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 기반 무크 서비스를 위한 학습․운영 서비스 요소 분석

        정미강(Mi-Khang Chung),구양미(Yang-Mi Koo)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3

        무크는 고등교육 지원에서 더욱 확장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전문심화 교육과정을 서비스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무크서비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는 해외 무크의 전문 프로그램들의 서비스 요소를 파악하고자 ‘역량’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Udacity, edX, Coursera 3개의 무크 플랫폼에서 9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이들의 서비스들을 10개의 학습서비스 및 10개의 운영서비스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성인 또는 대학생이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역량인 공통역량, 전공 분야의 심화 역량인 학술역량, 직업인으로서 필요한 전문적인 역량인 직업역량의 3개 주요 역량에 맞춰 서비스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9개의 프로그램은 각 역량에 따라 전략적으로 학습과 운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최종 도출된 역량별 서비스 요소를 토대로 역량 기반 무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무크의 전문적인 서비스의 발전에 실질적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OC services are revolutionizing from just free offering higher education to professional and intensive courses that learners, employers and society demand. However, there is almost no study about services that such MOOCs provide in domestic papers. 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service components of professional programs of MOOCs. For analysis, we adopt the concept of ‘competency.’First, we selected 9 programs from Udacity, edX and Coursera, and classified their services into 10 learning and 10 operating service components. And then we drew MOOC service components according to 3 competencies - foundational competency needed as adult or university students in society, academic competency in higher education, and job competency needed to employees in the workplaces. Finally, we suggested service strategy for MOOC based on competency.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practically applied to various professional and intensive programs of domestic MOOCs.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로컬 무크의 현황과 과제 -JMOOC와 K-MOOC의 비교-

        윤지현,황영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1

        Recently, Open Education has been brought into light with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y, bringing many to draw their attention to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This study h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MOOC of the Eastern Asia region: Japan’s JMOOC, and Korea’s K-MOOC. The comparison was done looking a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in detail: (1)Background and purpose, (2)Features of provided courses, (3)Features of enrolled students. Also,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studies that were done and/or related to MOOC within databas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The meta-analysis takes a look at: (1)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2)Demand analysis and evaluation on MOOC, (3)Design layout of the MOOC, (4)Development and study results of its implementation. Lastly, based on the course analysis of local MOOC an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n the studies, the conclusion proposes (1)Strategies for Korean styled MOOC and (2)Potential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using MOOC. 최근 교육 분야에서 오픈 에듀케이션이 주목을 받으며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동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로컬 무크인 일본의 JMOOC와 한국의 K-MOOC를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①배경과 취지, ②제공하는 강좌의 특징, ③수강자의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했다. 이어서, 한국과 일본의 연구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MOOC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해당 논문을 정리한 후, 이들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메타분석에서는 ①현재의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②MOOC의 수요 분석과 평가, ③MOOC의 설계, ④MOOC의 개발과 실시에 관한 연구 성과에 대해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로컬 무크의 코스 분석과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한국형 무크 운영을 위한 전략과 (2)무크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제언했다.

      • KCI등재후보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김성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6

        This study developed a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for making a global MOOCs contents. As a minor language teaching model, this model is based on the organizing principle of the national flag of Korea. The specialty of these 4 steps in the model is the task process following the theory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purpose of the analysing task is to raise the critical literacy for the 21st global intellectuals. The activation of Korean MOOCs will affect as follow: First, the cost for developing the same curriculum will be saved sharing the best courses in the nationwide universities. Second, increasing oversea students will improve the various index in Korea in the future including the higher education needs. Third, Korean MOOCs will enhance the value of the national brand, K-education will create the labor needs such as facilitators or curators for managing blended learning or flipped learning using K-MOOCs. 본고에서는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을 개발한 뒤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소수 언어인 한국어 교육 모형은 한국적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태극기의 구성 원리에 기반을 두었다. 본 4단계 언어 교육 모형의 특징은 유학생으로서 왜 한국어로 특정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지, 이 장르는 평소에 어떤 맥락에서 생성되고 유통되며 누구의 이익에 기여하는지를 검토하는 비판적 담화 분석 과정을 따른다는 점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21세기 글로벌 지식인에게 필요한 비판적 문식성을 기를 수 있다. 한국어 무크 교과의 국내외 활성화로 예상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에서는 대학 간 우수 강의를 공유함으로써 동일 강의 개발에 중복 투자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의 저변을 확대하고 해외 유학생을 유입함으로써 학령인구 급감으로 인한 고등교육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대외적으로 국가 브랜드를 제고함으로써 교육 한류 관련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 MOOCs의 고교 교육 적용 방안

        최성권(Seong-kwon Choi),이태욱(Tae-Wuk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누구에게나 질 높은 강의를 무료로 수강할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MOOCs의 야심이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MOOCs 강의는 고등교육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언급된 MOOCs의 장단점을 분석해서 고등학교에서 효과적으로 MOOCs를 활용할 방안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전공 탐색의 기회와 학생부종합전형 활동자료로 활용하거나, 플립러닝 형태의 수업에서 강의자료로 활용하며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따른 학생 선택 과목 확대에 대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MOOC에서 소셜 러닝 촉진을 위한 튜터링 가이드라인 개발

        임상훈(Sanghoon Im),강수민(Sumin Kang),천보미(Bomi Chun),유영만(Yeong Mahn Yo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6

        본 연구는 MOOC에서 튜터가 소셜 러닝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튜터가 소셜 러닝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밝힌 후, 소셜 러닝을 촉진하기 위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 러닝 기반 MOOC 플랫폼인 FutureLearn에서 실제 튜터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6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H대학교 FutureLearn 강의를 담당한 튜터들 중 과정 개발 및 운영 전반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소셜 러닝에 대한 이해가 풍부한 사람을 H대학교 교수학습센터의 MOOC 운영담당자로부터 추천받아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튜터의 소셜 러닝 촉진 과정에서 개인적, 사회적으로 축적된 경험을 심층적으로 접근하였다. 심층 면담 이후 문헌 연구를 병행하여 튜터에게 필요한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튜터링 가이드라인은 FutureLearn에서 강의를 운영하고 있는 교수 2인 및 운영담당자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튜터가 소셜 러닝 촉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소셜 러닝 차원에서 맥락 유지, 연결 지원, 협력 환경 구성 등에 관한 8가지 문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이러한 세 가지 차원에 대해 튜터의 교수적 · 관리적 · 기술적· 사회적 역할에 따라 총 18개의 튜터링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MOOC에서 소셜 러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그 촉진자로서 튜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튜터링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OC에서 튜터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며, 다양한 지역 및 문화권의 학습자가 존재하는 MOOC에서 튜터에게 소셜 러닝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오리엔테이션과 같은 사전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utoring guideline for facilitating social learning in the MOOC. We developed and verified the tutoring guideline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of the tutor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and promote social learning.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with six people who had worked as actual tutors in FutureLearn, a social learning - based MOOC platform. The derived tutoring guidelines were validated by two professors and two operation staff in FutureLear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tutors not only who participated in FutureLearn courses of H University and experienced in the overall course development & operation, but they had a strong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tutors to gain the tutor’s personal and social accumulated experience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eight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tutor in promoting social learning. Therefore, a total of 18 tutoring guideline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according to the instructor, managerial, technical, and social roles of the tu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the tutor as a promoter of social learning and suggests guidelines for tutoring by verifying the process of social learning in MOOC. MOOC requires a new awareness of the role and importance of tutors and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social learning to tutors in MOOCs where there are learners of various localities and cultures, pre-training such as orientation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대학교 음악수업의 온라인 활용에 대한 연구 ╶ 무크(MOOC) 플랫폼을 중심으로╶

        주태원(Tai Yuan Zhu),홍성규(Sung Kyu Hong)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1

        현재의 사회는 정보화와 디지털화의 사회이다. 이에 다양한학습자와 수요가 나타나고 있으며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교수자 중심의 교육 패러다임으로부터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고 온라인 교육 방식인 무크플랫폼이 그 대표이다. 본 연구는먼저 MOOC플랫폼의 발전계기와 플랫폼의 종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해외 유수 플랫폼인 Coursera, edX, XuetangX, Futurelearn, 그리고 국내 플랫폼인 K-MOOC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플랫폼마다의 특징과 차이점 및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국내외 무크플랫폼을 중심으로개설된 음악 관련 강좌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플랫폼 별로 현재 개설되어 있는 음악 강좌를 선정하여 교육의 목적, 커리큘럼, 평가방식, 상호작용방식, 학점인정과수료 등 다방면으로부터 K-MOOC와 해외 유수 플랫폼에서의 음악 강좌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장단점과 차이점을찾고 K-MOOC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odern society is a data-oriented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ccordingly, The emergence of different learners and needs calls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e MOOC platform, an online education system, is representative among the trends of shifting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aradigm. In this study, firstly, we will have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development opportunity and the type of MOOC platform. Furthermore, We will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foreign platforms such as Coursera, edX, XuetangX, Futurelearn and the domestic platform K-MOOC in order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trends of each platform. In addition, we will analyze the overall status of music-related lectures centered on domestic and overseas MOOC platforms and discuss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university's educational programs. By selecting the music courses that are currently open for each platform, we will be able to compare and analyze music courses from K-MOOC and other leading MOOC platforms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educational purpose, curriculum, evaluation method, interaction method,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K-MOOC.

      • KCI등재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 서비스 사용성 평가

        전혜미(Jeon, Hye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현재 IT기술과 대학 강의 콘텐츠를 융합한 MOOC 서비스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많은 학습자들은 MOOC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실용적인 강좌를 학습하거나, 분야별로 단계별 학습 과정을 수강해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MOOC 서비스인 K-MOOC의 인터페이스와 학습 상황 속에서의 인터랙션에 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MOOC와 K-MOOC의 이해를 돕고, 휴리스틱 평가 방법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구성하여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주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목적과 플로우를 고려한 서비스 설계와 직관적이고 간결한 시각적 요소 사용 및 배치를 통해 사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습 상황에서의 인터랙션 측면에서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대화형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서비스가 필요하고, 명확하고 정확하게 학습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K-MOOC의 주요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인터랙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를 유용하게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사이트에 국한된 평가라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개선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서비스의 시험운영을 실시하고 사용자 대상의 검증 및 평가 통해 가이드라인의 구체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MOOC service, which combines IT technology and contents of university lectures, is rapidly expanding. Many learners use MOOC services to learn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they can take a step-by-step learning process in each field, and can systematically learn from the basic stage to the deepening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s in learning situa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K-MOOC, a Korean MOOC service. Through literature surveys, I helped to understand MOOC and K-MOOC. The evaluation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ology and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service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purpose and flow of service use of main users, and the usability should be increased by using and arranging intuitive and concise visual element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situation was that the service for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was necessary.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confirm learning progress clearly and accurately, so that service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will be useful to use the service effectively by studying the interface and interaction of the main functions of K-MOOC.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valuation that is limited to one sit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the trial operation of the service applying the improvement guidelines in the future and to make efforts to specify the guidelines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users.

      • KCI등재후보

        온라인 교육문화혁명: MOOC

        최진숙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4

        교육은 문화의 본질적인 요소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문화를 변모시키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대학 교육은 높은 교육비에 비하여 정작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한 가운데, 유대시티, 코세라, 에드엑스 등 무크 (MOOC)라 불리는 대규모공개온라인강좌가 높은 교육비와 낮은 대학교육의 질이라는 고질적인 대학교육을 개혁할 대안으로 급부상되고 있다. MOOC는 전통적인 교육방식에 비하여 엄청난 숫자의 수강 인원을 감당할 수 있고 교육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또한 MOOC가 발전시킨 정보기술과 교수법은 전통적인 교육의 질적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공개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공익 증진과 효율적인 평생교육의 수단이 될 가능성도 높다. 이에 본고에서는 돌풍의 주역인 3대 MOOC를 중심으로 열풍의 배경, 대학교육과의 (보완재 또는 대체재로서의) 관계, MOOC 강좌의 특성 (대학교육에 대한 함의), 수익모델 등을 살펴보고, 이것이 한국의 대학교육에 던지는 시사점 등을 알아보았다. Recently, the MOOC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cure the chronic diseases of higher education such as the ever-increasing tuition fees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paper provides a brief explanation for its birth, development and rapid growth and reflects on its effect on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characteristic features, and monetization model.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that the MOOC casts on the Korean university education reform. As a MOOC can accommodate unlimited number of students in one course, it has the potential to lower the cost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o almost nothing. In spite of skepticism about the educational quality of the MOOC from some quarters, this cost-reducing possibility of the MOOC may disrupt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system. Openness of the MOOC allows anyone to access the lectures given by pre-eminent professors at no cost at any time at any place, increasing the opportunity for higher learn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pedagogical methodology employed in the MOOC are expected to improve the outcome of education.

      • KCI등재

        MOOC 플랫폼을 활용한 일본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 성인학습자의 일(日)·영(英) 멀티링구얼 교육을 중심으로 -

        박강훈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4 No.-

        本稿の目的は、MOOCのプラットフォームを活用した日本語教育の現状と展望について述べることである。研究対象は研究者が2018年度以来直接行っている日英マルチリンガルのMOOC講座である。韓国の大学ではMOOCの講座開発が毎年増加しつつあるが、日語日文学専攻におけるMOOCの開発および研究は非常に少ない。本稿は日英マルチリンガル教育をMOOCを介して発信することにより、(i)需要者のニーズに応えられる、(ii)現在J大学で進行中の日英マルチリンガル教育との相乗効果が得られる、(iii)海外就職及びグローバル人材育成などへの貢献が可能である、(iv)今後の多言語教育の教授法へ貢献できる、(v)JMOOCなど海外の様々なMOOCのプラットフォームにも今後公開が可能であることを述べる。MOOCのプラットフォームを活用した日本語教育の課題として、(i)既存の日語日文学専攻のカリキュラムとは違った画期的なMOOC講座の運用が必要、(ii)現在各大学の日語日文学専攻で作られたカリキュラムではなく、より実用的な講座開発が必要、(iii)MOOC制作のためのIT企業とのコラボレーション、MOOC大学連合体の形成、それから政府支援の拡大などの制作環境の改善、(iv)講義言語の多様化を通した国際化への模索が挙げられる。 This paper seeks to clarify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s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sing a MOOC platform, focusing on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education that this author has conducted since 2018. Although the development of MOOC courses at Korean universities is advancing yearly,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MOOCs for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rograms have been fairly insignificant. The social and educational effects of developing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education through MOOCs include: (i) better meeting the needs of students, (ii) interacting synergistically with the current Japanese-English multilingual lessons at J University. (iii) contributing to overseas employment and glob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v) contributing to teaching methods of multilingual education, and (v) being implemented in MOOCs overseas such as JMOOCs. The prospects and issues of education through MOOC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i) develop innovative MOOC courses distinct from the existing curricula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rograms, (ii) develop more practical curricula, (iii) improve the production environment, and (iv) seek internationalization by diversifying the lecture languages.

      • KCI등재

        MOOC영상 콘텐츠 제작 연구 - S대학교 MOOC강좌 개설을 위한 콘텐츠 자체제작을 중심으로

        정우용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MOOC textbook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contents for MOOC courses on campus and to propose a standard plan in relation to the K-MOOC develop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OOC content production process in conjunction with the start of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t S university. By independently producing MOOC content inside the school, the displayed feat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opening an e-learning lecture was a positive motive for the production of MOOC lectures, and it is feasible to create all new content. 2) On-campus equipment and equipment for content production are prerequisites, and a country-wide approach is necessary to resolve copyright issues in an educational context. 3) The MOOC textbook should be structured to allow flexible time allo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4) In order to realize MOOC's educational philosophy of mass online classes,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comprehensive budget linked to the costs which will be incurred for interaction with an unspecified majority of users. The results of this review posit a reasonable means of complying with MOOC's philosophy to produce content for the opening of MOOC courses on campus. 본 연구는 MOOC강좌 개설을 위한 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MOOC교재의 효율적 제작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K-MOOC개발 방식의 기준정립 및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가 2016학년도 2학기 개설을 목표로 한 MOOC강좌 콘텐츠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일본문부성이 주관한 보고서를 주요자료로 비교하였다. MOOC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함으로써 나타난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E-Learning 강의개설 경험은 MOOC강좌 제작을 위한 긍정적 동기로 작용하였으며, 콘텐츠는 전량 신규로 제작하는 것이 합리적 방안이다. 2. 콘텐츠 제작을 위한 교내설비와 장비는 필수조건이며, 교육용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해결을 위해 국가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3. MOOC교재는 신축성 있는 시간배분과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4. 대규모 온라인 공개수업이라는 MOOC의 철학을 실현하기 위해서 콘텐츠 제작과정에서부터 불특정 다수와의 상호작용을 위한 운영비용 등이 연계된 포괄적 예산책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검토 결과에 의하면 MOOC강좌 개설을 위한 콘텐츠를 교내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MOOC의 철학에 부합되는 합리적 방법이라는 사실에 접근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