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지능, 창의적 성향 간의 관계 분석

        조선희,김미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지능, 창의적 성향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240명(남: 154명, 여: 86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검사, Raven 지능검사, 창의적 성향검사(WKOPAY, SAM)를 실시하였다. 긍정적인 정서는 Raven 지능검사, WKOPAY 창의적 성향검사, SAM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부정적인 정서는 Raven 지능검사와 WKOPAY 및 SAM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WKOPAY 창의적 성향검사의 항부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긍정적 정서는 단련된 상상력 항목과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권위의 수용 항목과는 음의 상관도를 나타내었다. SAM 창의적 성향검사의 모든 하부항목은 긍정적인 정서와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체집단을 성별에 따라 구분을 하였을 때, 여학생집단은 긍정적 정서가 지능검사 및 두 개의 창의적 성향검사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인 반면에 남학생집단은 긍정적 정서와 SAM 창의적 성향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인 정서가 지능 및 창의적 성향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중학교 교육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subjects were 240 middle school students (male: 156, female: 84). A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test (PANAS), intelligence test (RAPM),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s (WKOPAY, SAM) were performed. Positive emotion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creative personality score (WKOPAY, SAM) and intelligence score (RAPM). Negative emotion was not correlated with either of them. Among the sub-components of WKOPAY, 'disciplined imagination'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score, whereas 'acceptance of authority'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score. All sub-components of SAM tes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 with positive emotion score. When the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groups, these phenomena were more evident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 is central to intellig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Thus, we insist that positive emotion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중등학교 시절 경험한 교사의 도덕적 행동이 대학생의 긍정적 도덕정서에 미치는 영향

        강인구(姜仁求)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시절 교사의 도덕적 행동을 직간접적으로 보았거나 실제로 수혜자로서 경험하였을 때 시간이 지난 후 대학생이 되었을 때 어떠한 긍정적인 도덕정서를 유발하고 도덕적 행동을 동기화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긍정적인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는 긍정심리학이 부각되면서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쟁점이 되고 있는 긍정적 도덕정서와 행복정서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긍정적 도덕정서간의 차이점도 규명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표적인 긍정적 도덕정서인 고양, 감사, 감탄과 행복정서인 기쁨에 대하여 감정반응유형, 신체적 감각, 동기화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 및 도덕교육내용과 방법에서 시사점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긍정적 도덕정서는 행복정서와 구별되는 정서로 입증되었으며, 긍정적 정서 간에도 구별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성 및 도덕교육에서 긍정적인 도덕정서를 반영한 교육이 필요하며, 교사의 도덕적 행동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 도덕정서에서 나타나는 주요 감정반응, 신체적 감각을 인성 및 도덕교육의 학습성과를 확인하는 준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긍정적 도덕정서 간에도 상호연계적인 동시에 구별되는 교육내용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moral behaviors, witness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days support on positive moral emotion of college students. Recently, research on positive moral emotions has been studied as issues in positive psycholog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moral emotions and happiness. Also,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moral emo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ositive moral emotions, such as elevation, gratitude, admiration, and happiness emotion, such as joy in emotional reaction type, physical sensations, motivational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positive moral emotions as distinct from happiness, and showed to difference between positive moral emotions. This requires curriculum about positive moral emotion in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Also,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moral behavior of teache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In addition, emotional reactions and physical sensations of the positive moral emotions could be developed as tool to evaluate learning outcome of positive moral emotion education.

      • KCI등재

        긍정적 도덕정서로서 고양, 감사, 감탄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강인구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1

        Positive moral emotions like elevation, gratitude, and admiration play a critical role in prosocial moral behavior. Recently, these emotions has been raised as a important issue in moral emotion studies(Algoe &Haidt, 2009). This study was examined to find more overlap among them than between positive moral emotions and the happiness family( joy, amusement etc)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positive moral emotions. This study using recall to induce positive moral emotions in everyday life found that positive moral emotions such as elevation, gratitude, and admiration differ from happiness family, and from each other in physical sensations and motivational effects, evaluating prosocial effects.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further studies of positive moral emotion ne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 and method in society and home, as well as schooling. Also, this result proposed that the studies of positive moral emotions need to discuss with the studies of negative moral emotions, and these discussion apply in education situations. Finally, educational application of positive moral emotion consider cultural variables, like the difference between eastern culture and western culture in morality. 고양, 감사, 감탄과 같은 긍정적 도덕정서는 친사회적 도덕행동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 중에서 행복과 구별되는 긍정적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Algoe & Haidt, 2009). 특히, 대표적인 긍정적 도덕정서인 고양, 감사, 감탄에 대한 연구는 각각의 개별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행복과 긍정적 도덕정서의 차이점을 탐색하고, 긍정적 도덕정서인 고양, 감사, 감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들 정서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의 도덕정서 관련 경험을 회상하도록 하여 행복과 세 가지 도덕정서의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을 분석하고, 세 가지 도덕정서 각각의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도 분석하였다. 또한 세 가지 도덕정서의 친사회적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동기화 수준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양, 감사, 감탄이 긍정적 도덕정서로서 행복과는 구별되는 육체적 감각과 동기화수준을 보였으며, 세 가지 도덕정서 사이에도 육체적 감각과 동기화 효과에서 중복되기도 하였지만 구별되는 경향성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초로 결론을 정리하면, 학교교육과정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와 가정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습자의 내적동기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긍정적 도덕정서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자료와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도덕정서간의 동기화 수준의 차이점을 반영한 교육자료와 방법 개발도 필요하다. 긍정적 도덕정서와 함께 부정적인 도덕정서에 대한 연계적인 연구와 교육적 적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도덕정서에 대한 연구와 교육적 적용에서 문화적인 다양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긍정적 정서성향과 조직시민행동 :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효과와 집단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문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조직구성원이 상사나 동료를 위해 자발적으로 도움을 베푸는 행동(OCBI)은 조직의 성공과 경쟁력 향상에 도 움이 되지만, 기업의 현실에서 OCBI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OCBI의 선행요인으로 긍정적 정서가 최근 많 이 연구되고 있으나, 긍정적 정서-OCBI 관계의 기저에 있는 매개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OCBI의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돕는 집단 정체감의 매개역할에 주목한다. 또한,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과 상호작용하여 OCBI의 활성화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66개 작업집단에 속한 293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거쳐 OCBI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만 유의하며,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을 대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이 낮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집단 정체감을 높여주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여 OCBI를 높이지만, 긍정적 집 단분위기 인식이 높을 때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성향이 수행하는 역할이 긍정적 집단 분위기 인식의 역할과 중복되어 대체된다는 연구 시사점을 제공한다. Drawing upon research in affect and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examines when and how an individual’s trait positive affect (TPA) exert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son’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ed toward individuals (OCBI). A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tested by using the data of 293 employees nested in 66 work group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PA on OCBI mediated by group identification (GI) is significantly positive only when perceived group positive affect (PGPA) is low, highlighting the substituting role of PGP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PA and GI. The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at the low level of PGPA suggest that TPA functions as significant, affective resources for enhancing GI and consequently increasing OCBI of the focal member when PGPA is low. By contrast, TPA’s role in enhancing GI becomes redundant when PGPA is high. The current analysis reveals potential complementary functions of TPA and PGPA in explaining subsequent identity cognition and individual behavior.

      • KCI우수등재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인지평가와 정서의 매개효과

        송기현(SongKi-hyun),김승용(KimSeung-yo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인지평가, 정서, 운동지속 및 탈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인지평가와 정서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전국에 위치한 체육 및 일반계열 중·고등학교의 남녀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최종 유효 표본으로 총 306부를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AMOS 18.0을 이용하여 전체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인지평가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인지평가의 도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위협 요인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사고와 정서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긍정적 정서에 정적으로 부정적 정서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분석 결과, 긍정적 사고는 운동지속 및 탈퇴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청소년 선수들의 인지평가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도전은 지속 및 탈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협은 지속 및 탈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는 지속 및 탈퇴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평가의 위협요인과 정서의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사고와 운동지속 및 탈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정적 정서만이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 현장의 코치 또는 부모는 선수들의 중도포기나 스트레스 그리고 탈진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고민에 앞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positive thinking, cognitive appraisal, emotions,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of adolescent athletes and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emotions on relations between their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For these purposes, we collected total 306 valid samples by applying purposive sampling to male and female athletes in physical education and common middle and high schools around the nation. Collected data was used with the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o test the overall model for its fitness and hypothe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e positive thinking and cognitive appraisal of adolescent athletes and found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allenge factor of cognitive appraisal and negative ones on the threat factor.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positive thinking and emotions show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respectively. Third, the result showed relations between their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and found that their positive thinking had no direct impact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Fourth, as for relations between their cognitive appraisal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challeng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whereas threa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m. Fifth, as for relations between their emotions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their positive emotion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whereas their negative emo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m.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hreat factor of cognitive appraisal and negative emotions on relations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sport continuance and withdrawal and found that only negative emotion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In conclusion, coaches and parents of adolescent athletes keep in mind to make them have positive thinking instead of worrying about the negative results such as sport dropout, stress and burnout.

      • KCI등재

        연구논문 : 집단의 특성과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정서 경험의 매개효과 -교차수준 연구-

        최보인 ( Bo In Choi ),권석균 ( Seong Kyeun Kwu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집단의 특성과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교차수준 연구이다. 먼저 집단의 특성으로서 프로세스 활성화와 집단구성원의 감정지능이 집단 내 정서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는 집단의 응집성, 협동성, 의사소통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한편 정서 경험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로 구분하여, 긍정적 정서는 열정, 즐거움, 평온의 경험으로, 부정적 정서는 불안, 불쾌, 피로의 경험으로 측정하였다. 집단 효과성은 구성원의 학습 성장과 집단에 대한 만족도 등 개인수준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가설로는 우선 집단의 맥락적 효과로서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가 집단효과성에 미치는 교차수준의 영향관계를 구성원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경험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아울러 집단 구성원의 개인특성인 감정지능이 구성원의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 경험을 매개로 집단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실증의 결과,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는데 전반적으로 긍정적 정서의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집단 프로세스 활성화와 집단효과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는 모두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고, 감정지능과 집단효과성 간의 관계에서는 모두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구성원들의 정서 경험이 집단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긍정적 정서가 집단의 중요한 자산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ross level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level group effectiveness. Group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nclude group process variables as well as group members` emotional intelligence. Selected group process variables are group cohesion, within-group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is measured as the composite of 4 sub factors: self-emotions appraisal, others-emotions appraisal, use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Group effectiveness variables are measured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study. Those are group member`s team satisfaction as well as the degree of learning and growth through group activities, Adopted as mediators are the two factors of within-group affect experienced by individual group member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is measured by the experienced passion, joy, and peace. Negative affect is measured by the experienced anxiety, discomfort, and fatigu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58 employees in 50 work groups from the four large fir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Empirical analyses result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ypes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The result also suggested stronger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than negative affect in general. Both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ype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processes and effectiveness variables, while they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oup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fective experiences by group members are critical to group effectiveness.

      • KCI등재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

        문화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Perceived on Emotional SupportHwajin Mo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between adults’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305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participated. Data was collected for a month in March 2022.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confirmed, and the each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ere verified. As a result, both mindfulness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was relatively greater than mindfulness when they were put together. So, it can be important to promote one’s emotional clarity and objective understanding, positive awareness of support from significant others for form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Key Word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otional Clarity, Mindfulness,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ediating Effect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문 화 진* 요약: 이 연구는 성인의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의 사이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대 성인남녀 305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한 달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정서 인식 명확성이 긍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다음으로 이 둘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개별 매개효과 및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지각된 정서적 지지는 모두 정서 인식 명확성과 긍정적 대인관계 사이를 부분 매개했고, 두 변인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투입했을 때 지각된 정서적 지지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자신의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객관적 이해, 중요 타인으로부터의 지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한 선행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핵심어: 긍정적 대인관계, 정서 인식 명확성, 마음챙김, 지각된 정서적 지지,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강의전담교원(Lecturer, Sookmyung Women’s Univ., Email: mhj961210@gmail.com)

      • KCI등재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의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서정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느끼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정서의 요소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공립유치원 교사 5인이었고 연구방법은 개방형 설문지와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교사의 수업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잘 따라올 때 긍정적인 정서를 느꼈으며, 유아들이 교사의 바램과는 다른 반응을 보일 때 부정적인 정서를 느꼈다. 둘째, 교사들은 학부모가 교사를 따뜻하게 배려할 때 긍정적인 정서를 느꼈으며, 학부모가 교사에게 예의 없이 대할 때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조직구성원들이 협력하여 함께 일을 하고 도와줄 때,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이 서로 배려하지 않거나 독립적으로 일을 수행할 때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교사들의 정서가 좋은 수업에 영향을 준다고 볼 때 긍정적 정서는 더 유지되고 확장되어야 할 것이고, 부정적 정서가 발생할 때에는 교사들이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Egogram 성격특성과 인지적 삶의 만족과의 관계: 긍정적․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강영걸,김종호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 identified by Egogram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tudy uses mediation effect test procedure by Baron and Kenny(1986) to identify how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gogram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lso based upon the result, it verifies its path model.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681 college students (male 307; female 374) in Daegu of Gyung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k their Egogram(K-KSEG)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The survey found followings: Firs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gogram have positive effects to satisfaction with life by medi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ll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to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medi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Especially, NP gives a direct effect to satisfaction with life(β=.17).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is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In particular, positive affect shows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coefficient in 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life. Third, the study found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Egogram A and FC are variables predicting positive affect. On the other hand, CP and AC are variables predicting negative affect. Further, those characteristics showed a slight gender difference. Those findings supports that subjective well-being is determined by stable inner-self properties, and NP, A, FC are important variable that may contribute to improv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Egogram 성격특성과 인지적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Egogram 성격특성이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Baron과 Kenny (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에 소재하고 있는 5개 대학의 대학생 681명(남학생 307명, 여학생 374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Egogram(K-KSEG)척도, 인지적 삶의 만족척도(SWLS), 긍정적·부정적 정서척도(PANAS)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gogram 성격특성은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때, 모든 자아상태는 긍정적․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인지적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NP는 인지적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β=.17)도 주고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부정적 정서는 인지적 삶의 만족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때 부정적 정서보다 긍정적 정서가 인지적 삶의 만족과 상관계수 및 경로계수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Egogram 성격특성 중 긍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주요 변인은 A와 FC로 분석되었고,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주요 변인은 CP와 AC로 분석되었다. 또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Egogram 성격특성은 성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주관적 안녕감이 비교적 안정적인 내적 속성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지지하였으며, Egogram 성격특성 중 NP, A, FC의 활성화는 인지적․정서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행복은 우리를 통(通)하게 한다

        김주환(Joohan Kim),신우열(Wooyeol Shin),함정현(Junghyun Hahm) 한국언론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5 No.1

        긍정적 정서는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의 핵심적 요소다. 하지만 한국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긍정적 정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주로 심리학에 의해 이루어진 긍정적 정서에 관한 연구와 이론적 발전이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특히 프레드릭슨의 확장과 수립 이론 등이 대인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나아가 긍정적 정서 경험이 의사결정, 설득과 협상, 정보 처리, 대인관계, 사회적 동조 등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정교화 가능성 모델, 제한용량 모델, 사교적 침투이론 등의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긍정적 정서에 대한 고찰이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 사례를 제시하였다. Positive emotions play a key role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ocesses. In this essay, the authors have attempted to reappraise communication theories from the perspectives of positive psycholog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positive emotion, this essay examines theoretical relevance of positive psychology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ocesses, including decision making, persuasion, information processing, social conform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ilding and mainte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