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자반응이론에서 본 문학 번역의 의미 구성 연구

        한위성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문학 번역 영역에서 역자는 원작의 ‘제일독자’이자 작품의 재창작 주체인 ‘저자’이다. 역자의 이런 이중적인 신분은 원작을 읽고 이해하고 분석한 뒤, 매 하나의 단어, 구절, 심지어는작가의 창작 의도와 감정 세계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사고와 수정을 거쳐 역문을 완성하게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사유가 다르듯이 역자가 아무리 작가의 정신세계와 정서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할지라도, 역문의 효과는 원작이 독자들에게 주는 효과와 완벽하게 일치할 수없다. 역자는 ‘제일독자’로서 원작을 깐깐히 읽고 문맥 뒤에 숨겨진 은유적 의미까지 음미하며적절한 언어로 이들을 표현하지만, 역문 ‘저자’의 신분에서 역문의 문화적 환경과 독자의 수용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수사적 수법을 활용하게 되고, 작품과의 교류 및 소통을 진행하면서원작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자신의 이해를 드러내 보인다. 그리고 이런 이해는 어떠한 경우에도 원작에 대한 충성을 기반으로 한, ‘제일독자’로서의 원작에 대한 역자의 역동적인 분석, 추측, 의미의 재구성을 수반하게 된다. 독자반응이론은 독자가 독서하고 수용하는 시각에서 문학 작품을 바라보는 문학 비평이론이다. 문학 작품의 역자는 곧 원작의 ‘제일독자’로서 그 자신의 생활체험, 인지능력, 원작에 대한 이해와 분석 등을 기반으로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주관적인사유에 따라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불확실한 의미의 공백을 메우게 된다. 따라서 독자반응이론을 빌어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충분히 일리가 있고, 역자가 ‘제일독자’와 ‘저자’란 이중적 신분으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능동적 역할을 과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독자반응이론을 활용한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서 논자는 아래 몇 가지 점에 주목하여 본다. 첫째, 제일독자(역자)의 개인 생활 체험에서 비롯된 의미의 재구성; 둘째, 제일독자(역자)의 의미 확장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 셋째, 제일독자(역자)의 핵심 이미지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분석; 넷째, 제일독자(역자)의 모순된 의미에 대한 판단과 해석 등이 포함된다. 독자반응 패턴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독자들의 반응을 엿볼 수 있지만, 문학 번역 중에서역자가 ‘제일독자’의 신분으로 번역에 임할 때, 우리는 ‘독자’와 ‘저자’라는 이중적 신분을 지닌역자의 의미 재구성 참여 문제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실제 번역 과정에서 역자는민감한 사유와 창조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독자의 시각으로 의미의 재구성에 적절하게 참여해야 원작의 의미적 한계를 극복하고 역자의 ‘문풍’을 가미한 이상적인 번역을 선보일 수 있다. In literary translation, the translator is the “ first reader” of a source text and “author” doing the active re-creation as well. This dual role of the translator entails on the part of the translator careful readings of the source text, pondering over every word and every sentence, and even understanding the motive and emotional rendering of the author of the original literary text. Yet, as everyone has his own distinctive mode of thinking, however hard the translator tries to fully understand the author, the final version of the target text can hardly be identical to the source text. Therefore, the translator as the “first reader” should read carefully the source text, comprehend its connotations and implications and conceive appropriate wordings in the first place. Then he as the “author” should employ such rhetorical devices as simile or metapho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source text, and present concretely and vividly what he understands as embodied in the source text. At all times the translator is involved in his subjective analysis, assumption and meaning reconstruction. Reader-response criticism is a school of literary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ader and his experience of a literary work. And the translator is the “first reader”, who explor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source text based on his life experience and level of cognition. So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translator, as an active agent, reconstructs the meaning and bridges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readers through his subjective thinking. Therefore, in light of the theory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t is feasible to explore the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which also demonstrates the active and dual role the translator plays as both the “first reader” and “author” in the reconstruction of meaning in literary translation. To be specific, the following issues are of concern in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based on reader-response criticism: I. Meaning reconstruction based on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life experience II. Active involvement of the first reader (translator) in meaning extension III.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understanding of core implications and addition of multiple interpretations IV.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speculation on and analysis of meanings of controversial nature Reader-response model explores readers’ respons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literary translation, in which the translator serves as “the first reader” before he works as a translator, we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dual role of the translator as both reader and author in meaning reconstruction. In practice, the translator should be active in thinking and creative, and reconstruct meaning from a reader’s perspective. Only in this way can the translator produce with his distinctive style ideal work of translation that has overcome the limits of meaning in the source text.

      • KCI등재

        독자반응전략의 지도가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반응 양상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다슬,김태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explicit teaching of reader response strategy on student's written respons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 fif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begin with, the aspects of reader responses were selected for proper use to prim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which comprises eight aspects including responding to a topic, a character, an illustration, and a literary technique, and making connections to self, other texts, society, and author. These eight aspects of responses were explicitly taught as reader response strategy in the experimental classes. Students' written response journal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es and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uring the experimental classes, students read a picture storybook every week, learned two response strategies and wrote a written response journ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requency of the eight response aspects represented in their written response journals increased. In addition, students' responses were enriched in quality, which led to the growth of their writing abiliti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eader response strategy to elementary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EFL environment can lead to the production of better written response and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독자반응전략의 명시적 지도가 학생들의 쓰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 참여자는 서울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22명이다. 실험 수업에 앞서 학생들에게 적용할 만한 독자반응의 양상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8가지 반응 양상은 주제에 대해 반응하기, 인물에 대해 반응하기, 그림에 대해 반응하기, 표현에 대해 반응하기, 나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다른 텍스트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사회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작가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이다. 8가지 독자반응 양상은 이후 실험 수업에서 독자반응전략으로써 학생들에게 명시적으로 지도되었다. 학생들의 실험 수업 전후에 학생들의 반응 쓰기 평가지를 작성하게 하여 이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수업 중 학생들은 매주 1권의 이야기 그림책을 읽고, 2가지의 반응 전략을 학습한 뒤 반응 표현 쓰기 활동지에 자신의 감상을 서술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8가지 독자반응 양상의 빈도수가 증가하고, 학생들의 반응이 질적으로 풍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학생들의 쓰기 능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독자 반응 전략의 적용이 EFL 환경의 초등영어 학습자의 쓰기 반응 양상과 쓰기 능력의 성장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창작 발레 <심청>에 관한 연구 - 이저(W, Iser)의 독자반응비평이론을 중심으로 -

        배금연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0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6 No.4

        현대 예술사조의 특징 중 하나는 예술에서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옹호한다는 점이다.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은 이러한 수용자 중심적 관점을 부각한 수용미학적 견해로 기존의 창작자 혹은 텍스트 중심적 수용미학 이론과 차별되는 전환적인 견해이다. 발레 <심청>은 한국창작 발레이면서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향유되고 있는 문화상품이다. 작품 속에 동서양의 문화가 공존하고 있어 수용자의 수용방식에 따라 해석과 의미부여가 다양하게 표현 가능한 작품이다. 이에 수용자 중심적 수용미학적 견해인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에 발레 <심청>을 접목시켜 분석하는 작업은 의미 있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에서는 무용텍스트로서의 <심청>과 이저의 독자반응비평 이론을 함께 고찰해 보았다. 먼저 독자반응비평 이론에서 텍스트가 수용자의 수용행위를 통해 구체화 되어 작품이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무용텍스트는 생산자인 대본가, 안무가, 연출가에 의해 창작되어 무대에서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현장에서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수용자는 안무가가 전달하려는 혹은 의미부여가 가능한 암시된 의도 등을 구체화시키는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생산자-텍스트-수용자간 공동유희의 과정에 해당한다. 유희과정을 거친 텍스트는 작품이 된다. 수용미학적 구조에 관한 이저의 이론을 한국창작 발레 <심청>에 적용해보면 심청은 무용텍스트에 해당하고 창작자(안무가, 대본가, 연출가)는 생산자에, 무용수는 공연의 협력자이자 또 다른 수용자, 공연을 관람하는 관객과 평론가는 수용자에 해당한다. 이들은 상호간 자유로운 의사소통으로 텍스트를 구체화시키고 그 결과 <심청>은 작품이 된다. 한편 텍스트가 구체화된 작품은 다시 다음 생산자의 또 다른 텍스트창작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수용텍스트를 만드는 순환적 의사소통의 구조를 갖는다. 발레<심청> 역시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겪었고 그 결과 창작 이후로 성공적인 개작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나의 텍스트가 작품으로 구체화 된 후 소멸하지 않고 구체화 과정을 반복하여 끝없이 수정 보완되어 공연무대에 올려지고 있는 좋은 예가 된 것이다. 무용텍스트로서 발레 <심청>이 가지는 가치를 창조적, 심미적, 교육적, 문화적 가치의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문화적 가치에 있어서 주목할 사실은 발레의 종주국인 프랑스 ‘팔레 데 콩그레 드 파리(Palais des Congres de Paris)’에 초청되어(2012) 성황리에 공연을 마치는 등 한국발레의 해외 성공 사례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초연 이후 현재까지 끊임없이 수정 보완하는 열정, 관객의 변함없는 호응은 발레 <심청>을 더욱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현대의 예술 패러다임은 20C 초반 이래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증주의, 실존주의, 신비평주의 등을 거쳐 구조주의, 모더니즘, 해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탈해체주의 등 여러 사조들이 뒤얽혀 존재하고 있고 그에 따라 예술작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도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다. 공연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관객의 기대나 호응 역시 다양하게 변하고 있으며 평론가들의 비평도 이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발레 <심청>이 현재와 같은 호평 속에서 공연을 계속 이어가고 생명력을 가진 작품으로 남기 위해서는 급변하는 예술사조와 공연환경, 공연에 대해 달라지는 기대를 앞으로 어떻게 수용하여 표현하는지가 남은 과제라 할 것이다. 앞으로도 동서양문화의 훌륭한 조화의 상징적인 작품으로 명성을 이어가기를 기대한다.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modern art trends is the point that the aggress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s is induced and supported in art. As the acceptance aesthetics view that carved in relief such a consumer-centered viewpoint,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is a converted view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existent creator- or text-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theory. The ballet ‘Shimcheong’ is a cultural product that has been consumed and enjoyed in the world while being a Korean creative ballet at the same time, too. Because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coexist within the work of art, it is a work of art that can diversely express the interpretations and the meaning givings according to the acceptance method of the consumer. As such, because it had been thought that the work of analyzing by grafting the ballet ‘Shimcheong’ onto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which is a consumer-centered acceptance aesthetics view, is meaningful, in this research, ‘Shimcheong’, as a dance text, and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of Iser had been considered together. Firstly, if I take a look at the process in which the text becomes the work of art after being concretized through the act of acceptance of the consumer in the theory of reader response criticism, the dance text has the special feature of being delivered at the site through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on the stage after being created by the script writer, the choreographer, and the director, who are the producers.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texts in the other genres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the empathy that is felt by the consumer while viewing the performance and the things that were stored with the memories and the recollections after viewing the performance are made into an acceptance text. In concretizing a dance text that is delivered mainly with the visual images, the aggress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with the text as the medium is important. The consumer plays the proactive role of freely finding and concretizing, by himself or herself, the intention that is intended to be delivered by the choreographer, the suggested intention that can give a meaning although it was not clearly stated, or the others of the like. This pertains to the process of the joint play between the producer, the text, and the consumer. A text that ha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the play becomes a work of art. The concept of ‘text’ of Iser is a fictional text. And, due to the fictionality, the spaces of uncertainty, blank, etc. get created. As a phenomenological concept, while being inherent in the text, the consumer is an existence who gets regulated by the text. The consumer plays the role of filling the blank in the fictional tex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within his or her awareness. And, at this time, the uncertainty of the text, too, gets around to having a clear and definite meaning. As a result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producer having taken place by being repeated through the proactive participation by the consumer, the text becomes a work of art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If I try applying the theory of Iser regarding the acceptance aesthetics structure to the Korean creative ballet ‘Shimcheong’, Shimcheong pertains to a dance text, the creators (The choreographer, the script writer, and the director) pertain to the producers, the dancers pertain to the cooperators of the performance and the yet other consumers, and the audience and the critics viewing the performance pertain to the consumers. They concretize the text through the free, mutual communication, and, as a result, ‘Shimcheong’ becomes a work of art. Meanwhile, by giving an influence to yet another text creation by the next producer again, the work of art of which the text had been concretized gets around to having the structure of circular communication that makes a new acceptance text. The ballet ‘Shimcheong’ had experienced such a process many times. And, as a result, ever since the creation, the successful remakes have been continuing until the present. It had become a good example in which, after having been concretized as a work of art, without becoming extinct, by repeating the concretization process, by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endlessly, one text has been put up on the performance stage. The values that are possessed by the ballet ‘Shimcheong’, as a dance text, can be divided into four kinds. By changing the genre of the literature text, which is a traditional novel, into the dance text, it had been made so that the performance is possible. And, by not damaging the form and the choreography of the ballet while saving the Korean sentiment, too, the possession of the universality and the accessibility as a public art pertains to the creative value that is possessed by ‘himcheong’. All of the main organizations of the classical ballet, including the grand pas de deux and the divertissement, which are the typical ballet performances that are worthy of watching, the pas d'action, which induces the follow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etc., are inside. And each part gets delivered while having the life force. And the point that the level of completion as a ballet performance had been shown while saving the Korean things, including the clothes, the music, the choreography, etc., just the way they had been, can be evaluated as an aesthetic value. ‘himcheong’ has been delivering the humanity of ‘ilial duty’ through a drama-consistent message. Here, the traditional, moral customs, too, of Korea, in which the ordinary people coexist and share the emotions with the neighbors, have been expressed in a natural way. Although filial duty is a moral canon that is emphasized in the Orient, despite being somewhat of a children's story and despite the somewhat exaggerated setup, while the audiences in the diverse cultural spheres have been watching the performance, the fact that the humanity- including filial duty, altruism, etc.- had been sympathized with means that 'Shimcheong' had delivered an educational value, too. Regarding 'Shimcheong',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a long time in over 26 countries of the world for over 30 years ever since the premiere in 1986, the following points have been continuously receiving the favorable commen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at many places in the world: The point that it had a traditional story in Korea as the subject matter; The point that there had been a lot of participation by foreigners in the creation process; The point that a foreign dancer had been in charge of, and had acted for, a Korean character; The point that the traditional dance and the ballet had achieved a harmony; The point that the Korean culture and tradition had been represented well through the clothes, the music, the background, etc.; And the others of the like. As an excellent, intangible asset of the Korean ballet circle, the cultural value has been emitted. It has been an overseas, successful case example of Korean ballet, including successfully finishing a performance after being invited (2012) to Palais des Congres de Paris in France, which is the suzerain of ballet, and the others of the like. The passion of unceasingly revising and supplementing and the unchanging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ever since the premiere until the present have been making the ballet 'Shimcheong' into a work of art that has an even higher level of completion. The art paradigm of modernity has been appearing diversely ever since the early phase of the 20th century. By going through positivism, existentialism, new criticism, etc., the many thought trends, including structuralism, modernism, deconstruction, postmodernism, deconstructionism, etc. have been existing by being entangled. And, according to this, the new demand, too, regarding the works of art has been increasing diversely. The performance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rapidly. And the expectation and the positive response of the audience have been changing diversely, too. And the criticisms, too, of the critics have been becoming different according to this. In order for the ballet 'Shimcheong' to continue the performance continuously with the favorable reviews like the present and remain as a work of art that has the life force, it can be said that how to accept and express the rapidly changing artistic thought trends and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the expectation that becomes different regarding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is the remaining task. I have the high expectation that it will continue the fame as a symbolic work of art with the excellent harmony of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ure, too.

      • KCI등재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 탐색

        한은형(Han, Eunhye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0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재정립하여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독자반응이론이 대두된 배경부터 독자반응 이론의 흐름을 세 갈래로 구분하여 재정립하는 과정을 거쳐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독자반응 이론은 유아가 그림책에 대해선택적 관심을 가진 이후 교류, 환기, 반응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거치며 의미를 형성하고 재구성하는 전 과정에 초점을 맞춘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었다. 이를바탕으로 유아 대상 반응 중심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관점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선택적 관심의 기회확대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심미적 읽기 과정 속 텍스트와의 교류를 독려해야 한다. 넷째, 환기와 반응을 통하여 문학작품 속 틈을 스스로 메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점을 교수방법 설계의 측면, 유아에 대한 관점 재정립의 측면, 환기와 반응의 명료한 구별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direc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re-establishing the flow of reader response theory and deriving the implications for early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riv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flow of the reader responsetheory into three categories from the background of the reader response theory. As a result, the reader response theory implie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support focusing on the wholeprocess of forming and reconstructing meanings through organic exchanges, ventilation, and reactions after infants had selective interest in picture book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discoveringthe direction of response based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er s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tex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elective interes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exchange with texts in the aesthetic reading process. Fourth, through ventilation and reac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gap in literary works to fill themselves.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poi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design of teaching methods, the reestablishment of the viewpoint of infants, and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ventilation and response.

      • KCI등재

        독자반응이론에서 본 문학 번역의 의미 구성 연구

        하위성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문학 번역 영역에서 역자는 원작의 ‘제일독자’이자 작품의 재창작 주체인 ‘저자’이다. 역자의 이런 이중적인 신분은 원작을 읽고 이해하고 분석한 뒤, 매 하나의 단어, 구절, 심지어는작가의 창작 의도와 감정 세계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사고와 수정을 거쳐 역문을 완성하게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사유가 다르듯이 역자가 아무리 작가의 정신세계와 정서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할지라도, 역문의 효과는 원작이 독자들에게 주는 효과와 완벽하게 일치할 수없다. 역자는 ‘제일독자’로서 원작을 깐깐히 읽고 문맥 뒤에 숨겨진 은유적 의미까지 음미하며적절한 언어로 이들을 표현하지만, 역문 ‘저자’의 신분에서 역문의 문화적 환경과 독자의 수용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수사적 수법을 활용하게 되고, 작품과의 교류 및 소통을 진행하면서원작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자신의 이해를 드러내 보인다. 그리고 이런 이해는 어떠한 경우에도 원작에 대한 충성을 기반으로 한, ‘제일독자’로서의 원작에 대한 역자의 역동적인 분석, 추측, 의미의 재구성을 수반하게 된다. 독자반응이론은 독자가 독서하고 수용하는 시각에서 문학 작품을 바라보는 문학 비평이론이다. 문학 작품의 역자는 곧 원작의 ‘제일독자’로서 그 자신의 생활체험, 인지능력, 원작에 대한 이해와 분석 등을 기반으로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주관적인사유에 따라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불확실한 의미의 공백을 메우게 된다. 따라서 독자반응이론을 빌어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충분히 일리가 있고, 역자가 ‘제일독자’와 ‘저자’란 이중적 신분으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능동적 역할을 과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독자반응이론을 활용한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서 논자는 아래 몇 가지 점에 주목하여 본다. 첫째, 제일독자(역자)의 개인 생활 체험에서 비롯된 의미의 재구성; 둘째, 제일독자(역자)의 의미 확장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 셋째, 제일독자(역자)의 핵심 이미지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분석; 넷째, 제일독자(역자)의 모순된 의미에 대한 판단과 해석 등이 포함된다. 독자반응 패턴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독자들의 반응을 엿볼 수 있지만, 문학 번역 중에서역자가 ‘제일독자’의 신분으로 번역에 임할 때, 우리는 ‘독자’와 ‘저자’라는 이중적 신분을 지닌역자의 의미 재구성 참여 문제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실제 번역 과정에서 역자는민감한 사유와 창조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독자의 시각으로 의미의 재구성에 적절하게 참여해야 원작의 의미적 한계를 극복하고 역자의 ‘문풍’을 가미한 이상적인 번역을 선보일 수 있다. In literary translation, the translator is the “ first reader” of a source text and “author” doing the active re-creation as well. This dual role of the translator entails on the part of the translator careful readings of the source text, pondering over every word and every sentence, and even understanding the motive and emotional rendering of the author of the original literary text. Yet, as everyone has his own distinctive mode of thinking, however hard the translator tries to fully understand the author, the final version of the target text can hardly be identical to the source text. Therefore, the translator as the “first reader” should read carefully the source text, comprehend its connotations and implications and conceive appropriate wordings in the first place. Then he as the “author” should employ such rhetorical devices as simile or metapho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source text, and present concretely and vividly what he understands as embodied in the source text. At all times the translator is involved in his subjective analysis, assumption and meaning reconstruction. Reader-response criticism is a school of literary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ader and his experience of a literary work. And the translator is the “first reader”, who explor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source text based on his life experience and level of cognition. So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translator, as an active agent, reconstructs the meaning and bridges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readers through his subjective thinking. Therefore, in light of the theory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t is feasible to explore the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which also demonstrates the active and dual role the translator plays as both the “first reader” and “author” in the reconstruction of meaning in literary translation. To be specific, the following issues are of concern in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based on reader-response criticism: I. Meaning reconstruction based on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life experience II. Active involvement of the first reader (translator) in meaning extension III.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understanding of core implications and addition of multiple interpretations IV.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speculation on and analysis of meanings of controversial nature Reader-response model explores readers’ respons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literary translation, in which the translator serves as “the first reader” before he works as a translator, we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dual role of the translator as both reader and author in meaning reconstruction. In practice, the translator should be active in thinking and creative, and reconstruct meaning from a reader’s perspective. Only in this way can the translator produce with his distinctive style ideal work of translation that has overcome the limits of meaning in the source text.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소설 독자 연구의 성과와 전망

        전은경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이 논문은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한국 근현대 소설, 서사 관련 독자연구를 분석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발표된 독자 연구를 데이터로 정리하고 연도별 독자 연구의 개수와 독자 관련 연구 대상 시기, 독자 연구의 연구 대상 분석, 특정 독자 대상 분류 등을 통해 양적 실태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실제로 많이 활용된 연구방법을 독자 수용/반응 비평, 독서 이론, 미디어 이론, 페미니즘 이론, 문화관련 이론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방법론별 논의의 내용을 검토하고 독자 연구의 성과와 한계, 향후 방향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았다. 볼프강 이저는 텍스트의 불완전성에 대해 말한 바 있다. 텍스트의 여백과 틈을메우는 것이 바로 독자이며, 이로부터 독자의 역할이 강조되어 왔다. 완벽한 텍스트도, 완벽한 해석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텍스트는 개개의 독자에 의해서 끊임없이재생산되고, 재해석될 것이다. 독자 연구 역시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독자를 바라보는 시선, 기준, 역할에 대한 논의 역시 연구자 개개인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재해석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독자 문학사 역시 새롭게 창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자 연구는 새로운 방법으로서의 소설문학사를 재구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하나의 주제에 국한되기보다는 다양한 양태의 독자 연구가 이어져야 할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가운데 하나로서 능동적 주체인 소설문학 독자 연구가통시적으로 이루어질 필요도 있다. 독자가 단순히 텍스트 읽기의 객체로 존재하는것이 아니라, 반응하고 행동하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명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문학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역시 담당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독자 연구는 근현대소설의 새로운 문학사를 서술하게 하는 하나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studies about novel readers related to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novels and narratives published from 2000 to 2023. During this period, the data on published studies about novel readers were compiled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status, including the number of studies per year, the periods of focus in reader-related research, the subjects analyzed in reader studies, and the categorization of specific reader groups. Additionally, the paper categorizes and examine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research methods, such as reader reception/response criticism, reading theories, media theories, feminist theories, and cultural theories. Furthermore, each methodology's discussions are reviewed, and the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ies about novel readers are summarized. Wolfgang Iser has discussed the incompleteness of the text, stating that it is the reader who fills in the gaps and spaces within the text, thereby emphasizing the role of the reader. If there is no perfect text or perfect interpretation, the text will be constantly reproduced and reinterpreted by individual readers. I believe the same applies to studies about novel readers. Discussions about how readers are perceived, evaluated, and their roles will also be continuously reproduced and reinterpreted by individual researchers. Moreover, within this ongoing process, the literary history of readers can also be newly created. Therefore, studies about novel readers can reconstruct the literary history of the novel in novel ways. It appears that a variety of approaches to reader studies,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single theme, should be pursued. Among such studies,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active agents, the readers, in the context of novel literature. This is because readers not only exist as objects of reading the text but also play an active role as respondents, actors, and vocal participants, even taking on the role of producers of literature. Ultimately, studies about novel readers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a driving force in narrating the new literary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novels.

      • KCI등재

        능동적 독자에 대한 강조와 교과서 수록 현대시의 변화 양상 독자반응 이론의 수용 이후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오연경 ( Oh Younky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문학교육의 패러다임이 텍스트 중심주의에서 독자 중심주의로 이동하면서 문학에 대한 개념적 이해보다는 문학 현상에 대한 실천적 참여를 강조하는 관점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문학 교육의 이러한 전환은 학습자의 활동을 강조하는 교수·학습 방법뿐 아니라 교과서에 수록된 시의 양상도 크게 변화시켰다. 그러나 능동적인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새롭게 조정된 교과서 시의 변화가 실제로 수용자의 삶과의 조응 및 능동적 대화를 지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인지는 보다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독자 중심주의로의 전환 이후 문학교육의 목표 및 성격의 변화와 함께 새롭게 도입된 성취기준들을 검토하고, 그러한 변화된 기준에 따라 선정된 현대시 작품들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독자의 능동적인 활동과 태도를 견인하기 위한 문화론적 관점의 도입은 현재의 문학 작품의 유통 및 향유 현상에 관심을 갖고 주체적으로 문학 문화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향이 아니라, 문학 작품을 일종의 가치론적 담론으로 주제화하고 그러한 주제의식을 내면화하도록 이끄는 방향으로 현실화되었다.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능동적 참여라는 시 교육의 이상이 사실상 특정한 가치의 수용과 내면화로 굴절되면서, 최근 작품들의 수용을 통해 재구성된 현대시 정전은 오히려 독자에게 문화적 편식증을 심어 주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보통 교육이 대개 계몽의 이념과 연관된다고 할 때, 교육 정전의 구성은 학습자 자신의 요구보다는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교육 이념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 이래 현대시 정전의 확대 및 다양화의 이면에는 학습자의 현대시 감상의 폭뿐만 아니라 `시`라는 개념 자체를 협소하게 만드는 계몽적 교육 이념이 작동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aradigm of literary education has moved to the reader-centrism from the text-centrism. This transition of literary education have also changed significantly aspects of poems in textbooks, as well as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is need to exam-ine closely, however, whether the canon system which has been reorganized from the course of accepting the reader-response theory, in practice, supports the correspondence and active dialogue with the readers. This study reviewed the achievement standards newly introduced with changes in th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ry education, and examined crit-ically specific aspects of modern poems newly selected according to such achievement standards. The cultural perspective in literary education, introduced to support subjective activities and attitudes of the reader, was not led to allow the reader to engage actively in literary culture, but to internalize the value theme in literary works. The idealism of poetry education, the reader`s engagement with poetry works, in fact, was turned into enlightening education to make the reader accept and internalize specific value theme in poems. As a result, the modern poetry canon reconstructed with the acceptance of recent poems should rather tend to instill cultural imbalances into the reader. The liberal education i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Enlightenment, and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canon tends to be inclined in the ideals of education required by the institution rather than their own requirements.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 poetry canon newly organized since 7th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s under the enlightening ideals of literary education which make narrowly not only the appre-ciative activity of the lerner but also concept of `poetry` itself.

      • KCI등재

        독자반응비평적 관점에서 본 <무정>

        한승옥(Seung Ok Han)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현대소설연구 Vol.- No.42

        This paper discusses the angle of reader-response criticism and finds the way to analyze Moo Jung corresponding to that view. Reader-response criticism has not been noticed enough compared with other criticisms by reason of its drawback, that it can be too subjective, in spite of its unlimited range of application and validity. However, no criticism can avoid reader-response criticism. The point is how to present it reasonably and provide analytic framework. The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n four ways: transactional reader-response theory, affective stylistic, psychological reader-response theory, and social reader-response theory. Subjective reader-response theory is excluded because of its subjectivity. To examine how important the narrator`s function is in reader-response criticism,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of characters those are depicted by the narrator. Readers accumulate their own reading experiences by responding to events or characters described by the narrator, who is created by the author. Through these experiences, readers bring their reading experiences to completion, reflecting their desires.

      • KCI등재

        동시의 수용·창작수업 연구

        오인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9 No.-

        지금까지 우리 문학교실에서는 형식주의 작문 이론과 신비평의 입장에서 교사 위주로 작품을 해석하고, 그것을 객관적 ‘지식’으로 간주하여 학습자에게 주입하는 인지·결과 중심의 문학수업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교사-작품 중심의 문학교육관을 비판하며 학습자-텍스트 중심의 문학교육을 주창하고 나온 이론이 수용이론과 독자반응이론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런 문학교육의 동향과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문학의 영역에 ‘작품의 수용과 창작의 실제’를 내용으로 추가함으로써 독자의 반응과 창작을 중시하는 문학교육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전략과 방법의 제시는 미흡하거나, 원래의 의도에서 벗어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연구자는 7차 교육과정에서 범주화한 ‘문학의 수용·창작’의 문학 교육적 의미와 맥락을 짚어보며, 동시의 속성과 동시교육의 특수성을 여기에 수렴하여 실천적 입장에서 동시교육의 원리와 방향을 밝혔다. 이와 함께 관련 이론과의 접점을 살피면서, ‘문학교실’의 실제적인 적용 사례와 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런 방법들을 단계화, 또는 모형화해서 수업지도안을 구안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Korean literature class has focused on teachers interpreting works from the viewpoints of neo-criticism and composition theories based on formalism and trying to infuse students with what they think of as objective knowledge with cognition and results highlighted in class. Criticising this kind of teacher-work centered literary educational view, Reception Theory, social constructionism or dialogism that brings a new paradigm and movement in composition education to the surface. The 7th curriculum had added ‘the practices of Reception and creation of works’ to the domain of literature for the first time by dint of reflecting a new paradigm and movement of literature education and had laid a foundation for literature education concentrating on the response and production of readers. But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in terms of its specific strategics and methods; the 7th curriculum doesn't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ways of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 researcher took a look at the educational meaning and context of ‘literature Reception and Creation’ newly introduced in the 7th curriculum, took into consideration the attributes of children's verses and the speciality of the education of children's verses and shed light on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children's verses in terms of practicality. And the researcher dwelt on the cases where ‘literature class’ was applied by trying to find several meaningful methods with some connection between such principles and direction. And the researcher presented teaching plans with a view to making it possible to conduct class based on the stepwise models of these methods.

      • KCI등재

        그림책에 대한 유아반응연구의 현황 분석

        정진 ( Jin Je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하여 그림책에 대한 유아 반응 관련 논문들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연구문제별로 연구 변인, 연구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하여 1990년부터 지금까지 발표된 석·박사 논문 24편과 82개의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유아 반응 연구는 장르별, 글 없는 그림책, 특정 작가의 작품에 대한 연구에서 전래동화의 비교,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 그림 유형, 교사, 또래, 부모의 언어적 유형, 정보 전달방식, 교사의 독서관점, 동시지도 전략에 관한 것으로 연구가 점차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유아 반응 연구에서 변인은 텍스트와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책의 장르와 내용, 읽기 목적과 방법, 유아의 연령에 따른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 유아 흥미, 발달수준, 선행경험, 부모, 교사, 또래, 상황 등의 유아 반응 연구는 미흡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관찰연구와 조사연구(면접법)가 주로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hich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endency and variability and research method of relation dissertations for the children`s response regarding the picture book, and was to observe the present research tendency analysis. For this study, totally 24 master, doctor thesis and 82 research items which related reader-response research and published from 1990 to 2004 are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found following conclusion. The first, children`s response research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was started from 1996, and the research territory was various gradually and it was diffused still now. The second, in the children`s response research, the research which relates with a text was many most, and the style and contents of the book, objective of reads and method and children age was many most in afterward. Interest and advancement level of the children, and the response research which relates with the parents, teacher, friend which relates with a preceding experience and an environment was insufficient. The third, in this research area,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and observation and investigation (face to face) research most plenti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