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표지향성, 상사부하 교환관계, 부하 신뢰성 인식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병권(Byoung Kwon Choi),전재욱(Jae Uk Chun),원지현(Ji Hyun Won),문형구(Hyoung Koo M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4

        " As feedback is being considered as a valuable resource to improve employees’ work performance, many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on the feedback-seeking behavior over the last thirty years. Since prior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follower’s feedback-seeking behavior, there is a natural lack of research on how leaders seek feedback from his/her followers. Indeed, feedback can be instrumental not only for followers but also for leaders in terms of capability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nhancement. Moreover, although there a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feedback-seeking behaviors such as method (inquiry, monitoring), timing, and type (positive, negative), methods or the frequency were the most addressed topic by previous works on feedback-seeking. Accordingly, feedback types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the feedbackseeking literature. Especially negative feedback,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inadequacies in work behavior and performance, can help leaders to understand which areas of managerial role, work, and performance need to be improved and corrected. Therefore, negative feedback sought from followers by the leaders will be very critical for the improvement of managerial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eyond the prevailing follower-centric research on the relevant topic. First, we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Given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is basically an individual’s deliberate and voluntary effort to achieve a certain goal, these two types of goal orientation considered as dispositional personalities are expected to influence leaders’ feedback-seeking behavior. Second, considering that feedback-seeking behavior operates in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the seeker and the giver (i.e., feedback source), leaders’ perception of followers’ characteristics will influence on their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will also interact with their learning/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Therefore, we then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leader’s perception on follower credibilit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137 leader-follower dyad sample. As predicted, our results showed that leaders’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behavior of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However, contrary to our hypothesis, we failed to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from followers. Moreover, we found that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had th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goal orientations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behavior. To be more specific,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voiding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weaker when the quality of LMX was higher.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negative feedback-seeking was stronger when both the quality of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were higher. Our study offer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of all,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feedback-seeking literature by examining the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mechanism. Especially, we found various predictors of leaders’ negative feedback-seeking from followers by considering leader’s dispositional (goal orientation) and follower’s characteristics (LMX and follower credibility). 피드백은 개인의 성과향상에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면서, 그 동안 조직 내 구성원의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부하의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어 온 반면,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피드백추구 행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피드백추구행동의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주로 피드백추구의 빈도 또는 방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피드백의 유형(긍정적, 부정적 피드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피드백은 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에게도 중요할 자원이며, 특히 부정적 피드백은 상사의 효과성 향상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관점을 확대하여,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가설로는 첫째,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의 기질적 특성인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둘째, 피드백추구는 피드백 추구자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원천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신뢰성 인식과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목표지향성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해서 상사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가 인식하는 상사부하 교환관계와 부하 신뢰성은 상사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효과 측면에서 보면, 상사부하 교환관계가 높을수록 성과회피목표지향성과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간의 부의 관계는 약화되었으나, 부하 신뢰성 인식이 높을수록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에 대한 학습목표지향성의 긍정적 영향과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의 부정적 영향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피드백추구행동의 빈도 및 부하 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상사의 부하로부터의 부정적 피드백추구행동의 선행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 행동의 연구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상사의 기질적 특성인 목표지향성, 부하의 전문성 및 능력에 대한 상사의 신뢰성 인식, 상사부하의 교환관계의 질,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피드백추구행동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목표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 및 부정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

        김어림,한태영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1 No.1

        본 연구는 지속학습활동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밝힘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지속학습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행 목표지향성과 학습 목표지향성을 개인차 변인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긍정 및 부정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조직의 직장인 20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수행 목표지향성과 학습 목표지향성 모형을 개별 검증한 결과 각 목표지향성은 긍정 및 부정 피드백 추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 피드백 추구행동은 지속학습활동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 피드백 추구행동은 수행 목표지향성과 지속학습활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한 반면에, 학습 목표지향성과 지속학습활동 간의 관계는 부분매개하였다. 개별 모형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수행 목표지향성과 학습 목표지향성을 동시에 투입한 추가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긍정 및 부정 피드백 추구행동이라는 제 3변인을 통해서 조직 구성원의 목표지향성과 지속학습활동 간의 패턴을 밝혔다는 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목표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과 미래목표

        신현숙 ( Hyeonsook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이루지 못한 목표의 달성을 추구하는 대학생들의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심리적 적응, 미래목표, 목표동기, 목표평가를 목표달성 집단과 비교하여 알아보는 데 있다. 전국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55명으로부터 온라인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독립표본 t 검증 결과, 지각된 진로 불확실성 수준, 사회적 변화에 대한 1차 평가, 불안, 미래목표를 추구하는 외적 이유, 동일시 이유, 내적 이유, 미래목표의 중요성 평가에서 목표추구 집단과 목표달성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표달성 집단에 비해 목표추구 집단의 사회적 변화에 대한 2차 평가, 삶의 만족도, 미래목표의 달성가능성 평가, 미래목표에 대한 긍정적 감정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반면에 우울, 스트레스, 내사된 이유 수준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미래목표 내용의 질적 분석 결과, 두 집단에서 취업 관련 미래목표가 가장 많이 진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목표추구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 지원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sychological adjustment, future goals, goal motives and goal appraisals compared to goal completion students. Onlin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ample of 755 college students. First, independent samples t-tests revealed that group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uncertainty, prim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anxiety, extrinsic/identified/intrinsic reasons, and appraisal of future goal importance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goal striv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secondary appraisal of social change, life satisfaction, appraisal of future goal attainability, and positive feeling toward future goals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ion, stress, and introjected reasons than the goal completion group.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groups most frequently stated future goals related to employm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goal striving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목표추구 지향성, 자기조절동기, 자기구실 만들기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자기조절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연,장형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goal-seeking orientation,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self-handicapping. One-hundred and eighty five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goal-seeking orientation(growth-seeking, validation-seeking), self-regulated motivation(intrinsic,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and self-handicapping. Structural analyses showed that growth-seeing contributed positively to 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while validation-seeking contributed positively introjected regulation; 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in turn contributed negatively while introjected regulation contributed positively to self-handicapping. Mediation analyses showed that intrinsic and identified regulation explained the direct effect growth-seeking had on self-handicapping while introjected regulation explained the direct effect validation-seeking had on self-handicapping. 본 연구는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 자기조절동기, 자기구실 만들기의 구조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는 대학생 185명이 참여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목표추구 지향성의 하위구인인 성장추구 지향성은 내재적 조절동기 및 동일시 조절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목표추구 지향성의 또 다른 하위구인인 확인추구 지향성은 내사 조절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목표추구 지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의 관계에서 성장추구 지향성은 자기구실 만들기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확인추구 지향성은 자기구실 만들기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자기 조절동기와 자기구실 만들기의 관계에서 내사 조절동기는 자기구실 만들기를 정적으로 동일시 조절동기는 자기구실 만들기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나, 내재적 조절동기는 자기구실 만들기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지는 않았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장추구 지향성은 동일시 조절동기를 매개로 하여 자기구실 만들기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확인추구 지향성은 내사 조절동기를 매개로 하여 자기구실 만들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목표추구 지향성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대처 전략인 자기구실 만들기의 관계를 파악할 때 자기조절동기의 질적 수준과 같은 심리적 변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고영남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삶의 의미가 삶의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삶의 의미의 하위요인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생애목표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생애목표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삶의 만족 척도를 실시하였고,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는 물론 성취지향 목표도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고, 삶의 의미 차원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지향 목표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취지향 목표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와 성취지향 목표 모두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또는 의미발견만을 거치는 단일매개효과는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goals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282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Life Goal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achievement goals and personal life goa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produced complete mediation effect when achievement goals impacted on life satisfaction. Also, the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life goals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s of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on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인의 목표지향성과 직무수행 간 관계에서 자기조절 활동 및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의 영향

        김사라,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목표지향성인 학습, 증명, 회피목표지향성과 적응 및 과업수행 간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 활동(목표설정, 피드백추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자기조절 활동과 두 가지 수행 간 관계에 대한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 28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직무수행을 평가하기 위해 동료 및 상사 38명으로부터 타인평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목표지향성 중 학습목표지향성과 증명목표지향성은 적응수행 및 과업수행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회피목표지향성은 적응수행 및 과업수행과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관계를 자기조절 활동인 목표설정 및 피드백추구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자기개발에 관심이 높기 때문에 자기조절 활동을 더 많이 하였고, 결과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적응수행과 과업수행을 나타내었다. 증명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은 타인과 비교하여 더 나은 평가를 받는 것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학습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보다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자기조절 활동을 하고, 결과적으로 높은 수준의 적응수행과 과업수행을 나타내었다. 한편, 회피목표지향성이 강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돌아올 부정적 피드백을 회피하고자 하는 데 관심이 많기 때문에 자기조절 활동을 적게 하고, 따라서 적응수행이나 과업수행도 낮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가 피드백 추구와 적응 및 과업수행 간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사회적 네트워크 강도가 강한 사람일수록 피드백 추구와 적응 및 과업수행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구색의 크기와 목표 진행상황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문용 ( Moon Yong Kim ),박세훈 ( Sehoon Park ),한희연 ( Hee Yeon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초기 목표가 건강 관련 목표인 소비자가 맛은 덜 하지만 건강에는 좋은 대안들(실용적 대안들)과 맛은 있지만 건강에는 좋지 않은 대안들(쾌락적 대안들)에 동시에 노출된 상황에서 여러 개의 대안을 한꺼번에 선택할 때, 선택 대안들의 구색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구색의 크기가 작은 경우와 비교할 때 소비자의 목표(즉, 건강관련 목표) 진행상황 수준(높은 목표 진행상황 vs. 낮은 목표 진행상황)에 따라 (1)대안(실용적 vs. 쾌락적) 선택행동 및 (2)다양성 추구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기 목표가 건강 관련 목표인 소비자가 실용적 대안들과 쾌락적 대안들에 동시에 노출된 상황에서 여러 개의 대안을 한꺼번에 선택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진행상황의 수준은 구색의 크기가 소비자의 대안(실용적 vs. 쾌락적)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가설 1). 즉,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 진행상황이 높을 때는 구색의 크기가 커질수록 쾌락적 (vs. 실용적) 대안의 선택점유율이 감소하는 반면(가설 1-1),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 진행상황이 낮을 때는 구색의 크기가 크건 작건 상관없이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가설 1-2). 둘째, 초기 목표가 건강 관련 목표인 소비자가 실용적 대안들과 쾌락적 대안들로 구성된 제품구색에서 여러 개의 대안을 한꺼번에 선택할 때,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 진행상황의 수준은 구색의 크기가 소비자의 다양성 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것이다 (가설 2). 즉,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 진행상황이 낮을 때는 구색의 크기가 커질수록 다양성 추구행동이 보다 크게 나타나는 반면(가설 2-1), 소비자가 지각하는 목표 진행상황이 높을 때는 구색의 크기가 크건 작건 상관없이 다양성 추구행동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가설 2-2). 본 연구는 가설 검정을 위해 피험자들의 목표(즉, 체중감량) 진행상황의 수준을 조작(높은 목표 진행상황 vs. 낮은 목표 진행상황)하고, 총 3가지 제품군을 선정하여 구색의 크기에 따라 작은 구색은 6개의 대안으로, 큰 구색은 18개의 대안으로 구성하여, 피험자들로 하여금 각 제품군마다 제공된 대안들 가운데 총 4개의 대안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감량 목표를 갖고 있는 피험자가 실용적 대안들과 쾌락적 대안들에 동시에 노출된 상황에서 여러 개의 대안을 한꺼번에 선택할 때, 높은 목표 진행상황 조건에서는 구색의 크기가 큰(vs. 작은) 경우에 쾌락적 (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이 감소한 반면, 낮은 목표 진행상황 조건에서는 구색의 크기가 크건 작건 상관없이 쾌락적(vs. 실용적) 대안의 선택 점유율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목표 진행상황 조건에서는 구색의 크기가 큰(vs. 작은) 경우에 다양성 추구행동이 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 높은 목표 진행상황 조건에서는 구색의 크기가 크건 작건 상관없이 다양성 추구행동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1(가설 1-1, 가설 1-2)과 가설 2(가설 2-1, 가설 2-2)가 모두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Generally, having a larger number of options to choose from increases consumer utility. Large assortments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a consumer will find his or her perfect match or ideal point (Baumal and Ide 1956; Chernev 2003), offer flexibility in making choices and satisfy variety-seeking motives (McAlister and Pessimeir 1982; Ratner, Kahn, and Kahneman 1999), help hedge against preference uncertainty (Kahn and Lehmann 1991), and facilitate consumer preference development (Broniarczyk 2008). However,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benefits of greater variety are often offset by an increase in consumers`` cognitive costs associated with choosing from a larger assortment. Accordingly, it has been argued that making a choice from a larger assortment requires greater cognitive effort than choosing from a smaller assortment simply because it involves evaluating more options (Iyengar and Lepper 2000). Thus, choosing from larger assortments tends to increase choice difficulty and, consequently, can cause consumers to select options that are easier to justify. Prior research has found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justify hedonic consumption and easier to justify utilitarian consumption (e.g., Okada 2005; Prelec and Loewenstein 1998). Two reasons for this relative difficulty in justifying hedonic consumption are that (1) there is a sense of guilt associated with it and (2) its benefits are more difficult to quantify. Relatedly, Sela, Berger, and Liu (2009) demonstrated that choosing from larger assortments shifts choice from vices to virtues and from hedonic to utilitarian options. Many of the most significant choices that people make are between vices or hedonic (i.e., unhealthy but tasty) options and virtuous or utilitarian (i.e., less tasty but healthy) options. In choosing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consumers sometimes buy several items on one shopping trip and consume the items over several consumption occasion. In the current research, first, we examine whether the perceived level of goal (i.e., losing weight) progress can moderate how assortment size influences the relativ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consumers select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at one time. Fishbach and Dhar (2005; see also Fishbach, Dhar, and Zhang 2006) posit that when people perceive an initial act as goal progress, they become less likely to pursue the same goal, and they end up pursuing opposing goals when making the second decision. That is, if the same goal pursuit signals one``s high level of goal progress, it justifies moving temporarily away from the focal goal that has been progressed or partially attained and choosing actions that serve other conflicting goals. Thus,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at one time, we predict that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ill be more likely to decrease in the high goal progress condition when consumers are under large (vs. small) assortment condition (hypothesis 1-1), whereas the effect of assortment size on choice between hedonic and utilitarian options will not be found in the low goal progress condition (hypothesis 1-2). Furthermore, we examine whether the perceived level of goal (i.e., losing weight) progress can moderate how assortment size influences consumers`` variety-seeking behaviors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at one time. Previous findings have shown that larger assortments enable consumers to fulfill their variety-seeking needs more effectively (e.g., Ratner, Kahn, and Kahneman 1999). Thus, when consumers buy multiple items at one time, we predict that larger assortment will lead to more variety-seeking behaviors in the low goal progress condition (hypothesis 2-1), whereas the effect of assortment size on consumers`` variety-seeking behaviors will not be found in the high goal progress condition (hypothesis 2-2). In this research,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test and confirmthese predictions. Experimental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oice share of hedonic (vs. utilitarian) options was found to decrease more greatly in the high (vs. low) goal progress condition when participants were under large (vs. small) assortment condition. Also, larger assortment was found to result in the increased variety seeking behavior in the low goal progress condition, whereas the effect of assortment size on variety-seeking behaviors was not found in the high goal progress condition. Consequently, all hypotheses (hypotheses 1-1, 1-2, 2-1, and 2-2) were supported.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과제의 조절목표 유형과 목표간 관계가 대학생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un Joo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목표 추구 상황에서 과제의 조절목표 유형과 목표간 관계가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단순 과제를 사용한 실험 1과 일반 학습 상황인 실험 2로 이루어졌고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A대학의 대학생이었다. 실험 1의 참여자들은 조절목표 유형(향상목표, 예방목표), 목표간 관계 (촉진목표, 무관목표, 갈등목표)에 따라 구성된 6집단에 무선할당되었다. 연구참여자의 과제 수행 점수, 과제 완수 시간, 과제 흥미를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는 연구참여자가 초점목표인 기말고사 준비에 대해 인식한 조절목표 유형(향상목표, 예방목표)과 자신이 설정한 부가목표와 초점목표 간의 목표관계인식(촉진목표, 무관목표, 갈등목표)에 따라 6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기말고사 전까지 1주일 동안 매일 초점목표에 투자한 노력과 만족도를 기록하였고 연구참여자의 학업성취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조절목표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향상 목표 집단은 예방목표 집단보다 높은 과제 정답률(실험 1)과 학업성취(실험 2)를 보였다. 또한, 목표간 관계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촉진목표 집단은 예방목표 집단 보다 높은 과제 정답률과 빠른 과제 완수시간(실험 1), 높은 투자노력과 학업성취(실험 2)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조절목표 유형과 목표간 관계가 자기조절 학습행동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자기조절 및 학급구조에 대하여 갖는 시사점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ulatory goal type and goal relations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multiple goal pursuits. The effects of regulatory goal type and goal relations on self-regulation were explored in a set of two studies including laboratory experiment and filed research. The participants in Study 1 were randomly assigned into six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regulatory goal type(promotion goal, prevention goal) and goal relation(facilitating goals, single goal, conflicting goal). The participants` task completion time, task score, and task enjoyment were measured. In Study 2,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six groups by their perception about focal goal(prepare final term exam) and goal relation between focal goal and additional goal they pursue. The participants in Study 2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of daily goal striving and daily goal satisfaction for a week before final term exam period.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these two studies, consistent findings were found t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regulatory goal type significant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indicating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ilitating goal relation condition showed higher performance(Study 1) and academic achievement(Study 2) comparing to those in the prevention goal condi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goal rel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indicating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acilitating goal relation condition showed higher performance(Study 1) and academic achievement(Study 2), and invested more effort to a focal goal(Study 2) comparing to those in the conflicting goal condition. However, the interaction of regulatory goal type and goal rel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for self-regulation and classroom organiz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생애목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고영남(Ko, Young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life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ere 378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Four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Life Goal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achievement goal and personal life goa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 positive effect was measured on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to the search for meaning, but there was no effect on life goals to the presence of meaning. Fourth, the effect of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on subjective well-being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생애목표와 삶의 의미가 주관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삶의 의미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일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생애목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6월 5일부터 2주간에 걸쳐 충북 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목표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는 물론 성취지향 목표는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 차원에서 의미발견과 함께 의미추구는 주관적 안녕감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와 성취지향 목표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또는 의미발견만을 거치는 단일매개효 과는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