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ㆍ중 다음자(多音字)의 특징에 대한 고찰

        이연주(Lee Yeon-J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내용들을 바탕으로 다음자의 정의와 생성요인을 정리해보고, 다음자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며, 이에 나타난 언어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한국 한자어에서의 다음자의 특징 및 중국어 다음자와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한ㆍ중 다음자 연구 특히 한국 한자어에서의 다음자 연구 시 고려되어야 할 측면에 대해 논했다. 한ㆍ중 다음자의 비교연구는 다음자의 생성시기를 구분하지 않고 성모, 운모, 운미에 의해 단순하게 어음비교를 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한국 한자어에만 존재하는 다음자를 정리하여 그 발음의 유래를 추적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또 다음자와 관련해 한국 한자어의 장단음에 대한 연구가 향후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영역이며, 이는 고대 중국어 연구는 물론 고대 국어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duoyinzi(多音字) in Chinse language and examined how they were formated. Then it classified their types and examined the linguistic phenomena behind their formation. It also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duoyinzi in Sino-Korean word and examined how it is different with duoyinzi in modern Chinse. At last, it examined what needs to be studied in the study of duoyinzi in Sino-Korean and Chinese language, especially in Sino-Korean word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duoyinzi in Chinese and Sino-Korean words, there's no meaning just comparing the phonetic sound according to initial consonant(?母), final sound(?母), ending of a final(?尾), without considering when they were formulated. It will be a meaningful work to find the duoyinzi that are in Sino-Korean words only and tracing the origin of the pronunciation of those words. At the same time, in studying duoyinzi, prolonged and short sound of Sino-Korean words is an area on which in depth study is requir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duce very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for the study of archaic Chinese but also for old Korean.

      • KCI등재

        다음자(多音字)에 대한 한․중 대조비교

        한용수,강영규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한자는 본래 단음절 문자로 출발하였지만 현재는 그 음절수에 있어서도 변화가 있다. 이러 한 변화의 양상은 특히 한자의 3 요소인 ‘형(形), 음(音), 의(義)’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단어의 뜻과 음 등을 연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형, 음, 의’ 다변화 현상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다음(多音) 현상을 한ㆍ중 대조비교를 통하여 양 국가 간의 문자학적 차이를 살핌 과 동시에 문화적 차이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은 단어의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한 글자가 하나의 음이 아닌 그 이상의 독음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한정된 글자의 수로 언어의 많은 어휘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되었는데, 다음자의 양국 차이를 보면, 한국은 전래문헌의 글자 해석에 의한 다음다의자를 제 외하면 대다수가 ‘一字一音’이기 때문에 변화가 없었지만, 중국은 조사, 접미사일 때 즉, 허사 는 경성으로, 실사에서는 음이 다르거나 성조가 변화되었다. 동일한 한자이지만 한국은 전통적으로 一字一音으로 다음자의 수효가 6%에 해당하지만, 중국은 여러 현상으로 인하여 39%의 비율로 다음자 수의 비율은 차이가 나서, 현대중국 한자 음에 나타나는 다음자의 문화적 배경이 문자학적 다의성을 초래했음을 일부나마 인식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전래문헌의 글자 해석에 의한 다음다의자를 제외하면 다음자의 생성변화는 없었지만, 중국 언어에 있어서 다음자의 생성 변화는 의사표현의 경제성에 의해 변화가 계속 될 것이다. 그렇다면, 편리성과 합리성이 결합된 변화 발전이 바람직할 것이다. Chinese Characters originally started to be used within monosyllabic letters, but changed in various aspects at the present time. The changing aspects can be cheched from three essential parts in Chinese, which are the signifier, the sound and the signified. The meaning and pronunciation of words in Chinese can be associated from each signifier, sound and signified one in Chinese letter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different features of ideographic letters and cultural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within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fields in polyphone regarded as a part of changing processes of diversification in language. As seen from the meaning of Polyphone, this phenomenon in language indicates that one letter has more than one phonetic value. This is one way to express fluent vocabularies with the restricted numbers of characters. The differences between both countries can be considered as follows. Chinese character in Korea hasn't been drastically changed in the aspect of polyphone because of the linguistic phenomenon that one letter matches one sound, while Chinese character in China has been changed corresponding to postpositional particles, suffixes, expletive particles and so on. People in both countries have used same signifier in Chinese characters, but they have expressed within different sounds. Furthermore Chinese characters in China has lots of poly-phonetic words consisting in 39 percent of the whole in comparison with 6 percent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This feature can explain that different usages in language based on cultural circumstance would be possible to cause the differences in ideographic fields. Different from Korean mainly consisting in phonogram, Chinese as ideogram cannot help being changed in its sounds and its ways of pronouncing. However, in this chang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make sure that the convenience and rationality should be regarded as a important part in using polyphone of Chinese letters.

      • KCI등재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방안

        민장배,이수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한국교회가 해외선교사 파송 두 번째 국가가 되었음에도 전략적 선교보다는 관계 중심, 장년 중심, 성과주의 등으로 많은 역기능(dysfunction)을 초래하고 있다. 물론 한국교회의 다음 세대는 감소하고 있지만 유치부 과정에서부터 고등학생과정까지 교 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하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 한 교육과정을 지식전달이 아니라 신앙교육까지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 또한 하 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사역으로 여겨진다. 다만 교회 지도자들이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다음 세대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도록 방향성이 더 분명해지기를 바란다. 예수님도 지상 사역 가운데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되기를 바라시며 신앙교육 을 실시하셨다. 초대교회도 핍박 가운데서 가르침과 전도하기를 쉬지 않고 실천하였 다. 바울 역시 지속적으로 신앙교육을 바탕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자신의 생명조차도 조금도 아끼지 않고 헌신하였다. 초기 한국교회도 선교사들이 다음 세대 를 바라보며 교회에서 실시한 교육과 함께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실시하여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사명을 감당했다. 이제라도 한국교회는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 파되도록 선교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복음은 변하지 않지만 복음을 전하 는 사명자와 그 복음을 받는 대상은 다른 문화 가운데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 신앙교 육을 통한 선교는 전략적이어야 한다. 선교는 교회의 특별한 활동이 아니라 본질적 기능이다. 시대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익숙해지고, 가치관이 변하지만 선교는 교회 존 재 목적이기에 변함없이 계속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한국교회가 선교적인 관점을 가지고 효과적인 신앙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다음 세대 신앙교육이 선교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 는 교회 지도자들뿐 아니라 모든 구성원까지 신앙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다음 세대를 신앙교육을 통해 선교 주체로 세우기 원한다면 이에 대한 로 드맵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회는 다음 세대를 위해 신앙교육을 실시하는 교회나 교 육기관 지도자를 초청하여 다음 세대 선교대회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개 교회나 교 단을 넘어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사명이 있는 개인과 교회와 교육기관과 교단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Even if the Korean church send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missionaries to foreign countries in the world, it has created many malfunctions like relationship-centered, and adult-oriented works, and meritocracy rather than strategic propagation. While the number of next-generation members of the Korean church is decreasing, the church cultivates next-generation Christians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s. It seems to be very desirable. It seems to be the work God is happy about to approach such a curriculum with religious education instead of knowledge teaching. What I only want is that church leaders set the direction of next generations to lead them to devote themselves to the Kingdom of God. Jesus Christ also performed religious education wanting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earth among the works in the earth. The early church, under oppression, practiced teaching and propagation ceaselessly. Saint Paul devoted himself to sen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continuous religious education, risking his life. In the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did their best to sprea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long with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provided by church. Even now, the Korean church needs to change its paradigm for missionary works to make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While the gospel does not change, the person who delivers it and the person who receives it are in different cultures. Thus, the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strategic. Missionary works are not special activities, but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church. Cultures change over time, so do values. But, missionary works are the goal of the existence of church. So, they should continue without change. To make the Korean church do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missionary work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o make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result in missionary works, all the members as well as church leade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paradigms on religious education. Second, if the church wants to grow next generations into missionary leaders through religious education, it needs to have the roadmap on it. Third, the church should hold the missionary rally for next generations by inviting leaders in the church or educational institutions performing religious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Forth, beyond each church or religious society, individuals, church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igious societies which are interested in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form networks.

      • KCI등재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 연구

        이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다음세대의 선교가 시급한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의 안과 밖에서의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 구는 세대담론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음세대에 대한 다각 적인 이해를 통해서 교회 안팎의 다음세대를 위한 그리고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대’와 ‘다음세대’란 표현을 구분한다. 전자는 단순한 순서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특정한 구체적 세대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 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구체적인 세대를 강조하고자 ‘다음 세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 안과 밖을 의 도적으로 구분했다. 일반적으로 선교를 교회 밖에서 행하는 교회의 활동이나 프로그 램으로 규정하지만,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는 선교를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으로서 이 해하면서 선교가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든 교회는 하나 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사명을 받았지만, 교회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하나님 의 선교에 대한 이해가 다를 수 있고, 참여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 이 선교적 교회 의 관점에서 보자면, 교회의 다음세대의 선교는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마다 처한 교회 내외의 상황이 다르기에 다음세대의 선교방 안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가 교회학교 학생에 국한되지 않고, MZ세대, 미래세대, 청년세 대, 디지털 세대 등을 포함하는 만큼 그 연령대의 폭이 넓고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이 세대 가운데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연구 자는 교회 안의 다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교육과 예배의 공간으로서 가정을 회복하 기,’ ‘다음세대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서적/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교회만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만들기,’ ‘디지털 세대의 언어와 문화로 소통하기’를, 교회 밖의 다 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다음세대로 다음세대를 선교하게 하기,’ ‘디지털 세상에서 선 교하기,’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다음세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공명하기’ 등을 제 안했다. 결론적으로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볼 때, 다음세대의 선교는 각각의 교회가 다음세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가지고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와 함께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로 나아가야 한다. Taking seriously the reality tha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is urgent,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missional approaches to the next gener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is study actively utilized the positive aspects of generational discourse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to develop missional plans for and with the next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s ‘a next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are used separately. The former expresses a simple sequence, while the latter refers to a special, specific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uses the expression ‘the next generation’ to emphasize the specific generation living here and now. Additionally, the researcher intentionally distinguished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Although miss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church activities or programs carried out outside the church, in light of the missional church, mission is understood as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church since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mission and, as such, mission begins within the church. Therefore, every local church is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but each of them may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od’s mission in its own context. It is natural that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the church begins from within the church. Howeve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are different for each church,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are bound to be differ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xt generation is not limited to Sunday school students, but also include the MZ generation, future generation, youth generation, digital generation, etc., showing that the age range is wide and that there are socially and culturally diverse people among this gener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within the church were to ‘recover the hom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worship,’ ‘create an emotional/physical space where the next generation can actively participate,’ ‘create originality and diversity unique to the church,’ and ‘communicate throug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digital generation,’ and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were to ‘enable the next generation to do missio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do missional activities in the digital world,’ ‘utilize cooperation networks,’ and ‘empathize with and resonate with the pain of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requires each church to have its ow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and develop not only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but also mission with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정신과 입원환자의 다음증에 관한 연구

        오동열,서현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본 연구는 첫째, 국립서울정신병원 입원환자의 다음증유병율과 그 측정방법에 관하여 알아보고 둘째, 다음증환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증군과 대조군의 임상특성 및 생물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국립서울서울정신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634명을 대상으로 다음의 진단 기준 (1)(2)(3)중 하나라도 만족시키는 환자를 다음증 환자로 결정하였다. (1) 치료진의 보고상 입원 중 다음증으로 인한 물중독의 삽화가 명백히 있는 경우 (2) 3회 연속 뇨비증이 1.008이하이면서 하루 3리터 이상의 물을 섭취하는 경우 (3) 3회 연속 뇨비증이 1.008이하이면서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mEq/L이하인 경우 위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는 환자는 총 24명으로 전체 환자의 3.79%였다. 다음증군 20명과 대조군 20명의 임상특성 및 생물학적 지표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증 환자의 특성을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병기간, 항정신병약물 용량, 경련, 전기경련치료, 흡연, 기타 약물 사용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다음증군에서 대조군보다 뇨비증이 더 낮았고 물 섭취량이 더 많았다. 일중 체중변화(normalized diu-mal weight gain)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다음증군에서는 혈중 항이뇨 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이하 ADH)이 정상범주에 들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정상범주보다 높았다. 또한 다음중군에서는 혈중능동삼투농동(osmolality 이하 Osm)가 정상범주보다 낮았으나 대조군은 정상범주에 들었다. 본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한다면, 저자들의 진단기준에 따른 국립서울정신병원 입원환자의 다음증 유병율은 3.79%이며 다음증 측정방법으로 치료진의 보고, 뇨비증, 혈증 나트륨 농도, 물 섭취량의 측정 등을 제시할 수 있겠다. 그리고 다음증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 유병기간, 항정신병약물 용량, 경련, 전기경련 치료, 흡연, 기타 약물 사용 등의 임상특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뇨비증, 물 섭취량, 혈중 ADH와 Osm 같은 생물학적지표는 분명한 차이를 보임으로서 다음증군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We attemp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olydipsia in psychiatric inpatients in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and to find out the identification method for polydipsic patients. We also compared the clin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ydipsic patients with those in nonpolydispic patients. Methods &Results : The following in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to the study subjects for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polydipsia among psychiatric inpatients at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1) By staff report, that a objective clinical evidence of water intoxication during hos-pitalization was noted. 2) Three consecutive urine specific gravities were all less than 1.008 and also water intake was more than 3 liters per day. 3) Three consecutive urine specific gravities were all less than 1.008 and also serum sodium level was less than 135 mEq/L. By these inclusion criteria, we found 24 polydipsic patients among 634 hospitalized psychiatric inpatients, with the prevalence of 3.79%.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determinants between 20 polydipsic and 20 nonpolydipsic patient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 1)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duration of illness, dosage of neuroleptics, seizure history, electroconvulsive therapy history, smoking, use of medications other than neuroleptics, between the groups.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normalized diurnal weight gain. But polydipsic patients showed more water intake and lower urine specific gravities than nonpolydipsic ones. 3) Plasma antidiuretic hormone level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osmolalities were lower than normal range in polydipsic patients. BUT plasma antidiuretic hormone levels were higher than normal range and osmolalities were within normal range in nonpolydipsic patients.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the polydipsia was 3.79%. We suggest that staff report, urine specific gravity, serum sodium level, and oral water intake can be identification markers for polydipsta. Clincal characteristics such as duration of illness, dosage of neuroleptics, seizure history, electroconvulsive therapy history, smoking, and use of medications other than neuroleptics did not differ between polydipsic and nonpolydipsic patients. But biological determinants such as urine specific gravity, oral water intake, plasma antidiuretic hormone level, and osmolality differed beween the groups. Therefore these biological determinants could be adopted as biological markers for polydipsia.

      • KCI등재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 설계

        김효숙(Hyo Sook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가나안 성도 현상을 비롯한 다음세대 이탈과 일방적 소통의 문제는 교회교육의 지속가능성에 위기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교회교육은 다음세대의 참여적 문화나 일상을 간과하고, 교육적 상호작용을 소홀히 하며, 인간의 정서적 측면을 배제해 왔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해 네트워크 문화의 확산성과 플립러닝의 상호작용성, 뇌 기반 학습이 제안하는 학습 환경의 포괄성에 대해 탐색하였고,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개별화 및 개인화 학습에 주목하였다. 또한 학제적 탐색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내교회 및 해외한인교회 다음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1.200). 대화 결과에 따른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의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일과 교회라는 시·공간적 한계를 넘어 다양한 말씀의 창을 대면할 수 있도록 ‘확산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수동적 수용자로 전락한 다음세대를 적극적 참여자로 변화시키고, 기독교교육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 가르칠 내용을 줄이고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배울 수 있도록 ‘상호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관계를 열망하는 다음세대의 신앙교육을 지속가능하게 해주는 필수요건일 수 있다. 셋째, 감각 및 인지적 환경을 넘어 정서 및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는 ‘포괄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인지 편향적 교육 속에서 생기를 잃은 다음세대를 실천적 신앙인으로 양육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음세대의 인지적 개인차와 정서적 개인화를 포용하는 ‘보편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모든 사람을 부르시는 복음을 담지한 교회가 수행해야 할 교육적 사명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의 위기 요인과 해결책을 교회학교 내부에서 찾고자 한 미시적 접근이나,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카카오와 다음의 합병

        이민교(Min Gyo Lee),박진우(Jinwoo Park) 한국경영학회 2018 Korea Business Review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 기업 간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에 대해 주로 재무적 관점의 이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두 기업의 합병동기를 알아보고, 주주총회 승인과 주식매수청구권 등의 합병절차에 대해 살펴보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업 간 합병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인 합병비율을 정하는 방식에 대해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두 기업의 합병 동기는 웹기반 인터넷 플랫폼과 모바일 플랫폼이 결합함으로써 서로에게 필요한 시너지 효과를 얻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에 대한 기대 속에서 두 기업 모두 순조롭게 합병이 진행될 수 있었다. 합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이슈인 합병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자본시장법에 따라 상장법인인 다음의 합병가액은 기준주가법이 적용되어 72,910원으로 계산되고, 비상장법인인 카카오의 합병가액은 자산가치 6,472원과 수익가치 184,706원을 2:3의 비율로 가중평균하여 구한 값인 113,412원을 합병가액으로 산정하였다. 이에 따라 결정된 합병비율은 1:1.5555137로서 다음 주식 1.5555137주의 가치가 카카오 주식 1주와 같다고 본 것이다. 결과적으로 합병 발표 당시 각각의 기업가치는 다음이 약 9,885억, 카카오가 약 3조 1,351억원으로 산출되어 카카오의 기업가치를 다음의 3배 이상으로 평가한 상태에서 합병이 결정된 것이다. 순자산 면에서는 카카오보다 다음이 훨씬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카카오의 기업가치가 다음에 비해 더 높게 평가 받을 수 있었던 결정적 요인은 카카오의 수익가치였다. 카카오의 수익가치인 184,706원은 자산가치인 6,472원에 비해 약 28배 이상 높은 것으로 카카오의 미래 수익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게 반영된 것이다. 과연 카카오의 미래 수익가치를 이처럼 높게 평가한 것이 적절했는지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합병 발표 이후 다음의 주가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은 적어도 주식시장에서는 합병비율이 다음에 불리하지 않다고 평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합병 직후 조금 더 상승한 주가가 이후 크게 하락한다. 이처럼 합병 이후 주가가 부진했던 이유는 기대했던 만큼의 합병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진 않은 것으로 시장은 평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합병 이후 양사 조직간 통합이 제대 로 이루어지지 못해 시너지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합병 이후 적극적인 기업 인수에 나서면서 다양한 시도를 하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으면서 주가가 부진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merger between Kakao and Daum from a financial perspectiv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motive for the merger, the merger procedure, and more importantly the merger ratio between two compan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motive for the merger between Kakao and Daum was to create a synergy effect by combining the web-based internet and mobile platforms. With an expectation for the synergy effect, the merger proceeded well. However,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merger was the merger ratio between two companies. According to the Capital Market Act in Korea, the merger value for the listed firm is based on the stock prices in the market while the merger value for the unlisted firm i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relative and fundamental value. As a listed firm, the merger value of Daum was simply determined as 72,910 Won per share whereas the merger value of Kakao was estimated as 113,412 Won per share through a complicated calculation. Therefore, the merger ratio was determined as 1:1.5555137, which means that 1 share of Kakao stock is approximately equivalent to 1.56 share of Daum stock. As a result, the firm value of Kakao was estimated over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Daum. Though the net asset value of Daum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Kakao, the three times higher firm value of Kakao relative to Daum was mainly due to high expectation for future earnings value of Kakao. Such a high earnings value of Kakao was a controversial question in the market. Nevertheless, the increase in stock price of Daum after the merger announcement demonstrates that the merger ratio was not unfavorable to Daum. However, the stock price of the merged firm has considerably dropped since the merger. This drop in stock price reflected that the merged firm could not have the synergy effect up to expectations. In particular, the merged firm failed to achieve the post merger integration. In addition, the merged firm which actively acquired many other firms just after the merger failed to obtain tangible outcomes from the acquisition.

      • KCI등재후보

        다음세대 신학 - 사회변화와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와 신학의 과제

        김도훈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9

        이 글은 다음세대를 분석하고,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의 목회적, 신학적 과제를제시하려는 하나의 작은 시도이다. 필자가 다음세대를 염두에 두고 신학적 작업을해온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교회의 미래를 염려하기 때문이요, 현장에서 느껴지는위기의식의 부재 때문이다. 우리는 먼저 오늘날 교회의 모습, 오늘날 신학의 현실을 냉철하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선 이 논문은 다음세대가 겪을 시대적 문화적 기술적 변화들을 간단히 언급해 보았다. 그리고 교회는 시대에 따라 얼마나 변해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세대를 위해 신학적 대안으로서, 다음세대와의 소통을 위하여 버츄얼신학 혹은 버츄얼 교회론, 그리고 일상의 신학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다음세대를 얻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응하는 교회전통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 대안을 찾아내어 그들과의 소통을위한 접촉점을 만들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다가가기 위하여 학문적, 이론적 접근보다는 감성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신학은 교회의 위기적 상황을 인식하고, 복음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도 다음세대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신학과 실천들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當代漢語新詞語多音化趨勢探因

        崔桓(Choi, Hwan),?晨光(Pang, Chen Guang)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1 중국과 중국학 Vol.14 No.-

        개혁ㆍ개방 이후, 중국 사회는 천지가 개벽할 정도의 변화가 발생했으며, 아울러 그 변화를 반영하는 신조어가 생겨났는데, 그 신조어들은 또한 많은 새로운 특징을 드러내었다. 그 중 음절 구조의 多音化추세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본문은 우선 두 가지 통계 수치를 통해 당대 한어 신조어의 다음화 추세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 두 가지 통계 수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于根元주편의 『現代漢語新詞詞典』과 周洪波주편의 『新華新詞語詞典』 등 두 신조어 사전에 나타난 단어의 길이에 대한 통계이다. 두 번째는 『中國語言生活狀況報告』가 공포한 2007년에서 2009년까지 3개 연도의 신조어의 단어 길이 분포 자료이다. 이 자료에 기초로 하고 더 나아가 사회, 언어, 화용주체의 세 방면에서 신조어의 다음화 추세가 형성되는 원인을 연구했다. 개혁ㆍ개방은 중국 사회를 새롭고 빠르며, 깊고 풍부한 변화가 일어나도록 했다. 아울러 그것은 새로운 사물, 새로운 사상, 새로운 관념이 끊임없이 생겨나도록 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들은 제때에 언어로 표현되어 의사소통의 임무를 완성하도록 한다. 사회의 발전과 필요에 적응하기 위해, 언어는 반드시 조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결과로 음절 구조의 다음화 추세가 나타났다. 언어의 조정은 주로 세 가지 방면에서 표현된다. 구조의 다음화를 통해 보다 많은 의미를 내포할 수 있고, 어휘의 정확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외래어를 흡수할 수 있으며, 유추 기제의 기초 위에서 건립된 ‘詞語模’를 대량으로 운용하여, 대량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신조어가 생성되었다. 그 밖에 화용주체의 개방적 언어 관념과 空前의 언어 창의 능력 역시 신조어 다음화의 유력한 원동력이다. 마지막으로, 한어의 雙音節어휘가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고, 三音節과 四音節이 종속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현 상태를 신조어의 다음화가 바꾸지는 못하지만, 쌍음절의 언어형식은 이미 삼음절과 사음절의 엄준한 도전을 받고 있다. 신조어의 다음화는 역사적인 필연이며,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본질적인 발현이다. 비록 신조어의 다음화가 한어 어휘의 기본 면모를 철저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아직 시간적 검증을 거쳐야 하지만, 이에 대해 우리들은 일정한 심리적 준비를 하지 않으면안 된다. 현 상태에서는 마땅히 조화로운 언어관과 동태적이고 유연성 있는 규범관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 신조어 사전을 편찬할 때에는 반드시 제때에 각종 형식의 신조어를 기록해야 하고, 음절의 多少로 신조어의 표준을 정해서는 안 된다. 시기가 성숙되면 표준어를 널리 보급하고 한어의 규범화를 촉진하고 있는 『現代漢語詞典』에 제때에 들어갈 것이다.

      • KCI등재

        中古音 多音字의 類型에 대한 고찰-聲類를 중심으로-

        이경철,오채현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4

        I classified the types of multi-sound characters in old Chinese mainly focusing on Initials, and investigated the phonology system of ancient Chinese and showed how ancient Chinese changed to old Chines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It seems that natural phonological changes in one language system include exchange between velars-laryngeals and dentals, exchange between linguals and affricate dentals and exchange between n and ɳ. (2) It cannot be seen as natural phonological changes in one language system that exchange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exchange between aspirated sounds and unaspirated sounds, exchange between voiced sounds and aspirated sounds, exchange between velars and laryngeals, exchange between affricate dentals and fricative dentals, exchange between fricative dentals and vowels, exchange between consonants, exchange between palatal dentals and non-palatal dentals, exchange between ɳ and vowels, and exchange between l and vowel j. In my view, these phenomena occurred through contacts with various phonological systems in many different language groups. (3) It is deeme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main language groups in ancient Chinese: One group distinguished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and the other distinguished between aspirated sounds and unaspirated sounds. Further, I presume that voiced sounds in the language group that had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changed to aspirated sounds in the language group that had the aspirated-unaspirated distinction. (4) It is thought that the changing process of linguals was linguals > affricate dentals > fricative dentals > vowel j. However, exchange between fricative dentals and vowels occurred in the language group that distinguished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because only voiced fricative dental sounds changed to vowel j. (5) I view that Ancient Chinese was affected by Altaic languages or Proto-Korean because there were double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ɳ・l exchanged with vowels in ancient Chinese. 본고에서는 聲母에 차이가 있는 중고음(AC)의 多音字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분석을 통해 상고음의 音韻體系 및 상고음(OC)에서 중고음(AC)으로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多音字의 유형 중에서 OC의 音韻體系 및 OC에서 AC로의 변화가 동일한 언어체계에서의 자연스러운 音韻變化에 해당하는 것에는 [牙喉音과 齒音의 互用, 舌音과 破擦音系 齒音의 互用, 泥母와 日母의 互用]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聲韻學 연구를 통해서도 대부분 입증된 사항이다. 2)OC의 音韻體系 및 OC에서 AC로의 변화가 동일한 언어체계에서의 音韻變化로 볼 수 없는 것으로 [無聲音과 有聲音의 互用, 無氣音과 有氣音의 互用, 有聲音과 有氣音의 互用, 牙音과 喉音의 互用, 破擦音系 齒音과 摩擦音系 齒音의 互用, 摩擦音系 齒音과 于母・喩母의 互用, 서로 다른 音系의 互用, 齒頭音과 正齒音의 互用, 日母와 疑母의 互用, 喩母와 來母의 互用] 등 여러 가지 유형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多音字는 中原에서 흥망성쇠한 여러 민족의 音韻體系가 서로 간에 접촉을 겪으면서 그 흔적이 남게 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3)有聲音과 無聲音의 互用, 有氣音과 無氣音의 互用을 통해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와 有氣・無氣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가 각각 따로 존재했었으며, 이 두 언어가 OC의 오랜 기간에 걸쳐 중아어의 위치를 점하거나 빼앗기거나 하며 교차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有聲音과 有氣音의 互用를 통해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의 有聲音이 有氣・無氣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에서 有氣音으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4) 舌音・齒音・喩母의 互用를 통해 舌音 > 破擦音系 齒音 > 摩擦音系 齒音 > 喩母라는 변화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多音字의 변화유형은 聲符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摩擦音系 齒音이 喩母로 변화된 것은 有聲音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에서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5) 여러 音系에 걸친 多音字의 존재를 통해 OC에서 語頭複數子音이 존재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OC의 초기 형성과정에 고대 알타이어나 고대 한국어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有氣音은 h가 포함된 語頭複數子音에서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밖에도 알타이어의 영향으로 의심되는 것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多音字의 유형별 분석을 통해 OC에서 크게 두 가지 이상의 언어체계가 존재했었으며, 각각 그 고유의 音韻體系를 지키면서도 다른 언어체계의 영향을 받으면서 AC에 이르렀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AC 이후 CC에 이르는 중국어의 역사도 단일 언어체계 내에서의 변화로 해석할 수 없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