을 문학이 생산해낸 ‘지식’이라고 볼 때, 그 지식은 그것을 생산하는 ‘행위자’[유배자]들이 어떤 ‘특수한 상황’[문자옥] 속에서 어떤 ‘행위’[시 창작활동]를 통해 ‘지식’[『천산시집』]을 생산해낸다. 따라서 본고는 ‘행위자-행위-지식’이라는 큰 틀에서 함가의 시 창작과 그것이 지니는 시대적, 지역적 함의 등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본고는 “유배문인[지식인]의 지식생산[유배시]”이라는 범주에서 유배문인[지식인]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지식[작품]을 생산하는 지 그리고 그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 사례로 함가를 대상으로 『천산시집(千山詩集)』을 주요 텍스트하여, 청초 동북 지역의 유배자들의 삶과 시 창작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요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 함가의 유배원인과 가족사를 살펴보고, 둘째, 함가의 시 창작을 분석하고, 셋째, 함가 시 특징과 『천산시집』의 평가에 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北宋의 문학 文字獄

        朴卿希 한국중국학회 2003 중국학보 Vol.47 No.-

        宋代烏臺詩案是中國歷史上發生的文字獄的典型, 是用文化方面的罪名懲罰持不同政見者的一突出例子。的出現雖可以說是封建朝庭政治斗爭、門戶之見的産物, 但的存在却表明中國文化由于與政治的密切關系而逃難劫難的悲劇命運。烏臺詩案最終沒有進一步演化成一場禁書案, 但却爲以后宋徽宗禁毁蘇、黃文集打下了心理基礎, 成了崇寧、宣和年間兩次元祐黨案‘因人廢書’事件的高潮前奏。圍繞王安石新法與元祐更化而展開的新法派與反對派之間的爭斗, 是一復雜的歷史話題。因政見不同而禁毁有關人物的著作, 從文化發展的角度來看無疑是一種專橫的擧動, 給宋代文學發展添上了一種陰影。

      • KCI등재

        “문체반정”과 동아시아 한문학

        김용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4 민족문학사연구 Vol.84 No.-

        문체반정은 국왕 정조가 신하들의 글쓰기에 개입하여 주자학과 어긋나는 사상과 글쓰기를 하지 못하도록 억압하였던 사건이다. 국가 권력으로 사상과 문학을 억압하려 했으므로 문체반정은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그 불가피성을 지적하는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서학과 관련하여 수세에 몰린 남인 일파를 보호하고 노론을 견제하기 위한 정치적 조처였다는 견해도 제출되었고, 현실 대응력을 상실한 경화사족층의 사상과 문예에 제동을 걸고, 양명학 등으로 이완되기만 하던 사상 풍토에서 시비 판단의 기준을 마련하려는 의도였다고 보는 견해도 제출되었다. 문체반정에 얽힌 역사적 성격과 의미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로 시야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먼저 청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문자옥’이 시야에 포착된다. 문인들의 글에서 꼬투리를 잡아 박해를 가하는 ‘문자옥’은 청조에 들어 빈도가 급증하고 가혹해졌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만주족과 한족 간의 심각한 민족 문제가 있지만, 또 한 편으로는 유학(儒學)이 출세의 도구로 전락한 상황을 극복하고, 주자학 중심으로 유학을 재구축하고자 하는 사상사의 흐름도 있었다. 특히 ‘군사(君師)’를 자처하였던 강희제의 풍모는 정조와 여러모로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일본의 경우에는 ‘이학금지’가 주목된다. 이학금지는 에도 막부의 송평정신(松平定信)이 막부의 학교에서 ‘이학(異學)’과 관련한 교육은 일절 금지하고 ‘정학(正學)’인 주자학만을 가르치도록 명령했던 사건을 말한다. 이는 송평정신이 추진한 관정개혁(寬政改革)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주자학을 상대화한 고문사 학파를 견제하고 다시 주자학을 강화하려는 사상사적 흐름이 있었다. 이처럼 조선의 문체반정, 청조의 문자옥, 일본의 이학금지는 서로 연동하는 동아시아적 사건으로 볼 수 있으니, 각 사건의 이면에 있는 사상사적 흐름을 함께 보아야 한다. 당시는 서학이나 양명학 등의 영향으로 유학이 근본적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이 있었는데, 이 요청에 응답하는 사상사적 문학사적 결과물이 나오기 이전에, 위기를 감지한 국가가 먼저 나서서 인위적으로 방향을 바꾸고자 하였던 것이 문체반정 등의 사건이었다. Munche Banjeong refers to an incident in which King Jeongjo intervened in the writing of his subjects and suppressed thoughts or writings of something other than Neo-Confucianism. Since the government tried to suppress ideology and literature with the state power, the Munche Banjeong deserves criticism, but continuous discussion points out its inevitability. In certain point of view suggests that it was a political action to protect the Namin(南人) group and to restrain Noron(老論) group. Meanwhile other article shows that it was intended brake upon thoughts and literature of the Gyeonghwa family which lost its ability to respond to reality, and to suggest a standard for dispute occured in the ideology field which tend to stretch to accepting Yangmyeonghak. In order to broadly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Munche Banjeong,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erspective to East Asia. First of all, in Qing Dynasty there was ‘Munjaok(文字獄, wenziyu, Literary Inquisition)’. Munjaok sought for any bit for subject of the persecution, and it became more harsh and more frequent during the Qing Dynasty. Behind lies a serious ethnic problem between the Manchurian and Han Chines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ttempt to reform Confucianism, which became as a tool for success or losing cohesiveness on Zhu Xi, under the flow of history of ideology. In particular, the appearance of Emperor Kang Hee(康熙帝), who claimed to be a ‘teacher as a king’, can be seen as similar in many ways to King Jeongjo. In the case of Japan, the ‘Prohibition on Different Studies’ in Kansei era draws attention. Matsudaira Sadanobu(松平定信) of Edo Shogunate proclaimed the edict, ordering the shogunate’s school to ban any education related to ‘different studies’ and teach only the ‘orthodox study’ of Zhu Xi. This was a part of the ‘Kansei Reformation’ by Matsudaira, but the force behind this was a flow of history of ideology restraining the School of the Classical Writiing(古文辭學派) and emphasize Neo-Confucianism again. These three events can be analyzed as correlated events among East Asia, and thus the different aspect of how the history of ideology moved beneath each event must be examined. There was request of the era that the Confucianism should be fundamentally reconstructed as the arise of Western studies or Yangming studies raised problems. The events such as Munche Banjeong was response of the state to the request, before the results of ideological or literary response come out, in rather artificial and oppressive manner as the request meant a crisis of existence.

      • KCI등재

        正祖 年間 文風의 한 변화양상

        朴在慶(Park Jae kyung)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1 No.-

        본고에서는 정조연간에 작성된 대책 특히, 李鈺의 대책과 문자고증학과 관련된 대책 등을 중심으로 당시 새로운 문풍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분석하였다. 그렇게 분석해 낸 이 시기의 특징들은 18세기의 변화가 극에 달했던 시기였던 정조연간의 다양한 변화의 움직임에 대한 動因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그 실마리를 통해 결과적으로 ‘진정한 문장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대한 그 시대의 지식인들이 보여줄 수 있는 최선의 답안이자 꾸미지 않은 참 그대로의 답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특히 18세기에 접어들면서 도학담론이나 형이상학적 철학 담론이 눈에 띠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철학이나 형이상학적 담론이 ‘眞’에 배치되는 개념일 수는 없다. 다만, 보다 사실적인 것에 시선이 옮겨져 온 것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18세기의 변화된 이와 같은 경향은 사실관계의 철저한 규명이나 실체적 지식을 확인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정조연간의 새로운 흐름을 창신한 이들이 주장하는 바를 종합하여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바로 ‘지금[今]’ ‘참 그대로[眞]’의 ‘나[我]’ 혹은 ‘우리[조선]’을 표현하는 것만이 진정한 문장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眞’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지향점에 다름 아니다. 원래 가지고 있는 것, 참다운 나만의 그것을 그대로 끄집어내는 것이 갖는 진정성에 대해 강조한 것이다. ‘眞’이 표방하고 있는 眞實은 사전적 지식에서의 사실고증도 포함된다. 正祖 年間의 대책에서 대표적으로 간취되는 성향 중 하나는 바로 사전적 지식을 통한 사실관계의 검증이다. 이러한 흐름은 곧 박물학적 글쓰기 방식으로 구현되었고, 그 결과, 일본을 가본 적도 없는 이덕무가 蜻蛉國志 를 편집하여 책으로 쓸 수 있게 만들었고, 유득공이 발해고 를 지을 수 있게 했으며, 서유구가 林園經濟志 라는 저작을 남길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해준 계기가 되었다. 이제까지 조선 시대를 전반의 당대 특징을 파악하는 자료로 사용하였던 자료는 개개인의 문집이나 전집류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저마다 형태가 다른 문학작품에 한정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책이라는 문체가 같은 시기, 같은 사안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했던 시험답안지의 형태라는 점에서 문학적 試料로서 갖는 의미가 결코 작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meant to analyze the changes in article styles of Daekchaek during Jongjo era, especially based mainly on Lee Ok’s daechaek and textual investigation. Joseon Jongjo era underwent lots of changes, we can understand more about the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change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se factors, we can understand the question ‘What is a real article?’ by learned people’s works. In later Joseon, especially near 18 century, the fact is apparent that the discussion on Daoism, Metaphysics, Philosophy has become rarer and rarer. The discussion on both Metaphysics and Philosophy are against the concept of reality. One thing that is for sure is that people had shifted their attention to something more realistic. To conclude the new trend created during Jongjo era in one sentence, is real article that can present ‘now’, ‘reality’ and ‘I,’ or ‘we (Joseon).’ The ‘reality’ here is not the goal to pursue. The reality, which is brought by the things that already exist or the actions that can show what I exactly have inside, is what being emphasized. The truth claimed by the ‘reality’ also includes the investigation toward the knowledge in the dictionary. With all Daekchaek brought up during Jongjo era, the most representative feature is to check the relations between things through the knowledge in the dictionary. The trend can be seen in the way of writing in encyclopedic study, which offered the background like Lee Deok Mu, who had never been to Japan, could write cheongnyeonggukjji( 蜻蛉國志 ), Yu Deuk Gong could finish the balhae-go( 渤海考 ), and that the Imwon-gyeongje( 林園經濟志 ) written by Seo Yu Gu as opportunities for study. Until now, the materials used to learn the contemporary feature during Joseon are the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or the complete collections of works, from which can only learn about various literatures. In this study, through the literary form named Daekchaek, the answer sheet can help learning the same events during the same time and express personal opinion. The meaning brought by the literary test questions is not slight at all, but can check the fact one more time.

      • KCI등재

        청조 “문치(文治)” 정책의 재고찰 : 清朝 “文治” 政策再硏究

        양니엔췬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淸朝는 만주족이 세운 이민족의 왕조로, 그 문화정책은 전대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동시에 자신만의 특색을 가졌으니, “정복왕조”와 ”중원왕조”로서의 이중적 특성을 함께 갖추었다. 청조의 제왕 가운데 특히 강희, 옹정, 건륭 시기에 한족 문화의 정수를 대량으로 흡수하는 한편, 산해관을 넘기 전의 낙후하고 투박했던 모습을 은폐하였다. 그리고 明朝의 유민과 관련된 민간의 역사서술을 말살하려고 했으니, 그 문화정책은 그들만의 강력한 정치적 선별 시스템의 제한을 받았다. 청조의 제왕들은 “正統(정치적 정통성)”과 “道統(도학적 정통성)”을 자신에게 집중시켜, 대형 유서의 편찬과 여러 차례 문자옥을 통해 士의 사상과 의식을 개조하고 민간의 여론을 통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림과 민간의 의식을 통제하는 거대한 그물망을 만들었으며 나아가 청조의 학문 풍격을 형성하였다.

      • KCI등재

        청대(淸代) 한중 지식인 교류와 문자옥(文字獄) -『건정동회우록(乾淨동會友錄)』을 중심으로-

        송원찬 ( Won Cha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淸代 한중 지식인의 만남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시대배경에 대해 논하고 있다. 연행록은 조선시대 한중지식인 교류를 기록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록이다. 특히 중국의 자료에서 보기 힘든 일상생활과 섬세한 만남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당시 한중지식인이 매우 다양하고 활발하게 교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건정동회우록』에는 한중 지식인의 만남에서 눈물을 흘리는 중국 지식인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이를 두고 일본 학자 후마 스스무는 한국지식인의 태도를 비판한다. 그는 조선 지식인이 너무 성리학에 심취하여 감정을 억제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이 논문은 후마 스스무의 논리전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당시 시대적 배경과 환경을 점검하여 이에 대해 비판한다. 우선 일반적인 만남에서 눈물을 흘리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인가를 의문으로 시작하여 대다수 필담으로 진행되었던 한중지식인의 만남에 대해 살펴본다. 당시 지식인의 교류는 만남부터 헤어짐까지 모두 남의 눈을 의식하는데, 심지어 필담을 나눈 종이를 찢어버리는 등 어딘가 어색한 부분이 자주 존재한다. 어떠한 시대적 요소로 인해 한중지식인이 이처럼 어색한 만남을 지속했으며, 이러한 배경이 어떻게 만남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discusses unique background of the times displayed in the meetings amo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Yunhangrok is a very important record that keeps track of exchanges amo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Especially, it provides rich materials of daily lives and delicate meetings, which are difficult to be found in Chinese materials. Through this record, it can be found out about the fact that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had exchanged very frequently and variously. Ganjeongdongpildam shows that some Chinese intellectuals had shed tears in a meet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and a Japanese scholar, Huma Susumu critiqued the attitudes of Korean intellectuals. He evaluated that Korean intellectuals were so fascinated by neo-Confucianism and thus suppressed their emotions. This study attempts to critique the standpoint of Huma Susumu by checking out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situations because it can be said that his way of presenting his logic has some faults. First, this study doubts if there is a common phenomenon to weep tears in a general meeting and examines meetings among Korean and Chinese at that time in which they exchanged conversation by writing. Exchanges at that time presented that the intellectuals were very sensitive to what others think about them during the whole process of greetings and farewells and even very unusual events often appeared such that they torn apart papers through which they exchanged conversation by writing. This research tries to analyze what motivated these kinds of unusual meetings to be continued amo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and the way in which this background had influenced their meeting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경 유리창(琉璃廠)과 지식인 교류의 세 층위

        박수밀 ( Su Mi Par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 Vol.0 No.43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three layers of intellectuals` exchange made in Beijing Liulichang, and to find out the inner consciousness and altruism of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and to prove out the mechanism of their exchange, and more to see what conditions existed in this exchange, what points were important in communicating one another. First of all, it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at place, Liulichang. Liulichang was the district to build the bridge between Chosun and Chinese intellectuals. Especially it was the very important point in exchanging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that the whole district of Liulichang was hangout for Korean intellectuals. And next, it looked into the aspects of various meetings at Liulichang, focusing"Kye-San-Ki-Cheong"of Hae Ueng, Lee,"Yeon-Haeng-Rok"of Chung Jung, Kim,"Kuen-Jeong-Dong-Pil-Dam"of Dae Yoeng, Hong. The main reason of cutting off the exchange was found out in"Kye-San-Ki-Cheong"of Hae Ueng, Lee. The prison of letters, so called"The prison of the letters(文字獄)", happened in China and its fear were important issues in cutting off the exchange. In this course, the exchange system of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using Chinese letters in the Middle age was revealed out. In"Yeon-Haeng-Rok"of Chung Jung, Kim, it revealed the general aspect of individual exchanges reported in"Yeon-Haeng-Rok". Chosun classical scholars as intellectuals could appreciate the world widely and take advantage of the companionship creatively. However, they could not see the great world of culture newly, having no sense of investigating it, mainly because of the sense of small senocentrism, so called ``Sinocentrism``.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ality of creative exchange in"Kuen-Jeong-Dong-Pil-Dam"of Dae Yoeng, Hong. The meeting with Dae Yoeng, Hong and three Chinese scholars of Hang Joo opened a new horizon in the exchange history of Chosun and China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and caused the big argues for and against in Chosun society. The sincerity of opening the hearts played an essential role in enlarging the effect of their meeting up to the point of opening a new horizon in the exchange history of the East Asia. The inner sincerity and the sense of acknowledging the others -altruism- are much more fundamental than any other external points for the true exchange.

      • KCI등재

        『열하일기』에 나타난 한,중 지식인의 교류양상

        진빙빙 ( Bing-bing Che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1

        본 논문은 『열하일기』를 통해 한,중 지식인의 교류양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열하일기』는 연암 박지원이 1780의 중국 사행시, 자제군관의 명목으로 참가하여, 두 달 동안의 일기와 여러 가지의 견문을 수록하여 작성한 작품이다. 그 중에는 중국의 정치,경제,문화,풍습 등 사회 현황을 기록한 것이 외에도, 한중 양국 지식인의 교류에 관한 내용도 많이 언급하고 있다. 『열하일기』에 언급한 문인들은 두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시대 중한 문학교류에 있어 탁월한 인물, 또는 중국에서 연암과 직접 교류하였던 중국 지식인들이다. 이들 간의 문화교류는 중,한 문화교류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박지원의 인식, 또는 문예사상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들의 언설을 통하여 한,중 지식인의 교류양상과 중국 사회의 발전현황, 나아가 중국 지식인의 사회인식 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The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aspects of communicatio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literary intellectuals through the examination of Jehol Diary by Park Ji-won, In the 1780s, Park Ji-won went to China as a military officer on a diplomatic mission and spent more than two years in travelling. After returning to Korea, Park Ji-won compiled his diary written in China and the observations into the well-known Jehol Diary. The book records Chinese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customs in detail as well as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ry intellectuals. Jehol Diary introduces two types of literary intellectuals. One is the major outstanding figures in the earlier times of Korean-Chinese literary exchanges, and the other is Chinese intellectuals Park Ji-won met during his travel to China. Their amiable communication promoted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cquainted Park Ji-won with Chinese culture and contributed to his literary creation.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in Park Ji-won’s works, further comprehend the philosophical trends of Chinese intellectuals an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