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교육의 과제

        모경환,황혜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가 지구촌사회, 다문화사회로 급변하면서 나타나는 교육적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사회과 교사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해 본 것이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는 기존 사회의 시민들과 청소년들에게 변화하는 환경에 더불어 살아가는 시민적 자질을 함양해야하는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의 교사들은 아직 다문화적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장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사회과교사들의 다문화적 태도, 다문화적 이해도, 그리고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을 조사하였다. 사회과교사들은 자신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준비가 불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교사교육과정의 변화와 교사연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다문화 사회 속에서 효율적인 다문화 교회 정착과 복음전도를 위한 연구

        하도균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한국 사회는 오랜 시간 동안 한 혈통 아래 고유의 문화를 자랑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이제 한국적 상황은 외국 이주민 노동자들과 결혼 이주 여성 등 다인종, 다국적인 사람들과 한 땅에서 생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로써 한국사회와 교계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담론의 주제 중에 하나가 ‘다문화’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다문화 사회에 대한 체계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정부 정책이나, 다른 문화를 어색해 하고, 충돌을 일으키며, 차별하는 국민들, 그리고 마땅히 복음전파를 위해 타문화에 대해 포용적이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교회 등을 보면 아직도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까지 가야 할 길이 멀게만 보인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가는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교회가 다문화 교회로 효율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려한다. 앞으로 다문화 교회는 한국 교회의 가장 중요한 미래적 이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사회 속에서 어떻게 효율적인 전도가 가능한지를 연구하여 교회가 다문화 사회에서 효율적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주려한다. 이러한 연구는 변화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해야 할 당연한 과제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원래 교회는 처음부터 열방을 품고 열방 속에 존재하는 다문화적 교회이기에 그 본질적 사역에 충실하고자 하는 노력임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이미 다문화교회로 성공적으로 정착한 호주 연합교회의 사례를 살펴보고 주요한 요소들을 한국적 상황에로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접목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교회에 몇 가지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해 줄 것이다. 첫째, 순례자나 여행자의 공동체로써 교회의 정체성은 교회가 다문화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상황 속에서 건강한 다문화교회로 뿌리를 내리는 일은 새로운 일이 아니라, 이미 성경에서 제시된 가치를 실천하도록 독려하고는 일이다. 셋째, 그러나 한국적 다문화사회는 한국 사회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과 상황이 있기에 한국 교회는 이것을 분석하고 여기에 맞는 정책과 방안들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다문화교회로 정착을 위해서는 교회의 건강함이 기초되어야 하고, 그 건강함의 외적인 상징은 효율적인 복음전도에 있음을 한국 교회는 알아야 한다. For a long time, Korean society was proud of being a unique culture with a single race, but now the context in Korea is chang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multi-ethnic and multi-national people have started to come to live in Korea for their own reasons such as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Therefore, one of the most talked-about topics i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is currently multiculturalism. However, it still seems to have a long way to establish a prope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because of several reasons such as disorganized and in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for multicultural society, unprepared citizens who feel awkward and cause clash against different cultures, and the unreceptive churches about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researcher is trying to study how the current church can establish a multicultural church properly in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a multicultural church will shortly become the most serious issue among the Korean church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studies how evangelism can be efficiently feasibl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support the Korean church to be changed toward a multicultural church effectually. This research is not only a reasonable task for the current church in a transforming society, but is also an endeavor to be faithful for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church as a multicultural church among the nations.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examines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which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in Australia as a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writer finds the essential elements for a multicultural chu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to help the Korean church to build Korean multicultural church properly.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convey some meaningful messages for the Korean church. Firstly, an identity of the church as community of pilgrims and travelers make a sense that the church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a multicultural society. Secondly, the ministry of the church to build a healthy multicultural church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a new one, but is encouraging to practice the values what the Bible already proposed. Thirdly, the Korean church needs to figure out unique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in order to have proper policies and measure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Korean society has own unique features and circumsta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societies. Lastly, the Korean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at efficient evangelism is an external sign of the church health, and the health should be the fundamental foundation in order to build a multicultral church effectually.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와 기독교교육: 오순절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임애경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1 영산신학저널 Vol.21 No.-

        As the world is getting localized, the whole world is proceeding with becom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Even in a country that had been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beginning, a problem of harmonizing the variety and the unity is remaining as uneasy task. Korean society is approach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a sense of being distinguished from other western societies. Furthermore, the dangerous myth called a single-race nation makes it difficult for the consciousness demanded by the multi-cultural society to be connected to the practice. Nevertheless, th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ven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what contains the valu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writing suggested direction to which the Christianity education will need to proceed with advanc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Under the theme as saying that the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based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a concep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t examined how the multi-cultual based situation and the care for second-class citizens, which were indicated in the Bible, are being addressed. Especially, through The Holy Spirit’s descent at Pentecost, the value ba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iscovered. And, it specified centering on the ministry of Didache, Koinonia, and Diakonia in the dimension of the educational ministry curriculum with the application of Christianity education. In brief, the Pentecostal Christianity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needs to become education that keeps alive in a care for all people, who are under alienation, suppression, and discrimination for a reason of ‘distinction’ and ‘difference.’ 세계가 지역화 되어 가면서 전 세계는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시작부터 다문화 사회였던 나라에서도 다양성과 통일성을 조화시키는 문제는 쉽지 않은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 사회는 다른 서구 사회와는 구별되는 점에서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더구나 단일민족이라는 위험한 신화는 다문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의식이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육은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기독교교육 또한 다문화교육의 가치를 담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교육은 다문화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주제 아래, 다문화 사회의 특징과 한국의 다문화적 특징,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확인하였고, 성서에서 나타난 다문화적 상황과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돌봄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을 통해서 다문화교육적 가치관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적인 적용으로서 교육목회 커리큘럼의 차원에서, 디다케, 코이노니아, 디아코니아의 사역을 중심으로 구체화 하였다. 요컨대, 다문화 사회에서의 오순절적 기독교교육은‘차이’‘, 다름’이라는 이유로소외, 억압, 차별 아래 놓여 있는 모든 사람들을 향한 돌봄이 살아있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맥락에서 한국 대기업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전개와 특성에 대한 탐색 연구

        김진희,전혜은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five Korean corporations at CSR level. This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have changed to follow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ew following problems; the non-systematic and passive multicultural contents, the sporadic management, and the inadequate program participants and in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could be argued that Korean corporation should establish an empowering system for diversity management in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shape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engaging with global citizenship.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정부 및 시민사회와는 달리 기업이 다문화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기업의 생산 활동과 존립 활동이 다문화사회에서 어떤 주체로 투영되며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진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주요 기업들이 CSR 차원에서 시행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분석하였다. 5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다문화사회 변화 단계의 특성에 맞추어 기업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기조에 변화를 주었다. 특히 2012년 이후부터는 조사 대상 기업이 다양성 관리와 글로벌인재 양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면서 임직원 대상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기시대적 요구에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비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내용, 다양성 관리와 유리된 프로그램의 산발적 운영, 그리고 프로그램 참여 대상과 효과성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한계가 나타났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부에서 다문화를 고려하고 다양성을 관리하는 지원 조직이 구축되어 체계성을 높이고, 평생교육 차원에서 다문화사회를 선도하는 주체로 발돋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마지막으로 다문화사회에서 기업이 세계시민주의를 반영한 다문화프로그램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고찰

        강정희(姜貞姬)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4

        본 연구는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국민정체감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 인식은 인지된 위협과 다문화 수용으로 구분하고, 국민정체감과 사회자본은 각기 종족적/시민적, 폐쇄적/개방적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우리사회의 전반적 다문화 인식 규명을 위해 다문화 형태별(방문, 친구, 국민, 가족), 다문화 대상별(출신 국가) 수용 수준과 이에 대한 국민정체감 및 사회자본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하였다. 한국종합사회조사의 2010년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 ① 인지된 위협은 현실적 측면의 경제적 위협보다 상징적 측면의 사회적/문화적 위협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다문화 수용은 동포의식, 선진국과 개도국의 차별성, 민족감정이 반영되어 7개 출신국간 큰 차이를 보였다. 방문과 동료관계로는 선진 국가인 미국인과 유럽인을 가장 선호하면서도, 국민으로의 수용 수준은 같은 동포인 새터민과 중국동포가 가장 높았다. 반면 일본인은 방문, 친구, 가족관계에서의 수용수준은 높았으나 국민으로는 가장 받아들이기 싫은 민족으로 나타났다. ② 인지된 위협에는 국민정체감이 사회자본보다 모든 변수에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문화적 위협에 대해서는 종족적 정체감의 부정적 효과를 사회자본이 전혀 상쇄하지 못하고 있었다. ③ 다문화 형태별 국민정체감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영향력은 변수별 차이를 보였다. 방문과 동료관계 수용에는 사회자본이 국민정체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국민과 가족관계 수용에는 국민정체감이 사회자본보다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④ 다문화 대상별 국민정체감과 사회자본의 상대적 영향력에 있어서도 출신국별 차이를 보였다. 새터민과 중국동포 수용에는 사회자본이 국민정체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여타 출신국 사람들에 대해서는 국민정체감이 사회자본보다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에서 진행될 본격적인 다문화 정책 추진에 어떤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지를 진단하고, 그에 따른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기독교 다문화사회복지의 과제 : 평등을 지향하는 공정한 환대의 실천

        김성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6 No.-

        한국은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민국 정부가 표방해온 다문화주의 정책은 주로 다문화가정을 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수 도 단순히 차별을 극복하고,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기독교 를 비롯한 종교계나 민간의 역도 이주민에 한 태도는 아직도 온정주의이고 동화주의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재의 다문화정책과 실천방식으로 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갈등과 불평등을 더 악화시킬 것이다. 향후 다문화사회로 의 이행이 필연이라면, 평등하고 조화로운 다문화사회를 만들기 한 장기 안목의 정책 안을 근거로 한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해답을 성경에서, 그리고 기독교 공동체가 보여 ‘환’의 정신 에서 찾고자 한다. 성경에서는 나그네를 환하라고 가르친다. 평등하고 조화로 운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은 이주민들을 도움이 필요한 나그네로 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맞이하고 그들의 자발 참여가 있을 때에 만 가능하다. 이를 해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에 기반을 둔 환의 기독교사회 복지 실천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목표로 진행되었다. 첫째, 한국 교회와 기독교 사회복지계의 다문화사회에 한 응을 해 상호문화주의를 소 개하려고 한다. 둘째, 성서에 나타난 다문화 련 사상을 환의 에서 해석하 고 다양한 다문화 이론에 용하고 비교한다. 셋째, 상호문화주의 에서 불 평등에 응하는 공정한 환의 성서 근거와 실천 제안을 제시한다.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al immigrant policy, however, is merely targeted multicultural families as it tries to overcome discrimination and accommodate diverse cultures. If it is inevitable of the transition into a multicultural societye, it is necessary to practice the alternative long-term policy to create an equal and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answer in the Bible and in the spirit of “hospitality” demonstrated by the Christian community. The Bible teaches us to provide hospitality to strangers. Transition to an equitable and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is possible not only when this society warmly welcomes strangers, but also when they are welcomed as equal members of our society and participate into this society voluntari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of hospitality based on interculturalis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three goals. First, it introduces interculturalism in order to respond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Korean churches an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system. Second, various multicultural ideologies in the Bible ar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hospitality and applied to various theories of multiculturalism. Lastly, it presents biblical grounds and practical suggestions of fair hospitality in response to inequalit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의 이해와 대학생 선교

        박흥순 한국대학선교학회 2009 대학과 선교 Vol.16 No.-

        Since the 1980s, migrants, including: migrant workers, female marriage migrants, and defectors from North Korea, have been living as productive members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term ‘diaspora’, we can properly understand the lives of migrants in Korea. Modern-day migrants to Korea have often faced the same kind of obstacles to living a happy life, just as Abraham who was led by God to settle as a ‘stranger in a strange land’ in the promised land of Canaan. As Koreans strive to coexist with foreigners who have come to Korea from different: cultures, languages, and traditions, a crisis of identity often occurs among both groups of people. And, as we know, prejudice results from ignorance, which does not accept the diversity of different: cultures, ethnicities, languages, traditions, and religions. When we study carefully the new identity created by migrants as members of an alternative commun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at the creation of a ‘migrant’ identity within Korean society also contributes to the self-perception that native-born Koreans have of themselves. The first step that should be taken in determining the nature of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ociety is to look at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this paper, I intend to indicate that a prop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begins with the a correct perception of migrants in Korea. Only when we discover the full meaning of the terms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will such terms become a useful tool for conducting campus missions in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out Korea. 다문화 사회로 급격하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는 사회, 경제, 문화, 종교, 교육을 포함한 전 영역에서 ‘다문화’(multi-cultral)와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가 중요한 담론이 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다문화적 상황에 직면했던 서구의 국가들과는 달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경험은 새로운 경험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사회 구성원의 대부분은 낯선 환경과 문화를 지니고 살아왔던 이주민과의 공존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는 이주민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뿐만 아니라 다문화 상황에 직면한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다른 환경과 낯선 문화에 정착하고 적응하는 것은 매우 커다란 어려움이 있다. 이 글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이해는 이주민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는 것을 지적하려고 한다. 다문화 사회의 이해가 비기독교인 대학생 선교를 위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세계관이나 성서적 교훈을 배우지 못하거나 인식하지 못했던 비기독교인 대학생의 상황이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정체성과 흡사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먼저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한국 사회를 진단하고, 인식의 전환을 요청하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을 고찰한다. 다문화 사회의 이해가 한국 사회 구성원과 이주민의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지적함으로써 대학생 선교가 상호관계와 상호호혜에 바탕을 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이주민과의 소통과 공존을 지향하는 다문화 사회의 이해는 기독교 대학에서의 대학생 선교를 위한 대안적 관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1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propos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that can help students be able to becom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firstly, direction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o cope with issue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was pointed out. Secondly, to develop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social life centered the social studies,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were discussed. Also the structure and definition of the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social studies were made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int of view. Thirdly, four kinds of scopes(Knowledges, skills, values, social actions) for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social studies were produced. Fourthly,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model of the social studies was developed in the basis of the scopes. In conclusion, social life 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focus on knowledges(social functions, social role, social conflicts, stereotypes, prejudice, discriminatio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tc), skills(inter-cultural comprehension·interaction, interpretation in the multiple point of view, conflict resolution, inquiry, decision making etc), and values (self·society identity, respecting human right, sense of coexistence, openness, acceptance, tolerance·caring, patriotism·globalism etc) to help students be good citizen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이 연구는 사회과 생활중심 교육,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다문화교육 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사회과교육과정 모형 즉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과교육 차원에서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의 대응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논의로서 한국 다문화 사회의 쟁점 대응을 위한 학교 사회과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사회과 생활 중심 교육, 다문화교육 접근을 통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의 구조와 정의 등을 서술하였다. 둘째로, 사회과 생활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목표 영역별 준거를 모색하였다. 셋째로, 목표 영역별 준거를 기초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사회과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연구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과교육에서는 생활 중심 다문화교육 교육과정의 운영을 위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 문제 대응을 위한 지식(사회기능과 사회적 역할, 사회갈등 문제, 고정관념·편견·차별 문제, 다문화 집단의 사회·문화적 특성 등), 기능(문화 간 이해·상호작용, 다양한 관점 해석, 갈등문제 해결, 탐구·의사결정 등의 사고 기능 등), 가치(자아·사회 정체성, 인권 존중, 공존의식, 개방·수용의식, 관용, 공감·배려, 애국심·세계주의 등) 등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6 사회과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that is separated from the other multi-cultural countries. Research method is the comparative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ie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immigration countries, colonial countries, multi-ethnic countries, and general countries. Immigration countries, multi-ethnic countries, and welfare countries have favorabl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while ethnic countries have less favorabl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similar to Korea in emphasizing ethnic ties and disregarding permanent residency status for immigrant labor. The policy of each country is varied by its population of indigenous people or old colonists. Korea is distinct from other countri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es of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 국가들과 구분되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한 비교연구로, 서구 및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다문화사회와 구분되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다문화사회의 특성은 이민국가, 식민제국, 일반국가 등으로 구분되며, 복지제도의 발달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민국가, 다민족국가, 복지제도가 발달한 국가들에서 다문화주의가 많이 채택되고 있었으며, 혈통주의의 단일 민족국가들에서는 다문화주의에 대해 부정적이다.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민족을 강조하고 이주노동에 대해 배제적인 공통적 특성을 가지나, 원주민 및 구식민지민의 존재 여부 등에 따라 다문화정책에 있어 차이가 존재하였다. 즉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다문화사회 구성원과 다문화사회정책에 있어 다른 국가들과 구분되었다.

      •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현황과 함의

        곽미정,전미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정의와 실태 그리고 정책적인 지원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다문화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의 국제조류에 따라 우리나라 현 사회의 변화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과 현장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본론에서는 이를 위한 구성요소인 다문화 가족의 정의와 각종 실태 및 현황 그리고 정책의 지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다문화 사회의 고찰에서는 결론적으로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우리 사회에서 장기적인 전망과 단계적 전략을 정교화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우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실을 바로 진단하고, 어떤 다문화주의를 적용할 단계인지 지속적으로 논의한 이후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할 것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 사회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주도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정부와 시민 사회 구성이 협력할 수 있는 구조를 고안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actual conditions, and politic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is examines Korea's changing trends towards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aradigm, and based on this, we should suggest the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policies and their reality. For this purpose, we have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the introduction, and in the main body we look into the definition and various conditions or states as well as political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that, we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the elaboration of long term prospects and phased strategies in our society, which is preparing to embrace multiculturalis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suggest that we should first diagnose the reality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then consistently debate what stage of multiculturalism should be applied, and that way we can settle a social agreement. Also, it is true that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government is unable to take the lead in deciding and pushing policies unilaterally. From this fact, we deduce a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can cooperate, and we explore general conditions regarding this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