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연부조직 육종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예후인자

        최경운,김정일,문남훈,Choi, Kyung-Un,Kim, Jeung-Il,Moon, Nam-H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목적: 세포주기의 조절곤란은 종양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몇가지 알려진 연부조직 육종에 대한 면역 조직화학적 예후인자 들이 있지만 상반된 연구도 있고 G1/S phase관계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부조직 육종의 재발 및 전이와 관계된 G1/S phase 세포조절주기 단백의 면역화학적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소한 1년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파라핀 블록의 보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4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지방육종 15예, 악성 섬유성조직구증 13예, 횡문근육종 5예, 활막육종 5예, 평활근육종 3예, 섬유육종이 2예였다. 모든 환자의 조직은 전 절제술로 제거된 조직을 대상으로 Cyclin D1, Cyclin E, CDK4, CDK, p16, p27, Rb, E2F-1, p53, Ki-67 등의 면역 조직화학적 발현을 조직 microarr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환자의 국소 재발 및 전이에 따른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국소 재발은 8예(19%)에서 일어났으며 이것은 Cyclin E(p=0.024), E2F-1(p=0.046)의 발현과 연관이 있었다. 전이는 16예(37%)에서 일어났으며 CDK4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p=0.031). 결론: Cyclin E와 E2F-1이 연부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과 관련있는 예후를 제공해주었고, CDK4가 전이를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를 제공해주었다. 따라서 조직 검사시 이들 표식자들의 적절한 사용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의 범위를 결정 짖는데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Disturbed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are key events underlying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human malignanc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tein expression status involved in G1/S cell cycle in human soft tissue 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We simultaneously evaluated the expression of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p16, p27, Rb, E2F1, p53 and Ki-67 by immunohistochemistry in 43 cases of soft tissue sarcoma Results: The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E2F1, and p53 were expressed in 25 (58.1%), 18 (41.9%), 13 (30.2%), 33 (76.7%), 20 (46.5%), and 18 cases (41.9%). The p16, p27, and Rb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26 (60.5%), 22 (51.2%) and 19 cases (44.2%). All of the cases showed alterations of more than one out of the above proteins. The increased Cyclin E expression and Ki-67 labeling index (LI)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stologic grade. The Cyclin E and E2F-1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relapsed cases and the CDK4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ases of metastasis. Conclusion: Alterations of G1/S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umoriogensis of soft tissue sarcomas. Our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expressions of Cyclin E, E2F1, and CDK4 were associated with tumor relapse or metastasis and could be considered as parameters of pro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수술 후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미세전이 발견을 위한 면역 조직 화학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김정식,이해혁,남계현,김희경,배동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y immunohistochemistry, possible micrometastasis in the pelvic lymph nodes previously considered free by conventio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to assess thei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patients(n=51) operated on between February 2001 and May 2004 for cervical cancer without histopathologic lymph node involvement. Lymph nodes(n=282) from 51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ode-negative cervical cancer were evaluated for micrometastasis. These were submitted to immunohistochemical study using AE1/AE3 anti-cytokeratin monoclonal antibodies to identify neoplastic epithelial cells. RESULTS: Lymph node micrometastas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detected in 3 of the 51 patients(5.9%), comprising 3 of 282(1.1%) pelvic lymph nodes examined. One patient(Ib2) had adenocarcinoma and others(Ib1,Ib2), squamous cell carcinoma. All of them had negativ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In three patients, there were recurrences(66.7%,2/3), and one patient(Ib1) died from the pelvic recurrence. CONCLUSIONS: We recommend an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for lymph node micrometastases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negative nodes. Micrometastasis could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further treatment strategies and follow up.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cervical cancer warrants further study. 목적: 자궁 경부암으로 수술후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미세전이의 유무를 확인후 이에 대한 의미와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5월 까지 본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자궁적출술 및 골반 임파절 절제술을 받은 7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반 임파절 전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된51명의 골반 임파절들을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검사하였으며, 총 282개의 골반 임파절 슬라이드를 anti-cytokeratin antibodies AE1/AE3 (DakoCytomation,California,USA)로 염색하였다. 결과: 자궁경부암 병기별 환자들의 분포는 1a1: 7 명,Ia2: 4명,Ib1: 29명,Ib2: 5명,IIa: 5명,IIb: 1명이며,환자들의 평균나이는 46.3세(27-64세)였다. 면역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한 임파절들에서 미세전이는 51명중에서 3명(5.9%),전체 임파절 282개중 3개(1.1%)에서 발견되었다. 한명(Ib2)은 조직학적 유형으로 선암이었고, 나머지 2명(Ib1,Ib2)은 편평세포암이었다. 미세전이가 있는 3명 모두 임파혈관 침윤(lymph-vascular space invasion)은 없었다. 이들 3명중 2명에서만 재발이 되었고, 한 명(Ib1)은 재발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결론: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수술 후 미세전이 유무가 향후 재발 요인 및 예후에 대한 예측인자로서 가능성을 보이며,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요법등의 치료 방침 설정 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한국재래산양 태자 및 신생양 중뇌에서 GFAP 면역반응세포의 분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송치원(Chi-Won Song),이강이(Kang-Iee Lee),변명우(Myung-Woo Byun),육홍선(Hong-Sun Yook),김정재(Jeong-Jae Kim),신상태(Sang-Tae Shin),이경열(Kyoung-Youl Lee),김무강(Moo-Kang Kim)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4

        한국재래산양의 임신 30, 45, 60, 90, 105, 120일령 태자 및 신생양의 중뇌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GFAP 면역반응세포를 형태학적으로 연구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FAP 면역반응세포는 임신 45일령 태자에서부터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무극형이었다. 2. 임신 60일령 태자에서는 뭇극형 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임신 90일령 태자에서는 중뇌수도관주위구역에 뭇극형면역반응세포가 관찰되었다. 3. 방사형아교세포의 돌기형태의 변화는 무극형면역반응세포가 두극형세포로 변화하였고, 두극형세포는 홑극형으로 변한 다음 뭇극형면역반응세포로 변형되고 있었다. 4. 면역반응을 나타낸 두극형면역반응세포들의 돌기들은 뇌실에서 연질막으로 뻗고 있었으며 연질막부위에서 종말발로 확장되어 있었다. 5. 한 시야당 GFAP 면역반응세포의 수는 임신 45일령 태자에서 임신 90일령 태자까지는 증가하였고, 임신 90일령 태자 에서 105일령 태자까지는 감소하였으며 임신 120일령 태자에서는 그 수가 105일령 태자보다 약간 증가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6. GFAP 면역반응세포의 면역반응은 임신 95일령 태자에서 120일령 태자까지 감소하는 양상이 관찰되었지만 대부분의 연질막부위와 뇌실부위에서는 강한 면역반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면역반응세포가 중뇌수도관주위구역보다 중뇌부위에서 더 빠르게 발달하고 있었다. 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was one of the intermediate filament group and used as an astrocyte marker. The numerous studies about GFAP immunoreactive cell’s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for fetus, neonate and aged brains. There are several reports about that GFAP immunoreactive cells were appeared at early fetus and after birth. In cases of mammalian fetus radial glia cells migrated toward pial surface at early stage and revealed GFAP immunoreactivity by the immunostain. But in cases of rodents, they migrated at late gestation or after birth. This study, the GFAP immunoreactive cells’ localizations and distribution in the fetuses (the 30 th, 45 th, 60 th, 90 th, 105 th, 120 th of gestation) and neonate mesencephalon of korean native goat were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stry (ABC metho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Multipolar astrocytes at 60 days of gestation were found in midbrain, in 90 days of gestation were found in cerebral aqueduct. 2. Radial glial cell presented 60 days of gestation and process of GFAP immunoreaction was to stretch out from ventricular to pia mater and nonpolar immunoreactive cell was transformed to bipolar, monopolar and multipolar immunoreactive cell. 3. The number of GFAP immunoreactive cells of field were gradually decreased from 90 days of gestation till 105 days of gestation. But in 120 days of gestation and newborn were slightly increased. 4. Immunoreactivity of GFAP immunoreactive cells were gradually decreased from 95 days of gestation till 120 days of gestatioin.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radial glial cell of midbrain developed very earlier than that of cerebral aqueduct. However, cerebral aqueduct developed lately than that of midbrain, but faster developing than other.

      • KCI등재후보
      •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MCM3, Ki-67 그리고 HH3)의 발현율과의 연관성

        하종경,정훈,김용주,이관희,최경업,Ha, Jong-Kyoung,Jeong, Hoon,Kim, Yong-Ju,Lee, Kwan-Hee,Choi, Kyoung-Eo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에서 유발된 거대세포종양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생검을 통해 확진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분류는 Enneking grading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해 MCM3, Ki-67 그리고 HH3 표지자가 사용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Microarray block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10례 중 3례(30%)에서 같은 위치에서 재발되었다. 재발된 3례 중 2례는 방사선학적 단계 상 단계 2였고, 1례는 단계 1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의 발현율이 방사선학적 단계 1보다 2, 3에서 증가되었다. 하지만 결과의 일관성이 없어 세포 증식율과 방사선학적 단계의 연관성은 판별하기 어렵다. 평균 MCM3 표지자의 발현율은 재발하지 않은 종양에서 11.2%, 재발한 종양에서 7.2%였다. Ki-67은 12%, 8.9% 였고, HH3는 66.9%, 75.4%였다. MCM3 와 Ki-67 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오히려 감소된 결과를 보여 재발율과는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HH3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 중 HH3표지자가 거대세포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ssociation of giant cell tumors recurrence between markers of proliferation cells (MCM3, Ki-67 and HH3) Materials and Methods: Ten cas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were reviewed. The patients were six males and four females (mean age: 33 yrs). All patients were done operation after biopsy. The radiologic grading was determined according to Enneking grading system.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MCM3, HH3, and Ki-67 were done with Microarray block. Results: The three cases of 10 cases (30%) were recurred at same sites. Two case of recurrence was grade II according to radiologic features. The remaining case was grade I. The expression rate of immunohistochemical markers in radiologic grade 2 and 3 were more increased than grade 1. But there was not association between radiologic grading and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because result data was not coherence. Mean MCM3 labeling index of non-recurred case was 11.2%, recurred case was 7.2%. Ki-67 was 12% vs. 8.9%, respectively and HH3 was 66.9 % vs. 75.4%, respectively. Thu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local recurrence and immunohistochemical Ki-67, MCM3 expression rate. But HH3 marker expression rate was increased in recurred cases compared to non-recurred case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HH3 immunohistochemical marker can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에 관한 연구

        임경란 ( Kyoung Ran Yim ),이찬 ( Chan Lee ),김용민 ( Yong Min Kim ),김광일 ( Kwang Il Kim ),김승조 ( Seung Jo Kim ),황윤영 ( Youn Yeung Hwang ),이선영 ( Seon Yeong Lee ),나영정 ( Young Jeong Na ),정상근 ( Sang Geun Jeong ),오예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하여 난소종양의 상피세포에서 Wnt 1과 β-catenin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포천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에서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얻어진 난소종양과 정상난소상피조직의 포르말린 고정조직과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들은 SPSS 10.1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P<0.05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전체 난소상피조직 114예를 면역조직화학염색하였으며, 이 중 악성 종양은 54예였으며, 경계성 종양은 40예 그리고 양성 종양 12예, 정상난소상피조직이 8예였다. Wnt 1은 악성 종양의 51.9%, 경계성 종양의 32.5%, 양성 종양의 18.2%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양성 소견을 보였고, 모든 정상난소상피에서는 음성 소견을 보였다 (P<0.05). 상피성 난소암 중 투명세포 암 상피조직에서만 양성 소견을 보였다. β-catenin은 자궁내막모양 암의 28.6%에서 양성 소견을 보였다 (P<0.05). 결론: 난소상피조직을 이용한 본 연구 결과, Wnt 1의 과발현이 직접적으로 핵 세포질 내 β-catenin의 과발현을 유발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자궁내막모양암이나 투명세포암 등의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 Wnt 1과 β-catenin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보다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Wnt 신호의 다른 요소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상피성 난소암의 발암 과정에서의 역할이 규명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초로 하여 난소암의 조기 진단, 치료 및 새로운 생물표지자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We were trying to identify the expression of Wnt 1 and β-catenin in normal ovarian epithelium and epithelial ovarian tumor. Methods: We used archival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tissues from Comprehensive Gynecologic Cancer Center and the Department of Pathology at Bundang CHA Hospital from 2000 to 2005.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Wnt 1 and β-catenin was performed on the ovarian epithelial tissue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0.1 for Windows and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Of 114 cases, the cases were composed of 54 carcinomas, 40 borderline tumors, 12 benign tumors and 8 normal control ovarian tissues. Abnormal nucleocytoplasmic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in 4 endometrioid carcinomas. The nuclear expression of β-catenin was found especially in the components of the endometrioid carcinoma (28.6%, P<0.05). Wnt 1 was overexpressed in all 9 clear cell carcinomas, but not frequent in the other types of malignant tumors (P<0.05). W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β-catenin nuclear localization and endometrioid carcinomas. And we fou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nt 1 expression and clear cell carcinomas. Conclusion: It does not seem that Wnt 1 over expression directly provoke the nuclear localization of β-catenin. But, de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1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ovarian epithelial carcinogenesis of endometriod carcinoma and clear cell carcinoma. Evaluating this avenue of regulation of β-catenin and Wnt protein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may provide a new direction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n ovarian epithelial carcinoma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aking a certain biomarkers.

      • KCI등재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2,-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Shin, Su-Jung,Baek, Seung-Ho,Lim, Sung-Sam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6 No.3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 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금성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로 일치시키고 Amershm 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금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금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금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