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과 나의 현전(現前) __『중론』과 『보살지』 「진실의품」의 공성 이해를 중심으로__

        윤종갑 ( Yun Jong-gab ) 인도철학회 2018 印度哲學 Vol.0 No.53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일체를 부정한 것으로 설명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는 나의 존재는 어떻게 현전(현존)할 수 있는가? 이 논문은 공과 나의 현실적 존재의 양립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나가르주나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날에도 일체를 부정하는 허무주의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심과 함께 후대의 학자들 가운데 일부는 나가르주나의 공사상은 일체를 부정한 것이 아닌 단지 본질(essentia)을 부정했을 뿐이고 실존(existentia)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즉 나가르주나의 공성을 올바르게 이해하면 진여(眞如)로서 현실적 존재가 인정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보살지』(菩薩地) 「진실의품」(眞實義品)에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공사상에서 최고의 진실로서의 진여의 측면과 나의 현전의 근거가 되는 언어 표현의 기체(基體)라는 두 측면을 갖고 있는 vast를 매개로 하여 현실적 존재로서의 나의 현전을 고찰하였다. The thoughts of the Nagarjuna is said to be denying everything. So how can the existence of me be present? This paper looks at the compatibility of my real existence with that. Nagarjuna's construction minister is suspected of nihilism, which denies everything, not to mention it at that time, but also to this day. With this suspicion, some of the later scholars argued that Nagarjuna's work did not deny existentia, but merely the essentia. In other words, if you understand the Emptiness of Nagarjuna properly, you will be recognized as a realistic being. This is well documented in the Tattvarthapatala of the Bodhisattvabhumi Section.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my present status as a realistic being by means of intermediation concept ‘vastu’ that has two aspects, the true aspect of being the best truth in construction and the basis of language expression, underlying my existence.

      • KCI등재

        동아시아의 근대불교와 불경(佛經)의 번역과 출판

        윤종갑 ( Yun Jong-gab ),박정심 ( Pak Jeong-s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번역 및 출판의 관계를 한중일 불경 번역과 출판 사업을 중심으로 비교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문명과 제도의 변화와 개혁에 있어 번역과 출판의 관련성과 그 영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동아시아의 근대화, 특히 불교와 서양사상[종교]의 만남과 충돌은 배격[비판]과 수용[융화], 계승과 단절, 연속과 불연속 등 사상적·문화적·종교적으로 많은 새로운 이념과 제도를 창출하였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근대, 특히 동아시아의 근대불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적 불교 해석과 번역, 그리고 출판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까지도 미미하며, 특히 한·중·일 삼국의 근대 불교 경전의 번역과 출판 현황에 대한 비교론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문명으로서의 근대가 아닌 인문으로서의 동아시아의 근대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중요한 연구과제인 것이다. 일본은 근대 이전에는 동아시아의 주변국에 지나지 않았지만, 근대화를 통한 서구사상의 세례 이후에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된다. 과연 일본이 어떠한 근대화를 통해 동아시아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었을까· 본 과제는 근대화를 통해 일본이 동아시아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이며, 왜 한국과 중국이 주변으로 내몰리게 되었는지에 대한 원인 가운데 하나로 동아시아의 근대불교화 과정 속에 나타난 불경(佛經) 번역과 출판 사업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modernity of East-Asia and Translation-Publishing based on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ranslation-Publishing and the gravity of influence by comparative study. East-Asia`s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meeting and crash Buddhism and West philosophy was create much new changes of ideological, cultural, and spiritual like harmony and criticism, succession and severanc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So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East-Asia, especially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we have to study translation-Publishing of East-Asia Buddhist Sutra But the study still insignificant. and there are any comparative research about the three country that Korea, Japan, and Chinese of modern Buddhism of East-Asian and Translation-Publishing of Buddhist Sutra. So this is important to find out not the modernity of civil but the modern East-Asia as humanities. Japan became a center of East-Asia since the Modern Ages. How could do it?

      •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실재

        윤종갑 ( Jong Gab Yun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1

        본 논문은 『열반경(涅槃經)』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실재에 대해 고찰한것이다.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서는 실유불성론(悉有佛性論)과 일체개성(一切皆成)을 주창한다. 즉,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깨달음을 성취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음의 근거로서 제시된 불성 개념이 인도와 중국 불교사상사에서 실재 또는 공으로 해석되어 많은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최근에 와서도 이 문제는 국내외 학계에서 쟁점이 되었던 것으로 불성에 토대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 불교가 아니라는 주장과 이에 대한 반론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반야중관의 공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코 실재로 해석될 수 없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초기불교의 무아설과 대승불교의 공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붓다의 가르침을 온전히 구현하고 있는 불교의 중심 사상이다. 따라서 불성 개념을 실재론적으로 해석하여 성불(成佛)의 불가능성을 주장한 인도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의 법상종(法相宗)의 오성각별설(五性各別論)과 일천제(一闡提) 사상은 잘못된 것이며, 이러한 계보를 잇고 있는 일본의 마츠모토 시로(松本史郞)의 비판불교 역시 붓다의 가르침에서 벗어난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Sunya and Reality on the basis of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they claims Reality is the nature of Buddha(悉有佛性論) and All Entire be acheive(一切皆成). All people could achievable Nirvana. B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불성), suggested that the base of Nirvana was interpritated to Sunya or Reality, had lots of hot discussions. Recently this topic was hot issued, so there are two positions appeared. The poin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hought is Buddhism or not. This paper purposed to point o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unyata(空性). So it could`t be interpreted Reality. Because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elfless theory(無我說) of Early Buddhism and Sunya theory(空思想) of Mahayana Buddhism, it`s the central thought that realize a teaching of Buddha. Then India Yogacara(瑜伽行派) and East Asian Yogacara(法相宗)`s suggestion about Entering Nirvana couldn`t achievable were wrong. So the Matsumoto siro(松本史郞)`s criticism of Buddhism, which connect with them, was off the point of a teaching of Buddha.

      • KCI등재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

        윤종갑 ( Jo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본 논문은 『열반경(涅槃經)』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서는 실유불성론(悉有佛性論)과 일체개성(一切皆成)을 주창한다. 즉,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음의 근거로서 제시된 불성 개념이 인도와 중국불교사상사에서 실재 또는 공으로 해석되어 많은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최근에 와서도 이 문제는 국내외 학계에서 쟁점이 되었던 것으로 불성에 토대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 불교가 아니라는 주장과 이에 대한 반론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열반경』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반야중관의 공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코 실재로 해석될 수 없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초기불교의 무아설과 대승불교의 공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붓다의 가르침을 온전히 구현하고 있는 불교의 중심 사상이다. 따라서 불성 개념을 실재론적으로 해석하여 성불(成佛)의 불가능성을 주장한 인도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의 법상종(法相宗)의 오성각별설(五性各別論)과 일천제(一闡提) 사상은 잘못된 것이며, 이러한 계보를 잇고 있는 일본의 마츠모토 시로(松本史郞)의 비판불교 역시 붓다의 가르침에서 벗어난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Sunya and Buddha-nature on the basis of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they claims Reality is the nature of Buddha(悉有佛性論) and All Entire be acheive(一切皆成). All people could achievable Nirvana. B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suggested that the base of Nirvana was interpritated to Sunya or Reality, had lots of hot discussions. Recently this topic was hot issued, so there are two positions appeared. The poin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hought is Buddhism or not. This paper purposed to point o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unyata(空性). So it could’t be interpreted Reality. Because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 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elfless theory(無我說) of Early Buddhism and Sunya theory(空思想) of Mahayana Buddhism, it’s the central thought that realize a teaching of Buddha. Then India Yogacara(瑜伽行派) and East Asian Yogacara(法相宗)’s suggestion about Entering Nirvana couldn’t achievable were wrong. So the Matsumoto siro(松本史郞)’ s criticism of Buddhism, which connect with them, was off the point of a teaching of Buddha.

      • KCI등재

        인도철학에서 인과와 연기, 그리고 상의 -나가르주나의 『중론』을 중심으로-

        윤종갑 ( Yun Jong-gab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인도철학에서 인과(hetuphala)와 연기(pratityasamutpada), 그리고 상의(apeksa paraspara)는 존재의 본질과 관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철학적 고민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존재의 실체성과 관계가 깊다. 아트만(Atman), 브라흐만(Brahman)과 같은 존재의 실체성을 강조하는 인도정통철학에서는 실체의 연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과 개념으로서 존재의 본질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 반면, 존재의 비실체성을 강조하는 불교의 입장에서는 존재들 상호 간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연기와 상의 개념을 내세웠다. 그런데 설일체유부는 실체론적인 관점에서 연기를 해석하고자 했다. 나가르주나는 그의 주저 『중론』을 통하여 실체론적인 연기 해석을 비판하며 붓다가 제시한 연기설은 자성[실체]을 결여한 존재들 간의 상호 의존하는 상의의 관계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나가르주나의 『중론』에 나타난 인과와 연기, 그리고 상의에 대해 그 어원과 의미를 비교론적으로 고찰하였다. Indian Buddhism`s cause and effect and interdependent arising(pratityasamutpada), and apeksa paraspara were appeared in philosophical worry about how to prescribe relations between existence and essence, so it was deeply in with substantiality of existence. Indian authentic philosophy which emphasis on Atman or Brahman important to continuity of truth, so they had to know essence of existence and relationship by concept of cause and effect. But Buddhism`s position which emphasis on immateriality of existence is interdependent arising and apeksa paraspara. But Sarvativada try to interpret interdependent arising as a viewpoint of realism. Nagarjuna assert on the basis on Madhyamika that the viewpoint of realism is misunderstanding of interdependent arising(apeksa paraspara), and the theory of interdependent arising`s real meaning is that every existence is Sunyata which lack of substantiality. This paper look for comparatively the meaning and origin of cause and effect and interdependent arising, and apeksa paraspara on Nagarjuna`s Madhyamika.

      • KCI등재

        중관사상의 깨달음의 구조와 열반

        윤종갑(Yun, Jong-Gab)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본 논문은 용수(N?g?rjuna, 대략 A.D. 150-250)의『중론』(Madhyamaka-??stra)에 나타난 공성(空性)과 이제(二諦), 그리고 중도 개념을 중심으로 중관사상이 추구하는 깨달음의 구조와 열반에 대해서 살펴 본 것이다. 중관사상은 그 어떤 존재도 실체로서 존재할 수 없다고 하는 무자성 공을 주장한다. 이러한 기본 입장에 바탕하여 중관사상은 열반이란 희론적멸(戱論寂滅)의 공성(空性)을 체험하고 자각함으로써 획득되는 무분별의 세계로 규정한다. 그러한 세계에서는 현상(윤회) 그대로가 여실한 진여(眞如: 열반)로서 불이적·평등적·전일적으로 작용한다. 버릴 것도 더 보탤 것도 없는 있는 그대로 대자유의 평안이 바로 중관사상이 추구하는 공성의 깨달음으로서 열반이다. 중관사상에 있어 윤회와 열반이란 버리거나 추구되어야 할 자성적 실체가 아니다. 용수는 사구부정(四句否定)을 통해 일체의 분별적 사고를 부정하는데, 열반 또한 유라고 하든 무라고 하든 상관 없이 자성적 관점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열반이 유의 자성이라면 열반 자체의 항성성·별이성·독립성 (자립성)으로 인하여 그 누구도 성취할 수 없는 별개의 존재가 된다. 만약 열반이 무의 자성을 갖고 있다면 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중관사상에서의 열반이란 현상적 세속[윤회] 그대로가 열반이라는 윤회즉열반(輪廻卽涅槃)의 구조이다. 이러한 논리는 중관사상의 이제설(二諦說)에 의해 설명되는데, 세속적 세계[윤회]가 곧 그대로 승의의 세계 [열반|라는 것으로 실제 윤회와 열반은 하나의 세계이다. 즉, 삶 속에서 번뇌의 생활을 무심·무집착의 해탈의 경지로 전환시키는 현법열반(現法涅槃)이 바로 중관사상의 열반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The sturacture of M?dhyamika thought’s enlightment and nirv?na on the basis of S?nyat?, prapanca, and Two Truths of N?g?rjuna’s Madhyamaka-??stra. M?dhyamika thought assertion is nihsvabhava, so nothing can exist by substantly. Then M?dhyamika thought prescripe nirv?na as a Non-differentiating world gaining by expierience and self-awareness about S?nyat?. So in that world samsara is True-Self acting by Non-dualistic, Equity, and holistic. Nirv?na and samsara are not abandoned and pursued. N?g?rjuna deny all kind of distinctive thinking through Four Phrases-Negation. Nirv?na isn’t establised on the point of svabhava. Because If Nirv?na is being’s svabhava, it could not achievable for its own Consistency, difference, and independence. On the other hand If Nirv?na is nonbeing’s svabhava it will be the same. So M?dhyamika thought’s nirv?na is the structure of samsara that is nirv?na. This logic can be explaning by Two Truths of M?dhyamika thought, in other words samsara and nirv?na are one world. Passion’s life can be reach nirv?na of ‘Musim’, Renunciation, that is M?dhyamika thought’s nirv?na.

      • KCI등재

        전쟁에 대한 불교적 관점

        윤종갑(Yun, Jong-Gab)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불살생계를 계율의 첫 번째로 내세우는 불교는 정치적으로 철저한 비폭력과 평화주의를 지향한다. 이에 따라 어떤 이유에서든 살생과 폭력이 난무하는 전쟁에 대해 불교는 기본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염원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전쟁을 치를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전생의 인연이 마침내 드러날 때이다. 불교는 연기법에 의해 이 세계의 모든 관계를 설명하는데, 전쟁 역시 마찬가지이다. 연기법은 절대적인 이법으로서 전쟁의 과보를 받아야만 할 악업을 지으면 반드시 그 대가를 받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살인과 폭력 등의 나쁜 악업을 짓지 말아야 한다. 전쟁 부정론은 붓다의 기본 가르침으로서 초기불교는 물론이고 대승불교에까지 이어지는 기본적인 관점이다. 그러나 대승불교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전쟁의 불가피성을 인정한다. 전륜성왕이 불국토 건설을 위해 전쟁을 치를 경우 이를 허용하는 것이다. 전륜성왕은 자비와 정법으로써 국토와 국민을 보호하고 살상을 불러오는 전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부득이하게 전쟁을 하게 되더라도 자비와 관용의 정신에 근거하여 최대한 살생을 줄여 뭇 생명들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e first moral precepts of Buddhism is to abstain from taking a life by pursuing ahimsa and political pacifism. Thus, Buddhism basically opposes war. However, despite the opposition, Buddhism proposes that war occurs when ill-fated relationships by in the past life emerge. In Buddhism, all kinds of relationships are explained through cause and effect (paṭicca-samuppāda), which is the absolute law; thus, if a crime is committed, the price has to be accepted. Therefore, to avoid war, crimes, such as we ought not to make a wrongdoing like murder or violence, must be prevented. The denial theory of war was Buddha’s basic teaching through early Buddhism and Mahāyāna Buddhism. However, according to Mahāyāna Buddhism, war is acceptable when war limit of in case of nenecessary. For instance, the Chakravartin (universal monarch) made engaged in war by building to build the Buddha land; although the Chakravartins have tried to try prevent war through by mercy and law order, when a war was forced upon them happen, they tried to minimize reduce the casualties kill and protect to life by the spirit of mercy and tolerance.

      • KCI등재

        한용운의 근대 인식과 서양철학 이해

        윤종갑(Yun Jong-Gab)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39 No.-

        만해 한용운(1879~1944)의 근대불교 인식의 핵심은 서양철학과 자연과학에 입각하여 불교를 새롭게 재해석하는 데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단지 이론상에 그치는 것이 아닌 제도와 사회구조에 직접 대입시켜 실천적인 불교로 거듭나는 것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서양철학은 만해의 근대 인식에 있어 결정적인 영양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만해의 기본적인 관점은 불교가 서양의 종교와 사상보다 우월하다는 입장에서 오히려 불교에 비추어 서양의 종교와 사상을 재해석하는 불교적 근대화를 확립하려 한 것이다. 제도로서의 근대를 긍정한 반면, 가치로서의 근대는 비판적 관점에서 받아들이고자 했다. 그 결과 만해의 불교인식에는 근대에 대한 낭만적 동경과 비판적 탈주가 동시적으로 내재하며 근대불교를 학문으로서의 불학(佛學)과 종교로서의 불교(佛敎)가 접목된 ‘철학적 종교’로 파악한다. 만해는 자유의지와 인과율을 매개하는 불교의 마음[眞如]을 내세움으로서 서양철학과 서양과학을 수용할 수 있는 근거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만해가 포착해 낸 마음이란 자유인으로서의 인간의 본질과 보편적 세계의 법칙으로서의 인과율을 동시에 담아낼 수 있는 당체가 되는 것이다. 결국 만해의 근대 불교 인식의 첫 번째 과제는 서양철학과 과학에 비추어 불교를 새롭게 재해석함으로써 근대적 불교를 완성하는데 있었던 것이다. The point of Man-Hae(Han, Yong-un)'s perception of modern Buddhism is re-interpretation to Buddhism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nd natural science. And not in theory but substitute for the system and social structure that come to a practicing Buddhism. So the western philosophy is definitely influence to Man-Hae's modern understanding. But Man-Hae's basic view is that Buddhism is better than the western religion and theory. So he want to establish the Buddhist modernization that re-interpretation to the western religion and theory in the light of Buddhism. He accept the modern as system, but as value he's intend to accept critical viewpoint. In consequently, a romantic aspiration and critical escape are simultaneously inherent on Man-Hae's understanding of Buddhism, and he think about modern Buddhism as 'philosophical religion' that learning and religion are grafted together. Stand the Mind of Buddhism that mediate the free will and the laws of cause and effect, he can secure a base that accept to the western philosophy and science. Man-Hae's viewpoint 'of Mind can be accept to the free will as a human nature and the laws of cause and effect as a law of universal world. As a result, the first task of Man-Hae's perception of modern Buddhism is perfection of modern Buddhism as doing re-interpretation to Buddhism based on western philosophy and natural science.

      • KCI등재

        데리다의 차연과 나가르주나의 공

        윤종갑(Yun, Jong-Gab)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나가르주나(Nāgārjuna, 약 150~250)는 공사상을 통해 당시 실재론적 철학을 표방하며 ‘유의 형이상학’을 주장한 아비달마 불교를 해체하였다. 그리고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는 서양에서 오랫동안 제고되어 온 ‘동일성의 원리’를 해체하였다. ‘유의 형이상학’과 ‘동일성의 원리’는 영원하고 독립적인 실체가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다. 데리다의 해체는 이러한 동일성을 비판하기 위해 ‘차연(差延, différance)’으로 나아간 데 비해 나가르주나는 동일성과 차이성을 모두 부정하는 ‘공(空, Śūnya)’으로 귀결한다. 이 글은 기존의 형이상학을 비판하기 위한 두 사람의 전략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향하는 철학의 가치와 토대가 다름을 명확히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데리다가 해체하고자 했던 ‘로고스 중심주의’를 나가르주나의 ‘희론적멸의 공성’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한다. Nāgārjuna(B.C.150~250) deconstructed existing Buddhist thought by śūnyatā, so that he philosophically systematized Mahayana Buddhism. He criticized Abhidharma and Vaiśesikā that insisted ‘metaphysical philosophy of existence’ by claim to eternal substance. On the other hand, Jacques Derrida deconstructed ‘the priciple of identity’ which has been advanced in Western Philosophy for a long time. ‘Metaphysical philosophy of 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identity’ were based on the belief that there will be the eternal and independent substance. Despite of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criticize the concept of substance, Nāgārjuna and Derrida using similar tactic that ‘deconstruction’. But for their different aim, the result had very different. Jacques Derrida deconstruction proceeded differences for stress on each other’s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Nāgārjuna was concluded middle way that deny both sameness and differences of substance. In this paper I will clarify that despite of their using tactics similarity, their philosophical value and basis are different. So I will show that Nāgārjuna’s ‘philosophy of anatta’ can solve the ‘philosophy of self’ that Derrida could not solve.

      • KCI등재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윤종갑(Yun Jong-Gab)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척추 손상,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루게릭병 등과 같은 선천성 질환 및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여는 것으로 기대가 높지만, 윤리적·법률적·종교적으로 많은 논란이 예상된다. 예컨대 배아의 지위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승인여부가 결정된다. 배아를 하나의 생명체로 간주하는 입장에서 보자면, 배아를 훼손할 수밖에 없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살생을 행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당연히 금지된다. 불교적 관점에서 볼 때 배아는 인간 유전정보를 갖고 있는 생명체로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하지만 그 가치는 상대적인 것으로 인격체와 마찬가지로 절대적으로 존중 및 보호받을 정도는 아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배아 연구가 허용될 수 있다. 심지어 배아줄기세포연구에 의해 복제인간이 태어나는 경우에도, 불교의 연기설과 윤회론적인 입장에서 보자면 그것은 단지 업의 재생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불교에서는 생명체가 만들어질 수 있는 방식을 4가지로 나누는데[四有說], 그 중에 하나가 '양친 없는 재생'(化生, rebirth without parents)이다. 즉, 배아복제는 양친에 의해 이루어지던 윤회의 방식이 과학 기술의 조작에 의해 대체되었음을 의미한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불교의 '자비의 윤리(원칙)'에 의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배아 보호의 자비심과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고통 받는 인간을 구제하고자 하는 자비심이 서로 충돌할 때, 현실적인 측면[적용의 융통주의]을 고려하면서도 본질적인 측면[원칙주의]을 간과하지 않는 중도주의적인 입장에 따라서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승인여부를 결정해야 할것이다. 따라서 자비의 원칙에 근거하여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꼭 필요한 경우에는 엄격한 제재 하에서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승인될 수 있다. Today's philosophical and religious issue is stem cells problem, that of embryonic cloning problem. This paper make clear that embryonic stem cells Inquiry and Human embryonic cloning can get a theoretical bases from the Budhists' pratītyasamutpāda. The Buddists' view of life is based on pratītyasamutpāda and Transmigration. So It has positive aspect for all creatures relief and problem of Nirvana. The direction which can choose larger mercy must be chosen. I thinks that it is good to inquire from the position of protecting an embryo because of a creature. That's because, if a human being born by embryos cloning can have dignity personality, so that being can be delivered from worldly existence. Therefore, embryonic stem cells Inquiry can be a kind of doing mercy for all creatures r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