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croscan과 Vitek II 시스템을 이용한 Vibrio vulnificus의 동정

        양성진,신종희,조덕,기승정,신명근,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5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5 No.1

        Background : Vibrio vulnificus sepsis requires a rapid and accurate bacteriological diagnosis for optimal management of the patient because of its high mortality. We evaluated two automated bacteriological identification systems, Microscan (WalkAway 96, Dade Behring, West Sacramento, CA, USA) and Vitek II (bioMerieux, Durham, NC, USA), for their ability to identify V. vulnificus strain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Methods : A total of 60 V. vulnificus strain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 Chon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3-2003 were tes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by the Microscan, Neg Combo type 32 was used and four different panel inoculation methods were evaluated for accuracy. Identification by the Vitek II system was carried out using Vitek ID-GNB cards in accordance with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using 0.45% saline media. Results : With the Microscan, the most accurate identification result was obtained after a modified inoculation method of the panel with a bacterial suspension prepared in 0.85% saline; the identification rate was 100%. The identification rate of Vitek II system was 96.7%; two strains of V. vulnificus were misidentified as V. harveyi and V. alginolyticus.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Microscan and Vitek II are adequate for the identification of clinical isolates of V. vulnificus, but for the identification by the Microscan a modified inoculation method should be used by suspending the organisms in 0.85% saline. 배경 : Vibrio vulnificus 패혈증은 사망률이 높은 감염질환으로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최근 많은 병원에서는 균 동38 양성진신종희조덕 외 4인정을 위하여 Microscan WalkAway 96 (Dade Behring, WestSacramento, CA, USA) 및 Vitek II (bioM rieux, Durham, NC,USA)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저자들은 이들 자동화 동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V. vulificus를 동정하여 보았다.방법 : 1993년부터 2003년 사이에 전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확정 동정되어 보관 중이던 V. vulnificus 60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Microscan에 의한 균 동정은 Neg Combo type 32를 사용하였는데, 균 부유액을 제조하여 판넬에 접종하는 방법을4가지 방법으로 시행한 후, 균 동정률을 비교하였다. Vitek II에의한 균 동정은 Vitek ID-GNB card를 이용하여 지침서대로 균집락을 0.45% 식염수에 푼 후 시행하였다.결과 : Microscan을 위해 사용한 4가지 균액 접종 방법 중 0.85% 식염수만을 사용하여 균 부유액을 만들고 패널에 접종한 방법이 동정률 10% 로서 가장 정확하였다. Vitek II에 의한 동정 결과 58주(96.7%)가 V. vulnificus로 동정되었고 나머지 2주(3.4%)는 V. harveyi 및 V. alginolyticus로 동정되어 추가 검사를 요하였다. 결론 : Microscan과 Vitek II는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V. vulnificus를 비교적 정확하게 동정하였으며, Microscan을 사용할 경우 0.85% 식염수 균액 희석 접종법 사용이 권장되었다.

      • KCI등재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

        양성진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본 글은 성서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한 제언이다. 연구 자는 성서교육의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서, 이전에 선행 연구된 성서교육을 지적인 접 근으로서의 성서교육, 정서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행위적 접근으로서의 성서교육 방법으로 분류한다. 세 영역의 성서교육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적·간학문적·분리를 극복하는 성서교육의 접근방법, 다양한 삶의 현장의 인식, 해석의 주체 등의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지적, 정서적, 행위적 성서교육으로 분류하고 연구한다. 첫째, 지적 성서 교육 방법은 해석학적 성서교육이다. 해석학적 성서교육은 현재의 삶의 자리에서 텍 스트에 담긴 하나님의 뜻을 성찰하고, 비평하며, 해석한다. 현장과 성서의 변증법적 해석은 하나님의 온전한 뜻을 실천하는 삶으로 인도한다. 둘째, 정서적 성서교육 방법 은 성서의 시각적 읽기이다. 성서 본문과 본문을 시각화한 성서-이미지가 교차적으로 작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차원의 성서교육이 다. 마지막으로 행위적 성서교육 방법은 몸을 활용한 비블리오드라마(Bibliodrama)이 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서 이야기로 들어가서 성서 본문을 온몸으로 경험하고, 느끼고, 응답하는 성서교육이다. 성서 교육 방법론 연구를 통한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 번째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을 위한 통합적인 성서연구 접근, 간학문적인 접근, 분리 를 극복하는 접근 등을 제언한다. 두 번째는 성서의 현장, 성서 교육의 현장, 참가자 의 삶의 현장의 다양성을 인식하는 통전적인 성서교육에 대하여 제언한다. 마지막으 로 성서교육에 참여하는 참가자는 ‘해석의 주체’가 되고,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계 시를 해석하고, 실천하는 실천 신학자로 하나님의 현존을 경험하는 해석의 주체로 제언한다. his article suggests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through a study of the methods that have been used for biblical education. Based on a study of the previous literature on biblical education, I determine that biblical education has had three main approache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fter reflecting on the various methods that go with these approaches, I propose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in the three perspectiv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I explain the three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and their methods. First, the cognitive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uses a hermeneutical method. This method entails reflecting on, criticizing, and interpreting God's desire and will as these are indicated in the biblical text and then applying one’s conclusions within the present context of one’s life. The dialectical interpretation between the present context and the Bible leads one to practice God's will in the whole of one’s life. The second approach to biblical education is an affective one that engages in a visualized reading of the Bible. This approach enables people to perceive God's desire and will through a sensitive and intuitive method of interaction between the biblical text and visualized images of it. Third, the behavioral approach utilizes people’s whole bodies in Bibliodrama. In this way, it guides individuals to enter into biblical stories. In addition,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and to feel the biblical text and to respond to their lives with their whole bodies. In the third part of this article, I propose three perspectives for holistic approaches to biblical education based on my reflections on the three types of biblical education. The first holistic approach includes an integrated Bible stud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a perspective to overcome separation. The second approach guides people to recognize various forms of diversity through the various contexts within the biblical text, biblical teaching, and the participants themselves. The final approach suggests that participants in biblical education become the subjects of interpretation as practical theologians who interpret and practice God's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ir own lives.

      • KCI등재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 분석

        양성진,이은철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chool level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nd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For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formed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s and a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s surveyed 811 teacher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measure scales of depression, rumination, and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Prim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were the grouping variables for the school level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to affirm equivalence between the two models, the data was investigated using the constrained model of measurement equivalence. The research results verified the equivalence between the two models and the moderating effect by comparing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two models on the assumption of equivalence constraint. As a result,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school levels was revealed on the path from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to depression. Grounded on this analysis,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mediates the impact of rumination in teachers’ depression. In addi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n str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vari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affected middle school teachers but not prim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교원의 우울에 대한 직무 관계 스트레스와 반추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교급에 의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초등, 중등교원 811명을 대상으로 우울, 반추, 직무 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학교 급을 집단변수로 산정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모형 간의 동질성을 전제하기 위해 측정의 동일성 제약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 간의 동질성이 검증되어, 집단 간 등가제약을 전제로 하여 두 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교 급에 의해 조절효과는 직무관계 스트레스에서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나타났다. 이는 우울에 대한 반추의 영향을 직무관계 스트레스가 매개하며, 학교 급에 따라서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다르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초등 교원보다 중등 교원의 직무관계 스트레스에 의한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Theological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Differing Perspectives of the Bible in a Faith Community : A Case Study

        양성진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9 No.-

        연구의 목적은 한 신앙 공동체 안에서 현존하는 회중들의 성서 이해와관점을 묘사하고, 하나님 나라 백성의 다양한 관점이 함께 존재할 수 있는신학적이고 교육학적인 접근과 교육 방법을 제언하는 것이다. 리차드 오스머가 제시한 실천 신학적 해석적 틀을 기반으로 한 신앙공동체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될 것이다. 논문은 네 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신앙 공동체의 성서 이해와 관점을 상세하게 묘사하기 위한 해석적 방법론을 설명할 것이며, 두 번째는 신앙 공동체의 성서와 신앙에 대한 다양한이해, 관점, 인식을 다룰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신앙공동체 구성원이 가진 성서와 신앙의 관점이 어떻게 형성된 것인지를 고찰하며, 네 번째에서는 신앙공동체에서 다양한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과 교육학적인 접근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신앙의 공동체 안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회중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교육학적인 방법을 제언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understandings and perspectives of the Bible that are present within a faith community, to consider the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that will guide people within a faith community to coexist harmoniously, and to provide educational methods that will help achieve this goal. Richard Osmer’s model of practical theological interpretation serves as a framework for this study and is explained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In the second section, diverse beliefs and understandings of the Bible in a faith community are described via a case study. In the third section, the author takes into account congregants’ different religious experiences and analyzes why they have come to hav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Bible. The fourth section proposes theological perspectives and a pedagogical model as approaches to increasing understanding of diverse beliefs within a faith community. Finally, this article provides three educational methods to help people with diverse perspectives exist together harmoniously within a faith community

      • KCI등재

        응집적 자기를 위한 자기 심리학의 교육적 고찰 - 공감적 반응과 변형적 내면화를 중심으로 -

        양성진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본 연구는 응집적 자기 형성과 유지를 위한 자기 심리학을 연구하면서 실천 동력이 되는 공감적 반응과 변형적 내면화에 대한 교육적 고찰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하인즈 코헛(Heinz Kohut)의 자기 심리학을 근거로 응집적 자기 형성과 유지를 위한 교육적 함의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코헛의 자기 심리학에 입각하여 자기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자기의 언어적 개념을 통해 자기의 ‘주체적 속성’을 확인하였고, 프로이드, 하트만, 코헛에 이르는 자기 개념 이론의 발달 과정을 정리하였다. 또한 건강한 자기 구축의 핵심 원리인 자기애(narcissims)와 자기 대상(selfobject)의 의미를 분석하였고, 자기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응집적 자기 형성’의 중요한 요소인 ‘공감적 반응’과 ‘변형적 내면화’를 교육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공감적 반응에서 인간의 평생의 핵심 과제라고 할 만한 응집적 자기 형성과 유지를 위해서는 자기 대상의 공감적 반응에 대한 경험이 항상적, 지속적, 안정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감적 반응은 피양육자나 학습자의 주체성을 인지하고 존중하는 전제 위에서 전인적, 종합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욱이 자기 대상자인 양육자나 교사는 피양육자나 학습자의 감정과 경험을 ‘진정으로’ 자기의 것처럼 공감하면서 받아들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변형적 내면화에서 자기는 수동적 수용자가 아닌 능동적 주체자라는 인식의 변화와 공감적 반응의 경험을 선별하고, 자기 대상의 심리적 기능을 대행하는 주체적 자기 인식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응집적 자기 형성과 유지를 위한 자기 인식은 자기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전제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파편화된 자기를 재생산하는 기계적, 비인간적 교육이 아닌 자기가 주체가 되며,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공감적 이해가 길러지는 교육의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Grounded in the self psychology theory of Heinz Kohut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self, this article reflects on educational issues for restoring a cohesive self from a defective and fragmented self. First of all, it deals with understanding concepts of the self based on the self psychology of Kohut. It discovers a concept of the self as a subjective being in the linguistic definition of self, and it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self-concept from Sigmund Freud to Heinz Hartmann to Heinz Kohut. It then explores empathic responses and transmuting internalization as principal factors for building up a structure for the cohesive or defective self, explaining theoretical principles of narcissism and the self-object in the formation of the self-structure.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conceptional understandings of self psychology, the article reflects on some implications of empathic responses and transmuting internalization for the cohesive self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Experiences of empathic responses are important foundations and should be designed into the field of lifelong eduction for the formation and balance of the self. In addition, empathic response is considered in its holistic dimensions, not just the emotional one. Also, the article emphasizes the self-object as agents of empathic responses should accept the emotions, thoughts, motivations, experiences, wills of others as his or her own. In terms of transmuting internalization, the article suggests a change in recognizing that the self is not a passive receiver but a subjective being of empathic responses.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self-awareness of his or her own experiences based on the empathic responses of self-objects. Self-awareness is grounded in empathic understanding of self in the processes of transmuting internalization.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에 근거한 신앙을 위한 놀이의 재개념 연구

        양성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59

        This article reconceptualizes the play in the perspective of faith grounded on a study of gamification and suggests ‘faith-thinking,’ ‘faith-elements,’and ‘faith-motivation’ for the play with God. Human life can not be separated from play. While Human is a playful being who instinctively pursues play, play is regarded as negative. Moreover, play is perceived as being opposed to education and faith. Recently, the encounter of education and play is taking place i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It brings us “Gamification” as fusion approa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the study of Gamification and the theological,educational, and pastoral conception of play, which has been studies in the past, interacted with each other, the paly for Faith grounded on Gamification is re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faithful thinking, the elements of faith, and faithful motivation. First of all, this article articulates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mification as a fusion approach of education and play. Gamification is defined as being applied of game elements in non-game context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amification is the game thinking, which uses game mechanics and principles, game elements ,such as goal, rule, competition, confrontation, cooperation, time, feedback, level, story, interest, and aesthetic impression, and motivation of game classified in two kind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tudy of Gamification enable us to reinterpret the play with God for faith as the trust with God. In this respect, we recognize that play is play with God in which we reflect on faithful thinking, elements of faith, and faithful motivation. Faithful thinking invokes us to recognize Deus ludens, homo ludens, the play of salvation with Jesus Christ, ecclessia ludens, and the play ground of the play with God. The elements of faith brings us to have belief about Deus ludens, to form relationship as being together with playful God, to experience mystery to indwell in and be possessed in God, and to devote commitment providing hospitality to God, person, and all sentient beings. In the perspective of faithful motivation. there are two main types of motivation; intrinsic-faithful motivation and extrinsic-faithful motivation. The extrinsic-faithful motivaion is ‘life rules of play for faith’and the intrinsic-faithful motivation is suggested as autonomy of faith, competence, belonging of community of God’s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게이미피케이션의 연구를 중심으로 신앙을 위한 놀이를 재개념화 하고, 하나님과의 놀이에 대한 신앙적 사고, 신앙적 요소, 신앙적 동기를 발견하며, 하나님과의 놀이에 대한 신앙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인간의 삶은 놀이와 따로 뗄 수 없다. 인간은 놀이를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놀이적 존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놀이를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더욱이 놀이를 교육과 신앙과는 대립되는 것, 정반대의 것으로 인식한다. 최근에 교육과 놀이, 놀이와 교육의 융합적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대립되는 것, 정반대의 것, 역설적인 것들이 서로 만나고,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결과물이 산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게임과 교육의 융합적 시도로 출현한 것은“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이다. 게이미피케이션의 연구와 이전에 선행 연구된 놀이의 개념이 만나면서 게이미피케이션에 근거한 신앙을 위한 놀이를 신앙적 사고, 요소, 동기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먼저 논문은 교육과 게임의 융합적 산물인 게이미피케이션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본다.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에서 사용하는 요소들을 게임 이외의 분야에 적용한 것이다. 게이미피케이션의 중요한 특성으로 게임 메카닉스의 활용과 같은 ‘게임적 사고’가 있으며, 목표, 규칙, 대립, 경쟁, 협동, 시간, 보상 체계, 피드백, 레벨, 이야기 전개, 흥미곡선, 심미성 등의 ‘게임적 요소’가 있고,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분되는‘게임적 동기’가 있다. 게이미피케이션의 연구를 중심으로 하나님과의 신뢰라는 신앙을 위해서 하나님과의 놀이를 성찰하며 재개념화 한다. 놀이는 하나님과의 놀이이며, 하나님과의 놀이로서의 신앙적 사고, 신앙적 요소, 신앙적 동기를 발견하게 된다. 먼저 놀이하는 하나님, 놀이하는 인간, 놀이하는 공동체,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구원 놀이, 하나님의 놀이터, 하나님과 함께 놀기 라는 신앙적 사고를 발견하게 되며, 놀이하는 하나님에 대한 신념(belief), 놀이하는 하나님과 ‘함께 함(being together)’이라는 “관계(relationship)”, 놀이하는 하나님을 ‘향유’하는“신비(mystery)”, 하나님과 놀이에 참여하는 놀이자를 ‘환대’하는“헌신(commitment)”이 신앙적 요소가 됨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신앙적 동기는 외재적 신앙동기와 내재적 신앙동기로 구분하면서, 외재적 신앙동기로서 ‘규칙적인 놀이의 일상성’과 내재적 신앙동기로서 신앙의 ‘자율성’, 영적인 만족감으로서의‘유능감’, 하나님 나라 백성 공동체라는 ‘소속감’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