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내용과 방향 탐색 - 5~10학년 ‘가정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

        이수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viromental education content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incorporation of the “Family Life” unit into the grade 5 to 10 curriculum. The analysis relies on the framwork of KICE(2006) that covers 4 different categories such as value of enviroment, consis of enviroment, pollution and enviromental conserv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family life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deals with value of enviroment and enviromental conservation. And this study suggest enviroment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effective education through the broad category and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realistic skills, relationship education, and the family life, And it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focused on enviromental awareness, enviromental knowledge, enviromental attitudes, enviromental skills, in addition to enviromental participation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어떤 관점과 목표로 환경교육을 할 수 있는지 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6)에 개발한 새로운 환경 교육 내용 체제로 설정하였다. 즉 환경관, 환경의 구성, 환경오염, 인간 생활과 환경 문제, 환경 보존과 대책의 5가지 대분류 하위의 21개 범주에 근거하여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관련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실과, 중학교 기술․가정의 가정생활 영역의 경우 환경관과 환경 보전과 대책과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으며 환경의 구성, 인간 활동과 환경 문제와 관련된 내용은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경 교육과 관련된 인식, 지각, 태도, 기능, 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며 관련 내용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환경교육과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적용한 온라인 환경교육의 인식 및 전략 연구

        이혜선,조재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9 No.1

        This study used an induc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people’s perception abou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actical strategies of progressing it, mainly based on perspectives from bot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For this investigation,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collect opinions from eleven experts who had experiences abou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Participants stated tha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paid major attention to media, environmental topics, and functions. In particular, as those experts were forced to emphasize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xperience a lack of external supports, they began to see negative factors related to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required individuals to have multiple competencies such as media literacy and active interactions with instructors.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terviewees, the experiences from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linked to the offline experiences from the 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that eco-friendly behaviors in people’s daily lives also led to online interactions.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meaningful for trying to integrate perspectives from both onlin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본 연구는 환경교육과 미디어에 관한 기존 논의가 온라인 환경교육을 포괄하기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온라인 환경교육의 인식 및 전략에 관한 귀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주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환경교육⋅환경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온라인 환경교육 관련 연구 및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고, 근거이론 코딩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뒤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환경교육⋅환경커뮤니케이션 분야 전문가들은 온라인 환경교육을 미디어, 환경 주제, 기능 중심으로 인식하였으며, 온라인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은 면대면으로 이루어지던 기존 환경교육과의 비교과정에서 구성되었다. 특히 온라인 환경교육으로의 갑작스럽고 강제적인 전환경험과 지원의 미비는 온라인 환경교육 관련 부정적 요소를 인식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환경교육은 미디어 리터러시나 교수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등 복합적 역량이 필요하며,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할 가능성도 논의되었다. 더불어 온라인 환경교육이 제공하는 경험과 면대면 방식으로 진행하던 기존 환경교육의 물리적 접촉 경험을 연계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학습자의 일상생활 속 친환경 행동이 온라인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질가능성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환경커뮤니케이션 관점을 반영한 온라인 환경교육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 실과 내용에 기반을 둔 환경기념일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오정숙,이상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environmental anniversary based on the practical arts contents on the personality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Ryu(2003) & Kim(2009)′ test tool was used for the effect of applying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anniversary based on the practical arts contents.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ompensate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 and portfolio.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develop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anniversary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rom 5th grade practical arts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including 5 subdomains of sincerity, perseverance, stability, honesty and respect of life.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tudents appeared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as well as an upright personality. In conclusion, human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an be induced not only mortal and courtesy activities but also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d on practical arts, and it pro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personality enhancement. Therefore, it is demanded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is study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ersonality enhancement of elementary students. 본 연구는 실과 교과 내용에 기반을 둔 환경기념일에 내포된 의미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5학년 실과 교과서 및 지도서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는 류청산(2003)과 김재호(2009)가 제작한 인성 검사지를 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은 정량적 자료는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고, 정성적 분석은 연구자의 관찰 및 면담과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기념일에 내포된 의미를 활용한 환경교육은 2007 개정교육과정 초등 실과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구안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인성의 5가지 하위영역인 성실, 안정성, 인내, 정직, 생명존중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의 글이나 그림, 면담을 통한 정성적 분석 결과, 학생들은 환경과 환경보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올바른 인성이 내면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은 도덕이나 예절 활동 뿐 아니라 실과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한 환경교육을 통하여서도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환경기념일에 내포된 의미를 활용한 환경교육을 통하여 인성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개선과 초등학생의 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환경부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학생들의 환경태도 변화

        남상덕(Sangdeok Nam),손연아(Yeon-A S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2015년에 국가 차원에서 추진한 사회 및 학교 환경교육 사업, ‘푸름이 이동환경 교실’, ‘환경교육시범학교’, ‘자연환경연수원’, ‘방과후 환경학교’, ‘학교-민간 연계 환경교육’ 사업에 참여한 초·중등학생 1,40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환경교육 태도 변화를 분석 하였다. 측정도구는 남상덕 등(2014)이 타당화 작업을 한 CHEAKS의 36문항과 언어적, 행동적, 정서적 태도 각 영역에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 관련 2문항씩을 추가하여, 12문항이 추가된 총 48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환경부의 5개 환경교육 사업 모두에서 환경교육 수혜집단의 환경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사업별로 보면, ‘푸름이 이동환경교실’과 ‘환경교육시범학교’의 경우, 환경교육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의 환경태도 전체 평균이 약 16점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환경연수원’과 ‘학교-민간 연계 환경교육’의 경우, 환경태도 전체 평균이 약 15점 이상 높아져 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방과후 환경학교’의 경우, 환경교육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의 환경태도 전체 평균이 약 20점 이상 높아져, 가장 큰 폭으로 학생들의 환경태도 평균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5개 환경교육 사업들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실제 참관 분석 등의 질적 분석을 통해 환경태도와 관련된 영역과 요소들이 실제 환경교육 상황에서 어느 정도로 발현되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환경부 사업 담당자들 간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각 환경교육사업의 계획, 실행, 평가의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강점과 약점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는 일련의 과정에서 환경교육 수혜자들의 환경태도가 더욱더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s in environmental attitudes of 1,402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5. We used the reformed CHEAKS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Scal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s with 48 questions. The level of environmental attitudes such as linguistic involvement, affective involvement, and behavioral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a whole after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ive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each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were extracted. Therefore, by sharing the strength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s, it may boost more posi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attitudes of students.

      • KCI등재

        한국 환경교육 현황 조사 연구

        조성화(Seonghoa Cho),김문옥(Moon-ok Kim)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4

        본 연구는 한국 환경교육 현황 중 법, 계획, 조직, 예산 등 정책 관련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환경교육 관련법과 조례 등이 체계적으로 제정되어 이행되고 있는가?, 환경교육 종합계획은 적절하게 이행되고 있는가?, 환경교육 전담조직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가?, 환경교육에 관한 소통이 원활한가?, 환경교육 예산은 적정한가?” 등 5가지이다. 환경교육 관련법(조례)은 17개 지자체 모두에 만들어져 있어서 기본적인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법 조항에 따른 이행에 있어서는 다소 한계가 있다. 환경교육 종합계획 역시 17개 광역 지자체 모두에 수립이 되어 있지만, 계획에 따른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이 부족하고, 사업에 따른 예산 확보 방안 마련이 미흡하다. 환경교육 전담조직의 경우 국가 수준에서 환경교육팀이 있고, 지자체에는 경기도에만 환경교육팀이 운영되고 있다. 환경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 전담 조직의 확대가 필요하다. 환경교육 관련 소통은 가장 중요한 국가환경교육위원회 구성과 운영이 되지못하고 있는 점이 문제이며, 환경교육 예산은 국가 예산은 유지되고 있고, 지자체 예산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part (law, master plan, organization, budget, and so on. The question of research for the study is Are environmental education laws and regulations systematically enacted and implemented?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plan properly implemented, Doe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dedicated organization play a pivotal role, Is communication well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environmental education budget appropriate?. Since environmental education laws are made in all 17 local governments, there is a basic system.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implem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ducation plan is also established in all 17 local governments, but it lacks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plan.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ways to secure budgets for projects. In the case of a dedicated organiz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 is an environmental education team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local government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eam is operated only in Gyeonggi Province. In order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o become more activ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communic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organized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Committee. The budge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maintained in the state budget, and the budget for the local government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 KCI등재

        생애주기 맞춤형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연구

        장미정,김문옥,유영초,이다현,임수정,전푸름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system and paradigm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to be presen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present a plan to develop a life cycle customized program based on this. To conduct this study, the life cycle was divided into six stages: infancy,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mid adulthood, late adulthood.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sentiment, and environmental practice. The topics were subdivided into living environment, ecological environment (local environment), global environment,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11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for educational methods such as lectures, commentary, play, field trip, experience, discussion, labor, and project. In order to extract the priorities of thes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ecure validity, this research team conducted a survey, AHP survey, and FGI survey targeting those in charge of excellent institutions ope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topics, and educational methods t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each life cycle were presented. In addi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disadvantaged groups who are likely to be alienated from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eparately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sic concept of life-cycle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reated, examples of policy tasks and life-cycle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development stage, macro-environmental issues, and examples of life-cycl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이 연구는 국가 수준에서 제시해야 할 생애주기에 따른 환경교육의 분류체계와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이에 근거한 생애주기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생애주기는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전기, 성인중기, 성인후기의 6단계로 나누고,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지식, 환경정서, 환경실천으로 분류하였다. 주제는 생활환경, 자연환경(지역환경), 지구환경, 문화환경으로 세분화하였고, 교육방법은 강의․해설, 놀이, 견학․체험, 토의․토론, 노작, 프로젝트 등 11가지로 분류기준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우수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기관 담당자 대상 설문조사, AHP 설문조사, FGI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생애주기별로 우선시 되어야 할 환경교육 목표와 주제, 교육방법의 패러다임을 구성하여 제시하였고, 환경교육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큰 특수대상(장애인, 군인, 환경보건 약자, 환경재난 지역 거주자 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별도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로 생애주기 환경교육의 기본 콘셉을 작성하고, 인간의 발달단계의 특성에 따른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프로그램, 거시환경과 현안의 특성에 따른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특정 대상 맞춤형 정책과제와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예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이후 유아환경교육의 현실과 방향성 모색:충북권·충남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은연아(Yeon-A Eun),진다희(Da-Hui Jin),김경옥(Gyeong-Ok Kim),오은진(Eun-Jin Oh),차수철(Soo-Cheol Cha),오채선(Chai-S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충북권·충남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코로나 19 이후 유아환경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이를 통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유아환경교육관을 운영하는 실무자 6인으로, 총 15회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결과 이를 통해 얻은 코로나 19 이후 유아환경교육관의 현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의 비대면 방식이 등장하였다. 둘째, 실무자에게 비대면 수업 준비와 위생 관리까지 더해진다. 셋째, 유아는 환경이 낯설어지고, 성인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결론 이를 근거로 유아환경교육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과 비대면의 환경교육 형태는 유지하되, 대면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잊지 말아야 한다. 둘째, 환경교육 실무자의 업무 및 역할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대상의 환경교육 관련 연수는 강화해야 지속적인 환경 교육이 연계 가능하다. Objectives Focusing o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s in the Chungbuk and Chungnam areas, we will look at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Corona 19, and seek directions through thi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15 interviews with 6 persons in charge of operating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Results The re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after Corona 19 obtain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First, a non-face-to-fac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emerged. Second, preparation of classes and hygiene management are added to the person in charge. Third, the environment becomes unfamiliar to early childhood, and adults must be active.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one must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tasks and roles of the person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linked only when training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for various subjects is strengthened.

      • ‘해설가(家)’와 ‘해설사(士)’의 의미로 보는 환경교육자(者)의 전문성에 관한 고찰

        유영초(Youngcho You)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6

        한국사회에 환경교육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 다양한 명칭을 가진 환경교육자(者)들이 환경교육을 이끌어 왔다. 특히 사회환경교육에서는 관련분야 전문가가 국가주도의 자격으로 제도화되기 이전에는, 각각의 생태환경교육단체들에 의해 생태지도자, 환경지도자, 에코가이드, 환경해설가, 생태해설가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활동했다. 최근에는 일부 민간과 공공기관의 특별한 분야와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법과 제도에 의해 자격화된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산림청의 경우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가 있고, 환경부의 경우 자연환경해설사, 사회환경교육지도사가 있다. 전문적인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거기에는 지식의 전문성을 나타내거나, 기술의 전문성 그리고 지명도나 성향 그리고 존대의 의미 등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의 차이를 포함한다. "가(家)"와 "사(士)"의 경우도 그 중의 하나이지만, 분명한 차이와 의미를 식별하지 못한 채, ‘숲 해설가’와 ‘숲해설사’라는 용어로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자격개념의 차이와 혼돈은 물론 전문가 정체성에 있어서도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와 사의 의미구조를 통해 "해설가"와 "해설사"의 차이를 식별했으며, 아울러 직업 전문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특히 시대변화에 따른 직업전문성 속에서의 전문가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환경교육지도자는 자격수준으로서의 사(士)의 전문성은 물론, 체화된 경험과 지식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 암묵지적 가(家)의 전문성도 요구되고 있음을 고찰했다, Environmental education as non formal education in Korea is carried out by educators classified by various job titl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governmental certification systems, e.g.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 "Forest Education Specialist" and "Guide on Natu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or worked under the titl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ructor, forest interpreter, ecological education instructor, eco guide, etc. In this paper, I focus on suffixes used in the various job titles of environmental educator in connection with professional identity, focused on "Forest Education Specialist". Suffixes used in job titles generally divided into "-er/or" and "-ist", which imply different meaning respectively, depending on degrees of ability required to perform certain job duties, relation with certain principles or doctrines, social customs, etc. As looking into examples of practical usage, "-er/or" or "-ist" tend to be chosen at random by customs or individual preference. I consider ambiguity like this would affect to build professional identity of environmental educators in general. Through the study, I analyze the structure of meaning that two most confusedly used suffixes "-er" and "-ist" involved, and seek to establish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ty" and "specialist" based on the findings. Therefore, come to a conclusion that suffix "-ist" denote person who perform a specific action or specialized skill, and closely engaging tacit knowledge is more suitable to define environmental educator"s occupation and professional identity.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전남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김대희(Daehee Kim),안삼영(Samyoung Ahn),이기환(Keyhwan Lee),신효연(Hyoyeon Shin),강흥순(Heungsoon K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8 環境 敎育 Vol.31 No.4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에 의거 제 2기 전라남도 환경교육발전계획이 수립, 추진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남의 학교 및 사회 환경교육의 실태 분석, 기관 조사, 제1기 환경교육 발전계획 추진 실적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남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안을 구상하였다. 활성화 안에 대한 타당성과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남지역의 환경교육 전문가 12명으로부터 7월부터 11월 초순까지 3회의 자문을 받아 보완하였으며, 이를 환경교육 단체 및 시민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말에 공청회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계획, 진척 내용 등에 대하여 도청 및 도 환경교육센터의 관계자 회의를 거쳐 전라남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활성화 비전, 발전 방안, 시책들을 수립하게 되었다. 전라남도의 환경교육 활성화 비전은 ‘지역과 함께하는 환경교육 특성화, 활성화’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4개와 시책 5개, 사회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5개와 시책 6개, 환경교육 활성화 기반구축 방안 5개와 시책 5개를 설정하였다. Based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enacted in 2008, the Second Policy Plan for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Jeollanam province is to be developed in 2018.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in the society at large,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assessed the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y Plan (in place since 2013). These formed the basis for the strategies we recommend to vitaliz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Jeollanam province. In order to ensure the fea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se plans, three rounds of consultations with 12 experts and a public hearing were carried out. A meeting with responsible public officials and leadership in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s were also convened to develop the vision, strategies and future plans. The resultant vision is “locally specialized and vitaliz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pose 5 programs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6 programs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in the broader public, and 5 programs to establish the basis for invigorating environmental education.

      •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이미숙,김지연 한국환경연구원 2013 수시연구보고서 Vol.2013 No.-

        우리나라는 m에년대 학교 교육과정에 환경관련 내용을 포함하교 1912년 제6차 교육과정에 환경 교과목을 선택과목으로 개설하는 등 환경교육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 특히 2008년 환경교육 활성화와 지속가능 발전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환경교육진흥법이 제정되면서 환경교육의 진흥 및 지원을 위한 법적·제도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고 환경교육의 시행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환경교육 진흥법의 개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환경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 주요국의 환경교육법을 검토하여, 환경교육의 활성화률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경교육종합계획, 학교환경교육, 사회환경교육, 사회환경교육지도사, 환경교육프로그램, 환경교육센터 등 환경교육진흥법의 주요 이슈에 대해 모두 개정의 필요성이 존재하는 젓으로 나타났다. 현재 환경교육진흥법상에서 의미가 모호하거나 누락되어 있는 기본 항목들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법적 근거에도 불구하고 시행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일부 법 조항의 강화나 다양한 의무화 방안의 필요성이 함께 제기되었다. 미국, 브라질, 일본, 필리핀, 대만, 콜롬비아의 환경교육법은 세부 항목별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유관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 논의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환경교육진흥법의 개정이 추진되기를 기대해본다. Seve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2008, provided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to encourage and support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with changes in social demands, the need for amendments to the Act has been suggested continuous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s on searching for measures to improv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environmental education and further reviewing overseas environmental education laws. The study has found that all major issues related to the Act reveal demands for a certain level of revision. Ambiguous or undescribed clauses are required to be revised, and additional discussion should be conducted for ineffective articles. Moreover, the need to tighten or enforce some of the existing provisions has been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latter.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data and information for amendments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in the near future and ultimately revitalize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