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이명곤 ( Myung Gon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여 고찰하는 이원론적인 혹은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세의 대표적인 철학자라 할 수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에서 `내면성`이란 어떠한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다루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그의 『고백록』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그는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체험되는 내면성의 의미를 일종의 실존적인 해명(고백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 모두에게 공통되는 것으로서의 내면성의 개념은 신(존재)이 존재하는 모든 것의 존재함의 근거(지반)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이다. 이는 `존재론적인 지반으로서의 기저, 혹은 근거`를 말하는데, `심오함 것`이란 의미를 가진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실체적인 것이 보다 우유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인들의 존재방식을 말하면서 진리자체(신적인 진리)가 다른 개별적인 진리들에 대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토마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고려하면서 보다 실체적인 것(고유한 것)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두 철학자들 사이에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혹은 `정신적인 것`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보다는 인간이 보다 내면적이 되면서 보다 타자에로의 열림이 가능하게 되고, 내면성을 통해서 관계성이 깊어지고 풍요로워진다고 이해되어 진다. 그리고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차이점은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은 필연적으로 초월성을 동반하는 것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점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아우구스티누스에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자아가 완성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관점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면성에 대한 고찰은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유한한 인간이 어떻게 절대자인 신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질적으로 다양한 존재로 형성된 세계가 하나의 유기체적 전체(통일성)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다양한 한계를 지닌 인간이 타자와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지 하는 점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Le point de vue general pour comprendre l`e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ame(esprit) et du corps(matie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eriorite` est tre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eriorite est traitee aussi se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a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quelle est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eriorite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qui sont les deux representants de la philosophie medievale. Chez St. Augustin la notion de `l`interiorite` se manifeste surtout dans ses `Confessions`. Il la manifeste comme explication existentielle (fome de la conefession) experimentee au coeur de sa vie humaine. Par contre st, Thomas la manifeste par l`analyse metaphysique de la structure de l`etre.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e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an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eriorite de tout etre. Dans ce sens la la notion de l`interiorite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Le point de vue qui est resembleant mais different est que une chose substentielle est plus interieure que celle de accidentelle. Pour St. Augustin la verite elle-meme qui se trouve chez les saints est plus inerieure que celle des verites particulieres. Tandis que St. Thomas en considerant les etres comme unite substentielle, considere ce qui est substentiel(propre a l`essence) est plus interieur que celui de proprietairs. Or ce qui est manifestement differant ces deux philosophe, c`est que St. Thomas considere l`interiorite accompagne necessairement la transandance, tandis que St. Augustin ne le traite pas. Quant il s`agit de l`interiorite en tnat que `spiritualite` en rapport a la relation, St. Augustin pense que l`interiorite est ce qui remplace le vide de existence humaine et qu`elle se forme par la relation humaine ou divine. Tandis que St. Thomas pense que ce n`est pas la reation qui constutue l`interiorite, mais que l`homme en devenant interieur devenue `ouvert` et sa reation devenue aussi profonde. Le dernier point de vue est que pour St. Augustin la consciencede soi s`accomplit par l`interioirte, tandis que pour St. Thomas par l`interioirte il est possible de s`ouvert vers un monde plus grand. La notion de l`interiorite ainsi compris nous donne un point de vue tre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a-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e des elements divers puet etre une unite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ede les limites peut e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 KCI등재

        〈스토커〉의 공간 연구

        박상은(Park, Sang-E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5

        〈스토커〉(박찬욱, 2013)는 변화를 겪고 성인으로 거듭나는 열여덟 살 소녀 인디아의 내면에 초점을 둔 영화이다. 인디아의 내면세계를 다루고 있는 영화는 은유적이고 시적인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다. 본 논문은 변화를 겪는 인간의 내면세계가 영화의 공간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번 연구는 영화의 주된 공간인 스토커 저택과 인디아의 내면세계를 직접적으로 연결 짓고, ‘집’이라는 공간의 내밀한 함의에 대해 고찰한다. 애초에 집은 ‘열림-연결/닫힘-분리’의 양가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바깥 세계에 대한 경험이 적은 사춘기 소녀에게 저택은 내면의 독립성을 유지시켜주는 보호와 안정의 기능이 큰 공간이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것을 승인하고 검토하는 공간이다. 저택의 공간은 내밀한 은신처로,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인디아의 내면을 대변하듯 닫힌 구조이거나 겹구조로 나타난다. 인디아가 느끼는 낯선 감정과 경험들은 이 집에 침범한 낯선 자-찰리로 환유적으로 표현된다. 찰리가 이 집에 불쑥 들어오자 인디아는 혼란을 겪게 된다. 스스로를 방어하며 집안 구석진 곳곳을 헤매듯 돌아다니는 동선과 문을 여닫는 장면은 정체성의 혼란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이다. 변화를 겪는 인디아의 내면은 저택 구조 안에서 위상의 변화로써 나타난다. 외부 세계로 열리는 공간인 위층은 자유와 모험이 따르는 공간이며, 성장과 성장에 대한 열망을 함의하는 공간이다. 지하 공간은 인디아의 내면 깊숙한 무의식으로 대치할 수 있다. 계단은 이 영역과저 영역을 연결해주는 매개공간이다. 인디아의 내면 변화를 이끌 찰리와 인디아의 첫 대화는 계단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찰리는 인디아가 자신의 본능을 자각하고 자유의 세계로 오르도록 돕는다. 인간의 내면세계를 영화적으로 재현할 때 내면 풍경의 장소로써 3층 구조의 집은 인간의 내밀한 감정의 오르내림을 묘사하기에 적격하다. ‘집은 육체이자 영혼이며, 인간 존재의 최초의 세계’라고 본 바슐라르의 시각이 이를 뒷받침한다. 저택의 공간과 인디아의 내면세계를 직접적으로 연결 지으려는 시도는 인디아를 둘러싼 외부 형태적 차원의 집을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상상의 공간으로 변환시킨다. 영화의 공간은 인디아가 만들어낸 환상의 공간으로 그 자체로 내면세계의 구현이다. 스토커 저택은 인디아의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Stoker〉(Chan-wook Park, 2013) is a film focusing on the inner world of India, an eightteen-year-old girl, who undergoes a change and attains adulthood. The film handling the inner world of India generates metaphorical and poetic image. This thesis analyzes how the inner world of a person undergoing a change is realized through space of the film. This study directly connects the Stoker Mansion where is the main space of the film with the inner world of India, and considers a confidential undertone of the space ‘house’. Originally, a house has an ambivalent characteristic of ‘open-link/closure-separation’. The mansion acts as a space which has functions of protection and stability to India, who is yet a puberty girl with few experiences from the outside world. It is a space which recognizes and examines the things from the outside world. The space of mansion is a confidential hideout. As if showing the careful and cautious inner side of India, it has usually a closed or layered structure. The unfamiliar emotions and experiences India feels are expressed in a metonymic way like the moments when the stranger, Charlie, comes to this house. When Charlie pounces into the house, India experiences confusion. Inside the scenes, we can find they are intentionally visualized to show a person’s confusion of identity. The motion lines when India wanders around the house to defend herself or the scene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re the examples of it. We can see the change of inner side of India through the change of topology in the structure of the mansion. The upper floor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is a space of growth and desire of the growth. The underground space replaces the deep unconsciousness of India. A stair is a medium which connects the two different field. The first conversation between Charlie and India also happens on the stairs. Charlie leads India to recognize her instinct and go up in the free world. A three-storied building is a suitable place to reproduce a personal inner world which can visualize the up and down of emotion. A view of Gaston Bachelard can be a supportive theoretical basis: “A house is a body, a soul, and the first world for a human being.” The idea tries to directly connect the space of the mansion with the inner of world of India. And it converts the exomorphic house which surrounds India into an imaginative space which is full of infinite possibility. The space of this film is a fantasy space which is made by India. And this space itself is a realization of her inner world. Therefore, we can say the Stoker mansion is a symbolic space which shows the inner world of India.

      • KCI등재후보

        기독교교육 : 교사의 정체성과 지식의 내면화와의 관계에 대한 한 연구

        손정위 ( Jeong We So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이 논문이 던지는 근본적인 질문은 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교사의 정체성 문제를 교사의 교과 지식의 내면화로 풀어나간다. 교사의 정체성의 여부는 그 교사의 교과지식의 내면화의 여부와 관련이 있다. 가르치는 교사가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교과 지식을 생성해야 하며 자신의 정체성과 맞게 그 지식을 전수해야 하는데 이것은 교사의 지식의 내면화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 논문의 관심은 교사이다. 교사의 정체성과 학생의 내면화와의 관계가 아니라 교사의 정체성과 교사 자신의 내면화에 대한 연구이다. 결국 이 작업이 선행되면 학생의 내면화는 자연스럽게 뒤 따라 오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정체성과 교사의 지식의 내면화와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교사는 자신의 분명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교과지식을 내면화해야 하고 이 내면화된 지식은 교사의 정체성을 더욱 견고하게 해준다.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가르침의 현장에서의 방법론보다는 교사가 자신의 교과 지식을 내면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정체성이 분명한 교사들의 특징은 자신의 교과과목을 다른 사람의 내용이나 방법을 모방해서 가르치는 것이 아닌 자신이 내면화한 지식으로 가르친다. 내면화된 교과 지식은 교사의 삶의 전체와 관련된 것이며, 교사로서의 소명과 관련된 것이다. 내면화된 지식은 단지 정보로 존재하는 지식이 아니라, 인식자의 몸과 마음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지식이다. 그래서 인격적이다. 논리적으로 완전히 증명될 수 없기에 암묵적이며 직관적이며, 그래서 초월적이며 신비적인 지식이다. 그리고 내면화된 지식은 일방적인 지식이 아닌 관계적 지식이다. 인식자는 홀로 내면화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자와 함께 거하는 공동체의 여러 요소들과 함께, 관계를 맺으면서 내면화의 작업을 수행한다. 그래서 관계적이며 상호적이다. 이러한 지식을 내면화 하는 과정이 열정적이었기에 그 지식을 전수하는 과정 역시 열정적이다. 그 열정은 학생을 위해서 자신을 학생의 수준으로 내려놓기를 마다하지 않는 섬김의 열정이다. 이 내면화와 정체성의 문제는 기독교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진리를 가르치는 기독교교사야 말로 성경의 지식을 내면화해서 자신의 분명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가르쳐야 한다. 성경의 지식은 내면화된 지식의 성격인 인격적이며 관계적인 지식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 교사들은 성경의 지식을 내면화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그 정체성으로, 내면화된 지식으로 학생들을 가르쳐야 한다. The foundational question of this paper issued is the problem of identity of teacher. This paper approaches to the issue of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of teacher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identity of teacher. The teacher who teaches students must produce the subject knowledge and transmits this knowledge with accordance of his/her own identity. This issue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ty of teacher and internalized knowledge. Because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teacher’s identity, this paper focuses the internalized knowledge of the teacher rather than the teaching method. The internalized knowledge of the teacher is connected with the whole life and the calling of the teacher. And then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ory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 internalized knowledge is the knowledge which is penetrated to the body and heart of the knower. That is tacit, intuitive. transcendental and mysterious because that is not understood by the logical and cognitive process. It is called personal knowledge. The internalized knowledge is not one-sided knowledge but relational knowledge.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s carried out not by knower-self but by the interaction among the elements of community including knower, so this internalized knowledge is relational and mutual.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this knowledge should be passionate because the process of making this knowledge is passionate. This passion is the passion of service and this passion is concreted by the teacher who incarnates his/her knowledge voluntarily into the knowledge level of students. The problem of internalization and identity gives current issues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he Christian teacher who teaches the truth must internalize the knowledge of Bible and transmit that knowledge in the foundation of his/her own identity. The knowledge of Bible pursues the personal and relational knowledg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ized knowledge. Therefore, the Christian teacher should internalize the Bible knowledge and establish his/her own identity with the foundation of the internalized knowledge.

      • KCI등재

        내면아이상처로 대인관계의 위축감을 갖는 50대 주부를 위한 통합적 상담사례 연구

        황경애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participants who had a sense of interpersonal withdrawal from past wounds to live a healthy life as an inner child who cares for herself by insight into her inner child’s wounds and learning how to grow up as a loving inner child who cares for her inner child in her 50s. The personal counseling for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31 to October 26, 2019.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Wheel of Influence(by V.Satir), the Inner Child Therapy(by J.Bradshow), and the Inner Bonding Therapy(by Erika J.Chopich & Margaret Paul) as integrated counseling too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background of inner child’s wounds, in the family of origin, the father had a scary expression, the mother had a cold look and severe words, and the young child did not express her inner side. Second, for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 in society, the background of the pain of interpersonal atrophy, the adolescence in the adolescent, and the positive resources from friends, teachers and grandmother, gradually regained self-esteem and the atroph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change of reduced atrophy. Thir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counseling experienced by the mother, the Satir’s Wheel of Influence helped her to work easily, the Inner Child Therapy helped her to meet her inner child’s wounds, and the Inner Bonding Therapy helped her to realize that she had positive aspects of the resources of the inner adult role from her maternal grandmother, parent, and teachers. 본 연구는 참여자가 어린 시절 받은 내면아이의 상처를 통찰하고 현재 50대인 자신이 자기내면아이를 사랑으로 돌보는, 사랑 많은 내면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한 방법 등을 익힘으로써, 과거의 상처에 고착되어 대인관계 위축감을 가졌던 참여자가 자기를 돌보는 내면어른으로 건강한 삶을 살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한 개인 상담은2019년 8월 31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되었다.(총10회기) 통합적 상담의 도구로는 Satir의영향력의 수레바퀴, J. Bradshow의 내면아이치료, Erika J. Chopich & Margaret Paul의 내면유대치료 등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아이상처의 배경 : 원가족에서 아버지는 무서운 표정, 어머니는 차가운 눈빛과 심한 말을하였으며 어린 참여자는 자기 내면을 표현하지 못하였다. 둘쨰, 참여자가 통합적 상담을 통해나타낸 변화 : 참여자는 사회에서 대인관계 위축감의 고통을 느끼게 된 배경을 자각하게 되었고, 청소년기에 친구들, 선생님들과 외할머니로부터 받은 긍정적 자원의 존재를 자각, 점차 자존감을 회복하고 대인관계의 위축감이 줄어드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셋째, 참여자가 경험한통합적 상담의 효과성 : Satir 영향력의 수레바퀴 작업은 참여자가 수월하게 작업하도록 도움이 되었으며, 내면아이치료는 상처받은 내면아이와 만나게 해주고, 내면유대치료는 참여자가내면어른 역할의 자원을 외할머니, 부모, 선생님들께 받은 긍정적 부분도 있었음을 자각하게하였다.

      • KCI등재

        개인과 사회, 그리고 여성 : 1950∼1960년대 문학의 내면과 젠더

        강지윤 ( Kang Ji-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7 No.-

        이 글은 1950년대 여성 내면과 1960년대의 남성 내면의 문학적 반영을 비교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두 시대의 특징적인 여성 내면과 남성 내면의 문학적 반영은 양쪽 모두 개인-사회 구조로부터의 여성의 외재성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는 인식을 구체적으로 사유해보고자 했다. 근대소설의 핵심적 기제로서 내면이 개인-사회 구조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여성이 이 구조로부터 외재적이라면 여성 주체의 내면은 남성 주체의 내면과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다. 1950년대 분명한 모습을 드러낸 여성 내면의 문학적 반영은 여성이 개인-사회 구조로부터 외재적이라는 사실을 비로소 감각한 결과물로 읽힌다. 또한 1960년대 문학에 나타난 남성 내면 재현 고유성의 배면에 여성 주체의 독자적 언어를 가린 국가주의와 가부장제 연합의 안정이 시작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생각해본다는 것은 남성중심성이 여성의 영향력으로부터 면역되어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시기 남성 내면의 재현은 ‘외재성으로서의 여성’에 의해 주요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1950년대 여성 주체 내면과 1960년대 남성 주체의 내면이 드러낸 젠더적 성격은 ‘개인: 사회’ 구조가 가진 남성중심성의 지배력 속에서 주조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비교적 고찰은 이러한 구조적 지배력의 동일한 작용이 아니라 이 작용이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나타나는 복합적이고 차별적인 발현을 탐구해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여성 주체에게 비관적 조건이지만 하나의 문학적 가능성을 배태했으며 남성 주체에겐 깊은 내성 끝에 기만성과의 조우를 마련해놓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전형적인 여성 억압의 또 다른 증거로 결론짓는 분석은 다소 아쉬워 보인다. 사실상 이 시기에 출현한 주요 소설들 속의 남성 주체들은 이른바 ‘남성 연대’로 이루어진 지배체제에 복속되는 욕망을 거부하는 존재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문제는 여기서 남성 주체에게 가장 내밀한 관계성을 요구하는 여성이라는 타자는 ‘진정성’이라고 부를만한 영역을 시험하도록 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이다. 즉 여성 주체의 내면 재현에 남성 타자가 핵심적인 요인이 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남성 주체는 자신이 가장 깊은 내적 세계의 정체에 도달하기 위해 여성이라는 타자를 핵심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compares the gendered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interiority” of 1950’s and 1960’s Korean novels. In those times, increasing description of literary reflection of “interiority” was witnessed. However, the two periods were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by gendered differences. Woman writers began to express women’s inner voices and their originality on the one hand, while 1960’s was known for the time of the new sensibility reflecting inner world of male subject on the other. It can be said that literary representation of woman’s interiority in 1950’s was originated from the sense of alienation when they found out that women were assigned in “the intimate sphere” after de-colonization, which kept them from being a part of an actual social agent. Otherwise, it is known that male heroes in 1960’s representing as de-colonized subjects began to portray themselves as modern “individual” somewhat overcoming colonialism. Seemingly, theses de-colonized male subjects appropriated “individual” over women and suppressed women’s voices. However, the problem of “woman as externality” as the social feature that makes women alienated from “public sphere” worked as a hidden factor. In fact, the trace of “woman as externality” was deeply imprinted in the representation of men’s interiority of that time.

      • KCI등재

        내면 인식(Internal Awareness)을 위한 교육의 가능성 연구 - 내면가족체계(Internal Family Systems)를 중심으로 -

        양성진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 논문은 인간의 내면세계 이해와 인식을 중심으로 전개한다. 내면에 어떠한 감정, 생각, 신념, 의지, 동기가 존재하며, 내면화되고, 행동으로 표출되는지를 설명한다. 복잡하고 다층적인 내면의 이해와 인식은 내면 혼란에서 벗어나 균형과 조화를 이루게 한다. 연구자는‘내면가족체계(Internal Family Systems)’라는 심리치료의 관점으로 연구하며, 내면 인식을 위한 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내면가족체계의 이해이다. 내면가족체계는 기본적인 두 개념이 있다. 다양한 감정, 생각, 기억, 신념, 감각이 내면에 존재하는‘마음의 다양성’과 그것들이 하나의 내면세계를 구성하는‘체계사고’이다. 또한 내면가족체계는 내적 공간으로서 인간 의식을 두 차원으로 이해한다. 다양한 부분들이 잠재적으로 저장된 의식의 저장소와 활성화된 공간으로서 의식이다. 이러한 내적 공간에 참자아와 부분들이 함께 존재한다. 참자아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영적 핵심이고, 부분은 고통의 짐을 진 추방자와 추방자를 보호하는 소방관과 관리자인 보호자가 있다. 내면가족체계는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접근하는데 중요한 길잡이가 된다. 둘째, 내면가족체계를 통한 교육적 고찰이다. 연구자는 내면 인식을 위한 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내면 혼란은 인간의 고통을 일으킨다. 내면 혼란은 부분들의 불균형, 양극화, 그리고 참자아의 리더십 부재 때문이다. 그러므로 균형과 조화의 내면 평정을 위해서 내면 인식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내면인식의 교육은 세 가지 목적이 있다. 첫째,‘내면세계의 이해와 인식’이다. 내면의 이해와 인식은 고통에서 자유롭게 되는 출발점이다. 둘째, 참자아(Self)가 주체가 되게 한다. 참자아를 발견하고, 접근하며, 리더십을 회복하는 것이다. 참자아가 치유와 회복의 영적 핵심이기 때문이다. 셋째, 균형과 조화의 온전성이다. 참자아의 리더십 아래에서 부분들이 균형과 조화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교육의 방법론적 접근으로서 주의 집중, 경청, 연민(compassion)의 시선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human internal world. I explore Internal Family Systems(IFS) as a framework to see the internal world. The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nternal world enables us to maintain equilibrium, balance, and harmony from inner turbulence. Thus, this paper reflects on possibility of education for internal awareness.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t describes the principles and structures of IFS. There are two important principles in IFS . The first one is ‘multiplicity of mind.’ Human beings have various emotions, thoughts, memories, beliefs, and sensations. The second is ‘systems thinking.’ A variety of emotions, thoughts, memories, beliefs, and sensation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organized as a internal family systems. Also, internal world is divided into two inner spaces; store consciousness or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Various emotions, thoughts, and inner voices stay in store consciousness with inactivated states. But when they are activated, they enter in consciousness. IFS understands that there are Self as spiritual core and various parts in inner world. Especially, all part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roles: exiles, which are protected parts, and managers and firefighters, which are protectors. IFS is a important navigator to access and understand inner world. Second, this article deals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as possibility of education through IFS. Our extreme and aggressive behaviors are grounded on imbalances, polarization, and the absence of Self or Self-leadership. This is why education for internal awareness is needed. Thus, it has three goals;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inner world, the rediscovery or restoration of the Self-leadership, and wholeness of balance and harmony under the guidance of the Self. Moreover, I provide focused attention, listening, and gazing of compassion as educational approaches for internal awareness.

      • KCI등재

        건강한 심리를 이끄는 내면화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과 목회상담학적 관점의 비교 - 페어베언, 클라인, 캡스 및 사례를 중심으로 -

        김태형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인간의 관계 경험은 내적 대상으로 내면화의 과정을 거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 내면화(internalization) 과정에서 기쁨, 불안 등의 정동이 결합해서 내면화된 대상 은 실제 외부 대상과 다른 특성을 보이게 될 수 있다. 한편, 내면화는 일단 형성이 되 면 실제 외부 대상과 별개로 그 자체로 독립되어서 인간 인식과 행동에 영향을 끼치 게 되기 때문에 건강한 내면화는 심리적 건강을 돕는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논의 과정을 설명하려고 한다. 내면화에 대해서 도날드 페어베언(Donald Fairbairn)은 감당 하기 힘든 관계 경험이 내면화되며, ‘리비도적 자아’(libidinal ego)와 ‘반리비도적 자 아’(anti-libidinbal ego)라는 분리된 내면화가 ‘중심적 자아’(central ego)에 영향을 준 다고 말한다. 반면에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은 모든 관계 경험이 내면화되며, 외부 대상을 부분적으로 내면화하는 ‘편집적 자리’(paranoid position)에서, 보다 다양 한 대상의 특성이 내면화로 발전하는 ‘우울적 자리’(depressive position)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한편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인간의 심리 상태를 ‘병든 영혼’(sick soul)과 ‘건강한 마음’(healthy mind)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하나님 임재 경험의 영향력을 통하 여 영혼의 힘을 기를 때에 건강한 심리를 얻게 된다고 말한다. 도날드 캡스(Donald Capps)는 제임스가 말하는 지속적 하나님 임재 경험을 ‘하나님 현존’(Presence of God)으로 묘사하며, 일반 심리치료가 줄 수 없는, 깊고 근원적인 평안을 주어서, 다양 한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논의와 관련된 사 례분석을 제시하려고 한다 .필자는 주로 문헌연구와 방법으로 위와 같은 관점을 통하 여 목회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일반 심리 치료보다 더욱 강력한 건강한 위로자라는 내 적 대상의 내면화를 도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경향의 내면화는 궁극적으로 이 런 내면화는 내담자로 하여금 건강한 심리를 갖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변함없이 위로 하시고 돌보시는 하나님 현존이라는 가장 건강하고 수준 높은 내면화를 경험하도록 이끈다.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are changed as internal objects in internalization. By the way, through Internalized precess, internal objects are apt to take different traits from original outer objects, with combinations of emotions, such as joy or agitation. So healthy mind-leading internaliz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once a certain internalization is made, it independently, affects man's recognitions and behaviors. I explain this study's viewpoint as following process. According to Donald Fairbairn, unbearable experiences are internalized as 'libidinal ego' or 'anti-libidinal ego', and they influence on central ego's state. But Melanie Klein explains that every experience is internalized, firstly as 'paranoid position'(in which outer objects are internalized with certain partial-trait-loaded internal object), secondly as 'depressive position'(in which outer objects are internalized with multi-faced internal objects). William James explains that human mind can be divided sick soul and healthy mind, and that healthy mind can be attained by raising soul power, through by supplying sustaining experience with inner-stay of the God. Donald Capps depicts such experience as the presence of God and he insists that it helps overcoming various inner sufferings, through deeper and more profounder peace and comfort than psychology does. And at the end of study, I suggest a case. I also use the methodology of text-reading analysis. In this point of view, pastoral counselors can help clients get healthier and stronger comforting internalization, more than psychology. Ultimately, this kind of internalization leads clients to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with pouring everlasting comfort.

      • KCI등재

        내면의 미적 발견과 유토피아

        김행숙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1 No.-

        미적 내면을 분할해내는 논리는 문학의 자율적 영토를 상상하고 제도화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 그 특별한 내면이야말로 미적 유토피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발견되었다. 근대적인 분화의 국면에서 '문학'이 다른 분야와의 차이로서의 가치를 담당하게 되었을 때, 미적 유토피아는 그 가치의 궁극과 통하는 관념이었다. 먼저, 내면을 세 부분으로 분할한 '지·정·의' 체계가 '문학' 개념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데 도입되었는데, 여기서 '정(감정)'은 문학의 토대가 되는 내면의 영역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진·선·미'의 가치론적인 분화의 체계에 있어서의 '미'의 가치와 연결되는 내면의 성질로 설정되었다. '문학(미)과 도덕(선)', '문학(미)과 과학(진)' 사이의 차이를 도드라지게 하고 그 연관성을 새롭게 마련하려고 했던 다양한 시도들에서 문학의 독자성이 떠오르고 있었다. '문학과 도덕'의 분할을 특별히 의식한 담론들에서 도덕적 지평을 넘어서는 미적 유토피아가 상상되었다. 또한 '문학과 과학의 차이를 강조하는 문맥에서 지적 방법의 한계가 지적되고 예술적 방법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자연미가 예찬되기도 했으며, 그 한편으론 근대문명의 놀라운 위용 앞에서 과학적 창조력을 미적 창조력과 관련시키고 싶어했는데 이 경우 유토피아는 내적 창 조력의 산물로 상상되기도 했다. 다음으론, 이렇게 특화된 미적 내면이 좀더 구체적으로 어떤 논리와 양상으로 예술적 유토피아의 관념과 연결되었는지 살폈다. 1920년대 초기에 명멸했던 많은 동인지들을 비롯해 이 시기의 텍스트들은 '내면을 들여다보는 인간'이 문학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장면을 보여준다. '일기'가 새롭게 문학적인 욕망 속에서 부각되었고, '고백'은 내면의 표현으로 간주되었다. 이 시기의 대다수 청년작가들은 '내면을 들여다보는 자' '성찰하는 자'의 정신을 특권화했다. '유한한 물질계'와 '무한한 정신계'라는 위계적인 이분법을 작동시킨 인식론을 토대로 배타적인 '내면 공간'은 미적 유토피아를 향한 초월의 계기로 사유되었다. 이들은 초월적 비전이 수행되는 '내면 공간'을 보여주고자 했는데, 이들의 작품에서 유토피아를 향한 초월은 계속해서 좌절되고 연기된다. 이들은 이렇게 '움직이는 내면', '고뇌하는 내면', '고독한 내면'을 보여줌으로써 '내면'의 실감을 창출해내고 있었다. 미적 유토피아라는 이상은 미적 내면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었다고 하겠다. It played an very important function that the logic to divide the inside systematizes an autonomous territory. The aesthetic inner mind based upon 'emotion' was found as the place to complete an aesthetic utopia. In an aspect of a modem specialization, when literature took charge of a an independent value to be different from other fields, the aesthetic utopia was thought to have a thread of conception with completion of such values. It was imagined that the aesthetic utopia transcends a moral horizon. Also,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a scientific method and it admired a natural beauty capable of arrival only a artistic method. On the other hand, a scientific creativity would be correlated an artistic originality on a surprised grand appearance in the modem civilization. This case, the utopia was also imagined as product of an inner mind. A lot of writers in the early stage of the modem literature gave a high grace to a human’s spirit of self-reflection. We regarded the inside space as a place to complete transcendence toward an artistic utopia based on dichotomy limited physical world and infinite spirit world. But, transcendence toward an artistic utopia continually was frustrated and postponed in their works. They were producing a inside actual feeling by showing 'Moving inner mind' toward the artistic utopia. We could say that the ideal called by the artistic utopia supplied energy to the artistic inner mind.

      • KCI등재

        중세철학에서 「내면성」의 의미-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론』을 중심으로-

        이명곤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 여 고찰하는 이원론적인 혹은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 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중세의 대표적인 철학자라 할 수 있는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유에서 ‘내면성’이란 어떠한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다루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그의 『고백록』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그는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체험되는 내면성의 의미를 일종의 실존적인 해명(고 백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 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 모두에게 공통되 는 것으로서의 내면성의 개념은 신(존재)이 존재하는 모든 것의 존재함의 근거(지반)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이다. 이는 ‘존재론적인 지반으로서의 기저, 혹은 근거’를 말하는데, ‘심오함 것’이란 의미를 가진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실체적인 것이 보다 우유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인들의 존재방식을 말하면서 진리자체(신적 인 진리)가 다른 개별적인 진리들에 대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토마스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유기적인 통일체로 고려하면서 보다 실체적인 것(고 유한 것)이 보다 내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두 철학자들 사이에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혹은 ‘정신적인 것’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 보다는 인간이 보다 내면적이 되면서 보다 타자에로의 열림이 가능하게 되고, 내면성을 통해서 관계성이 깊어지고 풍요로워진다고 이해되어 진다. 그리고 보다 분명하게 나타나는 차이점은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은 필연적으로 초월성을 동반하는 것인데,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점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이다. 마지막으 로 아우구스티누스에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자아가 완성되어지는 것으로 이해되는 데, 토마스에게 있어서는 내면성을 통해서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관점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면성에 대한 고찰은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즉 유한한 인간이 어떻게 절대자인 신과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질적으로 다양한 존재로 형성된 세계가 하나의 유기체적 전체(통일성)를 형성하고 있는지, 어떻게 다양한 한계를 지닌 인간이 타자와 보다 큰 세계로의 열림이 가능한지 하는 점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Le point de vue général pour comprendre l'ê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âme(esprit) et du corps(matiè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è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traitée aussi sé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â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quelle est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ériorité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qui sont les deux représentants de la philosophie médiévale. Chez St. Augustin la notion de ‘l'intériorité’ se manifeste surtout dans ses ‘Conféssions’. Il la manifeste comme explication existentielle (fome de la conéfession) expérimentée au coeur de sa vie humaine. Par contre st, Thomas la manifeste par l'analyse métaphysique de la structure de l'être.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ê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an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ériorité de tout être. Dans ce sens là la notion de l'intériorité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Le point de vue qui est resembleant mais différent est que une chose substentielle est plus intérieure que celle de accidentelle. Pour St. Augustin la vérité elle-même qui se trouve chez les saints est plus inérieure que celle des vérités particulières. Tandis que St. Thomas en considérant les êtres comme unité substentielle, considére ce qui est substentiel(propre à l'essence) est plus intérieur que celui de propriétairs. Or ce qui est manifestement différant ces deux philosophe, c'est que St. Thomas considére l'intériorité accompagne nécessairement la transandance, tandis que St. Augustin ne le traite pas. Quant il s'agit de l'intériorité en tnat que ‘spiritualité’ en rapport à la relation, St. Augustin pense que l'intériorité est ce qui remplace le vide de existence humaine et qu'elle se forme par la relation humaine ou divine. Tandis que St. Thomas pense que ce n'est pas la reation qui constutue l'intériorité, mais que l'homme en devenant intérieur devenue ‘ouvert’ et sa reation devenue aussi profonde. Le dèrnier point de vue est que pour St. Augustin la consciencede soi s'accomplit par l'intérioirté, tandis que pour St. Thomas par l'intérioirté il est possible de s'ouvert vers un monde plus grand. La notion de l'intériorité ainsi compris nous donne un point de vue trè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à-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é des éléments divers puet être une unité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ède les limites peut ê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 KCI등재

        교육적 지식으로서 내면적 지식: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7권과 10권을 중심으로

        이정인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2

        Against the view that the educational value of knowledge can be found in knowledge itself or the practical utility of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inner knowledge as educational knowledge that fundamentally engages with the inner side of students. To this end, I analyze the inner knowledge that Augustine explains in books 7 and 10 of his Confessions. In book 7, after reading the books of Platonists, Augustine understands that intellectual things exist differently from physical things and that the inner side is the evidence to show the intellectual way of being and the final cause of knowledge. In book 10, Augustine suggests three kinds of inner knowledge as follows: (1) knowledge exercised by the inner, (2) knowledge that already exists in the inner, and (3) knowledge of the inner itself, or interiority. The third kind of knowledge, as knowledge of ‘God in my mind’, is the ultimate basis and standard of knowledge, whose the clue is to be found by seeing what we naturally hope for. 본 연구는 지식의 교육적 가치를 지식 자체의 가치나 지식의 실용성에서 찾으려는 기존의 견해들에 대한 대안으로 학습자의 내면과 관련된 내면적 지식을 검토한다. 내면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지식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교육적 경험이 담긴 「고백록」 7권과 10권이다. 「고백록」 7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학파의 저서들’을 읽고 지성적인 것이 물리적인 것과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며, 내면은 그 자체로 지성적인 것의 존재방식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지식의 최종 원인이자 근거라고 주장한다. 「고백록」 10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내면과 지식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이에 따라 내면적 지식은 (1) 내면을 발휘하여 얻는 지식, (2) 내면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지식, (3) 내면 그 자체 즉 내면성에 대한 지식으로 나뉜다. 내면적 지식의 핵심인 세 번째 내면적 지식은 ‘내 안의 신’으로서 지식의 최종적인 근거이자 표준이며, 이에 대한 단서는 우리가 본성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것들을 파악함으로써 발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