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 · 중등 학생의 진로개발을 위한 교사의 진로 및 경력 메타포 분석

        신덕상(Duck-Sang Shin),권정언(Jung-Eon K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2015년 6월 진로교육법이 제정되면서 학생들의 진로개발역량 함양에 대한 학교 안팎의 활동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Career를 ‘진로’와 ‘경력’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메타포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부각되거나 은폐되는 특징을 밝히고자 시작하였다. 메타포는 인간의 사고 과정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행동까지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교사의 메타포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조력하기 위한 진로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장완성법을 사용하여 115명의 교사로부터 메타포 포착을 위한 자료를 획득하였다. 메타포 도출은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고, 메타포 위계 결정은 세대 구분에 따라 높은/보통/낮은 수준으로 나눈 후 차이 검정을 통해 양적 분석방법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본인의 진로에는 인생경력무지개(14.8%), 인생의 길(12.2%) 순으로, 학생들의 상담 시 진로는 인생경력무지개(16.9%), 선택의 과정(14.2%) 순으로 메타포를 사용하였다. 반면 경력 메타포에서는 과거의 경험, 직업 등 이력사항으로 보는 기록(34.0%)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인생의 길(17.0%)이었다. 교사는 자신의 진로에서는 자신의 경력과는 달리 높은 수준의 진로 메타포를 사용한 반면, 학생들과의 상담에서는 보통 수준의 진로 메타포를 사용하는 경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진로에 대해서는 앞(前)에 관한 메타포를, 경력에 대해서는 뒤(後)에 관한 메타포를 다수 사용하고 있고, 학생들에게는 자신에게 진로를 적용하는 것과는 달리 과거지향적인 경력의 메타포로 진로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미래의 직업세계와 창의적 진로 경로가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학생들의 진로 개척과 도전에 부합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 역량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fter the passing of the future course development law in 2015 June, activities within and outside school occurring for the sake of fostering student course development capabilities are coming to attention. The following research, by analyzing the metaphors instructors use when they respectively interpret ‘career1)’ as either ‘future course’ or ‘work experience’1), attempted to elucidate upon characteristics that are emphasized or conceal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ne chooses. Metaphors represent the human thought process, and consequently affect one’s actions. Thus, metaphors frequently utilized by instructors would facilit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th development education phenomena that will enable development of better path development for students by disclosing specific aspects in need of further consideration. For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has used the Sentence Completion test (SCT) to gather data of metaphor use from 115 instructors. Metaphor deduction was performed with quantitative analytic methods, while metaphoric hierarchy was divided into three levels(high-level, average-level, and low-level) after which differentiation check and quantitative analytic method was simultaneously used. Results show that instructors, for their own future course, frequently used metaphors such as ‘life rainbow’ (14.8%) and ‘life pathway’ (12.2%), while they used metaphors like ‘life rainbow’ (16.9%) and ‘the moment of choice’ (14.2%) during student future course consultations. On the other hand, for work experience metaphors, ‘records’ (concerning physical records of past experiences and jobs) ranked the highest (34.0%), while the second was ‘life pathway.’ (17.0%) Contrary to when they were dealing their own future course, it was found that instructors had a tendency to use average-level future course metaphors when they were with students. For their own future course, instructors, contrary to their work experience, used high-level future course metaphors. In other words, instructors frequently used forward metaphors for their future course and backward metaphors for their work experience, and they did not apply the same patterns to their student future course consultation but chose to present past-oriented work experience metaphors to introduce future course investigation methods. Such results call for instructors to foster a better understanding of selections of job choices in the coming future and the current periodic need for a creative course development. Furthermore, these understandings need to be efficiently incorporated to strengthen course development and aid students in active course investigation and coping with course investigation challenges.

      • KCI등재

        우리나라 주요 신문에 나타난 유전자 관련 메타포 분석

        전방욱(Jun Bang-Ook),서은주(Seo Eun-Joo)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메타포는 유전자를 둘러싼 논의에서 전문적인 내용을 쉽게 전달하는 도구이자 대중을 감성적으로 동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과학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유전자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신문에서는 메타포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이해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는 한국언론재단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매 5년마다 우리나라 주요 신문 기사 449건에 나타난 1,121건의 메타포를 연도별, 신문사별, 장르별, 저자별, 관심분야별로 분석하고 각 메타포를 긍정적 메타포, 대중화 메타포, 그리고 부정적 메타포로 클러스터링하고자 시도하였다.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메타포 관련 기사는 각각 1990년에 10건, 1995년에 44건, 2000년에 271건으로 증가하다가 2005년에는 124건으로 감소하였으며, 메타포는 각각 1990년에 13건, 1995년에 58건, 2000년에 803건으로 증가하다가 2005년에는 247건으로 감소하였다. 2000년도 초의 인간게 놈 발표가 2000년도 신문의 기사와 메타포 건수의 증가를 가져왔다. 긍정적 메타포의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메타포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다른 신문에 비하여 경제지의 긍정적 메타포 비율은 높았으며 부정적 메타포 비율은 낮았고 인용?기고자 중 기업가와 분야 중 바이오산업 부문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경제와 관련된 측면들은 긍정적으로 프레이밍됨을 알 수 있었다. 과학자와 의사들은 대중에게 전문적인 어휘와 내용을 교육시키기 위한 대중화 메타포를 주로 사용하였다. 배아연구 분야와 유전자 조작 분야에서 긍정적인 메타포와 부정적인 메타포가 동시에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은 이 분야들을 둘러싸고 찬반양론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결과를 뒷받침해 주었다. 배아연구와 복제의 메타포 속성은 2000년도에는 부정적인 것에서 2005년도에는 긍정적인 것으로 바뀌어 이 기간동안 발표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수립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전자 관련 메타포의 긍정적, 대중화 및 부정적 속성은 문화적인 고유성을 나타내었으며 엄격하게 클러스터링되지 않았고 문맥에 의해 많이 좌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etaphor is a powerful tool to transform technical contents into public terms and influence the public emotionally, which explains its wide use in scientific fields. Although Korean newspapers are not exceptional in applying metaphors to their articles, it is hard to find previous researches dealing with Korean case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1,121 metaphors of 445 articles related to "gene" in every five years between 1990 and 2005 screened on the Korean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 to find out historical chang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wspapers, categories, writers and interested areas. For this purpose, metaphors too are clustered into positive, popularization and negative ones. First of all, the numbers of gene articles containing metaphors increased from 10 in 1990 to 271 in 2000 and then declined into 124 in 2005. The numbers of metaphors also followed the similar pattern. The sharp rise in 2000 was largely indebted to human genome reports of the year. The results of analysis also show that the percentage of positive metaphors increased whereas that of negative ones decreased. Among others, economic newspapers, entrepreneurs, and biotech industry particularly favored positive metaphors over negative ones. And scientists and medical doctors dominantly use popularization metaphors in order to explain technical contents. Embryo research and genetic manipulation presented even divid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metaphors, which reflected heated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subject. Metaphors of embryo research and cloning changed from negative cluster in 2000 to positive one in 2005, reflecting breakthrough achievement during these period. Clustering result of metaphors in Korean newspapers shows cultural uniqueness and much more depends on the other relevant association in the text.

      • KCI등재

        비주얼 메타포 광고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및 중국 수용자 중심으로 -

        국경,김희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비주얼 메타포 광고 유형(형태적 유사성 vs. 내용적 유사성)과 국가별 소비자(한국 vs. 중국)에 따른 소비자 광고 태도의 차이를 중복 측정한 후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세계 3대 광고 페스티벌 인쇄광고 수상작을 형태적 유사성 메타포 와 내용적 유사성 메타포로 나누었다. 형태적 유사성 메타포는 선크림 광고, 주방타올 광고와 크림 광고 각 1편, 내용적 유사성 메타포는 선크림 광고, 주방타올 광고와 크림 광고 각1편 총 6편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의 설문지를 작성해 활용했다. 비주얼 메타포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검증을 위한 종속변수로 광고 태도를 측정하였다. 국적별 메타포 광고 유형의 차이를 중복 측정해 분석한 결과, 국적의 주효과는 유의하고, 광고의 메타포 유형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인의 메타포 광고 유형에 따른 수용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반면 한국인의 경우에는 내용적으로 유사성을 띤 메타포 광고보다 형태적인 유사성을 지닌 메타포 광고에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른 문화적 사고가 은유적 유형에 따라 정보 인지 방식 및 정보수용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를 제작할 때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문화적 관점의 규명을 통한 실무적 방법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visual metaphor advertisement types (Formal similarity vs. Content similarity) and country-specific consumers (Korea vs. China) was repeatedly measured and verified through analysis. The winners of print advertisements at the world's top three advertising festivals were divided into formal similarity metaphors and content similarity metaphors. The formal similarity metaphor was analyzed by selecting a total of six sun cream advertisements, kitchen towel advertisements and cream advertisements, and content similarity metaphors were sunscreen advertisements, kitchen towel advertisements and cream advertisements. In addition, each questionnaire in Korean and Chinese was prepared and used. Advertising attitude was measure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verifying consumer response according to the visual metaphor type. As a result of overlapping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metaphor advertisement by nationality, the main effect of nationality is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f the metaphorical form of advertis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is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re was no change in the acceptance attitude of Chinese according to the type of metaphor advertisement. On the other hand, Koreans showed a more active attitude toward metaphor advertising with formal similarity than metaphor advertising with similar content. As a results, which empirically studied how other cultural thinking affects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formation acceptance attitudes according to metaphorical types, provide practical methods through identification of cultural perspectives to enhance advertising effects for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메타포적 관점으로 본 미래 예배 연구 - 소통과 참여의 예전을 중심으로 -

        김세광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이 연구는 작금의 팬데믹 현상에 따른 급격한 예배 변화 상황에서 세대 간의 소통 결여와 전통과 미래 사이의 문화적 갈등을 함께 담아낼 수 있는 소통과 참여의 예전 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미래 예배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예전의 현대적 해 석, 즉 메타포적 관점으로 예전을 재진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세대별 단절에 따른 예배 차이, 전통적 신학과 교단을 넘어선 글로벌 신앙공동체와의 교류, 예배자의 은 사, 이미지와 상상력을 포용하는 예전, 온라인 예배 공간에 대한 인식, 테크놀로지에 대한 우려와 기대, 공평, 자유, 정의, 환경 등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예배, 이와 함께 메타포적 담론이 시대를 초월하여 회중을 적극적 소통과 능동적 참여로 이끌 수 있다 는 기대를 전제한다. 대부분의 예술, 즉 시, 소설, 노래, 춤, 연극, 건축, 벽화에서 이미 지와 메타포를 사용하여 하나님과 신앙의 신비를 표현하는 것처럼, 예배 안의 요소들, 즉 기도, 찬송, 설교, 예배순서와 형식, 예배공간과 예술, 몸의 참여와 행위, 조명, 음 향, 인터넷, 방송들에서 메타포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다섯 가지의 예전적 메타포, 즉 설교, 기도, 찬양의 예배 텍스트로서의 언어적 메타포, 예배 형식과 구조로서의 의례적 메타포, 예배 공간과 예배 예술로서의 시각적 메타포, 의례적 행위로서의 몸의 메타포, 테크놀로지로서의 웹(web)의 메타포는 전통 과 현대의 양극단의 의례 사이에 평등한 소통과 이해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모든 예 전이 지향하는 능동적 참여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하나님, 회중, 세 상을 이어주는 메타포적인 관점으로 예전을 다시 진술할 때, 오늘의 예전은 하늘과 회중, 회중과 삶을 이어주는 예전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urgy of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that can capture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tradition and the future as well 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s in the context of rapid changes in worship due to the current pandemic. The research method is to restate the liturgy in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liturgy that future worshipers can sha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worship according to generational division, exchanges with the global faith community beyond traditional theology and denominations, gifts of worshipers, perceptions of liturgy and online worship spaces that embrace image and imagination,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echnology, and fairness. It presupposes the expectation that worship that reflects the values of the time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environment, along with metaphorical discourse, can lead the congregation to active communi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beyond the times. Just as most arts, poetry, novels, songs, dances, plays, architecture, and murals use images and metaphors to express the mysteries of God and the faith, so do the elements in worship: prayer, hymn, sermon, order of worship, and so on. The role and function of metaphors can be confirmed in form, worship space and art, body participation and action, lighting, sound, internet, and broadcasting. The following five liturgical metaphors are: linguistic metaphors as worship texts of sermons, prayers, and praise; ceremonial metaphors of worship forms and structures; visual metaphors of worship spaces and worship art; body metaphors as ritual acts; The metaphor of the web will provide the possibility of eq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the rituals of the two extremes of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and will enable us to build the found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that all ancestral rites are aiming for. When we re-state the liturgy from a metaphorical perspective that connects God, the congregation, and the world, today's liturgy can be approached as a liturgy that connects heaven and the congregation, and the congregation and life.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인쇄 공익광고 비주얼메타포 비교연구 - 2016년-2020년 한국과 중국의 인쇄 공익광고 수상작을 중심으로 -

        국경,김희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공익광고는 현대 사회에서 대중과의 교류에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전달 방식의 하나이다. 많은 공익 광고에서 창의성을 높이고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메타포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수상작에 나타난 비주얼메타포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양국 사회의 문제와 이슈는 무엇인지 파악하고,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본다. 연구범위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과 중국의 인쇄 공익광고 수상작을 대상으로 한다. 총 20편(한국 10편, 중국 10편)의 비주얼메타포를 사용한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Barthes의 외시적 의미(Denotation)와 공시적 의미(Connotation)에 근거해 분석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경우 총 82편의 인쇄광고 중 비주얼메타포(Visual Metaphor)를 활용한 광고는 14편으로 전체의 17%였으며, 중국의 경우는 총 115편 중 47편 42%로 나타났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 변화에 따라 메타포가 창의적 기법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발전하고 있었다. 둘째, 메타포는 양국 공히 공익광고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메타포의 창의성은 광고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메타포 표현의 적합성은 수용자의 설득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결론을 종합해보면 미래의 광고방향성을 알 수 있다.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메타포를 활용하면 더 좋은 광고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re an important way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that is used in modern society to interact with the public. Many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use Metaphor to increase creativity and attract public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Metaphor that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rough this, the two countries understand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two countries, and reveal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 scope of the study will cover the winners of printed public advertisements in Korea and China from 2016 to 2020. It is analyzed based on Barthes's external meaning and public meaning, focusing o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using a total of 20 visual Metaphors (10 Korean and 10 Chinese). According to the analysis, out of a total of 82 print ads in Korea, 14 were using Visual Metaphor, with 17% of the total, and 47 out of 115 were 42% in Chin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taphor was us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as a creative techniq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Second, it can be seen that Metaphor is also actively used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both countries. Third, the creativity of the metaphor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taphor expression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udience's persuasion effect. The conclusion can be summed up to show the direction of future advertising in the future. Using Metaphor more actively to develop advertising communication can produce better advertising.

      • KCI등재후보

        The Empirical Analysis of Career Metaphors for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이상진,이남훈,신덕상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3

        경력메타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일터에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한다. Lakoff와 Johnson(1980)은 메타포가 인간의 의식에 내재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변화무쌍한 경력 환경에서 개인의 의식에 잠재된 메타포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다면 경력개발은 한층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변화된 경력 메타포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는 경력 상태를 진단하고 경력개발과 관리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경력 메타포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경력 메타포를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형화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이론들을 고찰하고 경력개발의 개념적 변화에 기초하여 1세대부터 4세대까지 구분하였으며, 경력 상태를 반영하는 14개의 경력 메타포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경력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메타포를 분류하는 준거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양적 접근 두 가지 모두를 활용하는 사례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경력개발 세대 구분과 이에 따른 경력 메타포들은 경력개발에 대한 개인의 경력개발에 대한 인식 수준 진단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세대별로 구분하여 제시한 경력 메타포는 경력 경로 과정에서 당면하는 문제들을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경력 메타포의 유형은 일상생활에서 경력개발에 대한 사항에 대해 별도의 설문지 없이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용이하면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career metaphor dominates a person's thoughts and actions in an ever-changing work place. According to Lakoff and Johnson(1980), a metaphor is latent in the person's consciousness. Career development in the era of protean careers can be intensified by analyzing changes in metaphoric expressions of career. The use of a career metaphor can be a useful tool to measure current career situations and provide a guide to care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 practical classification for successful career development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career metaphors. This paper reviews career theories, classifies them into four phases based on conceptual changes of career development, and identifies fourteen career metaphors to reflect career situations. This paper also introduces criteria to categorize the metaphors for practical applications based on the capability of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classification of career metaphor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 simple but useful tool in daily life for self-diagnosis of career development.

      • 기초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메타포 활용에 관한 연구

        편희정,김관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02 기초조형학연구 Vol.3 No.2

        언어의 창조적인 사용과 직결되는 메타포는 사고력의 신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메타포를 사용했을 때에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정보전달의 편리함과 유용성이 존재한다. 메타포의 사용이 그러하기 때문에 그 교육적 적용의 문제를 살피는 것은 의의가 있으며,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사고력과 표현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메타포가 가지는 특성이 각자 개인의 경험과 인식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고 개성과 다양함을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 심리학, 철학, 미학 등에서 다루고 있는 메타포의 개념을 기초 시각 디자인 교육에 적용시키고자, 실업계 고등학교 기초 시각디자인 교육에서 학습의 진행단계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메타포를 활용한다는 것은 결과중심의 교육보다는 과정중심의 교육으로서 학생들이 좀더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메타포를 활용한 교육 프로세스는 학생들 각자의 경험을 메타포를 활용하여 형상화시키는 것이므로, 학생들의 체험을 확대시키고 상상력과 미적 감수성을 신장시켜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As metaphor is directly related to the creative use of language, it leads to the extension of thinking ability. When metaphor is used, convenience and utility exist in information delivery. That's why the job of examining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metaphor use is meaningful. We can exp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ies of thinking and expression from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f metaphor. As metaphor originates from each student's own experience and recognition, various personalities and potentiality can be drawn.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metaphor as used in linguistics, psychology, philosophy, and aesthetics is applied to the educational processes of basic visual design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application of metaphor, which is basically the process-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the result-centered education, would serve as the base for more flexible and broader thinking of the students.Therefore, in the basic visual design educati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the metaphor applied educational processes are expected to make best use of students' experiences and improve their imagination, aesthetical sensitivity, and creativity.

      • KCI등재

        패션인쇄광고에 나타난 시각적 메타포(Metaphor)의 유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김양수 ( Yang Soo Kim ),김정혜 ( Jung Ha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오늘날 직접적으로 상품만 부각시키는 광고표현에서 벗어나 메타포에 의한 창의적인 광고가 실제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포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패션인쇄광고의 영역에 적용시켜, 시각적 메타포의 유형과 분석을 통해 메타포를 통한 비유적 상상력이 시각적으로 다른 요소들을 어떻게 이해하도록 연결시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창의적 디자인 아이디어의 발상 방법으로서 막연히 직감적인 이미지 표현에서 벗어나 보다 체계적, 논리적 방법론으로 시각적 메타포를 활용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 방법으로 수사학적 개념적 이론을 바탕으로 메타포의 가치생성의 기반을 찾고, 시각적 메타포로서 표현적 방법을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메타포의 두 주제사이의 명시성관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기호학적인 내표적 기의를 분석하여 시각적 메타포가 광고에서 가지는 총체적 의미와 특성을 도출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두 주제의 형태의 유사성은 제품의 시각적 효과를 더 강조하면서 병렬로 나열되거나 형태가 혼합된다. 이때 의도된 형태의 이미지가 첨가되면서 선명한 시각적 인상(印象)을 형성한다. 반면 내용적 유사성을 나타낼 때 주로 두 주제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대상이 갖는 새로운 의미가 첨가된다. 이러한 경우 시각적 메타포는 추상적 복잡함을 시각적 압축효과로 기호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시각적 대체는 보조관념이 가지고 있는 성격이 전이되면서 제품에 부여되어 광고에서 소비자가 경험하지 못하는 추상세계를 구체화시킨다. 그리고 카피문구나 슬로건을 통한 언어적 의미는 기호로써 두 주제의 개념의 유사성을 찾아 대상이 갖는 새로운 정보를 통해 의미성을 확장하게 된다. Today, the creative advertisement with metaphor is frequently used by escaping from the advertisement expression focusing on the product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etaphorical imaginative power using metaphor is connected to visually different elements to understand them through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visual metaphor. Its another purpose is to escape from the intuitional image expression as the method to conceptualize the creative design idea and use the visual metaphor as a systematic, logical methodology. As the specific method of research, the study found out the foundation of metaphor value creation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rhetorical concept and researched the expressive method of visual metaphor through case study. First of all, the study analyzed the similarity between tenor and vehicle by classifying metaphor into 2 types depending on the clarity relationship between 2 themes. After that, the study analyzed the image of brand and semiologic internal signified to draw the general meaning of visual metaphor in the advertisement. The similarities of 2 themes are listed in parallel and their types are fused while they emphasize the visual effect of product. At this time, the image of intentional type is added to form the clear visual image. On the contrary, when the similarities of contents are shown, the similarities of 2 themes are compared to add a new meaning of target. In this case, the visual metaphor has the symbolic meaning through the effect to compress the abstract complexity visually. When the tenor is substituted for the vehicle, the characteristic of the vehicle is transferred to specify the abstract world that is not experienced by consumer in the advertisement. In addition, the linguistic meaning through copyright and slogan expands the meaning through new information of target by finding out the similarities of 2 themes as signifier.

      • KCI등재

        영화적 전개와 관련한 주요 메타포 비교 분석 연구 - 영화 ‘설국열차’와 ‘옥자’를 중심으로

        노아영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영화 《설국열차》와 《옥자》를 중심으로 두 영화 안에서 메타포로 해석될 수 있는 각각의 요소를 세 가지 특징으로 유형화 한 뒤, 이것의 세부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메타포의 의미와 역할로는 서로 다른 대상이 지닌 본질을 동일시 하는 과정을 통해 생각의 전환과 사유의 확장을 일으키는 ‘서로 다른 기호의 결합’과, 두 개념 간의 영향 관계로 새로운 문맥 과 의미가 형성되는 ‘새로운 의미 발생’이 있다. 영화적 배경과 전개로는 ‘생태 위기로 인한 갈등’과 ‘자본주의와 생명착취’가 있는데, 이는 모두 영화 안에서 극심한 갈등과 부조리, 폭력을 경험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영화에서 주요 메타포를 세 가지 성격으로 유형화한 뒤, 이로부터 각각의 대상을 비교 분석한다. ‘현실 저항 행위로서 메타포’에서는 부조리한 현실에 대 한 저항 표현으로 인물의 행위가 중심이 된다. 설국열차에서 ‘문 열기’, 옥자에서 ‘문 부수기’, 설국열차에서 ‘돌진’, 옥자에서 ‘뜀’이 이에 해당한다. ‘위기 해결 사물로서 메타포’에서는 위기 상황을 돌파해 나가기 위한 수단이자, 상호 거래의 목적으로 사물이 등장한다. 설국열차에서 ‘성냥불’, 옥자에서 ‘블랙박스’, 설국열차에서 ‘크로놀’, 옥자에서 ‘황금 돼지’가 이에 해당한다. ‘상태회복 메시지로서 메타포’에서는 극 중 위기 상황이 종료되고 상태가 정화되는 것으로서 살아있는 자연과 생명이 등장한 다. 설국열차에서 ‘눈’, 옥자에서 ‘감’, 설국열차에서 ‘북극곰’, 옥자에서 ‘아기 돼지’가 이에 해당한다. 공통의 메타포 안에서도 영화적 세부 전개와 문맥에서 비롯되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메타포를 통하여 이처럼 다양한 각도에서 영화를 해석할 수 있으며, 영화 전체와 세부를 풍부하고도 다층적으로 읽을 수 있다. This study categorizes the elements that can serve as metaphors in two films, Snowpiercer and Okja, according to three characteristics and compares their details. The meanings and roles of metaphors can be explained as a ‘combination of different symbols,’ which causes a change of thought and the expansion of reason in the course of identifying the nature of a subject relative to that of another; and the ‘generation of a new meaning,’ which forms a new context and meaning throug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wo concepts. The cinematic background and development in these films are a ‘conflict caused by an ecological crisis’ and ‘capitalism and exploitation of life, respectively .’ These act as the main reasons the characters experience extreme conflict, irrationality, and violence in the films. This study categorized the key metaphors in the films according to three characteristics and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each subject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metaphors as the act of resisting reality,’ the actions of characters become the main expression of resistance against unreasonable reality. They are the ‘door opening’ in Snowpiercer, the ‘door crushing’ in Okja, ‘rushing’ in Snowpiercer, and ‘running’ in Okja. For ‘metaphors as crisis-solving objects,’ objects appear as the means to break through the crisis and as the purpose of mutual trade. They are the ‘light of a match’ in Snowpiercer, the ‘black box’ in Okja, ‘Kronol’ in Snowpiercer, and the ‘Golden Pig’ in Okja. For ‘metaphors as a status-recovering message,’ living nature and life appear after the resolution and clearing up of the crises in the films. These are the ‘eyes’ in Snowpiercer, ‘persimmons’ in Okja, the ‘polar bear’ in Snowpiercer, and the ‘piglet’ in Okja. Differences due to the details of cinematic development and context could be found even with common metaphors. By using metaphors, films can be interpreted from various angles and the films overall and details can be viewed in a multi-layered, rich context.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메타포와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능력, 진로자기효능감, 재취업의 관계

        신덕상(Duck Sang Shi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3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경력단절여성이 재취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경력메타포(career metaphor) 활용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력메타포는 직업활동에 대한 과거 경험을 표상하고 동시에 경력계획 등 미래 경력행동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여성인력개발센터 7곳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재취업교육을 이수한 뒤 취업현황 보고를 목적으로 센터를 방문하는 수료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했다. 수거된 설문지는 190건이었으나 메타포를 기입하지 않은 설문지와 불성실 응답한 설문지, 실직기간이 1년 미만인 설문지를 제거하고 최종분석에는 92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경력메타포를 포착하기 위하여 삼각측량의 질적 연구를 했고 이를 위계적으로 구분한 뒤 집단별 차이를 검증하는 양적 연구를 혼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경력단절여성들의 경력메타포는 눈, 자신감, 기록, 노하우, 디딤돌, 유산, 인생-경력 무지개, 가위눌림 극복, 프로티언, 자본가의 총 10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이를 위계적으로 구분한 결과 눈, 자신감, 기타 등 낮은 수준의 메타포가 22.8%, 기록, 노하우, 디딤돌, 유산, 인생-경력 무지개, 가위눌림 극복의 보통 수준 메타포는 67.4%, 그리고 프로티언, 자본가의 높은 수준 메타포는 9.8%였다. 셋째, 경력메타포와 경력단절극복의 선행요인으로 알려진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자기효능감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진로성숙도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경력메타포 위계에 따른 취업률 차이를 확인한 결과 보통 수준의 집단에서 취업자 비율이 평균보다 높았고 차이검증 결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경력메타포 위계에 따라 진로의사결정능력, 진로자기효능감은 집단별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진로성숙도는 그렇지 않았다.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메타포를 최초로 확인하였고 이를 위계적으로 구분하는 경력메타포 위계론의 활용가능성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usefulness of application of career metaphors for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Career metaphors reveal not only their past work experiences but also future career plans. Reemployed graduates from seven randomly selected Wome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After deleting unreliable responses, 92 responses out of 190 were used for final analyses. The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triangulation approach was applied in identifying career metaphors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ithin the triangulation approach was applied in classifying hierarchical structures of career metaphors and comparing between-group differences. This study identified career metaphors used in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supported the hierarchy of career metaph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