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ebER: R을 이용한 웹 기반의 교육용 통계 분석 시스템 구현

        고영준,박용민,김진석,Ko, Young-Jun,Park, Yong-Min,Kim, Jin-Seog 한국통계학회 2012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9 No.2

        최근 학교나 기업에서 통계분석 소프트웨어인 R의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SPSS나 SAS 등 상용소프트웨어에 비하여 학습이 어려운 측면이 있고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도 번거로운 면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R 초보사용자를 위한 교육, 혹은 실험실에서의 사용을 위해 통합관리가 용이한 웹기반의 R 환경구축이 필요하다. 웹기반 R 환경구축과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웹프로그래밍 언어, DBMS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거나 제한된 통계분석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프로그래밍 언어 이외의 별도의 지식이 없이도 가능한 웹기반 R 환경인 WebER를 개발하였다. WebER는 Linux apache 서버에서 PHP를 이용하여 R과 연동함으로써 웹에서 통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Rgui의 기능인 R 프로그램편집, 텍스트 및 그래픽 출력, 오류 출력 등을 구현함으로써 초보 R 사용자를 위한 교육환경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다중사용자가 동시에 이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R is a free software for statistical analysis that provides simple interfaces to other application programs. Many people are trying to learn R, but it is difficult to learn R compared to commercial software such as SPSS or SAS, and it is cumbersome to provide an environment to teach R. Thus,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new web-based R environment for novice users or for laboratory use. We developedWebER (a web-based R environment) using PHP on the Linux apache server. WebER can be easily used by any R user because we implemented the same functions as the basic Rgui such as editing R program, generating the text, image outputs, errors and warnings. It is also possible for multi-users to access WebER.

      • KCI등재

        PMN-PT-PZ 계 세라믹스를 이용한 압전 발음체 설계

        고영준,김현철,남효덕,장호경,우홍,Ko, Young-Jun,Kim, Hyun-Chool,Nam, Hyo-Duk,Chang, Ho-Gyeong,Woo, Hong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4 No.1

        In this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iezoelectric sounder with metal-piezoelectric ceramics were analyzed. The dielectric and piezoeletric properties of 0.5wt% MnO$_2$ and NiO doped 0.1Pb(Mg$\_$1/3/Nb$\_$2/3/)O$_3$-0.45PbTiO$_3$-0.45PbZrO$_3$ ceramics were investigated aiming at acoustic transducer application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thin circular disc-type with metal-piezoceramics have been investigated. Also,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for the geometrical form of case were investigated. The piezoelectric sounder with 200kHz resonant frequency and 20kHz bandwidth wa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sharp directivity and the sound press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뇌병변 장애아동을 위한 자세유지기 디자인연구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아동과 보호자가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세유지기 디자인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뇌병변 장애아동의 특성, 자세유지기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개발된 자세유지기를 "경제성" "사용성" "심미성" "범용성" "이동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여 자세유지기의 사용상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사용성 테스트에는 4명(장애아동 2명, 보호자 2명)이 참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디자인개발 방향을 설정한 뒤 이를 토대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디자인결과물로 아동의 성장에 따라 프레임의 너비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A안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로 실내 환경과도 잘 어울리는 B안이 제시되었다. 최종결과물은 자세유지기 전문 업체의 양산성검토를 거쳐 상품화될 계획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posture supporting equipment design for disabl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ich could be used easily by children and their care givers at home. For the study, first,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hildren, as well a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sture supporting equipment were identified. Compar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on existing posture supporting equip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economics’, ‘usability’, ‘aesthetics’, ‘compatibility’, and ‘mobility.’ In addition, an usability test on a posture supporting equipment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problems and user requirements while using it. In the usability test four people(two disabled children and two care givers) were participated. Finall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ies, two types of design-type A whose frame width c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physical growth of children and type B which could be adjusted to the bodies of children and is in harmony with its environment-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적 지식의 교육학적 함의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적 지식’의 의미와 성립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교육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서 ‘지식의 대상은 보편자인 반면 지식의 대상으로 삼은 것의 실체는 개별자’라는 난문을 제기하고 이론적 해명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 이론적 해명의 핵심에는 실체에 관한 지식, 이 연구의 용어로 말하여 ‘실체적 지식’ 또는 ‘실체적 인식’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선행 연구들은 ‘지식의 대상은 가능태로서의 보편자인 반면 실체는 그 가능태로서의 보편자가 구체적으로 적용된 현실태로서의 개별자’라는 결론을 그 난문의 대답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실체에 관한 인식은‘양상적 보편자의 특수화’이거나 ‘특수한 사례들의 양상적 보편화(또는 사실적 일반화)’, 이 연구의 용어로는 ‘양상적 인식’에 불과하다. 이와는 달리, ‘실체적 인식’은 ‘개별자(능동지성)의 현실적 힘에 따른 가능태로서의 보편자 (수동지성)의 자기인식이자 자기실현’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러한 실체적 인식에서 진짜 주체는 사고대상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대상 속 자기와의 관련을 뜻하는 영혼 전체이고, 이 영혼 전체가 각 사물에 내재된 제일 실체로서의 형상이다. 그리하여 영혼의 자기지식으로서의 실체적 지식은 개별성과 보편성을 함께 가진다. 즉, 실체적 지식에서 영혼의 개별성은 양상적 특수성이나 감각적 개별성과는 달리 영혼의 모든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요소들의 통일성으로서의 실체적 개별성을 뜻하고, 영혼의 보편성은 양상적 보편성과는 달리 그 요소들의 근원적 동일성으로서의 실체적 보편성을 뜻한다. 그리고 실체적 인식은 양상적 지식의 술어인 양상적 보편자를 계기로 삼아 주어인 각 사물 속 제일 실체로서의 영혼을 영혼의 편에서 사고하는 일을 가리킨다. 연구자가 보기에, 이러한 실체적 지식이 학교 교과의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교육은 교과를 매개로 한 교사와의 대화적 교섭 속에서 학생의 마음에 개별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의미와 가치가 실현되도록 이끄는 인류 영혼의 자기활동을 뜻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easibility of ``substantial knowledge`` in Aristotle``s Metaphysics, and reveal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Metaphysics, Aristotle presents a critical and difficult problem in which object of knowledge is primarily universal, whereas substance of the object is individual. And then, he suggests a theoretical elucidation, which core is knowledge of primary substance in each thing, ``substantial knowledge`` in terms of this study. As a plausible answer against the problem, recent approaches`` conclusion is that knowledge of primary substance is universal in potency, but individual in actuality. In this view, however, substantial knowledge degrades to specification of universals in relation to species or factual generalization of particular cases, and hence a kind of ``modal knowledge`` in terms of this study. On the contrary, in Aristotle``s view, it means theoria, that is, self-knowing and self-realization of potential universals(Passive Intellect) according to actual power of primary substance(Productive Intellect) in each thing, in which real subject is not a mere thinking self distinct from objects of thinking, but soul as a whole, as the highest form of primary substance indwelling in each thing, that unifies the two sides of thinking, and hence means self``s relation to self in each thing. Therefore, soul in substantial knowing comes into existence individually at the same time as universally. Its substantial individuality means a proper unity logically distinct from modal or sensational particularity, and its substantial universality does an original and self-relative identity between subjective side and objective side, actually distinct from modal universality. In relation to modal knowledge, soul``s substantial knowing is still thinking of each thing as a subject by way of modal predicates, only in so far as thinking of each thing in view of primary substance implicit in each thing as its own starting and pivotal point. In my view, this substantial knowledge is the core of school subjects(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means self-activity of human race``s soul as a whole in which encourages incessantly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s and a student``s mind by way of school subjects, and finally realizes both individual and universal meanings and virtues in each mind.

      • KCI등재

        헤겔의 관점에서 본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의 관계

        고영준(Young-Jun Ko) 한국도덕교육학회 2018 道德敎育硏究 Vol.30 No.4

        이 글의 목적은 헤겔의 관점에서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이 고찰이 오늘날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두 도덕의 관계에 접근하는 방식으로서 ‘구체-추상 모형’, ‘내용-형식(좀 더 정확히는 현상-본질) 모형’, ‘즉자-대자 모형’이라는 세 가지 관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추상 모형은 관습적 도덕 위주의 관계를 주장하고, 내용-형식(현상-본질) 모형은 합리적 도덕 위주의 관계를 주장한다. 헤겔의 관점에서 본 ‘즉자-대자 모형’은 두 도덕 중 어느 한쪽을 우위에 두는 앞선 관계 모형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도덕의 조화로운 관계가 성립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즉자-대자 모형에 따르면, 관습적 도덕과 합리적 도덕은 ‘정신의 자유’를 점점 더 인식하고 실현하는 정신 발달의 두 가지 단계 또는 결정적 계기라는 점에서만 도덕 발달의 위계적 순서를 이루는 것으로 정립될 수 있으며, 이 발달의 과정에서 ‘정신의 도덕(또는 윤리)’으로 종합된다. 그리하여 도덕교육의 주요 활동은 표면상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와 이 습관화된 행동에 관한 도덕적 지식의 획득이지만, 이 활동의 목적은 정신의 자기인식과 자기실현, 즉 학습자의 도덕적 행동 속의 정신을 일깨워서 정신의 편에서 자기를 인식하고 자기의 자유를 실현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relation between conventional morality and rational morality from the viewpoint of Hegel, and thereby give some suggestions on today’s mor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ree relation models of ‘concreteness-abstraction model’, ‘content-form(more precisely appearance-essence) model’, and ‘in itself-for itself model’. While the first model asserts conventional morality centered relation, the second model does rational morality centered relation. The third model in Hegel’s view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receding models which cannot but be overweighted on one side of the two moralities, and presents the clue of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third model, the two moralities can only be established as two stages or critical moments in a same hierarchical order of moral development in that more and more persons recognize and realize ‘Spirit’s freedom’ in their own minds, and thereafter arrive at the final stage of ‘Spirit’s morality or ethics(Sittlichkeit)’. Thus, main activities of moral education are seemingly the habituation of moral conduct and the acquisition of moral knowledge about the conduct, but the genuine aim within them is self-knowledge and self-realization of Spirit in learner’s own mind, by awakening Spirit’s freedom latent in his or her customary moral conduct.

      • KCI등재

        루소의 「에밀」에 나타난 자연과 자연적 지식의 의미

        고영준(Young-Jun Ko)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에밀」에서 루소가 염두에 둔 ‘자연’과 ‘자연적 지식’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 있다. 연구자가 보기에 루소의 자연은 주체와 대상, 사고와 감각, 논리와 사실, 본질과 현상 등과 같은 이분법적 구분에 의거한 설명을 혼란에 빠뜨리는 파라독스적 성격의 단일한 전체에 의한 자기충족적 활동이다. 그것은 단일성, 활동성, 필연성을 가진 단순한 자기가 자발적이면서 자기규제적인 힘을 발현함으로써 체계적 전체로서의 단일한 자기를 실현하는 발달의 활동이다. 이 연구는 자연의 이러한 의미와 성격에 맞게 자연적 지식의 의미와 성격을 규정한 다음, 이 규정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그것의 성립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즉 루소의 자연교육론에서 자연의 의미와 성격에 따라 규정된 자연적 지식은 소크라테스가 말한 ‘자기지식’과 본질상 다르지 않으며, 그것은 명제적 지식이나 학문적 지식과 같은 ‘대상지식’의 배후에 감춰져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자연적 지식은 ‘체계적 단일성, 자발적인 활동성, 자기반성적 발달 경향성을 가진 자기지식’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에밀」에서 자연교육의 과정은 이러한 자기지식의 발달 과정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eaning of nature, and establish a hypothetical idea of the meaning of ‘knowledge according to nature’, so-called ‘natural knowledge’, in Rousseau’s Emile. In my view, his nature names generically the paradoxical but self-sufficient activities by an unitary whole about which all kinds of dichotomous distinction such as subject-object, thinking-sensing, and essence-phenomenon cannot but be fallen into confusion. In focusing on its overall educational process, human nature means developmental activities by undifferentiated simple self with three qualities of unity, activity, and necessity which tries to realize and perpetuate its own systemic unity by exercising its spontaneous and self-regulative power. According to this n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plausibility of a following hypothesis in order to go into details of natural education: Rousseau’s natural knowledge is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Socrates’ self-knowledge tacit to propositional knowledge and scientific knowledge regarded ordinarily as object-knowledge. In consequence, natural knowledge can be determined as self-knowledge with systemic unity, spontaneous activity, and self-reflective developmental disposition, and the process of natural education can be interpreted as a developmental process of such self-knowled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