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성의 관계적 본질과 교육인간학적 의의

        황지영(Hwang, Ji Young),강기수(Kang, Gi S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는 모성의 정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관계적 본질을 고찰한 다음, 그에 근거한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모성은 여성이 어머니로서 자녀에게 가지는 본능이며 실질적인 양육 활동 속에서 학습되는 경험으로, 어머니가 아이와 맺는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모성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그 생명을 보호하고 보존하며, 인간을 지적ㆍ정서적ㆍ신체적으로 양육한다. 모성은 생물학적 성(性)과 본질적인 동시에 비본질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모성과 재생산 가능성의 관계를 통하여 성별을 지닌 존재로서의 인간을 이해하게 한다. 인간은 탄생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이 세상에 태어나며, 어머니는 결핍된 상태로 낯선 시공간 속에 태어나는 아이를 돌봄으로서 모성을 실천한다. 유아는 모성적 돌봄이 행해지는 따뜻한 가정 속에서 자라나야 하며 그 경험이 발판이 되어 고유한 개별적인 존재로서 안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게 된다. 모성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제시하면, 모성은 성(性)을 가진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 주며, 탄생성과 그로 인한 교육의 책임을 인식하게 한다. 또한 모성적 돌봄과 교육을 통해 인간이 자기완성에 이르게 하며, 개인화되고 물화(物化)된 현대사회에서 모성적 관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motherho d, to examine the relational nature,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based on it. Motherho d is an instinct that a woman has for her child as a mother, and it is an experience that is learned through practical parenting activities, and is formed in a mother s relationship with her child. Motherho d creates humans, protects and preserves their lives, and raises humans intel ectual y, emotional y, and physical y. Motherho d has an es ential and non-es ential relationship with biological sex, and makes humans understand as beings with gende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 n motherho d and reproducibility. Humans are born in this worl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birth, and mothers practice motherho d as caring for children born in unfamiliar time and space in a state of deficiency. Infants must grow up in a warm family where maternal care is performed, and the experience becomes a stepping stone and can be stably independent as a unique individual being. Presenting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motherho d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umans with sex and makes them aware of birth and the resulting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maternal care and education, humans reach self-completion. And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maternal relations in a personalized and materialized modern society.

      • KCI등재

        드라마 〈마더 〉에 나타난 모성원형(原型)의 양가성과 모성 콤플렉스

        김공숙(Kim, Gong-Sook)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2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6 No.-

        드라마 〈마더〉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분석심리학의 원형과 콤플렉스 이론으로 모성원형의 양가성과 모성 콤플렉스를 분석했다. 주인공 수진은 어린 시절 친모 홍희에게 버려져 보육원에서 자라다가 여배우 영신에게 입양된다. 수진의 친모 홍희와 양모 영신은 좋은 어머니 원형이 과잉된 모성비대형 모성 콤플렉스다. 학대받는 아이 혜나의 친모 자영은 아이를 쓰레기 봉지에 버린 무서운 어머니 원형으로, 유아기적 자기애 성향의 모성결여형 모성 콤플렉스다. 모성을 거부해온 비혼여성 수진은 모성거부형 부정적 모성 콤플렉스였다. 그러나 혜나를 구출한 후 도주해 엄마가 되어가며 콤플렉스를 해소한다. 수진은 모성원형의 양가성을 의식화하여 더욱 높은 의식성에 도달하려고 하는 어머니의 면모를 보인다. The ambivalence of the mother archetype and mother complex were analyzed using the archetype and complex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targeting the mother characters of the TV drama Mother. The main character, Soo-jin, is abandoned by her mother Hong-hee when she was young, and grew up in an orphanage before being adopted by actress Young-shin. Sujin"s biological mother Hong-hee and her mother-in-law Young-shin are mother complexes of maternal hypertrophic type with an excess of good mother archetypes. Ja-yeong, the biological mother of the abused child Hye-na, is the archetype of a terrible mother who threw her child in a garbage bag, and is a mother complex with infancy and narcissism. Sujin, an unmarried woman who has refused motherhood, was a maternal refusal type negative mother complex. However, after she rescues Hye-na, she escapes and becomes her mother, dissolving her complex. Sujin shows the aspect of her mother who wants to reach a higher consciousness by making her conscious of the ambivalence of her mother archetype.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규방가사,민요,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 논문은 규방가사와 민요, 계몽가사의 모성 표상을 대비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장르 및 시대, 계층에 따라 작품에 형상화된 모성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모성이 생득적이거나, 또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어머니의 역할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조선후기에 생성된 규방가사의 경우, 유교적 모성이데올로기를 내면화 한 전형계녀가가 주종을 이룬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규율 권력 아래 상처 받은 딸아이와의 체험적 연대의식에 기반한 공감적 모성과 하층의 신산한 인생체험을 공유했던 남편과의 애정적 결실이기에 장애인 아들에게 대가없이 베푸는 헌신적 모성 등 신변탄식류 규방가사에서는 儒家의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로 환원할 수 없는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모성역할도 나타난다. 하층의 생활체험을 분방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한 민요에서는 가족적 경계에서 강요되는 어머니의 역할에 정주하지 않는 모성이 보인다. 戀母謠나 자장노래 등에서는 생명적 원천으로서의 자애로운 모성형상이 그려지기도 하지만 노동요나 유희요 등에서는 모성 자체를 포기하고 본능적 욕망을 추구하는 자기애적 어머니의 형상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요는 여성의 체험적 자기진술이라기 보다는 허구적 화자를 통한 욕망의 대리실현적 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의한 국가존망의 위기적 상황에서 창작된 근대계몽기의 계몽가사에서는 국가주의적 모성 역할이 크게 요구되었다. 어머니는 국권회복과 동시에 근대 민족국가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을 생산하고 양육해야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구국적이고 애국적인 모성역할이 부여되었던 것이다. 이는 대체로 남성 계몽지식인들에 의해 주창되었던 바, 여성지식인들도 별다른 비판없이 동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모성은 역사적 상황이나 사회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던 바, 그 장르내적 유형과 담화방식에 따른 차이 등의 미시적 분석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제로 남겨두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therhood expressed in Gyubang-gasa (women`s poetic prose), folk songs, and enlightenment poetic prose, and to shed light on them from a macro point of view to see how the motherhood depicted in these works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res, times, and classes of the authors. This paper views motherhood not as the innate, permanent, or universal role of a mother, but as something acquired and learned socio-culturally. As for women`s poetic prose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mainstream is Jeonhyeong-gyenyeoga (precept-themed poetic proses for daughters before marriage) based on Confucian motherhood ideologue. However, appearing in women`s poetic proses on lamenting their lives are several roles of motherhood that are active and inborn and that cannot revert to the Confucian patriarchical mother ideologue: the motherhood of a mother that was based on a shared, experiential sense of unity with her daughter who was hurt by the regulation and authority of the patriarchical system; and the dedicated motherhood of a woman who shared a low-class people`s painful life experience with her husband suffering from four disabled limbs but who fulfilled fruitful love with him by taking care of him. Appearing in folk songs written about low-class people`s life experience using free imagination is the motherhood that does not succumb to the forced role of a mother within the boundary of a family. In love songs for mothers and lullabies, the benevolent mother image as the source of life is described, while in Nodongyo (labor songs) or Yuhiyo (game songs) the image of a self-love mother who gives up on motherhood but seeks instinct desires appears. These folk songs are deemed not as the women`s experiential self statement, but as an indirect realization of their desires through fictional speakers. Enlightenment poetic proses were written during the early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en imperialists invaded the nation endangering its existence, because the role of patriotic motherhood was keenly required. Since mothers were responsible for giving birth to and raising nationals who were needed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to establish an early modern people nation, they were required to play the nation-saving, patriotic role. This move was spearheaded mainly by male intellectuals who sought enlightenment, and thus female intellectuals seem to have followed them passively. As such, motherhood was formed in diverse different way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social conditions. Thus, micro-analysis of motherhood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to define the difference arising from various types within the genre and from ways of discourse.

      • KCI등재

        러시아혁명과 일제강점기 조선 모성 보호의 전개

        최은경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여성문학연구 Vol.42 No.-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that the 1919 Russian Revolution had on women’s history, other than the sexual revolution, would be the maternal protection system. The protective system for mothers and infants, established in revolutionary Russia, was introduced with a socialist vision, which became an essential challenge among women socialists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focuses on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guments and discourses surrounding maternity protection. The socialist vision of maternity protection initiated in revolutionary Russia involved health protections from hazards in the workplace, and it became the main argument among women socialists and workers in colonial Korea. However, the maternity protection arguments in colonial Korea reflected neither the vision of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from revolutionary Russia nor western socialism itself. As in the case of “The Seoul Child Welfare Union,” the conservative maternity protection movement stemmed from Christianity, while the advocation for fixed gender roles, the salvation of women and infants, and education for maternity were other influential ones. In addition, the arguments regarding social motherhood from Ellen Key, a prominent figure in maternalism, were simplified as self-awareness of the roles of mother and woman and as claims to the state. It shows that the socialist argument for maternity protection was variated, and it became superficial in the context of arguments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The arguments for the necessity of maternity protections and the rights of female workers disappeared in the discourses, replaced by arguments for protecting the health of female workers in the 1930s. This shows the limits of the discourse regarding maternal protections in colonial Korea. 각종 성 혁명 제도 이외에 러시아 혁명이 전 세계 여성사에 족적을 남긴 부분 중 하나로 모성 보호가 있다. 혁명 러시아에서 수립된 모성을 보호하는 제도는 모성 보호의 사회주의적 비젼과 함께 국내에 소개되었고, 식민지 조선에서도 중요하게 촉구하는 과제가 되었다. 본 논고는 러시아 혁명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에 도입된 모성 보호 요구 및 담론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러시아에서 제시한 모성 보호의 사회주의적 비전은 노동으로부터의 건강 보호, 여성을 보호하는 차원의 모성 보호였고 이는 당시 식민지 조선의 여성 사회주의자들과 노동자들의 주요한 요구 중 하나였다. 그러나 당시 조선 사회의 모성 보호 요구가 러시아 정부와 서구 사회주의적 비전을 그대로 수용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서울연합소아건강구제회”에서 보듯이 고정적인 성역할, 여성과 아동에 대한 구원, 모성에 대한 교육을 중심으로 한 보수적인 기독교적 모성 보호 운동 또한 중요한 모성 보호의 흐름이었으며, 대표적으로 소개된 모성 보호 논자였던 엘렌 케이의 사회적 모성 논의 또한 당시 조선 사회에서는 모성의 역할 자각, 여성의 역할 자각과 계몽, 국가에 대한 요구로 단순화되었다. 이는 사회주의적 모성 보호 논의가 추상적인 여성 해방의 다양한 논의들 속에 변주되면서 피상적으로 변했음을 보여준다. 1930년대 이후 다양한 직업 여성 건강 담론 속에서는 모성 보호 및 여성의 권리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는데, 이는 모성 보호에 대한 당대 조선 사회 (여성) 담론의 한계를 드러낸다.

      • KCI등재

        ‘모성’의 탄생-최정희의 「지맥」, 「인맥」, 「천맥」을 중심으로-

        심진경 ( Shim Jin-ky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최정희의 맥 삼부작, 「지맥」(1939), 「인맥」(1940), 「천맥」(1941)을 대상으로 최정희 소설의 모성이 가진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면적으로 이 세 작품을 관통하는 갈등은 여성적 욕망과 모성적 요구 사이에서 발생하고 그러한 갈등의 해결은 여주인공의 모성적 요구에 대한 수긍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들 소설에서 여주인공이 공통적으로 도달한 모성의 윤리란 결코 자기 욕망을 포기하지 않는 한에서 획득되며 구성되고 있다. 그렇게 볼 때 최정희 소설의 모성이란 결코 여성적 욕망과의 대립을 통해서만 의미화되지 않고, 오히려 여성성과의 모종의 공모를 통해서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 맥 삼부작에 등장하는 남자주인공은 모두 여자주인공의 분신으로 등장하는데, 「인맥」의 ‘허윤’이 ‘나’의 여성적 욕망을 촉발하는 낭만적 사랑의 대상인 동시에, 모성적 요구를 강제하는 가부장제의 대리인이라는 상반된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라면, 「지맥」과 「천맥」에서 이 두 가지 차원은 각각 ‘이상훈’과 ‘성우 선생’으로 배분되어 할당된다. 「지맥」의 이상훈은 낭만적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차원을, 「천맥」의 성우 선생은 가부장제적 초자아의 차원을 각각 나누어 갖는다. 그리고 그러한 남성들의 특성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여주인공이 모성으로 이르는 길을 결정한다. 「인맥」의 경우에 ‘나’는 남성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모순 병리적 방식을 통해서 모성의 윤리를 승인한다면, 「지맥」의 ‘나’는 의도적으로 이상훈이라는 남성을 불가능한 사랑의 대상으로 만듦으로써 모성의 의무를 자기 운명으로 받아들인다. 반면에 「천맥」에서 여주인공 ‘연이’의 사랑의 대상인 ‘성우 선생’은 ‘연이’에게 버림받은 모든 아이들을 사랑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초자아적 가부장으로 형상화됨으로써 ‘연이’의 욕망의 길을 원천적으로 봉쇄한다. 「천맥」의 모성적 가치가 다른 두 소설에서보다 한층 더 정신적으로 고양되고 숭고의 차원으로까지 격상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렇듯 최정희의 ‘맥 삼부작’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모성의 윤리와 여성적 욕망이 결코 분리되지 않으며, 오히려 가부장제 내에서 금기시되는 여성적 욕망이 우울증적 내면화 전략을 통해 모성적 정체성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여성적 욕망은 거절의 방식을 통해서만 모성의 형식으로 보존되며, 모성은 여성이라는 오점을 통해서만 구성되고 작동된다. 따라서 최정희 소설에서 여성과 모성은 둘 다, 한편으로는 가부장제적 질서와 공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부장제적 질서를 교란하는, 모순의 복합체로 사유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reveal the complex and contradictory characters of ‘motherhood’ in Choi Cheong-hee’s novels, “Jimaek”(「지맥」), “Inmaaek”(「인맥」), “Chunmaek”(「천맥」). Seemingly, the common conflicts in these works are originated from the contradiction between feminine desire and motherhood’s demand, and the resolution of that conflicts are made by heroine’s recognition of the later. But in these three novels, heroine’s ethics of motherhood are attained and constructed on by holding down her own desires. In that sense, motherhood of Choi Cheong-hee’s novels is not signified only by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feminine desire, but is imparted a new meaning by certain collusion with feminity. The Heros of this trilogy come on the scene as the double of heroines. They are the objects of romantic love who wake heroines’ feminine desires, and simultaneously they are the agent of patriarchal system who lay her under necessity of mother roll. In Choi Cheong-hee’s ‘Maek(맥)’ Trilogy, the ethics of motherhood and feminine desire are never break off, and rather feminine desire which taboo in the patriarchal system construct a part of mother’s identity by strategy of melancholic interiorization. That is, the feminine desire is preserved only by the form of denial, and Motherhood is constructed and operated only by stain of feminity. Feminity is integrated into motherhood, and motherhood is constructed by feminity. Therefore in Choi Cheong-hee’s ‘Maek(맥)’ Trilogy, both feminity and motherhood could be thought as the complex of contradictions which conspire with the patriarchal system and disturb that system at the same time. In Choi Cheong-hee’s novels, the way of woman and the way of mother, is not different.

      • KCI등재

        “엄마가 되는 건 다른 작은 존재를 위해서 자기를 다 내줄 때에요”: TV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모성 실천에 관한 연구

        이은지(Lee, Eun Ji)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이 연구는, 드라마 <마더>에서 모성 실천이 어떠한 양상으로 재현되는지를 분석하고, 드라마에 재현된 모성 실천과 기존의 모성 실천 논의들을 교차하며, 모성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마더>는 기존의 드라마에서 주변화되었던 인물들의 모성 실천을 통해 그동안 전경에 부각되지 못했던 모성의 의미를 드러낸다. <마더>에서는 생물학적 엄마, 입양한 엄마, 보호시설의 엄마가 각기 모성을 실천하는 양상을 통해 사회적 안전망과 네트워크가 부재한 경우, 자녀를 학대 상황에 노출시킬 수도 있는 모성 실천을 보여주기도 하고, 한 아이가 일종의 모험을 통해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하나 의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으로의 모성 실천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자녀를 임신ㆍ출산한 것으로의 모성을 넘어서서 도움이 필요한 아이의 요청에 관심을 가지고, 이것에 응해 엄마가 되는 것으로의 사회적 모성에 관한 담론을 생산한다. <마더>에 재현된 모성 실천을 통해 볼 수 있는 모성의 의미는, 1) 사회적 모성: “제 손으로 아이를 키우는 것에 국한하지 않는”, 2) 존재에 대한 책임: “엄마가 되는 건 다른 작은 존재를 위해서 자기를 다 내줄 때에요”, 3) 인격체로의 존중: “엄마, 난 도망갈 거야”로 압축된다. “사회적 모성”, “존재에 대한 책임”, “인격체로의 존중”의 의미에 주목해 모성을 실천하고자 한다면, 더 이상 모성 실천을 여성의 본능이자 정체성이라고 규정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입장에서 모성이 발생되는 상황과, 문화적 조건에 주목해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therhood practice is reproduced in the drama Mother , and to intersect the motherhood practice recreated in the drama, existing motherhood practice discussion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otherhood. Mother reveals the meaning of motherhood that has not been highlighted in the foregroun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motherhood of the character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existing dramas. In Mother, various patterns of motherhood practice are exhibited by a biological mother, adopting mother, and mother in a protective facility, such as motherhood practice that may expose the child in an abusive situation amid lack of social safety net and network and motherhood practice that helps a child grow into a human being by escaping the conventional way of thinking and taking on a type of adventure. Furthermore, the drama also produces discourse about social motherhood, where a woman becomes a mother beyond the motherhood given to her through pregnancy and delivery, as she pays attention and responds to the requests and needs of the child who needs help. The fundamental meanings of motherhood implied by the motherhood practice in Mother are: 1) social motherhood: “not limited to raising a child by one’s own hands,” 2) responsibility for existence: “you become a mother when you give up yourself for another little being,” 3) giving respect as a human being: “Mom, I’m gonna run away.” If attempting to realize motherhood practice with a focus on the meanings of “social motherhood,” “responsibility for existence,” and “giving respect as a human being,” we no longer can define realization of motherhood practice as a woman’s instinct or identity. Moreover,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research with a focus on the circumstances and cultural conditions in which motherhood is manifested.

      • KCI등재

        기획 특집 : 모성 담론의 문화적 형성과 재현 ; 고대에서 근대전환기까지 모성 담론의 문화적 조명 :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신재홍 ( Jae Hong Shi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4

        본고는 모성(母性)이라는 주제를 통해 향가의 역사성과 보편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안민가>와 <도천수관음가>에 모성이 형상화되어 있는데,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몇몇 사례만으로는 논의하기 어렵고, 『화랑세기』의 다양한 어머니상 및 모성의 정치적, 제도적 양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화랑세기』의 어머니들은 아들에 관련된 일에 민감하고, 아들을 훈육하며, 아들로부터 사랑받고, 아들 앞에서 참회의 눈물도 흘린다. 그러면서도 인통 간의 갈등, 가도의 전승, 과도한 남성 편력, 아들과의 유별난 친밀감 등 당대적 양상을 드러낸다. 특히, 모성 정치의 비중이 크고 여러 제도에서 모성의 구현을 의도한 점 등은 신라 시대 모성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신라는 골품제를 근간으로 한 신분제하에 색공제, 근친혼제, 모계제, 부권제 등에 의해 운용된 사회였다. 이러한 제도들 속에서 모성보다는 성(섹슈얼리티)이 우선함으로써 어머니역할에서 모성과 성 간의 갈등도 나타나고 마복자와 같은 특이한 제도도 생겨났다. 그리고 모성은 아이 양육의 면에서 개별적이기보다 집단적인 성격을 띠었다. 또한 부권제하의 모계 친족 사회였던 관계로 모성은 부권제에 따른 사회 통합적 가치관을 자식에게 가르치는 역할도 지녔다. <안민가>에서 모성은 사회 현실에 작용하는 사랑의 가치로 이념화되었다. ``신하는 어머니``라고 한 진술은 모계 친족 집단인 진골귀족이 임금을 올바로 보필하고 백성을 잘 부양할 것을 역설한 것이다. 신라 사회에서 차지하는 진골귀족 집단의 역할을 중시한 시대 의식이 깔려 있다. <도천수관음가>에서 모성은 종교적 지향과 실천을 통해 자비의 가치를 드러내었다. 아이의 눈을 뜨게 하려는 모성은 인간과 신 사이를 매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성을 구현하는 주체가 되었다. 자녀를 위해 신앙의 힘을 빌리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보편적 모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shows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Hyang-Ga`s themes through investigation of motherhood in the Silla dynasty. Motherhood is depicted in Anmin-Ga and DoCheonsuGwaneum-G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warangsegi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motherhood in two works. The mothers in Hwarangsegi are sensitive and loved by their sons. They also educate their sons to accept the good values of society. These are universal aspects still relevant today. Nevertheless, they also contain particular aspects of Shilla. There are conflicts between family lines with the rights to the Queen`s throne, succession of family enterprises, involvements with many men, and special intimacy between mother and son. It is particular to note that mothers` politics has importance in Shilla imperial court and motherhood is clearly marked on many organizations in the nation. The Shilla society had the following systems: social status Golpum, intermarriage, maternal lineage, and patriarchy. Under these systems, sexuality took precedence over motherhood. As such, conflicts between motherhood and sexuality appeared frequently and the peculiar filial system called Mabokja was created. Mothers brought up their children collectively in the realm of noble classes. They had a role of teaching the socially integrating values under the coexistence of patriarchy and maternal lineage. Anmin-Ga shows motherhood as a love to be realized in the society. The passage of the poem ``the ministers are mothers`` means that the Jingol noble classes should support the throne and take care of people as well. The poem`s meaning is based on the thought of that times. DoCheonsuGwaneum-Ga shows motherhood as a mercy to be practised with religious attitude. Motherhood springing out mercy to disabled son does not only mediate between human and god, but also embodies the divinity. In the figure of mother`s prayer for son we can see the universal motherhood that defies times and spaces.

      • KCI등재

        A Study on the Mother Symbols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Park, Jeong-Hee(박정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모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모성 상징을 연구함으로써 그 의미를 알아갈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예술치료, 꿈 분석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모성상징 이해에 대한 필요성에 연상과 확충의 분석심리학적 방법으로 모성 상징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모성원형은 궁극적으로 영적인 목적을 가지고 자기(Self) 통합을 향하여 나아가게 한다. 개인이 표상화한 모성상은 자아의 태도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모성상이 주는 고난은 자아의 태도가 변하기를 유도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신화와 민담에서 젊은 여성들은 새로운 모성상인 시어머니나 계모, 마녀 등이 주는 시련을 통과하면서 동일시한 모성성과 분리된다. 여성의 내적인격인 남성성과 관계를 맺으며 분별력과 지혜를 얻는다. 그리하여 내적인 선한 모성을 개인적인 인격에 구체화시키게 된다. 우리 건국신화에서 시련을 통과한 웅녀와 유화는 자아가 동물적인 무의식의 본능적이고 충동적인 에너지를 다룰 수 있게 됨으로 대극을 통합하고 하늘과 땅의 신성혼의 결합으로 조상의 지신과 곡신이 된다. 신화에서 남성 영웅들은 모성상에서 분리되어 자신의 여성성을 발달시키며 자기 통합의 길을 가게 된다. 시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민담이나 신화에서 여성에게 있어 모성의 상징은 곰, 호랑이, 인내, 동굴, 길쌈, 옥함, 강물, 꽃, 호리병,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신성혼, 지신, 곡신, 약물, 샘물, 밭, 배, 버리는 어머니, 모함하는 계모, 강한 모성애를 상징하는 신비한 샘물, 빨래, 꽃, 호리병, 숫자 4 등으로 나타난다. 남성에게 있어서 모성의 상징은 요부, 마녀, 물질, 돼지, 지하세계, 동굴, 자궁, 돌봄, 배, 양육하는 자, 잡아먹는 자, 반려자, 여 전사, 영적인 세계와 인간 세상을 중재하는 자 등으로 나타난다. 모성의 상징에 대한 연구는 애착문제, 대인관계, 정서 불안 등의 상담 치료 현장에서 모성의 이미지의 상징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치유의 힘을 얻게 한다. 또한 내담자 심리의 흐름을 모성 상징의 변화를 통하여 이해하여 치료의 과정에서 직접적인 치료효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런 신화나 민담들 속에서 개인이 고난을 통과하며 획득해 가는 모성의 상징적 의미는 분리 죽음 재생 통합의 심리적 변환 과정을 겪으며 자기통합 되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aternal symbols to the necessity of maternal understanding required in counseling field such as sand play therapy, art therapy and dream analysis, etc. Those are derived from association and amplification of analytical psychological method. The mother archetype ultimately has the spiritual purpose and move towards its self-integration. The maternal image functions positively or negatively according to the person’s ego attitude, and the suffering given by the maternal image intends to change the ego attitude. Folktales and mythologies describe the process of women undergoing sufferings and changing themselves as individual characters. The negative maternal image, shown in folktales and mythologies, is not about the external actual mother, but is considered representing the mother archetypal power which changes the ego-attitude that delays the growth. Young women in mythologies and folktales undergo the trials caused by the new maternity represented by the mother-in-law, stepmother, witch, etc., and separate themselves from their early identified mothers. They form relationships with inner masculine(animus) and obtain discernment and wisdom. The internal good maternal image thus is embodied in individual characters. In Korea’s founding mythologies, Ungnyeo and Yuhwa, who undergo trials, can control their ego’s animal-like, unconscious, instinct and impulsive energy, thereby integrating opposite poles, and becoming the goddess of the earth and the goddess of cereals through the divine marriage of heaven and earth. In mythologies, men,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maternal image, develop their own female image and set out on the road to their own integration. The study of symbols of maternity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the meaning of maternal image in counseling treatment such as attachment probl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anxiety, and gain the power of healing. Beyond the time and place, those maternal symbols are common in folk tales and myth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mythologies and folktale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maternity, which women acquire as they undergo trials, means the process of Self-integration as individuals undergo the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of separation, death and rebirth.

      • KCI등재

        모성보호에 대한 의료법리적 이해

        김향미 ( Hya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모성은 생식과 관련되는 기능을 하는 잠재적인 어머니로서의 여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모성은 가족을 이루는데 핵심적인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국가구성원인 국민의 생산적 모체를 이루게 하는 중요한 임무가 있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모성을 보호한다는 것은 생식과 관련된 어머니로서의 여성 그 자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비단 임신과 출산이라는 생리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기능 등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또한 포괄적으로 보호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모성의 보호양상은 사회적·경제적·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각 국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최근 세계적으로 모성보호에 있어서 생식건강의 개념을 도입하여 모성의 보호를 임신과 관련되는 시기뿐만 아니라 크게 여성의 전 생애로 확대하고 모성의 건강의 중요성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여성에 있어 모성이라는 의미는 사회적으로 그만큼 중대하며,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모성과 관련하여 의료법리적인 보호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서 보호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여 보면, 모성보호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모성은 `모체로부터`와 `모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연속적인 과정 안에서 획득된다고 볼 수 있으며, 모성의 온전성을 위해서는 본질적이며 분리할 수 없는 요소로 온전한 한 인간 존재의 성립을 위한 기본 전제가 된다. 모성보호를 위한 정책은 온전한 사회구성원을 양육한다는 관점에서 개인이나 가정에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전체가 책임을 나누어 가지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정책은 여성의 모성으로서의 권리, 노동권, 양성평등권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인정하는가의 정도에 따라 결정이 되는 것이지만, 여권과는 다른 법리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국가적 과제로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모성보호와 관련되는 모든 제도적 장치와 법체계는 모성의 온전성의 확보와 특별한 보호의 보장이 최우선의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모성보호를 위해 모성의 온전성을 확보와 더불어 여성의 생식건강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두어 모성의 건강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모성의 건강문제를 관리함에 있어서, 국가의 커다란 틀 안에서 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할 경우에는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에 대하여 직접 다루고 있는 산부인과 의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으로 모성이라는 가치에 대하여 새롭게 조명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련 이해 당사자들이 모여 담론할 수 있는 열린 의사소통의 마당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aternity has the concept of woman who can be a mother having the reproductive function. It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for making the family, but also socially an important duty for producing the members of nation.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means the woman as a mother with reproduction and also means widely and comprehensively protecting for the psychological function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ing the pregnancy and procreation. The methods for maternity protection are various o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by the individual nations. Recently the concept of the reproductive health in maternity protection is introduced and it is expanded to the whole woman`s life from the period related with the pregnancy. The maternity in women is socially very important and needs for the deliberate concern and the long term proper care. I reviewed the various medicolegal aspect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from it, I pointed out the direction for protection. In the level of the maternity protection, it must be firstly considered that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is preserved. Maternity is the natural process completed by pregnancy and procreation. Maternity is gained from the continuing process of `from the mother` and `in the mother`, and two factors are essential and inseparable for preserving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which is a basic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s the right of the person who will be born, and it is also a duty of the social members. The related legal system needs to be prepared by the systemic process for the special protection of the right. It is important to focus at the preservation of the maternal completeness for the maternity protection and the maternal health with women`s reproductive healt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field of the discussion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lated person in the various studies.

      • KCI등재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이선형(Lee Sun Hyoung) 한국여성연구소 2011 페미니즘 연구 Vol.11 No.1

        이 글은 30대에서 70대에 이르는 한국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여성들이 스스로 구축해 온 모성에 대한 인식틀을 비교한다. 구체적인 모성실천과 경험보다는 그 경험에 대한 여성들의 의미부여방식에 집중함으로써, 모성개념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 세대별 여성들은 모성을 ‘생존’, ‘여자의 임무’, ‘문화적·사회적 교류’, ‘인간에 대한 이해의 확장’등 자신의 생애사속에서 다양한 언어들로 모성을 의미화하였다. 특히 초기 양육기에 속한 30대 여성들 뿐 아니라 60-70대 노인여성들 역시 모성을 자신의 성장과정에 필요한 상징적 자원으로 활용하였다. ‘이해력과 포용력, 책임감, 생명의 고귀함’ 등과 같은 의미들은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에 대한 성찰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들이 자신의 모성경험을 모자녀 관계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관통하는 사유의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모성은 여성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 돌봄, 배려의 덕목을 상상하는 동시에 실천하는 장(場)이 된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conceptualization of motherhood of Korean women ranging in age from their 30s to their 70s. Oral life histories of Korean women show how they give meaning to their act of mothering. I focused on women’s voices and language rather than on the concrete mothering practice and experience so as to suggest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therhood. Each generation of women has a distinct meaning of motherhood, as expressed by such words and phrases as ‘survival’, ‘women’s destiny’, ‘cultural and social exchange’, and ‘expansion of understanding’. Women use their mothering experience as a symbolic source to articulate their own development through their lives. Not only women in their 30s, in the early phase of mothering, but also women 60-70s years old express this experience similarly. ‘Understanding, tolerance, responsibility, and dignity of life’ - all of these concepts are the result of women’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women can expand their mothering experiences to a base of thinking for their whole life, beyond simply their mother-children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