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별짓기와 주관적 환상의 문제: 부르디외와 보드리야르의 증여논의를 중심으로

        이태훈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stinction theories between Bourdieu and Baudrillard, particularly through gift exchange which is shared on both of them as the term of symbolic exchange. This study has a second purpose to find out their epistemological background for the discussion. Becaus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epistemological problem is taken as key issue on their discussion. Accordingly, after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symbolic exchange between them, this study examined the distinction theories from the three directions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logical mechanism of the distinction theories comparing the commodity-sign system with habitus. Secondly, the author investigated their epistemological background behind the logical mechanism of distinction and from their discussion, found out the problem of subjective illusions perceived as real. Finally, the study tried to show the concepts of simulacre and illusio as their epistemological problem and symbolic exchange and the reflexive sociology as their solution. 이 글은 ‘구별짓기(distinction)’ 주제를 중심으로 부르디외와 보드리야르의 이론적 논의를 비교하고, 이로부터 두 사람의 인식론적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증여(gift)에 대한 두 사람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그 공통점과 차이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반적으로 베블런과 부르디외, 보드리야르는 구별짓기에 대한 경험연구 분석에서 이론적 자원으로 자주 소환되는 이론가들이다. 그러나 이 이론가들의 구별짓기 논의들을 면밀히 검토, 비교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조광익(2010)은 드물게도 이들 이론 간의 비교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그는 기본적으로 부르디외와 보드리야르의 구별짓기 논의를 베블런의 소비이론을 계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조광익 2010: 22). 그에 따르면 베블런(Veblen 2005)의 ‘과시적 소비’와 ‘과시적 여가’ 개념은 한편으로 부와 지불 능력을 과시하고, 다른 한편으로 노동을 할 필요가 없는 자신의 신분을 증명한다는 점에서 구별짓기 논의의 이론적 기원을 형성한다. 이후 보드리야르가 베블런의 논의를 ‘차이표시적인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론과 결합시켜 일종의 ‘언어적 전환’의 흐름을 보여준다면, 부르디외는 간접적이며 비가시적인 ‘문화자본’ 개념을 도입하여 구별짓기 논의를 문화적 실천으로 확대하는 ‘문화적 전환’의 흐름을 보여준다(조광익 2010; 설혜심 2014: 283-285). 그러나 부르디외 본인은 자신의 구별짓기 논의를 베블런의 과시적 소비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자신에 대한 가장 큰 오해를 낳는다고 우려한다(Bourdieu 2005a: 24). 무엇보다 부르디외와 보드리야르에게 있어 구별짓기는 과시적인 ‘뽐냄’에 의해서가 아니라 본인이 의식하지도 못한 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곤 한다(Baudrillard 1991: 133; Bourdieu 1990a: 11). 즉, 부르디외와 보드리야르에게 구별짓기는 의식적인 차별 이전에 무의식적인 환상(illusion)의 수준에서 작동하며(Baudrillard 1991: 109; Bourdieu 2004: 11-21), 따라서 이들의 논의에서는 인식론적인 문제가 전면에 등장한다. 특히 보드리야르의 구별짓기 논의는 부르디외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으나, 원시사회의 증여교환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 소비사회에서 나타나는 구별짓기 현상을 비판하면서 점차 유혹(seduction)의 형이상학으로 논의의 초점이 옮겨간다. 흥미로운 사실은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논의 역시 증여교환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구별짓기에 대한 보드리야르와 부르디외의 입장 차이가 증여교환에 대한 이들의 해석 차이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란 가설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나는 먼저 원시 공동체 사회의 증여교환에 대한 이들의 논의를 비교하고, 이러한 논의가 이들의 현대 사회에 대한 문제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특히 현대 사회에 대한 두 사람의 이론적 논의를 ‘구별짓기’와 관련하여 이하 세 가지 방향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구별짓기 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논리인 상품의 기호체계(sign system)와 체화된 구조로서 하비투스(habitus)를 비교해 보고 이를 통해 어떻게 구별짓기 행위가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들의 구별짓기 논의의 방향과 수준을 비교하여 보도록 한다. 둘째, 구별짓기의 구조적 논리 배후에 놓인 이들의 인식론적 문제의식을 비교하여 보고, 구별...

      • KCI등재

        수평적 취향공동체를 통한 새로운 구별짓기: 독서모임 커뮤니티 〈트레바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지현(Ji Hyun Oh),차영화(Younghwa Cha),김서현(Seo-hyeon Kim),박해란(Haeran Park),최샛별(SetByol Choi)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문화와 사회 Vol.29 No.2

        본 연구는 최근 청년세대 사이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살롱문화 모임’의 대표 사례인 〈트레바리〉에 주목, 유료 회원제 독서모임 커뮤니티로서 수평적 취향공동체를 지향하는 〈트레바리〉가 어떠한 측면에서 ‘구별짓기’의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디지털세대라 할 수 있는 청년세대가 ‘독서’에 고액의 비용을 지불하고, ‘오프라인’ 모임을 선택하는 역설적인 현상 이면에 자리하는 심층적 의미와 동인(動因)을 파악하기 위해 〈트레바리〉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최소 1회기(4개월)이상 〈트레바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회초년생 직장인 13인을 대상으로 〈트레바리〉에의 가입 동기와 활동 경험, 탈퇴 이유 등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트레바리〉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구별짓기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트레바리〉에 가입함으로써 개방적이고 주체적이며 지적인 동시에 트렌디한 이미지를 확보하는 등 ‘청년세대의 코드(code)와 정체성’을 드러내며 타 세대 및 〈트레바리〉 외부에 있는 사람들과 자신들을 구별 짓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트레바리〉 활동 과정에서 ‘질(quality)’이 담보된 사람들과의 교류를 추구하고, 〈트레바리〉 내부에서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의 활용의 한계와 4-50대 회원들의 위축과 소외를 경험하는데, 이는 표면적으로 ‘수평성’을 지향하는 〈트레바리〉가 내부적으로는 적극적인 ‘포섭’과 ‘배제’가 이루어지는 구별짓기의 장(field)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revari, the membership-based book club in South Korea, which has recently become a popular trend among young people. It is seemingly paradoxical that a digital generation is willing to pay high membership fee for ‘reading’ and voluntarily choose to engage in ‘offline’ meeting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3 individuals engaging in Trevari for at least 4 months, we conclude that this community functions as a field of ‘distinction’ largely in two aspects. First, interviewees were foun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generations as well as from those who do not partake in Trevari, by signalling the ‘code and identity of young generation’ and establishing their images as open-minded, autonomous and intelligent people. Second, it is evident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pursued interactions only with those of ‘high quality’ amid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alienate certain groups of people. The interviewees in their 40s and 50s commonly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alienation and ostracization within the community,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Trevari has its distinctive functions as a field for both ‘incorporation’ and ‘ostracization’.

      • KCI등재

        어린이 전용 수영장에서 나타나는 구별짓기

        윤정희(Yun, Jung-Hee),이혁기(Lee, Hyuck-Gi),신석민(Shin Seok-Min)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는 어린이 전용 수영장 내에서 나타나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Bourdieue의 구별짓기를 통해 심층적으로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중 하나인 사례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비확률적 표적집중 하나인 유목적 표집법으로 선정하였다. 실제 연구대상자의 나이가 어려 연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 학생들의 부모 10명을 주요 정보제공자로 선정하였으며, 보조연구자로 경영자와 강사 각 1명씩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해당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텍스트에 내포된 문화적 의미를 찾고 하위문화적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전용 수영장에서 드러나는 계급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특성으로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자본 : 도시형 경제자본, 진보에 의한 세습 문화자본: 아비투스의 실현공간, 지역의 사회공간에서 드러나는 자본으로 나타났다. 그 속에서 부모들의 문화자본이 세습되는 정황을 알 수 있었고, 그 공간을 아비투스의 실현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간에서 드러나는 자본은 인적자원의 측면에서 접근하였을 때, 연구 참여자들은 비교적 높은 사회적 연결망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어린이 전용 수영장에서 재현되는 구별짓기 문화로는 능동적 소비자 스포츠참여: 맞춤형 문화 행위로 구별짓기, 소그룹스포츠 회원에 대한 검열: 무리짓기와 분리하기, 스포츠문화 차별성 선도 주체: 과시적 소비성향으로 구별짓기로 나타났다. 수동적인 참여방식이 아닌 소비자가 주도하여 소비자에게 맞춤식으로 진행되는 유형의 문화 행위로 남들과 구별짓는 점이 드러났다. 소그룹 방식으로 진행되는 점은 만족하나, 그룹 원을 검열하는 행위도 살펴볼 수 있었다. 상류 스포츠를 소비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중스포츠를 소비할 때 소비방식에 차별화를 두어 타인과 구별 짓는 현상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children’s swimming pool through Bourdieue’s discrimination theory. One of the qualitative studies in this study was a case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nomadic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non-stochastic targeting methods. As it was judged that the study subjects were too young to understand the research, the students selected 10 parents as the main information providers, and 1 manager and 1 instructor each as assistant researche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th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ext analysis to find the cultural meaning contained in the text and to examine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e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lass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children’s pool were examined. As its characteristics, urban economic capital, hereditary cultural capital by progress: capital revealed in the realization space and social space of habitus. In it,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capital of parents was hereditary, and it was found that the space was used as the realization space of habitus. When capital revealed in social space was approached in terms of human resources,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relatively high social network. Secondly, as the discrimination culture reproduced in the children’s pool, consumer-led sports participation: discrimination by customized cultural behavior, censorship of small group sports members: discrimination by cultural privilege, leading subject of sports culture differentiation: distinguishing by conspicuous consumption appeared as It was revealed that it was not a passive participatory method, but rather a type of cultural activity that was led by the consumer and customized to the consumer. I was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it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but I could also look at the act of censoring group members. Although not consuming high-class sports, it was also possible to observe the phenomenon of differentiating people from other people by differentiating their consumption methods when consuming popular sports.

      • KCI등재

        청년세대의 새로운 문화적 실천과 구별짓기: 인스타그램 ‘전시 관람’을 중심으로

        고명지 ( Myoungjee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청년들의 문화 소비의 실천 양상과 구별짓기 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시 관람’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데이터의 수집은 해시태그 ‘#문화생활’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 데이터를 인터넷 문화기술지 및 이미지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세대는 ‘자기 전시’, ‘고급문화의 과시적 소비’, ‘장소성 소비’를 구별짓기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전시 관람 활동이 인스타그램 장에서 중요한 문화적 실천으로 행해지고 있는 원인으로는 경제적으로 쉽게 접근 가능한 고급문화의 영역이자, 동시에 생산 영역인 미술관의 기능적 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인스타그램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문화적 실천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청년세대가 만들어가는 문화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위를 세대 내 구별짓기 전략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exhibition’ to examine the trend of the practical aspect of the youth generation’s cultural consumption and strategy of distinction on Instagram. Data collected through Instagram posts including hashtags ‘#cultural_life’, was analyzed through internet ethnography and imag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youth generation was using ‘self-exhibit’, ‘conspicuous consumption of high culture’, and ‘consumption of placeness’ as a strategy to distinguish themselves. The reason why exhibition activities are being carried out as important cultural practices on Instagram is that exhibitions are an area of high culture that is easily accessible economically. Along with this, there were functional changes to the art museum.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research on cultural practices produced and consumed on Instagram and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oday’s youth generation culture.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viewing the youth generation’s behaviors as a strategy of distinction within generations.

      • KCI등재후보

        존재의 규명 방식으로서의 기록

        진주(Jin, Ju) 국어문학회 2014 국어문학 Vol.57 No.-

        이 연구는 재일한인 극작가 ‘정의신’과 그의 작품에 관한 것으로, 그는 일본과 한국 양국에서 재능 있는 극작가이다. 그의 전성기는 아직 지나지 않았고, 지금도 매우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는 일본 주류 연극계에 포섭되어 있으면서도 그는 재일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전제로 한 메세지를 일본사회에 전면적으로 던진다. 그가 작가로서 가지고 있는 자이니치에 대한 역사적 사명감은 스스로의 위치와 의미를 밝히고 싶은 욕망에서 배태된 것일 수도 잇다. 아마도 자이니치인 자신 역시 사라져갈 것이라는 사실을 너무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재일한인의 역사적 정체성을 증언하기 위한 것이자 나아가 자신의 존재를 기록하기 위한 방식이며, 유랑민이 정주하기 위한 유토피아적인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이었다. 역사적으로 외면당하고 억압받았던 양국의 영향 가운데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주류로 포섭되는 꿈을 꾸거나, 연극을 신분 상승의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경계인’이라는 정체성으로 자신을 규정지으면서, 자신이 정주할 공간을 스스로 찾아 나선 것이다. 그의 ‘구별짓기’는 사치재를 활용하여 민중계급과 자신을 구별하고 계급화를 촉진하고 고착화시키는 상류층의 것과 대별되고, 외면당했던 역사의 뒷면을 다양한 시각으로 들추어내어 기록한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기대된다. This study relates to zainichi playwright ‘Chong Wishing’ and his dramas. ‘Chong" has been recognized both in Japan and South Korea as talented playwright. His time is not yet passed. And he still be very active. Although he was a part of the mainstream of Japanese theater, he sent the massages that based on the identity of zainichi to Japanese society. As a writer, he has a historical Missions about zainichi. But this is mission born of the desire to find himself rather than a historian’s calling. Because he is also zainichi, he is aware clearly of the fact that he was going to disappear from history along with other zainichi. His works are testimony for zainichi"s historical identity. Moreover, it is a way to record his presence and prove the existence and search the utopian space for the settlement. He didn"t takes advantage of "the capitals" for ascent of status. He also didn"t want to taken into the mainstream of "the " society by selecting a certain identity. He was defined himself as a "margin man", was tried to find his own space for settlement. His "distinction" is different from the behavior of the upper class that promot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eperate the working class from themselves as they spend luxury item. He records the fact that the backside of hidden history in the works. And he exposed the fact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voices of minority. His future is anticipated of the reason for this.

      • KCI등재

        취향, 계급, 구별짓기, 그리고 혐오: 혐오 사회학을 위하여

        하홍규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1 No.-

        This essay attempts to develop a sociological theory of disgust that connects class discrimination and disgust, leaning on Pierre Bourdieu’s discussion on taste and distinction. To this end,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point that cultural boundaries can be formed not only through preferences but also through the patterns of disgust. Boundaries between hostile social groups might well be defined by emotions shared by people within the same group, but the aversive and disgusting emotions toward other groups are operating more importantly and more strongly in the ‘boundary work’. Disgust is imposed to beings outside the boundaries that exist between us and them and thus acts a major mechanism to strengthen the boundaries. In particular, Bourdieu’s reading of Kant and ideological criticism of his aesthetic judgment contribute to uncovering the taste and disgust’s ability to differentiate as acquired dispositions do. According to Bourdieu, tastes are, above all, distastes or disgusts provoked by horror or ‘visceral’ intolerance of the tastes of others. In addition, disgust is the enjoyment extorted by symbolic power remov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presentation and the thing represented, envisaging the situation of alienation, “the loss of the subject in the object”. The roles of cultural tastes and their relative ‘disgust’ as powerful differentiating and discriminating forces attract the much interests,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class identity and subjectivity are constituted by disgust toward other classes. 이 글은 피에르 부르디외의 취향과 구별짓기 논의에 기대어 계급 차별과 혐오를 연결시키는 사회학적 혐오 이론을 발전시키려고 시도한다. 이를 위해 문화적 경계가 선호뿐만 아니라 혐오의 유형을 통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주목한다. 서로 적대적인 사회 집단들 사이의 경계를 규정하는 것은 같은 집단내 사람들이 공유하는 감정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하게 그리고 더 강력하게작용하는 것은 다른 집단을 향한 반감과 혐오의 감정이다. 혐오는 자신과 타자사이에 존재하는 경계 밖의 존재에게 부여되어 그 경계를 강화하는 주요 기제로 작동한다. 특별히 부르디외의 칸트 독해와 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비판은획득된 성향으로서 취향과 혐오의 구별화 능력을 밝혀내는 데 기여한다. 부르디외에 따르면, 취향은 무엇보다 혐오감, 즉 다른 사람의 취향에 대한 공포감또는 본능적인 짜증에 의해 촉발되는 불쾌감이다. 그리고 혐오는 재현과 재현대상과의 거리를 폐기하는 상징폭력에 굴복하여 그것에 의해 강요되는 향락이요 주체가 대상 속에 매몰되는 소외의 상황이다. 강력한 구별화와 차별의 힘으로서 문화적 취향과 취향에 상관되는 혐오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계급 정체성과 주체성은 타 계급에 대한 혐오에 의해 구성된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메타버스 이용 특성 연구: 이용자의 자본 유형에 따른 구별짓기 형태

        박현아 한국방송학회 2023 한국방송학보 Vol.37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현실의 확장으로 바라보고 문화사회학 관점에서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자본 유형에 따라 사회경제적 위치가 구분되고, 각 계층 마다 다른 계층과는 구분되는 구별짓기 전략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Z세대 40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FGI)와 개별심층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양이 많을수록 상대방과 나를 끊임없이 차별화하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경제자본은 아이템을 구매함으로써 메타버스 내 지위를 높이기 위한 불필요한 노동 시간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비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환경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보였다. 또한 문화자본은 게임만이 아닌 창의적인 방법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계층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사회자본은 현실과 메타버스 간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는데, 문화자본의 양이 많은 계층의 경우 굳이 메타버스 안에서 선별된 이미지를 통한 나를 보여주면서 친구 수를 늘리기보다는 현실의 내가 확장되어 활용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대적으로 자율성을 지닌 듯 보이는 메타버스란 장(field)에서 자본 구성 형태에 따라 집단 간 상징투쟁을 벌이며 구별짓기가 일어나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드러냈고, 이는 결국 메타버스도 현실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구별짓기 장(場)으로서의 스포츠 영역에 관한 연구

        김수정(Su Jung Kim),이명진(Myoung-Jin Lee),최샛별(SetByol Choi)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3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이 개인에 의해 수행되는 개인적 활동일 뿐만 아니라 계급과 같은 사회구조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고 제약되는 사회적 활동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인의 스포츠 취향이 계급을 비롯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분화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전국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문화자본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그 중 가장 선호하는 스포츠 활동과 가장 자주 한 스포츠 활동, 그리고 주로 운동하는 장소를 묻는 문항에 대해 빈도분석과 중다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취향 및 향유 방식은 응답자의 계급과 연령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나 스포츠 영역이 계급별 분화를 극명히 드러내주는 구별짓기의 장(場)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포츠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선행연구들에서 벗어나 그것이 갖는 문화자본적 의미에 주목했다는 점, 한국 사회 전반을 대표할 수 있는 대규모 조사 자료를 사용했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대해 중다대응분석이라는 발전된 통계기법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sports is a social activity that is formed by social structure. The study aims at examining how Koreans" tastes in sports are divid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traits. The data from a nationwide survey on the ‘Cultural Capital of Korean Society" (2011) was used. A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questions about the most preferred/frequently done sports activity, and the place the respondents use to play sports. As a result, the tastes of doing sports activities showed a clear distinction according to class and age, signaling that sports can function as a field of distin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various aspec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capital meaning of sports activities; used a big data representing the entire South Korean society; and applied an advanced analytical tool, MCA to various kinds of sports.

      • KCI등재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짓기 양상 변화 - 2000년대 한국사회의 문화예술소비 추세분석 -

        한교남,한범수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9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사회에서 사회계층간 문화예술소비가 어떻게 구별되며,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과 관련한 이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상위계층은 고급문화를, 하위계층은 대중문화를 선호한다는 Bourdieu(1979/2005)의 ‘구별짓기’에 대한 ‘문화자본론’이고, 둘째, 상위계층의 경우 여가소비의 폭이 넓어진다는 Peterson과 Simkus(1992), Peterson과 Kern(1996)의 ‘옴니보어(omnivore)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두 가지 이론 중 어떤 이론이 한국사회에서의 사회계층과 문화예술소비의 구별양상을 적의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위계층’과 ‘중‧하위계층’간에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로 구분되는 ‘구별짓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2000년에서 2010년으로 갈수록 ‘상위계층’의 경우 대중문화인 영화, 대중연예쇼, 전통예술의 참여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상위계층의 경우 고급문화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까지 여가소비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옴니보어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사회의 사회계층 간 문화예술 관람의 구별에 관한 이론 적용의 문제는 ‘옴니보어론’이 보다 적의한 이론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riminative phenomenon of modes and leisure consumption trends according to social class group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ories in relation to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on 'distinction', suggesting that modes of leisure consump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es are the same (Bourdieu, 1979; 1986). The second is Peterson's omnivore theory, suggesting that the upper class tends to show a wider modes of leisure consumption (Peterson & Simkus, 1992; Peterson & Kern, 1996). Based on these frameworks, this study made a trend analysis of modes of leisure consumption according to social classes, in view of classification into culture / art consumption in Korean society between 2000 and 2010. The results indicate that ’upper class’ of Korean society in the 2000s showed a higher preference tendency toward high-quality leisure consumption, whereas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showed a tendency toward popular leisure consumption. However, for the ‘upper class’, the omnivores demonstrated a tendency toward both high-quality and popular leisur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ir wider breadth of leisure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