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또래상담자의 체험분석

        서민화,박성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7 초등상담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비전문상담가로서 겪게 되는 또래상담 체험의 내용을 밝히고, 그 체험 내용이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래상담의 전 과정에서 겪는 체험을 분석하기 위해서 또래상담 전의 체험, 또래상담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체험, 그리고 그러한 체험들이 또래상담 후에 미치는 영향들을 6회기의 체험분석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초등학생 또래상담자들은 또래상담 중 공감, 수용, 정보제공, 문제해결과 같은 상황에서 또래상담을 긍정적 경험으로 느꼈고, 상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평가했다. 또한 또래청담자가 상담의 과정에서 인정을 해주거나 고마움을 표시할 때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은 또래상담자가 기쁨, 뿌듯함, 행복감 등의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하였다. 반면 또래상담의 과정에서 스스로가 자신의 말이나 행동, 태도에 만족하지 못했을 때 또는 또래청담자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또래상담자들은 그 또래상담은 실패라고 생각했고 부정적 체험을 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들은 또래상담자에게 실망감,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게 하였다.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경험의 영향은 또래상담이 끝난 후에도 이어졌다. 초등학생 또래상담자는 또래상담이 긍정적인 체험으로 끝나면 개인 심리 특성,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반면 또래상담이 부정적 체험으로 끝나면 개인 심리 특성,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에서 부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즉 또래 상담에서의 체험들은 또래상담 후의 학생들의 생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체험의 내용은 초등학생 또래상담자가 상담과정에서 하게 될 역할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줄 수 있다. 또한 부정적 체험을 하게 되는 또래상담자들에게 필요한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vealed the peer-counselling experiences undertaken by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lor as a non professional counsellor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unselling experience on the peer counsellor and his/her peer-counselling activity. Positive or negative experiences undertaken by an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lor before and during his/her activity counselling a peer, and the influences of such experiences on the peer counsellor after his/her activity counseling a peer were researched through the method analyzing the counsellor’s experiences for total 6 sessions.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experience the empathy, the acceptance, the information-provision, and even feel some positive emotions even in the situation solving a problem during their activity counselling a peer. When the peer asking for a counselling to them recognized or appreciated the counselor’s counselling activity during the counselling,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have some positive experiences. When they are not satisfied at their own words, behaviors or attitudes during the peer counselling session, they evaluate their counseling activity as a negative experience. When peers asking the counseling show some negative responses during the peer counselling session, the elementary schooler peer counselors consider their counselling activity as a failure and evaluated the activity as a negative experience.

      • KCI등재

        대학 또래상담자의 자기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노성동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본 연구는 목원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 연구자가 진행한 또래상담자 훈련프로그 램에 참여한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 목적은 학생들이 또래상 담자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고 자신의 감정이나 대인관계 에서 중요한 공감적 요소를 인식함으로서 상담자로서 먼저 올바로 서기위한 작업들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이후 나타난 인식의 변화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내면 에 대한 성찰, 그리고 감정에 대한 다양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 찰에 도움이 된 부분들은 이전에 몰랐던 자신의 내면에 대한 구체적 인식이며 그것은 인식 이후 공동체 의식의 증진으로 이어졌다. 대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의 변화는 타 인에 대한 공감이 증진되었고, 내면의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타인의 말에 깊이 경청하는 자세로 바뀌게 되었다. 또래상담자 훈련을 통한 공감적 언어표현 의 효과로서 타인의 인식변화를 느낄 수 있었는데 그것은 공감과 수용을 통해 나타난 타인의 마음의 변화였다. 다음으로 또래상담자들의 훈련 이후에 나타난 자신의 인식변화와 또한 기독교인으 로서 이러한 인식변화가 교회와 세상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그것은 경청의 중요성과 공감의 마음이며 대상의 문제에 대한 통찰이다. 또한 공감적 인식을 통해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하나님과의 관 계에서도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관계로 변하게 되었다. 또래상담자 훈련은 교회 내 타 인과의 관계에서 공감적 접근을 통해 상대방을 이해함으로서 관계가 호전되었다. 이 러한 공감적 접근은 세상을 향하여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교회의 역할을 감 당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또래상담자들을 훈련시키는 또래상담자 훈련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을 인식함으로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되며 기독교인으로서 교회와 세 상에 긍정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좋은 연결고리가 될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on 1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eer-counseling training programs conducted by researchers at Mokwon University's Student Counsel Cen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nsure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make a good start as counselors by reflecting on their inner self by participating in peer-counseling programs and recognizing important synesthesia in their own feelings or relationships. Research has shown that a change in cognizance after the program has led to an understanding of others, a reflection on their inner self, and a diversity of emotions. The areas that helped us understand and reflect on ourselves are concrete cognizance of our previously unknown inner self, which led to the promo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after recognition. Changes in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ve resulted in increased empathy for others, enabled them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and changed their attitude of listening deeply to others. As an effect of expression of empathic language through peer-counseling, it was a change in the mind of others through empathy and acceptance. Next, it is part of the change in self-cognizance that follows peer-counseling practices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the church and the world as a Christian. It is the importance and empathy of listening and insight into the subject's problems. In addition, through empathic awareness, the change in cognizance became more specific and active in relation to God. Peer counseling training improved by understanding each other through a sympathetic approach in relation to others in the church. This empathetic approach has become a great tool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ople and to handle the role of church toward the world. Therefore,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yourself by recognizing your inner self through peer-counseling training programs and a good link between church and world as a Christian.

      • KCI등재

        또래상담자의 교육만족과 상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광민(Son, Kwang-Min),남상인(Nam, Sang-In),김계현(Kim, Kye-Hy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6 No.3

        본 연구는 또래상담자의 교육만족과 상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또래상담의 운영 성과가 효과를 발휘하고 또래상담자가 교육 참여 이후 상담활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 어떤 부분에 주목해야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또래상담을 진행하는 학교 중 37개 학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또래상담을 받은 전체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학교변인, 교육변인, 담당자변인, 학생변인, 또래상담자 교육만족도를 평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상담자의 교육만족에는 학생변인(참여 자발성)이 가장 큰 영향 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교육변인(지속성, 진행경험), 학교변인(정규수업편성, 예산 편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상담자의 상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변인 중에서 ‘정규수업편성’은 연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예산편성’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변인 중에는 ‘지속성’과 ‘추수활동 포함’, ‘진행경험’ 등 모든 변인이 또래상담자의 상담활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자변인 중에는 ‘상담전공’이 또래상담자의 상담활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접진행’은 상담활동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또래상담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참여 자발성을 기초로 한 학생 선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경험 있는 강사를 활용하고 정규수업에 편성하여 지속성 있게 교육을 진행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 측의 관심으로 또래상담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또래상담 교육 후에 상담활동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또래상담을 정규 수업으로 편성하고, 기본교육 이후에 추수활동을 통하여 상담활동을 독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on peer counselors’ training satisfaction and counseling activities. The research tried to find out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eer counseling program was implemented in school, to have an effect on peer counseling and to help peer counselors lead to counseling activities after training. A total of 580 students was participated in the study, provided with peer counseling training from 37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ere the peer counseling program had been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student variable(voluntary particip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raining satisfaction of peer counselors. The next factor was education variables(continuity, experience of performance, followed by school variables(teaching in the regular class, budget compilation). Also, after analyzing influencing factors of peer counseling activities, ‘teaching in the regular class’ was related to the activities while ‘budget compilation’ wasn’t, among the school variables. In the education variables, all the variables of ‘continuity’, ‘including follow-up’, and ‘experience of performance’ were connected with peer counseling activities. Among manager variables, ‘counseling degree’ was associated with peer counseling activities, whereas ‘performance at first hand’ wasn’t. The results gave some implications to promote the satisfaction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Above all, student selection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is important. Second, the program should continue in the regular class, taught by experienced instructors. Along with managing the program, it requires for school to draw up an extra budget for peer counseling. In addition, to lead the training to peer counseling activities, it seems that peer counseling should be included as a regular course, and that follow-up activities after the basic training help encourage peer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또래상담 운영이 또래상담자의 자기평가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채연희,이현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3 청소년상담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on peer counselor's self-evaluation and of the effect counseling activity on class cohesiveness. The effect of different number of peer counselors on class cohesiveness was alos explo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students who recommended by classroom teacher from the 1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in Daegu. Both sexes 20 out of 40 students were selected randomly as a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0 were as a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had an affirmative effects on peer counselor's social competence and conduct behavior subscales in the self-evaluation scale. Second, the peer counseling activity had an affirmative effects on environment atmosphere and communication subscales in the class cohesiveness scale. Third, score on the environment atmosphere, morale, and communication subscales in the class cohesiveness sc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sses that had different number of peer counselors on the number of peer counselors. 본 연구는 또래상담 훈련이 또래상담자의 자기평가에 미치는 효과와 이들의 또래상담 활동이 학급 응집력에 미 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여섯 학급에 속한 남․여 학생들로서 또래상담자로 활동할 자질이 있다고 생각되는 학생 40명을 담임의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다. 이들 중 실험집단에 배치된 20명 의 학생들에게 15주간에 걸쳐 또래상담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가운데 또래상담 활동에 응하기로 한 12명의 또래상담자들을 세 학급에 배치하고 또래상담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능력 지각 척도와 학급응집력 척도였다. 자료분석은 사전-사후 검사에서 얻은 점수를 가지고 중다공변량분석 (MANCOVA)을 실시한 후,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또래상담자의 수에 따른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중 다공변량분석 (M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변인을 찾기위해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는 첫째, 또래상담 훈련를 받은 또래상담자들의 사회능력과 품행에 대한 자기평가가 향상되었다. 둘째, 또래상담 자들의 또래상담 활동으로 학급의 환경분위기와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세째, 학급에 배치된 또래상담자의 수 에 따라 학급의 환경분위기, 학급원들의 상호신뢰, 사기, 의사소통에서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 교육과 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주지선,조한익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 교육과 활동 경험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또래상담을 위한 노력과 지원을 파악함으로써 또래상담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시간의 또래상담 교육을 이수한 후, 6개월 이상 또래 친구들에게 또래상담 활동을 한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중학교 또래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참여자들의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으며, 내용을 전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또래상담 교육 경험으로는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 인식, 친구관계 증진, 상담능력 향상, 교육에 대한 어려움 등 4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둘째, 또래상담 활동 경험으로는 다양한 활동에의 참여, 또래상담자의 변화, 또래 친구 및 학교의 변화, 활동에 대한 어려움 등 4개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또래상담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지원에는 또래상담자의 노력, 학교의 지원, 유관 기관의 지원 등 3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mote peer counseling system by analyzing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activity experience of peer counselors systematically and the support system from government and counseling organization. For this, 10 peer counselors who took peer counseling training for 12 hours and took peer counseling activity to their friend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interviewed as a focused group. They worked middle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Kyoung-gi.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the contents were transferred to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were put into four categorie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voluntary participation’, ‘improving of relationship’, ‘improving of counselling skills’, and ‘difficulty of education’. Second, the peer counseling activity were put into four categories: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Changes in the peer counselors’, ‘Changes in the friends and the school’, and ‘difficulty of the activity’. Lastly, support and effort for promoting peer counseling were put into three categories: ‘efforts of peer counselors’, ‘support of the school’, and ‘support of government and counseling organ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conclusion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신채영(Shin, Chae Young),유순화(Yoo, Soon Hwa),안진영(An, Jin Young)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또래상담자의 상담 경험과 인식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대학 또래 상담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대학생 또래상담자가 또래상담을 통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가’이다. B·K 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또래상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4단계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총 6개의 구성요소와 21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또래상담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 ‘상담자 교육 경험을 실제 상담과 일상생활에 적용’, ‘상담 진행 중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상담 진행에 도움이 된 수퍼비전 경험’, ‘또래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 ‘또래상담자 자신의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양적 연구에서는 탐색하기 어려운 대학생 또래상담자의 또래상담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또래상담 운영 및 조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n understanding of university peer counseling by examining the counsel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changes of student counselors, and to figure out practical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in university setting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do university peer counselors experience through peer counseling?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peer counselors at 2 universities located in the B·K areas, and for the data analysis, Giorgi’s four-phas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6 main components and 21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6 main components were composed of as follows: ‘Incorrect perceptions on peer counseling , ‘Applying counselor training experience to actual counseling and their life , ‘Overcoming difficulties in counseling , ‘Helpful supervision experience for actual counseling setting , ‘Changes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eer counseling , and ‘Changes in peer counselors themselves . By using phenomenological approach, it was able to understand in-depth peer counseling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are rarely found in quantitativ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peer counseling at the univers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또래상담자가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정신애(Jung Shin-ae),선혜연(Seon Hye-yon),박은경(Park Eun-kyung),오정희(Oh J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이 또래상담 훈련 과정과 또래상담 활동과정 중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의 또래상담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하고 조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 해 또래상담 훈련을 받고 6개월 이상 또래상담 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9명의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10월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3명의 합의팀을 구성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에 대하여 감수자의 피 드백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또래상담 훈련의 어려움은 친한 친구 없이 혼자 훈련에 참석하는 것에 대한 걱정, 또래상담에 대한 정보 부족, 훈련 내용과 방법에 대한 불만족, 또래상담 훈련 공동체 안에서의 어려움, 주변 선생님들의 태도로 인한 어려움, 훈련 참여 시간 확보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또래상담 활동 중의 어려움으로는 상담자 역할에 대한 부담, 미숙한 대처능력과 전문성 부족, 스마트폰으로 하는 상담의 어려움, 내담자와 관계 맺기 어려움, 상담자를 위한 여러 지원의 부족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또래상담자들이 상담 훈련 및 상담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범주와 내용을 탐색하여 또래상담자로서 겪는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또래상담 지도 교사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during the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during the counseling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interviews of 9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who have been engaged in peer counseling for more than six months, using the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We interviewed for three months and analyzed data for two months. Difficulties in peer counseling training were concerned about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alone without close friend s, not knowing about the peer counseling, dissatisfied with contents and methods of training, difficulties in peer counseling training community, difficulties due to teachers attitudes, and difficulty in securing time for training. In addition, the difficulty of peer counseling activities resulted from the burden of counselor role, inadequate coping ability and lack of professionalism, difficulty of counseling by smart phone, difficulty of connecting with client, and lack of support for counselor.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xtent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peer counselors in counseling training and counseling activitie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s peer counselor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eer counseling guidance among teachers and program developers, and general teacher training materials as well.

      •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계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explore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peer counseling,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b) to suggest ways for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peer counseling more actively. For this purpose, 11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a peer counselors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who had conducted peer counseling,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s. From the interview data, 107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emerged.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paradigm model was ‘establishment and increase of the role of peer counselors’, Causal conditions included ‘continuity of peer counseling during middle and late adolescents’, ‘pursuit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rofessional counseling’, and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hoic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discomfort in the initial relationship-building stage’, and ‘burden of time investment’.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positive role of peer counseling’, ‘self-esteem as a peer counselor’, ‘excitment in presenting solutions’. ‘establishment as a paraprofessional’, and ‘interest and support from school’.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istening with acceptance and respect’, ‘empathy and comfort only peers can find’, ‘structured counseling’, and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Consequences included ‘holistic change and growth’, ‘altruistic volunteer activities’,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and growth as peer counselors’. Course analysis showed four stages: ‘self-awareness’, ‘I and You’, ‘selfless caring’, and ‘social service’. Core category was ‘peer counselors who grow up and develop by caring for each other with altruistic l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one of a few qualitative studies that explored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peer counselors and that it suggested strategies for peer counseling to be settled and operated more actively i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을 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의하여 알아보고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또래상담자 양성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또래상담 활동 경험이 있는 11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7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또래상담자의 역할 확립과 증대’이며, 인과적 조건은 ‘중기·후기청소년 또래상담의 연속성’, ‘전문상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추구’, ‘진로 탐색과 직업의 선택’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상담 적용에 있어서의 한계’, ‘초기 관계 형성의 어색함’, ‘활동시간 할애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또래상담의 긍정적 역할’, ‘또래상담자로서의 자부심’, ‘해결방안 제시에 대한 기대감’, ‘준전문가로서의 정립’, ‘학교의 관심과 지원’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수용과 존중의 경청’, ‘또래만이 가능한 공감과 위로’, ‘구조화되어가는 상담’, ‘임상적 교육과 훈련’이었으며, 결과는 ‘전인적인 변화와 성장’, ‘이타적 봉사활동’, ‘인간관계의 확장’, ‘또래상담자간의 상호 발달과 성장’으로 나타났다. 과정 분석 결과는 ‘자기인식’, ‘나와 너’, ‘이타적 돌봄’, ‘사회적 봉사’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는 ‘이타적 사랑으로 서로를 돌보며 성장하는 또래상담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또래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에서의 또래상담 활동이 정착되고 활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적 관심을 중심으로

        박성희(Park, S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적 관심을 중심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에 수도권 소재 A 대학교 재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 들 중 68명은 실험집단으로 매주 2시간씩에 5주간에 걸쳐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한편, 통제집단은 95명으로 본 프로그램에는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사전사후검사에 참여하였다.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공분산분석(ANCOVA),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학생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은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적 관심을 모두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종속변수의 하위 요인별 변화를 살펴보면 대인관계 유능감에서는 갈등 관리를 제외한 관계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타인에 대한 배려, 적절한 자기 개방에서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관심에서는 행동과 태도 모두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사회적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구체화시키며 이와 같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 및 운영할 때 고려해야할 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llege student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es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63 students of University A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mong them, 68 persons participated in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for 5 weeks for 2 hours every week as an experimental group. Mean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95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is program, but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llege student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improved bo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est. Looking at the change by sub-factor of each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significantly improved in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itiation, claiming rights or displeasure,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appropriate self-opening except for conflict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in social interest, both behavior and attitude were improved. Conclusions The strategies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est of college students by using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were specified, and points to consider when planning and operating the peer counselor trai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교 또래상담의 정착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노성덕,김계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1

        Peer counseling for adolescence has developed since 1990s and it specially has showed growth in school system in Korea. Many professional counselors and school counselors introduce peer counseling as an effective method in school. But, in spite of the practical usefulness, there have not been studies on standards that evaluates establishing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ndards to evaluate when peer counseling program has been established in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is ; What are the standard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peer counseling has been established at a high school? We carried out using a Delphi study in which a panel of experts in peer counseling classified by mutual agreement the standard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peer counseling has been established. The experts group consisted of 10 professional counselors who were certified in peer counseling and 10 teachers(school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 of running peer counseling programs in school). The survey was carried out 3 times. The 7 standards determined through th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 school has a peer counseling club. ② Teacher trained in peer counseling exists in school. ③ Each grade has a peer counseling club. ④ Education is carried out once or twice a month. ⑤ Training and supervision in peer counseling is more than 30 hours a year. ⑥ Students seek peer counselors' help when they have problems. ⑦ Peer counseling club has been operating for more than 4 years at the school. 또래상담은 주로 학교상담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2001년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에서는 전국 348개 학교에서 시행 중이다. 또래상담이 각급 학교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또래상담자 의 교육훈련은 물론 또래상담반 조직과 운영, 학교장의 지원 등 여러 요소가 만족되어야 한다는 가정이 유력하 다. 따라서 또래상담을 학교에서 활용하는 현장의 상담교사들과 전문상담자들은 또래상담을 학교 내에 하나의 유기적 시스템으로 정착시키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에서 또래상담이 유기적 시스템으로 정착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 문제 는 검증보다는 탐색의 성격이 많기 때문에 또래상담 정착기준이 무엇인지 다수의 또래상담 전문가들이 합의에 의해 결정해 나가는 델파이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델파이 전문가패널로는 또래상담전문지도자 자격을 소유한 상담전문가 10명과 학교에서 또래상담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사전문가 10명 등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총 3회 에 걸쳐 델파이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7개의 정착기준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분석되었으 며 그것은 다음과 같다. ①학교에 또래상담반이 구성되어 있다. ②또래상담 전문 훈련을 받은 담당교사가 배치 되어 있다. ③학년마다 기수가 조직되어 있다. ④월 1-2회 교육이 진행된다. ⑤훈련 및 활동지도 시간이 연간 30 시간 이상 진행된다. ⑥고민이 있을 때 학생들이 또래상담자를 찾는다. ⑦또래상담반이 4년 이상 운영되고 있다. 이상 7개 정착기준의 적합성과 실현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상담전문가집단과 또래상담 지도교사 간 평가 결과 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7가지 정착기준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또래상담 운영자들 은 스스로 운영 성과를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후로 또래상담 정착과 관련된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 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