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唐宋音에 걸친 蟹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오채현,이경철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일본학 Vol.57 No.-

        본고에서는 蟹攝 諸韻에 걸친 唐宋音의 반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開口 1等韻은 모두 宋音과 唐音에서 모두 대부분 ai형으로 나타난다. 2)合口 1等韻은 宋音에서는 주로 ui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 灰韻은 ui형과 oi형이 혼재하고 있으며, 泰韻은 wai형과 oi형이 혼재한다. 3)開口 2等韻은 宋音에서는 주로 ai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는 주로 jai형으로 나타난다. 4)合口 2等韻은 宋音과 唐音 모두 주로 wai형으로 나타나며, 脣音字는 ai형으로 나타난다. 5)開口 3・4等韻은 宋音과 唐音 모두 주로 ii형으로 나타난다. 6)合口 3・4等韻은 宋音에서는 대부분 開口韻과 동일하게 ii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는 대부분 ui형이나 oi형으로 나타나, 그 合口性을 반영하고 있다.

      • KCI등재

        唐宋音における假攝韻の字音形について

        오채현,이경철 동아시아일본학회 2019 일본문화연구 Vol.0 No.71

        This research discussed the reflecʦ of Group Jia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Grade Ⅱ opened rhyme Ma appears mainly as a /a/ in So’on and it appears mainly as a /ja/ type in To’on. but some velars and guturals of So’on appears as a /ja/. It means changing of /a/ from to /ja/ started in Middle Chinese. The vowel of /a/ of Grade Ⅱ opened rhyme Ma in Archaic Chinese changed as three vowel of /a/, /ja/, /e/ in Middle Chinese and Modern Chinese. It means this changing was not occurred in another language groups. Grade Ⅱ rounded rhyme Ma not changed from Archaic Chinese to Modern Chinese because it appears as mainly same /wa/ in So’on and To’on. Grade Ⅲ opened rhyme Ma appears mainly as a /ja/e in So’on and it appears mainly as a /je/ in To’on. There are long vowel marking in the one of To’on texʦ Nanzanzokugoko. It means notation of Nanzanzokugoko was a foreign language not a adopted Sino-Japanese.

      • KCI등재

        일본 唐宋音에 걸친 疑母字의 반영

        오채현,이경철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7

        본고에서는 일본 唐宋音에 걸친 疑母字의 반영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疑母는 唐宋音자료에서는 ガ行 이외에 母音이나 ナ行으로도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중국 宋代 이후에 疑母가 ŋ이 아닌 母音이나 g․n이었던 方言이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疑母는 潮州․客家․廣東方言은 아직도 주로 ŋ을 유지하고 있는데, 北京方言에서는 주로 母音으로 출현하며, 그 밖에 각 方言에서 gh․h․hh․r․l 등의 여러 子音으로 출현하는 예를 볼 수 있다. 唐宋音에서 疑母는 等이나 開合에 따른 그 출현양상에 차이를 발견할 수 없어, 이는 동일한 言語集團 내에서의 音韻變化라기보다는 異言語集團의 言語接觸에 의한 代替로 파악된다. ŋ과 ∅의 구별이 없으며 有聲音이 존재하지 않는 音韻體系를 가진 言語集團에서 ŋ⇒∅로, ŋ과 g의 구별이 없으며 有聲․無聲의 대립이 있는 音韻體系를 가진 言語集團에서 ŋ⇒g로, ŋ과 n의 구별이 없으며 語頭에 鼻音이 올 수 있는 音節構造를 가진 言語集團에서 ŋ⇒n으로의 代替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I researched how Initial Yi(疑) reflected to Sino-Japanese So’on and To’on.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itial Yi appeared /g/, /n/ and vowels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Therefore, I think there are direct have /g/, /n/ and vowel in initial Yi form Middle Chinese. Initial Yi appears vowel in Beijing(北京) direct and appears /ŋ/ in Chaozhou(潮州)․Kejia(客家)․Guangdong(廣東) direct and appears many consonants as like /gh/․/h/․/hh/․/r/․/l/. Initial Yi don’t hav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or opened and rounded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Therefore, I think initial Yi was replaced to another phoneme by contacting with another language groups as like next. The /ŋ/ replaced to /∅/ in language group that don’t have voice. The /ŋ/ replaced to /g/ in language group that have voice. The /ŋ/ replaced to /n/ in language group that don’t have /ŋ/ and have initial /n/ in the beginning of words.

      • KCI등재

        唐宋音에 걸친 果攝韻의 反映에 대하여

        오채현,이경철 한국일어교육학회 2019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7

        This research discussed the reflection of group Guo(果)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Grade Ⅰ opened rhyme Ge(歌) appears mainly as a o type in So’on and it appears mainly as a oo type in To’on. 2) The vowel of /ɑ/ of Grade Ⅰ opened rhyme Ge(歌) in Ancient Chinese changed as three vowels of /o/, /ou/, /a/ in Middle Chinese and Modern Chinese. It means this change did not occur in the one language group and occurred by interference in the another language groups. 3) Grade Ⅰ rounded rhyme Ge(戈) appears mainly as a o type in So’on and it appears mainly as a oo type in To’on as like Grade Ⅰ opened rhyme Ge(歌). It means Grade Ⅰ opened rhyme was changed to Grade Ⅰ rounded rhyme in Middle Chinese and Modern Chinese. 4) There are long vowel notation in To’on texts. It means notation of To’on texts was a foreign language not an adopted Sino-Japanese. 5) According to this study, So’on and To’on were originated in the dialect of south China because So’on and To’on were very similar to the dialects of Kejia(客家) and Guangdong(廣東). 본고에서는 唐宋音에 걸친 果攝韻의 반영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歌韻은 鎌倉宋音에서는 대부분 -o형으로, 江戸唐音은 주로 -oo형으로 출현한다. 2) 중국 中古音의 開口1等 歌韻 ɑ가 中世・近代音에서 o・ou・a로 출현하는 것은 동일한 언어체계 내에서의 변화로보기 힘들며, 이는 서로 다른 母音體系를 가진 異言語集團의 언어간섭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즉 1等 韻 ɑ1[+back/-low]과 2等韻 a1[+front/-low]라는 두 가지 低位母音이 존재하는 언어집단을 B語라고 하고, 低 位母音이 ɑ2[-front/-low] 하나밖에 없는 언어집단을 C語라고 가정할 경우, B語의 1等韻 ɑ1[+back/-low]은C語에서 ①後舌低位母音 ɑ1이 前後舌의 구별이 없는 ɑ2로의 변화, ②uɑ2로 合口化하여 uo로의 高位化, ③高位 母音 o로의 母音交替라는 세 가지 방향으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3) 合口1等 戈韻은 鎌倉宋音에서는 대부분 -o형으로, 江戸唐音은 대부분 -oo형으로 출현하여 開口韻과 동일한반영을 보이는데, 이는 중국 中世音과 近代音에서 開口韻이 合口韻에 통합된 상태가 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4) 開口1等 歌韻과 合口1等 戈韻 모두 鎌倉宋音에서는 대부분 -o형으로, 江戸唐音은 대부분 -oo형으로 출현하여, 江戸唐音에서는 長音形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러한 長音表記는 鎌倉宋音과 江戸唐音을 구별하는 커다란특징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상의 특징을 통해 일본어가 실러빔언어에서 모라언어로 변했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 즉 이는 일본인의 수용태도에 관련한 문제로, 漢字音을 주로 2박 이하로 수용하여 일본어화한 吳 音・漢音・宋音과 달리 江戸唐音은 中國語音을 日本語化한 外來語로서의 字音이라기보다 당시 중국어의 실제발음을 그대로 옮겨놓은 外國語로서의 성격이 강한 자료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5) 唐宋音에 걸친 果攝韻의 반영 양상을 현대 中國方言과 비교해 볼 때 鎌倉宋音도 江戸唐音도 그 字音形은 客家・ 廣東語와 같은 浙江省이나 廣東省 부근의 중국 南部方言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唐宋音에 걸친 遇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오채현,이경철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9 비교일본학 Vol.45 No.-

        본고에서는 唐宋音에 걸친 遇攝韻의 반영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 模韻은 宋音에서는 -u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o형과 -i형이 混在하며, 唐音에 서는 -uu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ou형, -uwo-형, -o형이 混在한다. 2) 模韻은 上古音에서 ɑk에서 ɑu로, 中古音에서는 ʌu로 변화된 것으로 보이며, 中古音의 ʌu 는 ①ʌu⇒əu, ②ʌu⇒əu⇒u, ③ʌu⇒əu⇒ou, ④ʌu⇒əu⇒o와 같이 4가지 패턴으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3) 開口3等 魚韻은 宋音에서는 -i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u형이 混在하며, 唐音에서는 - jui형과 -ii형이 주류를 이루며 -woi형, -uu형이 混在한다. 4) 開口3等 虞韻은 宋音에서는 -i형이 주류를 이루며 -u형・-iu(ju)형이 混在하며, 唐音에서 는 -jui형이 주류를 이루며 -uu형, -ii형, -woi형이 混在한다. 5) 魚韻은 中古音에서 iəï 또는 iəu로 方言에 따라 韻尾가 달랐을 것으로 추정되며, 中古音 이후 ①iəu⇒iu⇒jui⇒jy, ②iəu⇒iu⇒u⇒ui⇒y, ③iəu⇒iəui⇒jeui⇒jəi, ④iəu⇒iəui⇒jeui⇒eui⇒ əi, ⑤iəu⇒io⇒o, ⑥iəï⇒iəi⇒ii, ⑦iəï⇒iəi⇒ii⇒i와 같은 7가지 패턴으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 다. 6) 虞韻은 중기 中古音에서 魚韻에서 分立하여 후기 中古音에서 甲乙類가 통합되며, 후기 中古音 이후 魚韻과 통합되어 이후 魚韻과 유사한 변화를 겪은 것으로 판단된다. 7) 唐音에서 模韻의 舌齒脣音字이 -ou형으로 나타나는 점은 廣東方言과 유사한 성격을 엿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唐音이 주로 廣東省 부근의 중국 南部方言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flections of Group Ju(遇) in Sino-Japanese, So’on and To’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In grade Ⅰ, we find that the opened rhyme Mo(模) appears mainly as a -u type and another -o type. The -i type in So’on appears mainly as a -uu type and another -ou type as does the -uwo- type and -o type in To’on. 2) The following changes were found in the rhyme Mo(模). The rhyme Mo(模) changed from /ɑk/ to /ɑu/ in Old Chinese and changed to /ʌu/ in Ancient Chinese. The /ʌu/ of Ancient Chinese changed into four patterns as seen here, ①ʌu⇒əu, ②ʌu⇒əu⇒u, ③ʌu⇒əu⇒ou, ④ʌu⇒əu⇒o. 3) In grade Ⅲ, The opened rhyme Yu(魚) appears mainly as an -i type and as another u type in So’on. It also appears mainly as a -jui type・-ii type and as another -woi type・-uu type in To’on. 4) In the rhyme Yu(魚) the/ iəï/ or /iəu/ in Ancient Chinese was also different in its direction. The rhyme Yu(魚) changed from Ancient Chinese into seven patterns, ①iəu⇒iu⇒jui⇒jy, ②iəu⇒iu ⇒u⇒y, ③iəu⇒iəui⇒jəi, ④iəu⇒iəui⇒jeui⇒eui⇒əi, ⑤iəu⇒io⇒o, ⑥iəï⇒iəi⇒ii, ⑦iəï⇒iəi ⇒ii⇒i. 5) The rhyme Yu(虞) came from the Early Ancient Chinese rhyme Yu(魚) and combined into the rhyme Yu(魚) in Middle Chinese. It then changed in a similar way to rhyme Yu(魚). 6))The dental and labial (tongue) sound of the rhyme Mo(模) in Sino-Japanese has a similarity to To’on which appears as /ou/, like Guangdong(廣東). This implies that the Sino-Japanese To’on originated in a Chinese southern direction.

      • KCI등재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字音形에 대하여

        오채현,이경철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8 No.-

        본고에서는 唐宋音에 걸친 江․宕攝韻의 반영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宋音에서 開口2等 江韻은 -au형으로, 覺韻은 -a형으로 출현한다. 또한 唐音에서 江韻은 주로 -jaN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N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N형으로 출현하며, 覺韻도 이에 병행하여 주로 -ja형으로 나타나지만 脣音系는 -a형으로, 舌齒音系는 주로 -jua형으로 출현한다. 이를 통해, 먼저 宋音의 母胎音에서 이미 入聲이 소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宋音의 -a형에서 唐音의 -ja형으로의 변화를 통해, 宋代까지 秦音에서 이루어진 1·2等韻의 합류가 지속되고 있지만, 1等과 2等을 구별하는 방언이 남아 있었고, 1·2等韻이 합류한 언어그룹에서 그 2等韻이 ja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唐音에서 舌齒音이 -juaN형/-jua형으로 출현하는 것은 開口2等 江·覺韻이 唐音의 母胎音에서 合口로 변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開口1等 唐韻의 陽聲韻은 宋音에서는 -au형으로, 唐音에서는 주로 -aN형으로 출현하며 齒音系는 -uaN형으로 나타난다. [ツアン]을 チ·ツ의 破擦音化로 인해 [tuaŋ]으로 인식한 표기가 아니라 [ʦaŋ]으로 인식한 표기로 본다면 이 역시 -aN형으로 귀결된다. 入聲의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喉內入聲 k가 탈락한 -a형으로 나타나지만 唐音에서는 -o형이 혼재하고 있다. 이는 鐸韻 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것이 있지만 母音 u로 변해 ɑu로 변하고 이것이 o로 변한 것까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3)合口1等 唐韻은 宋音에서는 -wau형으로, 唐音에서는 -waN형으로 출현하며, 그 入聲인 鐸韻은 宋音·唐音 모두 -wa형으로 출현한다. 이처럼 宋音·唐音 모두 그 入聲韻도 主母音이 ɑ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現代音의 uo는 中古音 wɑk에서 入聲 k가 탈락한 近世音 wɑ에서 合口 w와의 동화로 인해 主母音 ɑ가 高位化하여 uo로 변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4) 宋音에서 開口3等 陽韻은 -jau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入聲이 탈락하고 -j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jaN형으로, 藥韻은 -ja형으로 출현한다. 5) 宋音에서 合口3等 陽韻은 牙喉音이 주로 -jau형으로, 脣音字가 -au형으로 출현하는데, 入聲인 藥韻은 牙喉音이 -wa형으로, 脣音字가 -a형으로 출현한다. 唐音에서도 陽韻은 牙喉音은 주로 -jaN형으로, 脣音字는 -waN형·-aN형으로 출현하며, 藥韻은 牙喉音이 -ja형과 -wa형으로, 脣音字가 -wa형으로 출현한다. 宋音의 –jau형과 唐音의 -jaN형은 원음에서 合口性이 소멸된 것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 내의 合拗音의 소멸로 인한 표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