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인문학의 방법과 방향

        유권종(Kwon Jong Yo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마음을 연구하는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종합하면서, 이에 동양철학적 마음 이해의 이론적 체계를 현대의 인문학적 맥락속에 자리잡게 하는 방법을 찾아본 것이다. 국내외에서 아직까지 유교의 심학을 인지과학이나 심리학적 주제와 연결시킨 예가 매우 드물고, 또 마음에 관한 연구가 철학이나 심리학의 범위를 넘어서서 다른 학문들과 적극적으로 교섭하는 예가 드물었다는 점을 반성하고, 마음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여러 학문들을 하나의 목적에 종합하여 보고자 하는 구상을 논술한 것이다. 마음학을 통한 비교인문학의 추구는 사실 인문학을 학제간 연구의 주축으로 삼고자 하는 것, 특히 동양의 전통적인 마음 연구의 맥락을 현대의 학문맥락 속에 定位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의 하나이다. 마음학은 아직 구상의 단계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더 자세한 언급을 하기 어렵다. 앞으로 연구를 하게 되면 더 자세한 경험적 사례와 그로부터 입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더 깊이 있고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것을 통해서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동양에서 개발된 마음이해를 비교의 준거로 삼아서 인문학 상호간, 인문학과 자연과학, 문화 상호간의 상호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비교 인문학적 연구방법의 정착이다. 둘째 그러한 방법이 시대적 문맥에 따라서 끊임없이 재생산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려는 것도 하나의 기대효과이다. 셋째 교육현장과 사회현실에 적용 가능한 이론 실천이 통합된 마음 모형을 개발하여 후속연구를 촉진하려는 것도 그에 포함된다. 이를 통해서 인문학의 현실 적합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 마음학이 목적하는 바이다. This article aims at looking for a methodology to make a new discussion about the human mind from a viewpoint synthesized with already established theories and plus the context of East Asian traditional understandings of mind. In reflecting that in Korean academic circles the number of connecting theories of traditional Confucian mind learning to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or psychology has been small and in Humanities area it is few times that studies of mind from the viewpoints of philosophy or psychology have met with ones from other field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ange of studying the mind must be broadened and synthesize various viewpoints of mind studies into a more comprehensive system. This mind study using the comparative humanities methodology has two targets; the one is to make the humanities the main axis of this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he other to push the traditional context of Confucian mind-learning on the right track of the contemporary context of mind studies. This mind study has not finished its formulation of its system and methodology, so that it will be difficult to discuss more details.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xplain more details with more examples of study experience and established facts by the methodology of this. It will be expected by this study as follow: the first is establishment of the comparative Humanities on the authority of the mind understanding system of Confucianism,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ement that makes such an comprehensive or integrated methods to be reproduced infinitely in accordance with the charging context. And the last is to promote succeeding studies by the means of developing a mind model integrating theoria and praxis that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and social life. To maximize the suitability of the humanities of this mind study must be the reason why this mind study will be asked.

      • KCI등재

        마음병의 세 가지 유형

        장진영(Jang, Jin-Young)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5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4 No.-

        현대사회의 인류는 그 어느 때보다 물질적 풍요를 향유하고 있지만, 오히려 더 큰 정신적 빈곤과 심리적 고통에 노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오늘날 인간이 겪고 있는 수많은 심리적 고통, 즉 마음병과 그 원인에 대해 붓다와 소태산의 고통 진단과 그 치유법인 삼학(三學)을 염두에 두고 3가지 유형으로 정리하였다. 마음의 병은 다시 말해 마음 그 자체가 병든 것이 아니라 마음의 작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로서 “마음을 잘 지키지 못하고, 잘 알지 못하며, 잘 사용하지 못하는 병”이라 할 수 있다. 초기불교에서는 ‘갈애’와 ‘무지’를 꼽았다면, 대승불교 특히 유식에서는 아집과 법집으로 나누어 각각 정서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에서 병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유식학에서는 모든 경험과 인식의 내용이 결국 연기된 것, 즉 의타성(의타기성)임에도 허망분별, 즉 분별성(변계소집성)에 빠져 진실성(원성실성)를 보지 못하는 점, 그리고 그러한 허망분별이 자아에 대한 집착과 사견에서 온다는 점에서 마음병의 원인으로 말나식을 주목하였다. 한편 모든 언어분별을 떠난 경계 이전의 마음인 원래 마음(무분별심, 무착심) 등 본성회복 유무와 마음 작용의 분별주착 유무에 따라 인지적 · 정서적 측면의 병인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주목해야 할 것은 의지작용에 의한 말과 행동 등 구체적인 행위와 습관의 문제이다. 이는 모든 심신작용이 곧 업인이 되고 그 업인에는 반드시 과보가 오는 인과보응의 이치에 따른 것이다. 일단 형성된 잘못된 습관은 오히려 인간의 정당한 마음작용을 구속하게 된다는 점에서 마음병의 한 축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지-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마음병을 파악한 결과, 이를 무지의 병, 욕심의 병, 습관의 병으로 정리하였다. 각각은 다시 두 가지 측면에서 균형 있게 볼 필요가 있다. 무지의 병에서는 자아에 대한 근본무지와 동시에 현실에 대한 무지도 보아야 한다. 욕심의 병에서는 이기적 욕심(욕구)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와 함께 이타적 욕심(욕구)를 정당하게 세우지 못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습관의 병에서는 부당한 습관을 반복하는 것과 함께 정당한 실천을 하지 못함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들 마음병은 결국 마음의 작용에 있어서 자신을 이롭게 하려는 이기적 동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근원은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무지에 대한 자각을 통해 늘 깨어있고, 나에 대한 집착을 놓고 본성을 회복하며, 나아가 적극적인 실행의지로서 습관과 기질을 변화시키는 세 가지 방면의 마음공부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modern society, we have enjoy material wealth more than before any time, but have been exposed to spiritual poverty and psychological pain. In this paper, I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various psychological sufferings, that is ‘the diseases of mind’ and the causes of mind-disease, suffered by human beings based on the diagnosis of mind and treatment of mind healing supported by Buddha and Sotaesan. In other words mind diseases or mind sufferings don’t mention of mind itself but of mind work: when we can’t keep our mind well, know our mind clearly and use our mind properly, we call our mind to be suffered. Early Buddhist regard craving (P. ta?h?) and ignorance (P. avijj?) as the cause of mind suffering, Mahayana Buddhist especially yogacara consider self-obsession(我執) generating emotional disturbances and dharma-obsession(法執) bringing out cognitive disturbances as the important cause of mind suffering. And we used to discriminate anything in vain, that is the tendency of discriminating in our own way according to Manas(末那識). Meanwhile I think It is a kind of mind disease that we tied in a given situation, so we can’t use our mind freely. Especially with regards to an action, we can’t do freely what we want to do because of our mind and body habits. Above I divided mind diseases into three types: ignorance, desire, habitual practice. We need to see balanced in two sides: negative side and positive side. Firstly The disease of ignorance has two shapes such as a original ignorance of the Self and a realistic ignorance in everyday life. The second, the disease of desire has two aspects such as not to control a selfish desire and not to establish an altruistic desire. Finally the disease of habitual practice has two aspects such as repeating improper habits and not to be able to even proper action. These have in common with being unable to escape self-centered selfish motive. Therefore we need to practice threefold studies that we are awareness of our ignorance, recover self nature without craving, and change habit and temperament with affirmative action will.

      • KCI등재

        마음인문학의 철학사상적 토대에 대하여: 마음공부론을 중심으로

        이기흥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0 철학탐구 Vol.57 No.-

        In this article, I present a conceptual model of mind humanities to reveal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identity of mind humanities that is carried out as part of the Humanities Korea Project. In this model, I first introduce a spiral model of mind practice based on four minds: ego,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In this model, the more the axis of mind operation shifts towards ego, the more often the pain occurs, and the more the axis of mind operaton shifts toward the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the more happiness and peace of mind arise. I discuss the mechanism by which pain is created with respect to the former, and with respect to the latter the process of mind healing and mind cultivation based on a sequential series of mind practices. As a matter of fact, I present four types of mind practice that focus on ego, metamind, Self, and relational mind. I believe that all kinds of mind practice, -healing and –cultivation methods of the ancient and modern times from East and West can be reconstructed into conceptual framework of mind practices. I propose to view the enterprise to discover, collect, reconstruct and reproduce various theories and practices that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mind practice, -healing and -cultivation, and then to apply them to our modern living conditions as a central task of mind humanities. As a result, the mind humanities are understood as comprehensive practical studies related to management, administration, maintenance and repair of mind. 본고에서 필자는 인문한국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마음인문학의 철학사상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마음인문학의 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필자는 먼저 네 가지 마음(주체), 즉 에고, 메타마인드, 셀프, 관계심을 기반으로 하는 마음작용의 나선형 순환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에서 필자는 마음작용의 축이 에고 쪽으로 치우칠수록 고통번뇌가 빈번해지고 그 반대방향으로 치우칠수록 마음의 행복과 평화가 빈번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는 가운데, 전자와 관련해서는 고통번뇌가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논하고, 후자와 관련해서는 일련의 마음공부, 마음도야 및 마음치유의 과정을 논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에고, 메타마인드, 셀프, 관계심에 중점을 두는 네 가지 유형의 마음공부를 구분한다. 필자는 동서고금의 제반 마음공부·치유·도야법들이 전반적으로 이들 네 가지 마음공부 개념틀에 재구성될 수 있다고 보는 가운데 (자발적) 마음공부·치유·도야와 직·간접으로 관련해 있는 다양한 마음이론 및 마음실천들을 발굴·채집·재구성·재생산해 현대인들의 마음공부·치유·도야실천과 사회/문화치유 및 개선작업에 적용하는 것을 마음인문학의 중심과제로 설정해 보았다. 이로써 필자는 마음인문학을 전반적으로 마음의 경영·관리·유지·보수와 관련한 종합학이자 실천적 학문으로 이해한다.

      •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김재철(Kim, Jae Chul),문종길(Mun, Jong gil)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그것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인문고 학생 704명이었고,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 다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의 원리를 활용하여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학습된 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보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학업성취 하, 학업성취 상)에 대한 경로계수 동일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전체 분산의 54.1% 설명하고 있었고,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학업성취 상 등급의 영향력이 학업성취 하 등급의 영향력 보다 더 컸고, 학업성취 상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반면, 학업성취 하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이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귀인성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of 704 high school students in P and I city during from July 10 to July 18, in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20 and Amos v20. Major findings are follows. First,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ed helplessness. A total 54% of variance in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Second, Th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But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 마음인문학의 회고와 전망

        장진영(Jang, Jin-You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는 ‘마음인문학,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을 아젠다로 지난 2011년 12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10년에 걸쳐 마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사상·치유·도야·공유의 네 분야에서 동서고금의 마음담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양한 학문 영역과 비교 및 융합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마음의 치유와 도야를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개발, 현장적용 및 효과검증 등 실천연구 등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학술 영역, 사회적 확산 영역, 토착화 영역 등으로 아젠다 구현을 위한 중점사업을 전개하였다. 먼저 연구학술 영역(4월 현재)에서는 국제학술대회 10회, 국내학술대회 41회, 그리고 소규모 학술회의 70회 이상 하였고, (저자로 HK연구진이 참여한 경우만) 총 198편의 연구논문과 총 43권의 저역서를 저술하였다. 한편 사회적 확산 영역에서는 시민강좌(마음학교), 마음지도사 양성과정, 대학교양수업, 마음인문학 특강, 언론미디어, 다큐 및 영상콘텐츠 제작 보급, 홈페이지 및 전자문화지도 등 온라인서비스 등 양질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토착화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수집 및 현장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캠프 운용, 마음공부방 개설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도 대체로 마음연구(마음의 원리적 구조적 이해, 치유·도야 이론 및 방법론 등), 이상적 인간상 및 마음공부 모델 제시,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검증, 마음지도사 양성 및 전문화, 마음공부의 일상화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치유와 도야 모델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마음공부 모델로 제시해보았다. 먼저 마음의 ‘분별’ 유무에 따라 본성(근본심)과 현상(분별심)으로 구분하고, 다음으로 마음의 현상을 ‘의지 유무’에 따라 현상(수동적 반응)과 작용(능동적 반응)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용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몸을 매개로 안으로는 자기치유(스스로 치유) 혹은 자기 성장, 밖으로는 관계치유(더불어 치유) 혹은 관계 성장 등 응용과 확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음인문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제는 ‘과학혁명’을 넘어 ‘마음혁명’이 필요한 시대이다. 그동안에도 연구소는 마음의 주체를 바로 세우고, 물질을 잘 활용하여 인류 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할 수 있는 ‘지금 여기’ 마음공부를 통해 플랫폼 구축 및 마음공부공동체 실현을 위한 한 걸음을 내디딜 계획이다.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IMH), Wonkwang University, wa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HK) projec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December 2010 with the The Mind Humanities : A New Vision for the Spiritual Civilization of Human Societies as the agenda. In order to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literature comparison studies and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discourse of mind of East and West, in four fields, namely Thought, Healing, Education, and Sharing, and convergence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humanities and psychology, medicine, science, pedagogy, and sociology. Attempts were made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mind practice program for healing and toning of the mind, practical appl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field such as field application and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In this process, a major project for realizing the agenda was developed in various research and academic fields, social diffusion areas, and indigenous areas.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scholarship, 10 international conferences, 41 domestic conferences, and more than 70 small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d 9 HK researchers totaled 198 research papers. More than 20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by submitting, and 43 books were published. In social proliferation, quality activities such as citizen lectures, training courses for mind instructors, college classes, special lectures in mind humanities, press media, documentary and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online services such as homepage and electronic culture guidance were conducted. Additional activities include field survey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opening of a mind camp or mind practice meeting. The research process was also conducted with mind research, mind practice model presentation,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effect verification, program diversification and subdivision, mind coach training and specialization, mind study daily life and daily life. Various healing and education models have been presented, and if you present a mind study model, the mind phenomenon, again with the nature (true mind) and phenomena (arising min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cernme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and active reactions to the apocrypha, that is, will (execution). Phenomenon and ac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and extensions such as self-healing and relational healing on the inside were suggested to be possible. IMH is still pioneering a new field of study called Mind Humanities . As a mind practical of mind humanities and now here , which unfolds the mask of abundance caused by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then presents new hop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mankind through the Mind revolution , realizes a mindful community.

      • KCI등재

        마음비교용어사전 구축방안에 대하여

        박충식(Park, Choong-Shik)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3 철학탐구 Vol.33 No.-

        마음에 관한 연구는 철학, 심리학, 사회학, 인지과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진, 전형적인 학제간 연구 분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음 연구에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이 분야마다 상이하게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가 효과적인 융합연구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마음에 관련된 여러 용어들을 비교할 수 있는 비교용어사전은 차이를 이해하고 좀 폭넓은 마음이해를 위한 마음연구에 중요한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축과정자체가 융합연구인 마음비교용어사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논문은 마음비교용어사전 구축하기 위하여 잠정적으로 마음연구의 범위를 정하고, ‘마음 모형’이라는 개념에 따라 여러 학문분야별로 비교논의를 하기 위한 표제어 선정과 선정된 표제어를 비교 서술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한다. The study on mind is a typical inter-disciplinary research domain which spans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cognitive science, and other many fields. Nevertheless, the variety of terminology involved in the study of mind, have been used to vary the field, this problem has become an obstacle to the effective fusion research. Therefore, the comparative dictionary of mind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esearch which understand the difference and some broad understanding of mind. In this study, the methods to construct the comparative dictionary of mind, fusion research as construction process itself, are discussed and the guidelines are established. This paper defines the scope of mind research in the comparative dictionary of mind, provides the methods of selecting entries in the dictionary, and proposes the description style of entri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mind model’ for comparative discussion on mind studies in multi-disciplinary sector.

      • KCI등재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비추어 본 마음과 교육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이 글의 목적은 『정신현상학』에 제시된 헤겔의 마음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고 그것이 교육과 관련하여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글에서는 마음을 이해하는 두 가지 관점으로서 ``칸트의 선험철학``과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제시한 다음, 이 둘이 마음에 관한 이론으로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글에 따르면, 헤겔의 마음이론은 칸트의 마음이론이 밝혀 놓은 마음의 제 양상을 지식획득과정으로서의 교육의 과정 안에 특별한 방식으로 계열화한다. 칸트의 마음이론은 마음의 제 양상이 이성 또는 이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해명하고 있는 반면, 헤겔의 마음이론은 마음의 제 양상이 바로 그 이성 또는 이념의 적극적인 자기표현이라는 것, 즉 그 양상들은 의식의 발달계열을 따라 스스로 제 모습을 드러내는 정신의 자기표현이라는 것을 해명하고 있다. 또한 칸트의 마음이론은 교육의 과정에서 ``경험적 인식``의 측면만 따로 떼어내어 고정해 놓음으로써 경험적 인식을 객관타당한 인식으로 정당화하는 한편 이 경험적 인식은 이성의 이념을 ``있지만 알 수 없는 것``으로 남겨 두는 한계가 있음을 드러낸다. 반면에, 헤겔의 마음이론은 그렇게 고정된 경험적 인식을 본래의 교육의 과정 안으로 되돌려 놓음으로써 경험적 인식의 진면목은 이성의 개념적 사고라는 것, 교육의 과정은 이성을 자각한 마음이 종래의 교육의 과정에서 형성한 마음의 모든 양상과 지식의 모든 관념에 관하여 개념적 사고를 수행함으로써 그것들이 정신의 자기표현임을 인식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정신의 입장에서 볼 때, 교육은 바로 그 교육의 의미를 아는 데에 목적이 있는 자기충족적 활동이다. 교육의 과정은 정신이 자기를 의식과 대상으로 분화한 다음 자기의식적 정신으로 복귀하기까지의 자기운동을 되돌아보는 자기회상의 과정이다. 헤겔의 이러한 교육이론에 담긴 ``형이상학적`` 측면은 교육을 사전에 확립된 지식관과 마음관 하에서 한정하고 그것을 자기와 무관한 대상처럼 취급하는 오늘날의 통념에 경종을 울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hibit the theory of mind implicit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nd explore how it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theo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aises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as two perspectives on mind and knowledge, and compares them. In this comparison, Hegel`s mind theory subsumes the very modes of mind presented by Kant`s mind theory, into the process of education(Bildung) as self-knowing activity: Kant`s theory argues that all modes of mind presuppose Reason`s Idea as an a priori condition, whereas Hegel`s theory elucidates that they are the positive manifestations of universal Reason`s own, i.e., Spirit`s self-manifestations in the sequence of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nd by distinguishing empirical cognition from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fixing it as an objective fact, Kant justifies it as an objective knowing, but leaves Reason`s Idea as the unknowable beyond it. On the other hand, by returning it into its original state, i.e., the process of education, Hegel exhibits that its true identity is the turning point of universal Reason`s conceptual thinking, and that education is the self-knowing activity in which Reason thinks conceptually all the modes of mind and all the ideas of knowledge which it produced in its Consciousness days, and then knows them as its own actual manifestations, i.e., Spirit`s self-manifestations. So, in Spirit`s view, education is the self-sufficient activity which purpose is to know the meaning of education as such. The process of education is the process of self-recollection in which Spirit manifests itself as the sequential modes of Consciousness and the other-beings, subsumes them into itself, and then returns into itself as self-conscious Spirit. In conclusion, this ``metaphysical`` or ``substantial`` aspect of Hegel`` mind theory is a warning to nowadays` common notions that relegate education to a kind of temporary activity of delivering pre-established ideas, thereby treating it as an indifferent object to oneself, especially adult`s own self.

      • KCI등재

        제6장 마음과 세계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08 민족사상 Vol.2 No.1

        프로이트가 인간의 심층의식에 주목하여 심리학을 개척한 이후 현대사회과학에서도 심리분석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불교에서는 오래전에 “모든 것은 마음이 지은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중심으로 마음의 구조와 마음 닦는 방법이 정교하게 발전시켰다. 불교는 마음을 심(心), 의(意), 식(識)으로 파악하고 이를 5가지 감각기관의 식, 분별하는 제6식, 자아의식으로서의 제7식, 그리고 저장식으로서의 제8 아뢰아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든 현상은 8식에 저장된 식들이 인(因)과 연(緣)을 만나 발현되는 것이다. 닦음이란 8식의 순수한 부분이 오염된 부분을 정화하여 청정한 본심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붓다에서 시작되어 불교에서는 이렇게 청정한 본마음을 회복하여 이상적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수행방법이 정교하게 개발되었다. 핵심은 산란한 마음을 하나로 집중하는 지(止)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관(觀)의 수행인데 선(禪)에서 지와 관은 다른 말로 정(定)과 혜(慧)라 하며 이는 분리 수행이 아니라 함께 닦는 것(定慧雙修)이라고 한다. 대승불교는 자기 한 마음 만을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남의 마음 구별 없이 마음속에 일어나는 모든 마음을 닦기 때문에 마음 닦는 일과 정치사회적 문제를 다스리는 일은 연관을 맺고 있다. 정치사회적 문제들의 진단과 해법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붓다의 마음 닦기는 크게 유용한 것으로 본다. 현대사회의 제 문제들이 인간의 본심에서 너무 멀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의 청정한 본심을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Since Freud first elaborated the theory that mind is a complex energy system, many psychological analysis on politico-social subjects have been carried. In the ancient Orient, Buddhism developed an elaborated theory of mind and mind control techniques after the Buddha had declared that all is mind made. Mind is composed of eight different sorts of consciousness, namely five threshold consciousness, six sense, self consciousness, and no.8 consciousness in Buddhist mind theory. Every thing manifested itselffrom the eighth which is the storehouse of all the consciousness when every stock in it meets its cause and occasion. Buddhist mind control practice is to purify the contaminated part of the eighth consciousness with the help of its pure part thereby recover our pure and undefiled mind. Concentration(止 or 定) and contemplation(觀 or 慧)are the two pillars of the practice. The two should be practiced concurrently not separately. Mind should be concentrated and contemplated at the same time. In Mahayana Buddhism, the trainee's goal is to purify not only one's own mind but also every mind of living beings that arises in his mind. So mind control and practice in Mahayana system necessarily deals with political and global issues. Since almost every important issues in the modern world is contradictory with the pure human mind, it requires the recovery of the pure mind before we think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is sense Buddhist theory and practice of mind would be very helpfu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itico-social problems in the modern world.

      • KCI등재

        마음공부 전자문화지도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백현기(Baek, Hyeongi)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본 연구는 구글맵 서비스와 마음공부 프로그램과의 매쉬업을 이용해 마음공부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설계되었다. 마음공부 연구를 위하여 전자문화지도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세부적으로 마음공부 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자 한 것이다. 마음공부 전자문화지도는 마음공부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특정 지역의 지도 위에 나타낸다. 세부적으로 점, 선, 면의 공간 속성을 활용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간, 공간(지도), 주제(마음공부) 세 가지 값이 연계된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전자문화지도는 인문 지역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결과물을 전자문화지도를 통해 전시함으로써 연구결과를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생성된 마음공부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면 마음공부 연구결과를 주제별·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마음공부 학습 시 학습자에게 다양한 마음공부 정보를 제시하고, 사진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직접 마음공부 정보를 등록,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자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이 병행되는 마음공부 학습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마음공부 연구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하게 되고 마음공부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aimed at offering contents of mind practice by using a mash-up of google maps service and mind practice program. An application method was provided for a study on mind practice, and electronic culture atlas was constructed for a study on mind practice in many details.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mind practice was spotted on a map of a specific area to digitalize much information of mind practice. It could present some data by using detailed spatial characteristics like as a point, a line, a face. Furthermo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space(map) and subject(mind practice) is available in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at is, electronic culture atlas could be used as a method for the research on humanities, and its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widely spread by displaying on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is study utilized a map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nic culture studies, so its research results can be represented visually. Learners to study mind practice could obtain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photos, data, multimedia data, etc. In addition, mind practice research is thought to be helpful to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mind practice activities by the proliferation of data. Through this study,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mind practice and could be available as a basic data of mind practice research.

      • KCI등재

        ‘마음 챙김’ 참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조한상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종교와 상관없이 사회 각 영역에서 마음 챙김은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이는 기독 교 영역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 챙김 프로그램 참가자 들 안에서 일어나는 경험과 변화를 이해하고 묘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마 음 챙김 프로그램을 참가했던 경험이 있는 기독교인 성인 6명이 선정되었다. 심층 인 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 45개의 의미 단위, 11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 그리고 3개의 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이 ‘자아 발견과 형성, 변화와 성장 그리고 자유를 누림’이라는 3가지 틀로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참 여자 대부분은 새로운 발견과 각성을 통해 자신의 삶을 옭아매고 있었던 여러 가지 굴레로부터 자유로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마음 챙김에 참여하여 신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정서의 변화, 생활의 변화 그리고 관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참가자는 자신을 사랑하게 되었고 관점이 변화되며 이웃과 세상에 관한 관심으로 승화되어 영 적 자유를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마음 챙김 프로그램 참여를 현상학적으로 접근 한 것이다. 마음 챙김은 불교 전통에서 유래 된 것이지만 기독교 전통의 영성 훈련에 서도 깨어있음을 강조하는 전통이 있다는 것을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안토니 (Anthony the Great)와 에바그리우스(Evagrius Ponticus)가 그 예이다. 이들은 마음의 순결을 지향하여 마음 챙김을 수행한 수도사들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기반을 둔 마음 챙김 전통과 기존의 마음 챙김은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기독교적 마음 챙김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체험하고, 초월적인 하나님을 지향한다는 점, 통합적 인 영성을 강조한다는 점 그리고 고통을 제거할 대상이 아니라 영적 성장의 기회로 재해석한다는 점이 전통적인 마음 챙김과 불연속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 챙김이 보편화된 현대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이러한 차이점을 수용한다면 기독교인 들에게 다양한 유익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In all areas of society, mindfulness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cluding the Christian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that occur in participants of a mindfulness program. Six Christian adul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had completed a mindfulness program. The data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 total of 45 constituent semantics, 11 revealed themes, 7 intrinsic themes, and 3 grand themes were categorized in this study.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reviewed the three themes of self-discovery and formation, change and growth, and freedom.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freedom from various shackles that had bound their lives through new discoveries and awakenings. Second, they experienced not only physical changes but also emotional changes, life changes, and relationship changes through participating in mindfulness.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d spiritual freedom as they came to love themselves, their perspectives were transformed, and their concern for their neighbors and the world was elevated. This study tak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participation in a mindfulness program for Christians. While mindfulness has its roots in the Buddhist tradition, there is also a tradition in Christian spirituality that emphasizes alertness, as found in the Bible. Anthony the Great and Evagrius Ponticus are examples of monks who practiced mindfulness with the aim of achieving purity of heart. However,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Christian-based mindfulness and conventional mindfulness. Christian mindfulness diverges from traditional mindfulness in its perception of a trinitarian God, its focus on a transcendent God, its emphasis on an integral spirituality, and its redefinition of suffering as a chance for spiritual growth rather than something to be eradicated. In today's world, where mindfulness is prevalent, Christians can benefit in many ways from accepting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