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과 중국의 국경물류에 관한 연구

        김웅진 ( Woong Jin Kim ) 한국물류학회 2011 물류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는 그동안 북한과 경제협력을 추진하여 왔으나 최근 천안함사건과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인하여 중단상태에 있다. 장기적으로 우리나라가 동북아중심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남북한 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북한과 중국은 18개 출입처를 통하여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져 왔으나, 향후 나진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도문-남양 출입처와 개산둔-삼봉 출입처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 압록강과 두만강에 인접한 이른바 동북3성에는 커다란 변화가 있다. 이른바 동북3성 개발계획에 따라 동북아중심으로의 거대한 발전계획이 중국 정부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러시아 또한 나진항 지역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른바 중국은 동국3성 진흥계획의 일환으로 장길도계획(長吉圖計劃)이 추진 중이며, 이 지역을 둘러싼 한·중 및 북·중간 역사적 관계를 고려해볼 때 단순한 중국내 지역개발전략 이상의 정치 경제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장길도 개발계획의 경제학적 의미는 장춘-길림을 일체화하여 산업도시 클러스터를 만들고, 이것을 성장의 배후지로 해서 연길-용정-도문을 개발의 최전방으로, 훈춘-나진을 창구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한편 정치적으로는 두만강개발계획을 주도하고, 동북아국가들보다 앞서 지정학적 이득을 선취하고자 하는 전략이 내포되어 있으며, 중앙정부 차원의 국가개발전략추진을 통해 개발을 거부해 왔던 북한을 끌어당기고 북한지역을 동북3성 지역경제권에 일체화시키려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다. 이외에도 동북아에서의 미·일 중심 국제정치구도를 중국 중심의 국제정치구도로 전환시키고자하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다. 장길도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북한의 자진선봉지역에 위치한 나진항의 활용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데 그 이유는 중국이 가지고 있는 다롄항은장길도 지역에서 떨어져 있고, 물류 포화상태를 맞이하고 있으며, 동해로의 수송로 확보와 물류비 절감을 위하여 장길도 인접지역인 나진항의 사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나진항은 동북3성의 출해구(出海口)이자 한반도종단철도(TKR),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만주횡단철도(TMR) 등이 만나는 지역에 위치한 부동항(不凍港)으로 개발잠재력이 크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 통일 이후의 한반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우리나라는 중국중심의 동북아경제권 구축을 지향하는 중국의 ``동북진흥계획``, ``장길도 개발계획``에 대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위치를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중국 물류시장에 진출함은 물론 한반도경제권 구축과 물류의 효율화 측면에서 이에 대한 대응전략수립이 필요하다. Our country have propelle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North Korea meantime but there is in suspended state lowering by the latest Cheonan Warships(天安艦) case and Yeonpyung island artillery case. Our country will have to become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to become Northeast Asia in the inner parts country for long-term. North Korea and China have been human traces, physical alternating current through 18 beats meantime, but practical use of Domun(圖們)-Namyang(南平) entrance and exit place and Gaedunsan(開屯山)-Sambong(三峰) entrance and exit place located in place that is near geographically with Najin(羅津) hereaft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re is big change to so-called Northeast 3province(東北3城) that adjoin to the latest North Korea Yalu River(鴨綠江) and Tumen River(豆滿江). What is called, huge development project of Northeast Asia in the inner parts is attain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ccording to Northeast 3province development project, and is expressing interest in Russia and me sailing out area. What is called, China is damp JangGilDo Plan(?吉?計劃) as part of Northeast 3province promotion Plan, and when consider North Korea·China`s historic relation with Korea·China that enclose this area, contain politics economics meaning more than area development strategies in simple China. Because economics meaning of JangGilDo Development Project makes industrial city cluster, and does this by hinterland of growth embodying Jangchun(長春)-Gillim(吉林)-Yanji(延吉)-Yongjung(龍井)-Tumen(圖們) to front line of development, it is compensation which make Hunchun(琿春)-Najin(羅津) by window. Strategy that wish to one politically Tumen River Development Plan lead, and preempt ahead geopolitic gains than the Northeast Asia countries was contained, and draws the North Korea that have refused development through country development strategies propulsion of central government dimension and intention to embody North Korea area in Northeast 3province area economic bloc was contained. In addition, intention that wish to do to convert from America·Japan in the inner parts international politics composition to international politics composition of China in the inner parts in Northeast Asia was contained Because Dalian Port(大連港) that saying too much is not even though hang in Najin port(羅津港)`s practical use that JangGilDo Plan is located to North Korea`s Najin Seonbong(先鋒) area to be propeled successfully but the even speak has China need Najin port(羅津港)`s employment that JangGilDo is away from area, and meet logistics saturation, and JangGilDo is contiguity area for transport route security to Eastern Sea and Logistics cost reduction. Moreover, as well as Najin port(羅津港) is a harbor that can advance by sea of Northeast 3province, development potential energy is big to ice-free port located in area that Trans Korean Railroad(TKR), Trans-Siberian Railroad(TSR), Trans-Mongolian Railroad(TMR) etc. meet. To solve Korea Peninsula problem since this change and connection through, our country keeps own place of our country for long-term about Chinese ``East-north promote plan(東北振興計劃)``, ``JangGilDo Development Project(?吉?開發計劃)`` that intend Northeast Asia economic bloc expulsion of China in the inner parts, and advance to China Logistics market stably need confrontation strategy establishment in reply in efficiency woe side of Korea Peninsula economic bloc expulsion and logistics of course.

      • KCI등재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송규진(Song Kue-jin)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철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하여 근대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조선자원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총독부는 함경도 지방의 산업개발, 그 가운데 특히 석탄과 삼림을 개발하고 해산물을 반출함으로써 연료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함경선 부설은 함경도지역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함경선은 이후 완공한 吉會線과 연결하여 조선과 만주내륙 및 시베리아 간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길회선 종단항을 유치하기 위해 나진·웅기·청진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일제는 종단항을 나진으로 결정했다.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총독부가 초기에는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청진을 종단항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했음에도 결국 남만주철도주식회사와 관동군이 처음부터 군사요새지로 구상했던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된 것은 외삽적 권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되면서 나진·웅기·청진 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나진은 시가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종단항에 걸맞은 탄토항으로 크게 발전했다. 청진도 종단항 경쟁에서는 패배했지만 생존을 위해 총독부에 또 다른 기회를 요구하고 그것을 받아냄으로써 계속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웅기는 나진과 경계를 이루어 동반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정체적인 상태에 머물렀다. 이것이 철도가 지역사회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한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Railways, while an important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they were used as a tool allowing for the exploitation of shipbuilding resource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sought to resolve food and fuel crises through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especially by extracting coal, exploiting the forest, and exporting seafood. The construction of the Hamgyeong Line greatly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In particular, it promoted exchange between Joseon, inland Manchuria, and Siberia when it was connected to the Gilhoe Line, which was completed afterward. Najin, Unggi, and Cheongjin each contended to be the last stop on the Gilhoe Line, and Najin was eventually selected as the last port. Although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ad unofficially decided on Cheongjin as the last port, following lobbying from Cheongjin regional officials, Najin, a place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and Kwantung Army had already envisioned as a military fortress, was ultimately selected as the last port,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an externally supplanted authority. With Najin selected as the last port, the economies of Najin, Unggi, and Cheongjin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Najin evolved into a transfer port, with urban planning unfolding smoothly. Cheongjin, although it failed to host the line construction, also continued regional development by demanding and obtaining other opportunitie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owever, Unggi stagnated, despite its hope to develop along with Najin. This shows how the railways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local economies.

      • KCI등재

        함경선 부설과 길회선 종단항 결정이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나진・웅기・청진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7

        Railways, while an important symbol of modern civilization,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as they were used as a tool allowing for the exploitation of shipbuilding resource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sought to resolve food and fuel crises through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especially by extracting coal, exploiting the forest, and exporting seafood. The construction of the Hamgyeong Line greatly influenced the regional development of Hamgyeong province. In particular, it promoted exchange between Joseon, inland Manchuria, and Siberia when it was connected to the Gilhoe Line, which was completed afterward. Najin, Unggi, and Cheongjin each contended to be the last stop on the Gilhoe Line, and Najin was eventually selected as the last port. Although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ad unofficially decided on Cheongjin as the last port, following lobbying from Cheongjin regional officials, Najin, a place the South Manchuria Railway Co. and Kwantung Army had already envisioned as a military fortress, was ultimately selected as the last port, demonstrating the limitations of an externally supplanted authority. With Najin selected as the last port, the economies of Najin, Unggi, and Cheongjin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Najin evolved into a transfer port, with urban planning unfolding smoothly. Cheongjin, although it failed to host the line construction, also continued regional development by demanding and obtaining other opportunities from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However, Unggi stagnated, despite its hope to develop along with Najin. This shows how the railways acted as a double-edged sword for local economies. 철도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하여 근대문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도 조선자원 수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총독부는 함경도 지방의 산업개발, 그 가운데 특히 석탄과 삼림을 개발하고 해산물을 반출함으로써 연료난과 식량난을 해결하고자 했다. 함경선 부설은 함경도지역 개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함경선은 이후 완공한 吉會線과 연결하여 조선과 만주내륙 및 시베리아 간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길회선 종단항을 유치하기 위해 나진·웅기·청진이 경합을 벌였으며 결국 일제는 종단항을 나진으로 결정했다.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총독부가 초기에는 청진의 유지들이 총력적인 로비로 청진을 종단항으로 암묵적으로 결정했음에도 결국 남만주철도주식회사와 관동군이 처음부터 군사요새지로 구상했던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된 것은 외삽적 권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진으로 종단항이 결정되면서 나진·웅기·청진 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되었다. 나진은 시가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되며 종단항에 걸맞은 탄토항으로 크게 발전했다. 청진도 종단항 경쟁에서는 패배했지만 생존을 위해 총독부에 또 다른 기회를 요구하고 그것을 받아냄으로써 계속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웅기는 나진과 경계를 이루어 동반 발전할 것으로 기대했으나 정체적인 상태에 머물렀다. 이것이 철도가 지역사회에서 양날의 칼로 작용한 것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경우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러시아와 중국의 나진항 3호부두 사용권협상전략 비교

        신범식,박상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key factors of Russia's acquisition of the usufruct of the wharf no.3 in Rajin port in North Korea, whereas China failed to acquire the usufruct of the wharf. Theoretical frameworks from negotiation theory were applied to explain the negotiation strategies selected in Russia-North Korea negotiation and China-North Korea negotiation. As the level of the negotiator is enhanced, ‘commitment’ and ‘control’ over the result of the negotiation also grow up, resulting in increased negotiation power and varied strategic options. Also, the negotiator selects the negoti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one’s own goal of negotiation. The negotiator who wants to enhance the strategic relationship with her partner selects “accommodation strategy”, whereas the negotiator who tries to secure the direct economic outcomes selects “competitive strategy”. By applying these frameworks, this paper argue that Russia acquired the usufruct of the wharf no.3 in Rajin port with the support from high level actors in central government and by employing the “accommodation strategies” when the negotiation locked in stalemate. Russia’s negotiation strategies reflect that Russia’s approach on Rajin port is rooted from its long-term strategic consideration on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Russia and North Korea. 이 글은 나진항 3호 부두의 사용권을 둘러싸고 발생한 중국과 러시아의 경쟁에서 러시아가 우위를 점할 수 있었던 요인을 협상이론의 견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나진항 관련 협상에서 러시아의 적극인 협상전략을 채택한 배경을 유추해본다. 협상이론에 따르면 행위자수준은 협상력과 전략적 선택 범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협상전략의 선택은 협상자의 협상목표와 밀접하게 관계된다. 나진항 3호 부두사용권을 둘러싸고 중국과 러시아는 행위자차원과 전략차원에서 차이를 보였다. 낮은 수준의 행위자 간의 협상이 이루어진 중-북 협상에서는 협상을 통해 기대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행위자의 협상력이 부재했고, 전략적 조정도 일어나기 힘들었다. 반면 중앙정부 최고수준에서 협상을 전개한 러시아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는 경우, 자국이 고수하던 입장에서 물러나는 수용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협상을 지속시켰고, 최종적으로 나진항의 부두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진항을 포함한 북-중-러 소지역의 협력과 경쟁의 동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위자로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및 기업이 협상에서 담당하는 역할과 목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 KCI등재

        환동해 초국경 개발협력과 해항도시의 관계

        최영진(Choi, Young-J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8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8

        본고에서는 환동해의 결절지역이고 해항도시이며 중계항인 북한의 나진항과 러시아의 자루비노항 간의 관계가 향후 어떻게 형성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동시에 기존의 동북아시아 내 접경지역경제협력이 유엔의 對북 경제제재, 중국이 추진 중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더불어 러시아의 극동개발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 정부는 중국의 일대일로 중 하나인 중 몽 러 경제회랑과 동북아(환동해) 협력의 관건은 북한과의 관계에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2018년 평창올림픽 이후, 북 미간의 관계가 개선되고 비핵화가 진전되면, 두만강 유역을 포함한 다자간 초국경협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측면에서 환동해지역의 중층적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평면적이고 구조적으로 살펴보는 다자주의 이론보다는 역내외 관계의 행위자, 구조 및 역동적 과정을 동시에 설명하는 관계망 이론이 보다 설명력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환동해 경제적 관계의 발전을 위해 창춘-훈춘-자루비노-나진을 연결하는 초국경 산업지대를 구축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대외여건이 조성되면, 북한과도 연계될 수 있을 것이다. 프리모리예 Ⅰ, Ⅱ 프로젝트가 사실 러, 중 특정 물류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형편이다. 물류루트의 확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물류서비스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는 것도 요구된다. 한국의 입장에서는 북한의 대외개방화 정책에 발맞추어 북한의 동해안에서 나진의 항만 개발에 최우선적으로 역점을 두는 선택과 집중뿐만 아니라 단계적 전략이 필요하다. 하지만, 향후 물동량과 시간 및 거리 등에 따라 환동해의 북한 나진항과 러시아 자루비노항 간에는 경쟁적 관계뿐만 아니라 보완적 관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됨으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jin Port in North Korea and the Zarubino Port in Russia as node cities would be formed in the near future. At the same time it analyzes how the existing economic cooperation in the border region in Northeast Asia has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UN"s economic sanctions against the North Korea, the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and Russia"s Far East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s that the key to China-Mongolia-Russia economic corridor, one of China"s One Belt-One Road Initiatives, and the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cluding East Sea Rim) lies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fter the 2018 PyeongChang Olympics, if the bilateral rel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is improved and the denuclearization progresses, the multilateral cross-border cooperation in East Sea Rim including the Tumen River basin would be likely to be activated. In this respect, it seems that the theory of relational network which simultaneously explains the actors, structure, and dynamic process is more persuasive and valid than multilateralism which is merely multidimensional and structural.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rans-boundary industrial zone connecting Changchun-Hunchun-Zarubino-Rajin for the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in East Sea Rim. This could be linked to North Korea if the external conditions would be created. In fact, Primorye Ⅰ and Ⅱ project have been operated by certain logistics companies exclusively. In order to expand the logistics route, it is also required to form conditions that various logistics service companies can participate. For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policy in North Korea, it would be necessary to not only adopt selection and concentration, but also put the most priority with phased strategies on the port development of Rajin in East Coast of North Korea rather than Zarubino in Russia. It is expected to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as well as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jin port and Zarubino port resting on the volume of trade, time and distance in the future.

      • KCI등재

        라진-하산 프로젝트의 성격과 한국의 선택

        이영형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2

        This paper discusses the structure of the Rajin-Khasan Project that North Korea and Russia have jointly pursued and South Korea’s choice in relation to the project. North Korea and Russia have been establishing a bilateral cooperation environment. North Korea designated the Rajin-Sonbong Zone as the Rason Special Economic Zone since a long time ago. Russia developed its far-east region and established a new port in North Korea’s Rajin, claiming the positive effect of a two Koreas-Russia cooperative project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ussia is significantly interested in the Rasan-Khasan Project. Russia already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Rasan-Khasan railways and the reconstruction of Rajin Port, and is now pushing for a tripartite cooperative project.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become closer, and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this project has emerged as one of the major issues. To realize this tripartite joint project of the Rajin-Khasan Projec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positively resolve the issue of the UN Security Council’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본 글은 러시아가 북한과 함께 준비해 온 라진-하산 프로젝트의 구조 와 이에 따르는 한국의 선택 문제를 다룬다. 그동안 북한과 러시아는 양자협력 환경을 구축해 왔다. 북한은 이미 오래 전부터 나진과 선봉지 역을 나선경제무역지로 설정해 놓고 있다. 러시아는 자신의 극동지역 개발과 이에 필요한 새로운 항구를 북한의 나진 지역에 조성해 놓고 있으며, 남·북·러 패키지 협력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한국 정부에 주 장해 왔다. 러시아는 라진-하산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나진·하산 철도연결 및 나진 항 개건 사업을 이미 마무리했고, 남·북·러 3자 협 력사업으로의 전환을 준비해 오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게 되면 서 남북관계가 가까워졌고, 한국이 동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문제가 현안의 하나로 제기되고 있다. 3자 협력사업인 라진-하산 프로젝트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한국정부가 UN안보리의 북 제재 문제를 긍정적으 로 해결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북한 나진항 개발을 통한 창지투( 吉 ) 개발정책전략 연구

        신경환(Kyung-Whan Shin)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1 해양비즈니스 Vol.- No.19

        Northeast China is a region where the heavy industry is concentrated from the times when Japan invaded China. However,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to foreign investment, China’s economic growth has been led by labor intensive manufacturing based on foreign investment and heavy industry was losing an increasingly productive energy. As China’s reform had been opened up, especially being expanded to the role as the world’s factory, industrial zone in the Northeast which is far from harbors has been forgotten in the fast growing China because its lack of the economic efficiency. Currently, China has undertaken political plants to develop Northeast region which is called as an old industrial zone in order to develop the land efficiently. China and North Korea are recently said to be a consensus on development in Najin port. Spreading hawkish foreign policy, North Korea had pushed for nuclear and Cheonan, Yeonpyeong do incidents and provoked infar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blockade of the peak of the U.S. However, Chin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rade volum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and avoided the international pres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erefore Najin port joint development of China and North Korea has presented a new issue on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Development in the Northeast leaves China consideration about a matter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North Korea’s economic blockage by the United States which is an international issue. China will consider and practice the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to be the most beneficial way.

      • 중계수송기지로서 나진˙선봉의 입지 특성

        이옥희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 2000 綠友硏究論集 Vol.39 No.-

        북한 최초의 개방지구로 지정된 「나진ㆍ선봉 경제무역지대」 개발지역이 내ㆍ외부적 변화에 따라 종합적인 경제무역지대로부터 관광과 단순 중계무역거점으로 축소 전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두만강 개발 지역의 교통망과 물류의 흐름을 파악하여, 중계수소기지로서 나진ㆍ선봉지대의 입지 특성을 규명하고 그 잠재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나진과 선봉은 두만강 접경에 있고 동해항로로 쉽게 연결될 수 있어 화물 운송거점으로서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고 있으나, 동북아시아 물류유동의 중심항이 되기 위해서는 보완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가 있다. 첫째는 중국ㆍ러시아와 도로, 철도 연계, 항만시설확장 및 신항로 개설 등의 수송 인프라를 정비하는 한편 신속하고 간편한 국경통과 절차를 갖추는 것이다. 둘째는 지속적인 물동량의 확보이다. 장기적으로 보면 중ㄱ구 동북지방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일본이나 한국과의 교류가 증가할 것이고 종래 중국 동북부의 수ㆍ출입항인 대련항의 화물적체가 지속될 경우 환동해 지역의 물동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두만강 지역 개발의 지연으로 역내 물류량의 증가가 예상보다 더디며, 더욱이 경쟁적 관계에 있는 러시아의 자루비노항이 90년대 중반이후 중계항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어, 그 대비책의 하나로 훈춘 경제합작구와 근접한 훈륭ㆍ사이완쯔간 철교 복구나 친선교의 트럭 운송로 개발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중계수송 거점으로서 나진ㆍ선봉지대의 성공여부는 이 지역의 발전은 물론 토일 후 동북아ㆍ일본ㆍ북미를 연결하는 물류 유통의 요충지가 될 수 있는 기반이 되므로, 나진선봉이 동북아 화물중계수송의 거점으로서 또 환동해권의 중심으로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As the first region to open its doors to the outside the Rajin-Sunbong Economic Trade Zone has altered its development strategy from FEZ(Free Economic zone) to a transit transportation hub.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the Tumen River Region and the flow of material goods through this area to and determine whether in suffices as the transit transportation hub and to evaluate its potential. Rajin-Sunbong area, located adjacent to the Tumen River Area and having a sea route out to the East Sea, has perhaps the best geographical condition as a transit cargo port, however, there are many precondition that must be met before it can be the hub of the transit transportation in Northeast Asia. First, it must build infrastructure to its neighboring countries. Second, the area has to be consistently supplied with shipments. In the long term, the transit of shipments in Northest Asia will surely increase, but in order to guarantee success as the hub, Rajin-Sunbong must build its infrastructure that can complete with other neighboring ports.

      • KCI등재

        중국과 러시아의 북한 동북부 진출과 유라시아 동부지역 Pivot area의 성격

        이영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4 국가안보와 전략 Vol.14 No.3

        This paper is to apprehend geopolitical characteristic of pivot area ineastern area of Eurasia that is being expressed when geopolitical strategy ofChina and Russia infiltrate deeply. The center of the pivot area in Eurasianeast is the East Sea rim region, with Korean peninsular in center. East Sea isimportant geopolitical point in which sea power and land power surround thearea. There's a high possibility of collision in the East Sea rim when landpower expands while sea power impose blockade policy. the pivot area isemerged as conflict area. Though there are some internal conflicts between the sea power and landpower blocs among the cooperation and conflictive relationship of the nationsaround the East sea rin, but the major variable that defines geopoliticalcharacteristic of North Korea's north east area and East Sea will be thecompetition securing profit line among the sea powers and land powers. AsChina's growth and its go east policy and Russia's stance of valuing Asia andits go south policy are getting detailed, the dividing lines of the East sea andWest sea implicitly agreed during the Cold War period, are stirred up. Theexisting profit lines of East and West Sea are threaten. Influence expansion of land power advancing to N. Korea's north easternregion and Port Rajin interferes S. Korea's security policy. To shut out Chinaand Russia's exclusive management of N. Korea's northern part and northerncoast of East Sea, S. Korea should actively engage the development project onthese region. S. Korea' participation of <Rajin-Hassan Project> must be pushedahead under the ful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lso, security consultativeinstitute on East Sea rim must be formed to secure needed securitycircumstance on Korean peninsular while comprehending the geopolitical80 국제문제연구(2014·가을)characteristics of Russia's go south and China's go east policy. 본 글은 중국과 러시아의 지정전략이 북한의 북동부 지역으로 침투되면서 나타나는 유라시아 동부지역 Pivot area의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하는 것으로 한다. 유라시아 동부지역 Pivot area의 중심부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환동해 지역이다. 동해는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감싸고있는 지정학적 요충지이다. 대륙세력의 팽창정책과 해양세력의 봉쇄정책이 동일 해역에서 충돌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라시아 동부지역 Pivot area가 갈등의 무대로 전환되고 있다. 환동해 국가간 협력과 갈등관계에서 해양세력 및 대륙세력 블록 내의내재적 갈등이 존재하지만, 북한 북동부 및 동해의 지정학적 성격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는 해양세력과 대륙세력간의 이익선 확보 경쟁이다. 중국의 성장 및 동진정책, 그리고 러시아의 아시아 중시정책 및 남진정책이 구체화되면서 냉전기에 묵시적 동의하에 구획된 서해 및 동해 분단선이 요동치는 듯하다. 해양세력이 서해와 동해에 구축해 놓은 기존의 이익선이 불안해 지고 있다. 북한 북동부와 나진항으로 진출하고 있는 대륙세력의 영향력 확장 움직임이 한국의 안보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북부지역 및 동해 북부 연안을 독점적으로 관리하는 그러한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서, 한국이 북한의 북동부 지역 개발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할 것이다. <Rajin-Hassan Project>에 한국의 참여는 정부의 지원 아래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할 것이다. 그리고 러시아의 남진정책과 중국의 동진정책이 지닌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하면서, 한반도안보환경 구축에 필요한 환동해 안보협의체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정우회 국회의원 모리야 에이후(守屋榮夫)와 조선사회

        이형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4

        Moriya Eihu exerted very strong power as the ‘doorknob power’ of the governor of Chosen during his term of office in Chosen, and continued to have an influence on Chosen with the ‘personal connections of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and those of the northeast area remaining in Japan as his background, even after he had left Chosen in 1924. Even after he became a member of House of Representatives, he raised funds for the war and rallied its supporting forces by establishing a Chosen branch of Dainihonsyouwarenmei, his own political organization. Using his ‘personal connections with Chosen people’ as a former lawyer, he took charge of big cases in Chosen, and got deeply involved in Chosen society and pending issues of Chosen by playing a role of window of the colonial lobby between Japanese in Chosen and influential people of Chosen. In this paper, the cases that Moriy was concerned with in his Jungwoohoe days, such as the case of Chosen industry, the establishment of Hamheung hydroelectricity, the Chosen civil engineering collusion case, and the matter of accepting Najin land, were used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colonial politics operated. As a former colonial officer, Moriy made trials of the Chosen industry case, the Chosen civil engineering collusion case and others advantageous to his clients by contacting judges in advance or by mobilizing the Chosen governor, the prime minister, and the first political party, Jeongwoohoe, during the trials. Through his defense in the Akutsu trial where he turned away from the Chosen people whose land had been taken away, he not only earned a reputation as a lawyer, but also could finance his office as a member of House of Representatives. He raised funds by speaking for the influential Japanese in Chosen. In addition, he was also actively involved in the business of interest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Hamheung hydroelectricity or the matter of accepting Najin land. In this process, he contact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Mantetsu, local governments and others and lobbied them widely. His ‘colonial lobby’ for the establishment of Hamheung hydroelectricity can be said to be the typical case of ‘colonial development’ through ‘the corrupt relationship among government, business and offices' although it was dashed because of local residents’ fierce opposition. 모리야는 조선 재임 시절에는 조선 총독의 ‘문고리 권력’으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고, 1924년 조선을 떠났어도 조선에 남아 있던 ‘내무성 인맥’과 동북지역 인맥을 배경으로 조선에 영향력을 미쳤다. 중의원 의원이 되고 나서도 자신의 정치단체인 대일본소화연맹의 조선지부를 설치하여 정치자금을 조달하고 지지세력을 규합하는 데 이용하였다. 모리야는 전관 변호사로서 자신의 ‘조선인맥’을 이용하여 조선에서 굵직한 사건을맡았고 재조일본인과 조선인 유력자들의 식민지 로비(colonial lobby)의 창구 역할을 수행하는 등 조선사회와 조선 현안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정우회 시절 모리야가 관여한 조선산업사건, 함흥수력전기 설립, 조선토목담합사건, 나진토지수용문제 등을 사례로 식민지 정치가 작동하는 방식을 구명해 보았다. 모리야는 전관 변호사로서 재판 중에 재판관들과 사전에 접촉하거나 조선총독, 총리, 제1당인 정우회를 동원하여 조선산업사건, 조선토목담합사건 등의 재판을 의뢰자에게유리하게 이끌었다. 토지를 갈취당한 조선인들을 외면한 아쿠쓰 재판 변론을 통해서 변호사로서의 명성을 얻었을 뿐 아니라 중의원 의원 사무실 유지비도 마련할 수 있었다. 재조일본인 유력자의 이해를 대변하면서 이들로부터 정치자금을 조달했던 것이다. 한편, 함흥수력전기 설립이나 나진지토지수용문제 등와 같은 조선 이권사업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 만철, 지방정부 등과 접촉하여 광범위한 로비를 벌였다. 비록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로 좌절되었지만 함흥수력전기 설립을 위한 모리야의 ‘식민지 로비’는 ‘정경관(政經官) 유착’을 통한 ‘식민지 개발’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