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인의 관점에서 본 농교육의 전환 : The Deaf Centered Approach

        곽정란,정운기,김경진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농아동을 특수교육의 대상으로 국한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농교육의 중요한 주체의 하나로서 인식하여, 그들의 요구(needs)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 농인의 관점에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농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은 어떤 내용을 내포하고 있으며, 농인 스스로는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둘째, 농인의 관점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제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농사회의 자기권리 주장은 무엇인가, 셋째 농인의 관점에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고찰 한 결과 농(deaf)의 개념은 청각장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른 의미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농인의 언어인 수화에 대한 사회적 수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농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할 때 농인은 청각장애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화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적·문화적 소수집단을 의미하였다. 이에 따라 오늘날의 사회는 수화통역제도 수화통역센타를 통해 농인의 언어적·문화적 입장을 존중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으며, 농인 역시 언어적·문화적 권리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인의 관점에 입각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은 첫째 농아동의 언어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농인 교사가 필요하며, 둘째 농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려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요구될 뿐 만 아니라, 셋째 농학교는 본연의 교육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과 아울러 농인의 언어와 문화를 지지하는 문화적·언어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ways (1) to accept people with deaf as a main or core for the education for the deaf, themselves, being over the invisible limitation that they were positioned as subjects - being educated - only on the field, and (2) to reform education for the deaf, according to the stand of view of Deaf people, which was reflected the real needs of Deaf people should be understood and supported. To establish these, the writer investigated following issues; (1) the contents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Deaf people, (2) the transition of social approach or system to support needs of Deaf people, which were issued currently on thei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for the more, (3) reformation of education for the deaf that was reflect opinions from or by the deaf. The concept 'deaf' doesn't mean only hearing impairments but being positioned another additional status for the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obvious factors to produc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are whether social acceptance and recognition their sign language as their daily communication methods, as people use speaking language. Which means considering thei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e can say people with deaf rather minority who are using sign language in social than handicapp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Thus, sign language translating serves, for instance, are providing to support socal and cultural stand of the deaf and ensure appropriat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o are not use sign language and use it. And people with deaf put stress on the right of using their own (sign) language nowadays. The findings of reform education ways reflected view of the culture of the deaf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are deaf by hisself or herself in be hired in every school for the deaf to fully-understand and support student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econd, curriculum of deaf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adapt and increase identification as a deaf, Third, schools for the deaf perform to educate deaf more substantially and should be the resource center of sign language and deaf culture.

      • KCI등재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및 문화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 방안

        허일,이미혜,안영회,홍성은,최상배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수어 사용 농인의 문화 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놓인 397영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농인의 정보접근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할 때 필요한 지원은 농인 수어해설가 또는 수어통역사 배치가 대부분이었고,도서관은 수어통역사 배치와 수어 동영상 제공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문화시설에서 농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10대 젊은 세대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20-40대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50대 이상에서는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하는데 불만족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농인의 정보접근 개선 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문화시설 기관에서 농인을 위한 지원이 제공된다면 더 자주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은 유명 관광지,한국영화 상영 영화관,박물관,체육시설,유적지,외국영화 상영 영화관,공연장 순이었으며,도서관과 미술관 이용 의사는 상당히 낮았다. 이는 도서관과 미술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문화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젊고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인터넷을 선호하였으나, 연령이 많고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농아인협회 등 장애인단체를 더 선호하였다. 이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더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인의 연령과 거주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plans for cultural access of the Deaf sign language users. There were 397 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st needed support for the Deaf to visit a cultural facilities were a deaf guidance or an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in case of the library the deaf asked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the provision of sign language movie clips.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concerning the information access, which is needed before one can visit the cultural institution, tends to be a little high among the 10s and average level among 20~40s generation, but among the 50s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was very high. Sugges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 for the Deaf are as following. First, if the cultural facilities offered services for deaf visitors the order of the cultural facilities which deaf people would like to visit more often were as follows: touristic sites, theater showing korean movies, museums. sport facilities, historic sites. theater showing foreign movies and performance halls. Libraries and art museums were named very rarely. This fact implies that there have to be found ways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libraries and museums for deaf people. Second, concerning the method which i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before visiting a certain cultural facility, the analyses shows that the younger generation living in large cities strongly favours the internet, whereas the elder generation living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favours to get information through the deaf association.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age and residential area of the Deaf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cultural facilities for the Deaf.

      • KCI등재

        농인(聾人) 지도자의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이준상,고재정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an identit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the role given by deaf people who have long been leaders in a deaf society. In order to seek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 entire deaf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experience of the role of the head of the deaf association (head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low of various experiences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life and the a leader of deaf society. Participants in the study became deaf in an accident when they were young, graduated from a deaf school, and are deaf people in their 60s who have been the head of the Association for the Deaf for more than 20 years.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role ident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derived as ‘living as a deaf person’, ‘working for the deaf and the organization’, ‘overcoming conflict’, ‘finding rewards by performing social roles’, and ‘being 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nfirmed how the role identity of the leader, a deaf person who plays the biggest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of the deaf person is form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deaf leaders and establishing various welfare policies for them to establish role identity. 본 연구는 농인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농인이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서 부여받은 역할수행 경험에 따른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농인 사회 전체의 복지향상을 모색하기 위해서 농인 사회 지도자인 농아인협회 단체장(수어통역센터장)의 역할수행 과정의 경험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연구참여자의 삶과 농인 사회 지도자로서 다양한 경험에 대한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생애사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어렸을 때 사고로 청각장애인이 되었으며 농인 학교를 졸업했고, 20년 이상 농아인협회 단체장으로 있는 60대의 농인이다. 연구참여자의 역할정체성 형성과정의 의미는‘농인으로 살아감’,‘농인과 조직을 위해 노력함’,‘갈등을 넘어섬’,‘사회적 역할수행으로 보람을 찾음’,‘비전을 가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농인의복지향상을 위해서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농인 지도자의 역할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를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농인 지도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이들이 역할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다양한 복지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농인의 문화시설 이용 및 문화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 방안

        최상배,홍성은,허일,이미혜,안영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수어 사용 농인의 문화 정보 접근 실태와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인 397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농인의 정보접근 실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할 때 필요한 지원은 농인 수어해설가 또는 수어통역사 배치가 대부분이었고, 도서관은 수어통역사 배치와 수어 동영상 제공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문화시설에서 농인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10대 젊은 세대에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20~40대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에서는 불만족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이용하는데 불만족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농인의 정보접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시설 기관에서 농인을 위한 지원이 제공된다면 더 자주 이용하고 싶은 문화시설은 유명 관광지, 한국영화 상영 영화관, 박물관, 체육시설, 유적지, 외국영화 상영 영화관, 공연장 순이었으며, 도서관과 미술관 이용 의사는 상당히 낮았다. 이는 도서관과 미술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문화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젊고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인터넷을 선호하였으나, 연령이 많고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농아인협회 등 장애인단체를 더 선호하였다. 이는 농인이 문화시설을 더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농인의 연령과 거주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침묵의 공동체 - 해방 이후~1970년대 농인의 삶과 ‘농 공동체’의 형성 -

        소현숙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논총 Vol.59 No.-

        이 논문은 해방 직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한국에서 농인들의 생활 실태와 농 공동체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해방 후 헌법과 교육법 등을 통해 장애인의 법적 권리에서 변화가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복지정책과 제도가 미흡한 채로 남아 있었다. 당시 농인들에 대한 사회적 시선은 편견에 찬 것이어서 농인들은 가족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냉대와 차별을 경험해야 했다. 언론에서는 장애를 극복한 장애인들이 소개되곤 하였으며 장애인의 인권을 강조하는 시각도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러한 시각의 이면에는 ‘정상아’-‘특수아’라는 이분법적 인식 속에서 농인을 ‘정상인’으로 만들고자 하는 동화주의적 강박이 자리잡고 있었다. 국가정책의 부재 속에서 농인들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특수학교의 설립은 지체되고 있어 1960년대 중반경 학령 아동의 70% 이상이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였고, 학교에 입학하더라도 농아교육을 위한 특수시설이나 학습 도구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는 등 교육환경도 열악했다. 어려운 조건 속에서도 농아교육은 1970년대 들어 점차 양적으로 팽창하여 1967년부터 1977년까지 10년간 취학아동이 약 1.8배 증가하였다. 취업실태와 관련해서는 무직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점차 양화공, 양복공 등 전문적인 기술을 습득하여 자립하는 농인들도 나타났다. 소수지만 공사립 특수학교가 설립되면서 농인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서로 결집하고 수어로 소통하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었고 이는 농인 단체, 농인 교회, 농인 구락부 등 다양한 농인 조직이 형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농인들은 이러한 새로운 공간에서 농문화를 형성하며 소통하는 주체로서의 경험을 공유해 나갔다. 한편 농인들의 자립생활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집단 작업장과 <침묵의 마을> 등 농인 정착촌이 만들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기독교 등 사회복지단체의 원조에 따른 것이기도 했지만, 농인들 자신이 다른 농인들과 기회를 공유하고 농인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려는 연대의 노력에 따른 결실이기도 했다.

      • KCI등재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기독교 중심 종교 활동의 질적 연구 -

        김송학 ( Song Hag Kim ),권요한 ( Yo Han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농인은 자기 방어기제가 강하여 쉽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려한다. 농인의 이러한 성향으로 인해 자신들만 있을 때에는 활발하게 소통을 하지만, 청인을 접하였을 때는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경향을 띤다. 의사소통장애로 인하여 원만한 인간관계가 어려우므로 가치관의 왜곡과 정서적 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들에게 내적 성장과 심리적 안정을 찾을 있는 방법 중의 하나가 종교 활동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인의 종교 활동에 있어서의 종교 활동의 동기와 믿음의 정도, 농인의 종교 활동 실태를 통한 종교 활동에 대한 것을 알아보고, 농인이 종교 활동을 원만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첫째는 농인의 종교 활동과 관련된 연구논문과 관련 서적을 통한 문헌분석이다. 둘째는 질문지를 통한 심층 면담이다. 셋째는 첫 번째와 두 번째에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보충할 수 있는 농교회에 직접 참여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M시와 P시에 거주하는 농인 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농인의 종교 활동과 청인의 종교 활동과는 큰 차이는 없으나 농인은 교제(koinonia))에 종교 활동의 비중이 크다. 청각장애로 인하여 수화로 예배가 이루어지고, 영상매체를 많이 활용한다. 이들에게 올바른 종교관을 심어 줄 목사와 교사의 양성이 절실하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reluctant to expose themselves due to strong defense mechanism.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eel comfortable i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ut they are reluctant to deal with the people without hearing impairment. I thought that religious activitie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ernal growth. This study aims to seek a way that can help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o impro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ternal growth and that can help their religious activities better by understanding motivation for religious activities, the degree of belief and the status of religious activities of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hat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began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was various. Some people began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on the recommendation of family, friends or acquaintances while others began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voluntarily. In most cases,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faithful to religious activities. The stronger their faith was, the more active their way of thinking became. Second, ①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orship by using sign language and audio aids. ②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do positive religiou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y are faithful to worship God at home and experience God`s grace through worship. ③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faithful to making an offering. ④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Bible though they have difficulty in reading it due to physical impairment. ⑤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not active in engaging in mission work. ⑥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not active in participating in family worship. Third, relig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social integr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lif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can help them form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①Chur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get along with others. Main motivation that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ttend church was to keep company with others.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re keeping company with others by participating in sport activity such as table tennis, bowling and mountain climb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can get together. ②Som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experience God`s love and grace through praise, prayer and preaching others do voluntary work. Most of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ttend regular worship service which leads them to have positive mind and attitude.

      • KCI등재

        수화언어에 대한 농인 당사자의 인식

        김혜진(Kim, Hye Ji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농인 당사자가 인식하는 수화언어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로 수행되었다. 수화언어가 제1언어이며, 농정체성을 가진 농인 7인을 대상으로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인 당사자는 사회성 발달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수화언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인식하였다. 수화언어는 농인의 언어이면서 농정체성과 농문화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이며, 청각장애학생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매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둘째, 수화언어에 대한 인식 차이가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통합교육의 일반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한 농인 문해능력의 상향 평준화, 그리고 수화언어에 대한 청인 집단의 부정적 인식 등을 언급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농인 세대 간 및 농인과 청인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농인 당사자는 수화언어 관련 인식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농인과 수화언어의 관계성 및 중요성 등의 정보 공유와 제공을 위한 병원, 지역사회, 그리고 학교 등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ign Language of Deaf peop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Deaf people who used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and had Deaf identit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7 participants from January to March 2020, and the transla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top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af person recognized that Sign Language is essential for soci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The factors causing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ign Language include the generaliz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upward leveling of the literacy ability of the Deaf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ranting of linguistic and social qualities to Sign Language, the efforts of the Deaf community to establish an Deaf identity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unity among the Deaf can act as a driving force for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lf and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의 농인의 경험

        곽정란(Kwak, Jeong Ran),조정환(Cho, Jung Hwan),정점희(Chong, Chom Hui),이기상(Lee, Ki Sang),이준우(Lee, Jun Wo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농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어를 통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농인들은 수어통역을 매개하지 않는 농인과 청인의 의사소통, 농인과 청인을 잇는 수어통역, 농인과 농인 간의 관계에서 모두 소통의 단절과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일상 속에서 농인은 청인이 무슨 말을 하는 지입모양을 볼 수 없었다. 코로나19 검사 예약 및 자가격리 상황 속에서도 전화로만 대응하고 있었다. 비대면 방식의 수어통역은 얼굴 표정이 정확하게 보이지 않아, 의미전달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의료현장에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는 어떤 의사소통지원도 제공되지 않았다. 농인과 농인간의 멀어진 사회적 거리는 농인 간의 정보공유의 제한과 대화에 대한 욕구가 해소되지 않는 문제로 귀결되었다.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청각장애인 지원체계에 대한 제언과 장애인 내부의 차이를 드러내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in-depth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Deaf people using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purpose, we selected six Deaf people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in sign language. And then we analyzed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rough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VID-19 situation, Deaf people were having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 and hearing person who did not mediat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 sign language interpreting linking Deaf person and hearing person,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Deaf people. In the daily routine of wearing a mask, the Deaf people could not see what the hearing people were saying. Even in the situation of appointment for COVID-19 inspection and self-quarantine, they were only responding by phone. The contactles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vealed its limitations at medical fields where accuracy of semantic transfer is required because the facial expression is not accurately visible. No communication support was provided at the COVID-19 screening center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Deaf people resulted in the problem of restrictions on information sharing and the desire for conversation between them.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need for a support system for the Deaf people to cope with the COVID-19 and post-COVID era and a follow-up study that reveals differences within the disabled.

      • KCI등재

        농인의 언어와 상호작용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고경자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8

        본 연구는 언어적·문화적으로 소수인 농인의 언어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 농인의 문화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넓혀 수요자 중심의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내부자 관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문화기술지를 작성하였고, 15년간의 전문 수화통역사 현장경험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체적으로 현장노트, 참여 관찰,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농인은 ‘시각적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에 ‘수어’를 모어로 인식한다. 반면에 청각-음성언어인 국어를 제2의 언어로 인식하고 있다. 농인은 일반적으로 관찰력이 뛰어나며 시야가 넓은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농인의 취미생활, 기본적인 에티켓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는 ‘듣는 문화’와 대비되는 ‘보는 문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농인의 상호작용에서의 특이점은 농사회를 중심으로 긴밀한 연대감과 함께 ‘수평적 관계’를 형성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소수인 농인은 언어 사용의 차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가정생활, 사회생활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및 요구분석을 통해 농인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Study the linguistic and cultural minority nonginui language for interaction with the culture through the study found Deaf Korea and, therefore, to widen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welfare center that was aimed to contribute to.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s, especial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sider perspective" the best technology that can reveal whether culture was created, 15 years of professional experience in the field through an interpreter were collected. Specific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note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was ove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Deaf 'visual world' because of living in the 'Sign Languege' is recognized as a First Laguage. On the other hand, hearing-speech and language, language is seen as a second language. Deaf generally excellent observation is characterized by a wide field of view. And Deaf hobbies, basic etiquette in daily life, including the 'listening culture' versus the 'viewing culture' could be found. Deaf singularity in the interaction times around the Deaf cummunity in close solidarity with the "horizontal relationship" that is formed. But the social use of language differences and cultural minority Deaf due to differences in family life, social life was to experience several difficulties. Conditions and requirements for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verall Deaf discussion for a social work practice are presented.

      • KCI등재

        농인(聾人)의 부부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고경자(Kyung-Ja Ko),정혜정(Hyejeong Chu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2

        본 연구는 농인의 부부관계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이 부부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과 맥락을 파악함으로써, 농인의 긍정적인 부부적응에 대한 실천 지식과 방안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농인의 부부적응 과정은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orbin과 Strauss(2008)의 근거이론 방법 중 과정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기혼 남성 농인 6명, 기혼 여성 농인 9명으로 총 15명이며, 연구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농인의 부부적응 과정은 찌그러진 U자 형태로 나타났으며, 부부적응 과정은 ‘환상기’, ‘환상파괴기’, ‘혼란기’, ‘갈등기’, ‘협상기’, ‘안정기’의 6단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농인의 부부적응을 도울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ractical information and develop guidelines on the experiences of deaf people in achieving marital happiness, by develop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marital relationships and identifying the phenomena and contexts which they experience during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Method: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was organized around the question, “how do deaf people experience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Among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6 ) was used to pursue the study’s objective. The participants in the project were 15 deaf people, who included 6 married men and 9 married women.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ults: Our findings are that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in the subjects studied exhibits a twisted U-shaped pattern that follows a sequence of six stages: “fantasy,” “broken fantasy,” “chaos,” “conflict,” “negotiation,” and “stabiliza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assist deaf couples with the marital adjust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