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세계의 소통과 불교의 역할에 대한 모색

        석길암(Seok, Gil-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2

        이 논문은 동아시아라는 문화네트워크의 형성과 전개에 불교가 어떻게 기여하고, 또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의 결속이 어떻게 불교를 통해서 더 강화되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동아시아 세계의 소통에 있어서 불교는 어떠한 역할을 해왔고 또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였다. 동아시아 불교, 더 나아가 불교를 기반으로 하는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에서 소통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일체개성(一切皆成)의 인간관이다. 이것이 현실에서 어느 정도의 실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동아시아 불교는 공통적으로 그것을 이상적 실현태로서 추구한다. 둘째는 독단적 진리해석을 배제하는 것이다. 동아시아 불교 역시 연기적 사유체계라는 불교의 기본적 사유체계에 속한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것은 당연한 논점이다. 셋째는 동일성과 차별성의 어느 것도 부정하지 않는 소통체계이다. 동아시아 불교사상이 추구하는 네트워킹은 동일한 것들 간의 소통만이 아니라 다른 것들 간의 소통 역시 포함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들 사상적 기반이 역사적 사례에서 항상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만은 아니지만, 성공적으로 작용된 한두 사례를 논문 안에서 언급하였다. 그리고 결론을 대신하여, 동아시아 세계 내의 소통과 융합에 대한 불교적 모색은 어떤 점에 기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자 나름의 추론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Buddhism played a role in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an East Asian cultural network. The paper also searches for the role that Buddhism has played, and will play, in communication in the East Asian world. East Asian Buddhism, or the East Asian cultural network based on Buddhism, provides three ideological bases for communication. These are as follows: (1) To believe that everyone can achieve what they want?regardless of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he real world, East Asian Buddhism wholly emphasizes thinking as the ideal actuality; (2) To deny a dogmatic interpretation of the truth?this is natural as East Asian Buddhism belongs to the basic Buddhist thinking structure of the Dependent Arising. The last is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does not deny identity or distinctiveness. The East Asian Buddhist network does not encompasses communication only amongst those that are the same but also amongst those who are different. As these ideological bases did not always play ideal roles in history, some successful historical examples are mentioned in this paper. Lastly, I suggest a model of Buddhism that searches for communication and confluence amongst the East Asian world.

      • KCI등재

        동아시아의 근대불교와 불경(佛經)의 번역과 출판

        윤종갑 ( Yun Jong-gab ),박정심 ( Pak Jeong-s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번역 및 출판의 관계를 한중일 불경 번역과 출판 사업을 중심으로 비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명과 제도의 변화와 개혁에 있어 번역과 출판의 관련성과 그 영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특히 불교와 서양사상[종교]의 만남과 충돌은 배격[비판]과 수용[융화], 계승과 단절, 연속과 불연속 등 사상적·문화적·종교적으로 많은 새로운 이념과 제도를 창출하였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근대, 특히 동아시아의 근대불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불교 해석과 번역, 그리고 출판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까지도 미미하며, 특히 한·중·일 삼국의 근대 불교 경전의 번역과 출판 현황에 대한 비교론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문명으로서의 근대가 아닌 인문으로서의 동아시아의 근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일본은 근대 이전에는 동아시아의 주변국에 지나지 않았지만, 근대화를 통한 서구사상의 세례 이후에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다. 과연 일본이 어떠한 근대화를 통해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을까· 본 과제는 근대화를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이며, 왜 한국과 중국이 주변으로 내몰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동아시아의 근대불교화 과정 속에 나타난 불경(佛經) 번역과 출판 사업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modernity of East-Asia and Translation-Publishing based on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Publishing and the gravity of influence by comparative study. East-Asia`s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meeting and crash Buddhism and West philosophy was create much new changes of ideological, cultural, and spiritual like harmony and criticism, succession and severanc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So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East-Asia, especially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we have to study translation-Publishing of East-Asia Buddhist Sutra But the study still insignificant. and there are any comparative research about the three country that Korea, Japan, and Chinese of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his is important to find out not the modernity of civil but the modern East-Asia as humanities. Japan became a center of East-Asia since the Modern Ages. How could do it?

      • KCI등재

        현행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불교사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조명제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Buddhist history is described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ith the aim of providing directions for possible improvement. As is well known, the curriculum of East Asian History is mainly formed on the basis of Sadao Nishizima’s East Asian World Theory. The existing problems in East Asian History textbook accounts ident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National Buddhism’ as an attempt to characterize East Asian Buddhism is problematic in that it does not seem to consider the complexit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ate and Buddhism. Second, there appear to be numerous mis-representations of historical facts, especially in outlining Zen Buddhism in the Tang dynasty. Most importantly, little attempt is made to offer an overview of the major trends of East Asian Buddhism up to the 16th century. Third, the coverage of the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dharma-seeking priests in East Asian countries is confined to the ancient era, showing little sign of an awareness of the cultural history of Buddhism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the Mongol empi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cent interest in pan-Asian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eastern Eurasia, which shows different understandings of Buddhist history in East Asia from those based on Nishizima’s theory. In conclusion, clos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setting Buddhist history in East Asia within a framework of pan-Asian civilization centered around eastern Eurasia, going beyond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Buddhist history based on the theory of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니시지마 사다오가 제시한 ‘동아시아세계론’의 영향을 받았다. ‘동아시아세계의 성립’이라는 대단원에서 동아시아문화권의 4가지 지표인 한자, 율령, 유학과 불교가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었다. 이 글은 동아시아사에 불교사가 어떻게 서술되었으며, 문제점과 한계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첫째, 동아시아에 불교가 전파되는 과정과 특징에 대한 서술이다. 동아시아 불교는 통속적인 문명 전파론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동아시아 불교의 특징이 국가불교라는 설명은 사례를 나열한 것에 불과하고 국가와 불교의 다양한 관계를 단순화시켰다. 또한 국가불교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으며, 과거 연구의 편견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불교가 수용된 이후의 흐름은 선종사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러나 선종이 완성된 당(唐) 왕조의 선사상을 잘못 이해하는 등 사실 자체에 오류가 많다. 또한 고려, 일본의 선종사를 서술하면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송 왕조의 선종에 대한 서술이 전혀 없다. 나아가 당, 송 이후 16세기까지 동아시아 불교사의 주요한 흐름에 대한 설명이 빠져 있다. 셋째, 구법승을 중심으로 한 교류사가 단선적으로 서술되었다. 또한 고대에 편중됨으로써 남송, 몽골 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구법승, 渡來僧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형성된 불교문화사에 대한 이해가 새롭게 서술될 필요가 있다. 한편 대장경을 중심으로 한 문화사에 대한 서술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소재나 자료 제공에 치우쳐 있다. 또한 고려대장경에 대한 강조에서 드러나듯이 내셔널리즘의 시각이 지나치게 드러난다. 아울러 대장경의 교류를 통한 문화사, 사상사의 흐름에 대한 이해를 보완해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니시지마가 ‘동아시아문화권’의 지표로서 설정한 불교의 역사상과 다른 성격도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국불교와 다른 티베트불교는 土蕃뿐만 아니라 몽골제국, 청 왕조까지 이어졌다. 또한 遼, 金 王朝에서 불교가 번성하면서 고려를 경유하여 일본, 송까지 이어진 불교 교류의 네트워크가 주목된다. 따라서 불교는 동아시아문화권의 지표라는 틀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동부 유라시아를 중심으로 한 범아시아문명으로서 다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번역과 독창적 사유

        조성택(Cho, Sung-Taek )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1 No.-

        Produc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ystematic state enterprise with its own translation theories and manuals, Buddhist texts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del cases of translation in terms of readability and accuracy. Concomitantly,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successful indigenization of the Indian tradition in East Asia was possible primarily through the readable and accurate translations of Indic texts into Classical Chines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was, therefore, a result of a series of a long process includ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wing to accurate translation, ‘assimilation into local tradition,’ and finally, ‘form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However, up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we find tha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From the len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where research is often carried out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Buddhist texts such as Sanskrit, Pali, Classical Chinese, and Tibetan texts, we find that some of the Indic Buddhist terms are inadequately and erroneousl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is paper argues that accurate translations were not essential nor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formation of a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Rather East Asian Buddhism, in a sense, began from misunderstanding generated by inaccurate translation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making East Asian Buddhism unique, as we will see, was due to the continuing circulation of texts in translation, accurate or not, without referring to the original Indic texts. Moreover, this is a remarkable inspiration to Humanities in Korea, where scholars tend to refer to original texts--not to Korean translations--in scholarly discussions and for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일반적으로 동아시아불교의 형성에 관하여 역사학자들은 일련의 과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이질적 문화인 인도불교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부터 시작하여, 동화와 융합의 과정을 거쳐 철저한 ‘자기화’의 완성이라는 문명교류의 일반적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에 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좀 더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아시아 불교는 이해가 아닌 ‘오해’에서 출발한다. 한역 경전은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라고 하는 번역의 일차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아시아불교란 단순히 인도불교에 대한 ‘동아시아적 이해와 변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곧 한문불교이며 전적으로 번역경전에만 의존하여 형성된 불교이다.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을 담고 있는 천태, 화엄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선불교 등은 철저하게 한역경전만을 통해 형성되고, 한문불교 체계 내에서만 그 의미구조가 이해되는 불교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KCI등재

        Korean Buddhist Thought in East Asian Context

        Robert E. Buswell, Jr(로버트 버스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60

        이 논문은 전근대 시기의 상당 기간 동안 한국불교와 그보다 넓은 동아시아 전통 사이에 존재했던 유기적 관계에 대하여 탐구한 것이다. 한국의 불교도들은 자신들의 민족적·문화적 차이를 다소간 자각하면서도, 동아시아 지역의 시·공간을 가로질러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불교 승려들이 이렇게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스스로를 한국의, 일본의, 또는 중국의 불교도라기보다는, 민족과 시대에 대한 당대의 관념을 초월하는 하나의 종교 전통 안에서의 공동 협력자로 보았기 때문이었다. 전근대 시기의 한국 불교도들은자신들을 한국의 불교도라기보다는 수계와 법맥, 하나의 학파, 또는 수행 전통에 있어서의 일원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그들이 굳이 자신을 지칭할 경우에는 보통 제자, 스승, 포교승, 교학승, 선 수행자 등의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들 용어들은 모두 다양한 고승전류에서 승려들을 구분하는 맥락에 암시되어 있다. 한국불교를 보다 면밀히 밝히고자 한다면, 단순화된 민족주의적 구호를 버리고 우리의 연구 방향을 저 불교도들 자신들이 항상 간직하고 있던 그들 종교에 대한 포괄적인 비전을 향하도록 전개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organic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Korean Buddhism and the broader East Asian tradition throughout much of the premodern period. Even while retaining some sense of their ethnic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Korean Buddhists were able to exert wide-ranging influence both geographically and temporally across the East Asian region. This influence was made possible because Buddhist monks saw themselves not so much as Korean, Japanese, or Chinese Buddhists, but instead as joint collaborators in a religious tradition that transcended contemporary notions of nation and time. Korean Buddhists of the pre-modern age would have been more apt to think of themselves as members of an ordination line and monastic lineage, a school of thought, or a tradition of practice, than as Korean Buddhists. If they were to refer to themselves at all, it would be as disciples, teachers, propagators, doctrinal specialists, and meditators-all terms suggested in the categorizations of monks found in the various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If we are to arrive at a more nuanced portrayal of Korean Buddhism, scholars must abandon simplistic nationalist shibboleths and open our scholarship to the expansive vision of their religion that the Buddhists themselves always retained.

      • KCI등재

        불교교단에 대한 중앙통제 유형의 원형과 변용

        한지연(韓枝延)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논문은 불교교단에 대한 국가권력 혹은 위정자의 개입 양상을 인도, 실크로드 그리고 중국 북위의 각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인도와 동아시아불교의 다른 전개 양상 가운데 특히 국가불교의 측면을 가장 큰 차이점으로 말하는 것이 과연 타당할까? 이는 전적으로 국가와 불교교단을 분리시킨 이분법적 관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인도 아쇼카 시대에도 국가의 교단에 대한 개입은 존재했으며, 다만 이것이 동아시아와는 다르게 불교이념의 사회적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개입되었기 때문에 긍정적 측면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에 비해 동아시아는 정교일치(政敎一致)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사회이기 때문에 제도적·반관료 측면이 부각되면서 부정적 측면으로 보는 경향성이 크다. 뿐만 아니라 폐불(廢佛)로 인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에 대한 해석이 부정적 개념으로 고정된 것이다. 그러나 아쇼카 시대부터 이념적 활용과 교단 내 사유재산 인정 및 활용의 면모가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실크로드에서도 적용되는데, 인도식의 통제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반대로 중국식의 통제가 적용되는 차이점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불교의 원형을 인도에서 찾아보면서 동시에 실크로드상에서 원형과 변용의 모습이 함께 나타나는 원인, 그리고 중국식 통제가 일어나게 된 문화적·사회적 배경에 관해 알아본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부정적 측면에 국한되어 설명되던 국가통제의 원형, 변용의 원인 및 배경, 발전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So far Buddhism in India has been regarded the religion had been free from the governor’s control. On the contrary, that of East Asia, especially in China, has been assumed as a religion strongly controled by government. This is the study of how deeply the governors put their hands in the Buddhism comparing India, the nations on the Silk Road and Beiwei of China. In India of Asoka’s period when Buddhism flourished, the records tells that the King had involved in the Buddhist order and the monks’ life.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ndia and China, it is obvious that India’s central power had also reached its hand to the religion in some ways. Buddhism on the Silk Road had been affected by India’s one. It also had relations with the governor’s power like Asoka period. For example, the Kingdom of Khotan had shown India’s Buddhist tendency due to its similarity on environments such as social frame work and culture with India. The Buddhism in China had been well known for the strong unity of religion and nation. The reason that the religion has been regarded negatively is the strong aspects of the relationship. Unlikely what is generally known to the origin of the national Buddhism seems to be India not China. As China accepted the new idea of the religion from the West, it made the bondag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eligion stronger. This study is about the origin of national Buddhism and changes on the religion on the way to East and its development in East nations.

      • KCI등재

        동아시아 선문학의 표현과 논리

        윤종갑 ( Jou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동아시아 禪文學의 출발점은 동아시아 禪思想이다. 그리고 동아시아 선사상은 중국 선사상을 모체로 한다. 중국 선사상은 인도불교를 수용하여 새롭게 창안된 중국식 불교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선사상의 본류이기도 하다. 중국문학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영역 가운데 하나가 禪과 문학의 관계이다. 특히 선과 관련해서는 문학 가운데서도 詩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여 金代의 元好問은 『答俊書記學詩』에서 “시는 禪家에서 수를 놓는 비단이요, 선은 詩家에서 옥을 다듬는 칼이다.”라고 하였다. 이와같은 비유는 詩와 禪이 서로 어우러질 때 그 맛이 더욱 깊어지고 다채로워 지는 것으로, 선과 시는 서로 불가결한 관계, 즉 禪詩로 자연스럽게 결합되었음을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학의 가장 두드러진 논리적 특징 가운데 하나가 ‘卽非의 논리’이다. 즉 비의 논리는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 1870-1966)가 제창한 것으로, 禪의 사고가 통상의 형식논리를 초월한다는 것을 정식화 한 것이다. 즉 비의 논리는 『金剛經』에 선명히 나타나는데, 동아시아 선문학에서도 형식적논리를 초월한 ‘깨달음의 논리’로서 표현되고 있다. 즉, 즉비의 논리는 체험을 바탕으로 한 ‘禪의 논리’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선문학의 표현을 가장선명하게 보여주는 중국 禪詩에 나타난 표현과 그리고 그 표현을 깨달음의 논리로 드러낸 것으로 생각되는 『금강경』의 즉비의 논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Zen of East Asia is the starting point of Zen literature. And Zen of East Asia is based on Chinese Zen thought. Chinese Zen thought was accepted Indian Buddhism, then it became the main stream of East Asia. On the Chinese history of literature, the relation of Zen and literature can’t be ignored. Especially about Zen, Poem is very important. So recently Yuan hao won wrote that Poem is embroider of silk in the Zen sect, Zen is trim the prison knife in the poetry. A metaphor, like this when poem and Zen is in harmony it is more deeper and varied and refreshed. So it is expression th Zen and poem is indispensible relationship. The marked logical character of East Asia’s Zen literature is ‘the logic of Just-not(卽非)’ it has declared by Suzuki Daisetsu(1870-1966). His opinion has formalized that Zen Thinking transcend usual Formal logic. ‘The logic of Just-not’ is clearly showed in Vajra-sutra, it is expressed logic of enlightenment in the East Asia Zen literature. This paper study the expression of the Chinese Zen poem which most clearly showed about the expression of Zen literature and ‘the logic of Just-not’ in Vajra-sutra.

      • KCI등재

        불교의 주석 전통과 과문(科文)의 발달

        조은수(CHO, Eun-su),서정형(SUH, Jung-hyu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1 No.-

        동아시아 불교계의 교학 전통에서 쓰여온 과문(科文)의 전통은 불교의 문헌 분석 방법론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과문이란 경론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경론의 해석을 위하여 경론의 구조를 장절(章節)로 분석, 트리 구조로 도식화한 것이라 간단히 정의할 수 있지만, 그 형식을 하나로 통일하여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과문은 한문 문화권에서 불교의 주석 전통 발달에 따라 오래 내려온 독특한 문헌 장르로서, 동아시아 불교의 학술 전통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불교 문헌들이 한문으로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문헌이 지닌 의리를 구분하고 자구를 체계적으로 쪼개어 분석하고 해석하는 주석의 전통이 크게 발전한다. 주석은 분류와 분석이라는 학술적 행위를 기반으로 삼으며 이러한 주석의 전통을 담지해온 방법 또는 형식이 바로 과문이다. 과문은 대량의 주석 문헌이 생산됨에따라 그것을 읽고 연구하고 비교하는 중요한 도구이자 문헌간의 관계를 정하고 평가하는 일종의 표준이 되었다. 대규모의 원전과 다층의 장소들을 수십 단계에 달하는 복잡한 구조로 분석하고 이를 다시 하나의 체계로 묶어서 통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주석문헌을 체계화하고 정교하게 한 것이니 일종의 문헌분석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석전통의 전개와 과문의 발달 간의 상관관계를 살피고자 150여건의 과문 문헌들을 분석하여 형식적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형태적으로 분류하는 것 외에, 주석 형식의 변화에 따라 과문의 형식이 분화해간다는 것도 보이고자 했다. 주석 전통이 발달함에 따라 주석서는 총서(總序) 및 현담(玄談)의 서술, 과단(科段)의 설명, 과문(科文)에 의한 본문 해설의 순으로 표준적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문은 동아시아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실행되면서 불교의 학문 전통과 교육 전통의 전승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동아시아 불교 전통 내지 동아시아의 철학 전통의 이면에 독특한 사유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논리 구조를 밝히는데 과문 분석은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나아가 불교뿐만 아니라 유가와 도가를 포함한 아시아 고전의 독해법과 논리 및 논증의 체계를 이해하여 앞으로 동양의 고전 해석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As Buddhist texts were translated to Classical Chinese in East Asia, a rich tradition of commentary and analysis developed. These commentaries analyze the sūtra’s structure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ir meaning. They also comprehensively dissect a scripture’s phraseology and wording. Gwamun in Korean or Kewen in Chinese 科文 is a methodology and structure that effectively captures this commentarial tradition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In simple terms, a gwamun is an analysis of a commentary or scripture in the form of a multi-level, hierarchical tree diagram of topics connected by complicated lines, which reduces a multi-dimensional network of texts, commentaries, and sub-commentaries into a two dimensional visual form. Gwamun have served as an important tool to read, study, and compare the enormous amount of commentarial literature that accompanied the development of the many doctrinal sects in East Asia. As the culture of gwamun developed and their structure became codified, a standard, systematic methodology of scriptural analysis unique to East Asian Buddhism developed around the principles of gwamun structural organizatio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CE. Gwamun and commentary shared a close interrelationship–the systematization of commentary structure led to a standardization of gwamun, and vice versa. Now commentary was a way of re-producing the scripture while also being able to introduce original thought. It seems that gwamun were first used to analyze the body of the text as detailed exegesis. As the addition of the interpretive essay became standardized, gwamun expanded its focus to cover the entirety of the commentary, including the author’s interpretation. Gwamun became a major insightful tool to understand the entirety of not only a commentary’s form but also its content. In this paper we will showcase the results of our project to analyze over 150 gwamun texts, examine their characteristic forms, and argue that the Buddhist scholars’ efforts to codify and standardize the tradition of commentarial literature were one aspect of a broader intent to intellectually and logically systematize the entire scope of East Asian Buddhism, its texts, and the theories contained within. At a time when many different texts and thought competed with each other, their structural coherence, complexity, and completeness of logical organization could demonstrate the superiority and legitimacy of their doctrine. Through this culture of commentary and gwamun organization, scholastic Buddhism in East Asia reached a new level of development.

      • KCI등재

        신라의 오대산성지 형성과 당의 오대산 성지신앙 - 국가불교의 전이과정으로서 -

        석길암 ( Seok Gil-a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신라의 오대산신앙은 `문수주처(文殊住處)로서의 오대산(五臺山)`이 먼저 상정된 것이 아니라, 이미 성립되어 있던 호국불교로서의 중국 오대산신앙의 이식과정에서 `문수주처로서의 오대산`을 비정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칙천무후대(則天武后代)의 중국 오대산신앙이 문수주처로서의 오대산 성지라는 개념보다도 당 왕실의 용흥지지(龍興之地)로서 더욱 강조되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인데, 그렇다면 신라 왕실로서는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는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 곧 당과의 외교관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으로서 오대산신앙 이식을 고려해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신라 오대산 관련 기록들은 그것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기에는 부정적인 요소들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중국의 오대산신앙이 8세기 후반, 불공과 징관에 의해 호국불교의 신앙체계로 재생산된 이후의 시기, 그리고 신라 왕실이 사회 적 혼란의 극복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820년대 무렵에 오대산 신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신라의 오대산 신앙 수용은 9세기 전반 무렵의 일로 추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측면에서, 중국 오대산신앙의 신라 이식(移植)은 동아시아불교의 특징 중의 하나로 간주되는 국가불교적 특성이 강렬하게 반영된하나의 사례로서 생각해도 좋지 않을까 한다.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Silla`s faith system in Mt. Odae is different from that of Tang`s faith system in Mt. Wutai. In the process of importing the Chinese faith system in Mt. Wutai into Silla, the concept of Mt. Odea as a residing place of Manjusri was possibly manipulated later. I think that as Tang dynasty tried to overcome the chaos of the late 8th century by the faith system in Mt. Wutai which was nationalized, Silla dynasty also used the faith system to deal with the social confusion in the 820s. These means that importing of the Chinese faith system in Mt. Wutai into Silla might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nationalistic buddhism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특집 2 : 근대 중국불교의 부흥운동과 여성

        조승미 ( Seung Mee C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0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 No.-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의 불교부흥운동이 여성에게 어떤 조건을 제공하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하고, 한편으로는 불교부흥에 있어서 여성들의 주체적인 면을 발굴하여서, 근대불교와 여성의 관계 혹은 불교여성에게 근대는 어떤 의미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에 대한 불교부흥운동의 성격은 청말기 음란한 비구니에 대한 정치세력의 조사와 처벌사건이 상징하듯이, 타락하고 무지한 불교여성을 수행과 교육을 통해 계몽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설정되었다. 우선, 청말의 楊文會는 여성들을 위한 경전과 계본을 수집, 발간, 유포함으로써 여성수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출판사업을 통한 여성수행의 장려는 진화법사의 『續比丘尼傳』간행이 정점이었다. 또한 많은 여성수행단체가 결성되고 활동도 활발하였는데, 이와 같은 여성수행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는 데에는 『海潮音』같은 불교 잡지들의 역할이 컸다. 즉 여기에는 불교계 지도자들의 여성계몽에 대한 관점과 의지가 반영되어 있었다. 1924년에는 최초의 여자불교학교인 武昌女子佛學院이 太虛에 의해 설립된다. 이 학교출신 비구니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불교여학교가 설립되어갔다. 특히 恒寶비구니는 菩提精舍라는 여학교를 설립하였고, 佛敎女衆專刊이라는 여성전문불교잡지를 발행하기도 하였으며, 경전의 차별적인 여성관을 비판하고 불교를 새롭게 해석하는 등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이 밖에도 여성들이 설립한 여학교에는 女工을 위한 대중적인 불교학교와 반대로 전문적인 여성불교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가 있었다. 한편, 『속비구니전』을 통해서 지역불교부흥에 공헌한 근대 비구니들의 업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근대 불교여성들은 자발적인 불교부흥운동을 통해 여권의식이 함께 성장해 가고 있었다. In the modern era, male Chinese Buddhist leaders encouraged Buddhist women to practice and learn Buddhism. Illiteracy and moral corruption of Buddhist women were regarded as obstacles to Buddhism revival, so Chinese Buddhist revivalist have worked to enlighten the ignorant women. As a result, A sequel to Biographies of Chinese Buddhist nuns has published and the Buddhist schools for woman have founded. Buddhist women were expected to follow the example of Chinese Buddhist nuns in the Biographies. The first school that Buddhist women could receive modern Buddhist education is Wuchang Women`s Buddhist School. The renowned Buddhist leader, Ven. Tai Xu(太虛) established the school. On the other hand, Buddhist women made a contribution to revival Buddhism too. First of all, they founded many Buddhist school for women. There was a public school for female laborer, and a special school to train for female Buddhist researcher. In addition, we can see the Buddhist nuns who have worked for reconstruction of local Buddhist culture through A sequel to Biographies of Chinese Buddhist nuns. In the last place,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was raised in the process of Buddhist reconstruction work among the Buddhist women. For example, they had a controversy with each other about Buddhist sexism, and asserted Buddhist nun`s rights fo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