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마이너리티 역사,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인가 해체인가?

        소현숙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문제연구 Vol.26 No.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minority history and examines how it can be combined with the novel people’s history that emerged as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Studies on various minorities such as vagrants, disabled people, Hansen’s disease patients, and orphans have been conducted in the midst of wholesale changes in academia, which include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people’s history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minority movements. These studies revealed the experiences of heterogeneous subjects that could not be easily integrated into Minjung (the people), criticized the violence of modernity and norms that were not captured by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and materialize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domination and oppression. In addition, by revealing that the majority are complicit in the exclusion and violence suffered by minorities, the diversity of harm was captured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s was explored.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how such research on the history of minorities contributes to the restructuring of the existing people’s history. 이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진척되고 있는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의 성과를검토하고 민중사를 혁신하려는 문제의식 속에서 제기된 ‘새로운 민중사론’과 이러한 연구성과들이 어떻게 서로 접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전통적인 민중사연구의 쇠퇴와 소수자운동의 활성화라는 학계 안팎의 변화 속에서 2000년대 이후 부랑자, 장애인, 한센인, 고아, 성소수자 등 다양한 마이너리티 집단에 대한역사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민중으로 쉽게 통합될 수 없는 이질적 주체들의 경험을 가시화하고 기존의 민중사가 포착하지 못했던 근대성과 ‘정상성’ 규범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지배와 억압의 다층적 면모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마이너리티 집단이 겪는 배제와 폭력에 다수가 공모하고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가해-피해의 다층성을 포착해왔다. 이를 통해 마이너리티 역사 연구는 민족과 계급을 중심으로 한 낡은 민중사의 해체를 촉진해 왔다. 그러나 민중사를 ‘아래로부터 역사’로서, 권력으로부터 소외된 이름 없고 역사 없는 사람들에게 제 이름과 역사를 찾아줌으로써 역사학을 민주화하는 시도로 이해한다면, 마이너리티역사는 민중사의 새로운 혁신이기도 하다. 젠더·섹슈얼리티·인종·국적·장애· 지역 등 차이가 차별이 되는 사회에서 자신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사람들이 이루어 온 역사에 대한 지식 없이 ‘아래로부터의 역사’와 ‘역사학의민주화’는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소현숙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arch 1st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history by examining how the identity of 'woman' as a political subject was construct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movement were female students and teachers who subsequently emerged as the leaders of the movement, replacing the aristocratic women who previously had led the women's social movement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Unlike their predecessors, who based their identity on loyalty to the dynasty, they envisioned themselves as female citizens of the republican state. It was the spread of women's networks through schools and churches that became the basis for promoting women's participation in the 3.1 movement. The organization of women's organizations based on this network has facilitated women speaking as 'women' and representing themselves beyond the order of existing politics represented by men. They have done this in certain instances by attempting to dispatch a female representative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in 1919, or by drafting and distributing <the Korean Wome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urthermore, at the time of the 3.1 movement, the appearance of women in street demonstrations and prison imprinted the image of women as political subjects on the public. Women resisted the sexist views of male colleagues, Japanese police, and judicial bureaucrats, and dared to express their political identity, which could no longer be limited to existing only within the family. In sum, the March 1st Movement is not only an event that reveals women to be members of the nation, but also a process of women’s challenging and cracking the existing gender norms of women as non-political beings. They have done this by participating at the vanguard of the movement, from the preparation of protests to the struggle in the streets and prison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arch 1st Movement became an occasion to promote differentiation within women, as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a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impact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이 글에서는 정치적 주체로서 ‘여성’ 정체성이 어떻게 구축되어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3․1운동을 젠더사적 시각에서 새롭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3․1운동에는 여학생, 교사, 전도부인 등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는데 이들은 한말 이래로 여성운동을 주도해온 양반 부인들을 대체하면서 운동의 주체로 부상했다. 왕조에 대한 충성심에 기반해서 활동했던 이전의 양반부인들과 달리 3․1운동에 참가한 여성들은 공화제 국가의 여성 ‘국민’으로서 자신들을 상상하였다. 3․1운동에서 여성들의 참여를 촉진시킨 기반이 되었던 것은 학교와 교회 등을 통한 여성 네트워크의 확산이었다. 이러한 ‘여성’ 네트워크에 기반한 여성단체의 조직은 ‘여성’으로서의 말하기를 촉진했고, 여성대표를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려고 시도하거나 「대한여자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등 남성에 의해 대변되는 기존의 정치질서를 뛰어넘어 여성 스스로가 자신들을 대표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낳았다. 한편, 3․1운동 당시 ‘거리’와 ‘감옥’이라는 새로운 공간에 진입함으로써 여성들은 정치적 주체로서의 여성이라는 표상을 대중에게 각인시켰다. 여성들은 남성 동료나 일제 경찰, 사법 관료들이 지녔던 성차별적 시선에 저항하면서 가정 내 존재로 한정할 수 없는 자신의 정치적 주체성을 당당하게 드러내었다. 요컨대, 3․1운동에서 여성들은 만세시위의 준비에서부터 거리에서의 시위, 감옥에서의 투쟁에 이르기까지 운동에 전면적으로 가담하면서 정치적 주체로서 여성의 표상을 확산시켰다. 이 과정은 단순히 민족의 일원으로서 여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이었을 뿐만 아니라 비정치적 존재로서의 여성이라는 당대 사회의 젠더규범에 도전하고 균열을 내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3․1운동이 정치적 주체로서의 여성의 발견과 동시에 계몽자와 계몽대상으로서의 여성내부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3․1운동에서의 여성참여가 이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가족 근대화의 모델 찾기에서 가족 ‘정상성’에 대한 성찰로 : 한국 현대 가족사 연구 동향과 과제

        소현숙 역사문제연구소 2021 역사문제연구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trends of current research on Korean contemporary family history and to suggest future tasks. Until the 1980s, research generally sough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clear family based on modernization theory.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Marxist and feminist analysis since the 1980s and the spread of everyday-life history and gender history studies since the 1990s, efforts have been made to break away from the modernizationist stance and explain changes in the family in a more complex wa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norm of the “normal family,” which has rarely been considered a problem in the past, and in the others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and excluded from it. As future tasks of family histo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amily, to explore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normal family,” and to deepen research on politics and family relationships. 이 글은 한국현대 가족사와 관련된 기존 연구 경향을 검토하고 향후 과제를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까지의 가족사 연구는 대체로 근대화론에 입각하여 핵가족적 특성을 찾아내려는 입장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맑시즘과 페미니즘 분석이 도입되고, 1990년대 이후 일상사, 여성사 연구 등이 확산되면서, 근대화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가족의 변화를 보다 복합적으로 설명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시도들은 구조와 제도의 변화, 지배질서구축을 위한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개인의 경험과 가치관 등의 사이에 놓인 상관관계에 주목하면서 가족의 변화를 보다 중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거의 문제시 되지 않았던 ‘정상가족’ 규범과 그로부터 배제된 가족 경계밖의 타자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가족사 연구는 정치경제사 중심의 한국현대사 연구를 보다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차원에서 살펴볼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데 기여해 왔다. 가족사 연구의 향후 과제로는 구체적인가족 실태 연구, ‘정상가족’상의 역사적 형성 및 변화과정 탐색, 그리고 정치와가족 관계에 대한 연구의 심화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唐代 武則天과 玄宗의 統一像 제작과 頒布 - 諸州官寺를 통한 반포 및 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소현숙 동악미술사학회 2021 東岳美術史學 Vol.- No.30

        무측천과 현종의 집권기인 7세기 후반과 8세기 전반은 당대 최고의 전성기였다. 중국 내에서는 통일적인 당대 불교문화가 수립되었으며, 동아시아적으로는 이른바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시기 통일적인 불교문화 형성의 배후에 황권에 의한 통일상의 복제와 반포가 존재했으며, 이것이 ‘諸州官寺制’라는 제도와 결합함으로써 매우 신속한 확산이 이루어졌음을고찰하였다. 무측천은 미륵상과 관음상을, 현종은 자신의 상호를 한 진용의 등신불상과 비사문천왕상을전국적으로 반포했다. 무측천과 현종에 의해 이루어진 통일적인 형식의 불상은 각각 황권의 통치이념을 대표하거나, 혹은 ‘대중의 구제’라는 황제의 전륜성왕적 통치를 상징하였다. 다시 말해 황권에 의한 통일상의 복제와 반포는 왕즉불 사상의 시현이자, 불교와 대중에 대한 관리정책의 측면을 갖고 있었다. 통일적인 형식의 불상은 무측천과 현종에 의해 장안과 낙양의 兩京, 그리고 300개가 넘는 전국 각 주에 설립된 官寺 大雲寺와 開元寺에 각각 안치되었다. 전국적인 유포는 일반적으로 2차원적인 그림과 繡像 등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제주 官署에서는 이를 토대로 3차원의 금동상이나 소상으로 제작하여 해당 지역 관사에 반포했다. In the late 7th and 8th centuries, during the reign of Empress Wuzetian and Emperor Xuanzong, it was the best prosperity of Tang Dynasty. In China, a unified Buddhist culture of the time was formed, and in East Asia, the so-called “East Asian Buddhist culture” was formed. This study examined that a unified Buddhist culture was formed by th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fied Buddhist images by imperial authority during this period, and that unified Buddhist images were quickly distributed in combination with the institution of Buddhist state monasteries. Wuzetian distributed statues of Maitreya Buddha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ile Xuanzong distributed Vaisravana(毗沙門天王) statues and with his own face and lifesized Buddha images. Each of the Buddhist image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by the two emperors represented the ruling ideology of the imperial power, or symbolized the reign of the King Chakravartin(轉輪聖王). In other word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fied Buddhist images by two emperors revealed the idea that “the king is the Buddha” and had the aspect of the emperor’s management of Buddhism and the people. The unified Buddhist images were distributed to the government temples established in Chang’an(長安), Luoyang(洛陽) and more than 300 states across the country. The nationwide distribution was generally made in the form of two-dimensional paintings and embroidery. Government offices in various states produced three-dimensional gilt-bronze or soil statues based on paintings and distributed them to Buddhist state monasteries.

      • KCI등재

        수(隋)의 국가대사(國家大寺) 대흥선사(大興善寺) -사찰(寺刹)의 내외적 환경과 공간의 부원적(復原的) 고찰

        소현숙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88 No.-

        文帝開創隋王朝后, 應要確保王朝的正統性, 進而還要統一南北分裂的局面. 爲了達成此目標, 隋文帝實行以佛敎爲中心的文敎政策, 遷都于大興城后第一建立皇家寺院大興善寺. 作爲隋王朝佛敎政策的設計而實行的地点, 大興善寺的地位極爲顯赫, 在大興城內的位置和其面積等方面, 成爲等級最高的皇家寺院. 本文從大興善寺的空間上的特点和運行等方面着手, 對該皇家大寺的平面布局進行復原, 進而探討了該大寺的政治上或歷史上的地位. 大興善寺建立于大興城九五的高地上. 此位置相當于大興城外郭城東西南北的中間, 但是, 該寺以南之處大部分是耕地, 居住人極少, 從人口密度看, 大興善寺位于大興城的南端. 因此在大興城全城民易于參與在都城中軸線朱雀街上擧行的佛敎議式, 如在仁壽年間所擧行的起舍利塔議式時, 作爲議式的出發点或終点, 大興善寺起到了極其重要的作用. 所以可說타在都城所占的位置和其功能上, 類似于北魏洛陽城景明寺和東魏北濟邱城的趙彭城佛寺遺址. 大興善寺是在大興城等級最高的佛寺, 占有整個靖善坊面積. 該坊呈正方形, 只開東西二門. 這特征給大興善寺的布局較大的影響, 卽靖善坊的東西大道將大興善寺的寺域半分爲南半部和北半部, 타們均有東西長的方形. 大興善寺大佛殿朝南, 倂且在文獻記載上記有西院, 因此可以推定該大寺的北半部由具有塔和佛殿的中院和其左右的東,西院構成. 換句話說, 大興善寺北半部具有三院倂列形平面布局. 該寺的南半部흔可能設有與對外業務有關的一些机構. 這種南北分立的形態和北半部的三院倂列形平面布局, 都反映了大興城宮城及皇城和其外郭城的關系, 進而宮城和皇城的關系. 大興善寺的佛像也具有政治色彩. 開皇九年(589)隋文帝滅陳, 統一南北朝分裂的局面后, 將南朝建康城的阿育王像和荊州優塡王像安置于大興善寺. 兩件佛像均作爲帶有政治性的瑞像, 表示南朝佛敎和皇權的正統性. 因此, 可以說在大興善寺佛殿中的阿育王像和優塡王像, 都表示隋王朝受命的合法性和隋朝的正統性.

      • KCI등재
      • KCI등재

        숭실대 소장 九子母像 연구 : `마리아상` 으로 알려진 塑像의 圖像과 제작시기를 중심으로

        蘇鉉淑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19

        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는 통일신라시대(8~9세기)로 편년된 이른바 ‘마리아상(瑪利亞像)’이 있다. 이 상은 높이 10cm가 못되는 소형 塑像으로서, 한 여성이 아이를 안고 있으며, 그 주변에 8명의 어린이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여성이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인해 그간 기독교의 마리아상으로 인식되어 왔다. 때문에 “중국 당에서 전래된 것으로서 경교의 한반도 유입을 보여주는 중요 유물”로 설명되기도 했다. 조상의 성격과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는 그간 산발적으로 많은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학술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이 상의 도상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 상이 9子와 함게 표현된 九子母임을 밝혔다. 나아가 중국에서 불교 전래 이후 구자모가 불교신상인 귀자모의 異稱으로 사용되었음을 문헌과 현존작품 등을 통해 논증했다. 그리하여 숭실대 소장 소상은 기독교 도상인 마라아상이 아니라 아이의 출산과 안녕을 관장하는 불교 신상인 귀자모임을 밝혔다. 그간 이 상은 도상에 대한 논의가 분분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작 시기는 이견 없이 8~9세기설이 수용되었다. 그러나 원만한 계란형의 얼굴 표현, 매우 높이 틀어 올린 머리 형식인 高髻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대까지 올려다 볼 수 없으며, 그 하한은 대략 명대 이전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구자모는 소매 폭이 아주 넓은 大衫과 사방에 여의두문이 표현된, 비교적 완성된 형태의 雲肩 등을 함께 착용하고 있는데, 이런 복식이 널리 유행하는 시기는 남송 때부터다. 그러므로 숭실대 구자모상은 대략 남송에서 원에 이르는 시기, 즉 12~14세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2~14세기는 한반도의 고려시대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동시기 중국 및 일본과 달리 귀자모 신앙이 성행하지 않은 듯 문헌과 현존 작품에서 귀자모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상은 성인의 손바닥 안에 들어올 정도로 매우 작은 소형으로서 이동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도 고려해, 본고는 이 상의 제작지를 한반도가 아닌 중국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禮山 四面石佛의 제작 時期와 性格, 그리고 百濟의 對中交涉 -四面像의 형식과 착의법을 중심으로

        소현숙 동악미술사학회 2019 東岳美術史學 Vol.0 No.26

        This study searching the time and characteristics of the Yesan Samyeonbul(禮山四面佛) through the form of the four-sides Buddha statue and the dressing method of double Kasaya(袈裟). Furtherm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se features reflected the exchange between Baekje(百濟) and Northern and Sui(隋) Dynasties of China. Yesan Samyeonbul was built on a transportation route from Baekje to China, and also on the daily route of residents. In other words, it was the Buddhist statue built in a public place. Middle ages in China, the four-sides Buddha statues with public character were popular in the northern area. A south-facing Buddha Image of Yesan Samyeonbul dressed "y-shaped underwear and double Kasaya. This type of dress was popular in Chang'an(長安), the capital of Sui Dynasty. From the position of its establishment, the form of Buddhist costume and the shape of four-sides Buddha statue, Yesan Samyeonbul i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in the Northern and Sui Dynsaties. That is, Yesan Samyeonbul reflected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the Northern and Sui Dynasties from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seventh century. 본 연구는 ‘四面像’의 형식, 그리고 ‘y자형 內衣와 二重 袈裟’라는 새로운 착의법을 통해 백제 예산사면상의 성격과 기능 및 제작 시기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런 특징이 당시 백제와북조, 특히 隋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반영하고 있음을 밝혔다. 예산사면상은 원래 전각 안에 봉안된 사면불로, 백제의 對中國 교통로이자, 당시 주민들이주거지인 山城과 주변 농경지를 오가는 길목에 건립되어 있었다. 즉 예산 사면상은 교통로상에 건립된 공공적 성격의 불교조상이다. 중국에서 이런 공공적 성격의 불교조상이나 건축물은 天宮, 혹은 寶塔 등으로 불렸으며, 남조가 아닌 6세기 후반의 북조에서 널리 성행했다. 예산사면상의 남면불은 ‘y자형 내의’를 입고, 그 위에 雙領下垂式 가사와 ‘凉州式 편단우견’이라 불리는 변형편단우견의 가사를 이중으로 겹쳐 입었다. 이와 같은 복제는 수나라 도성 長安 불교조각의 특징이다. 6세기 말~7세기 초 백제는 수나라에 여러 차례 사신을 파견했는데, 예산사면상에 출현하는 중국 중앙양식의 출현은 이와 같은 대중국 교류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예산사면상은 백제의 북조와의 적극적인 교류를 잘 보여주는 물질자료이며, 나아가 기존의 남조 문화 경도 현상을 탈피해 새롭게 북조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했던 백제인들의 문화적 태도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