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김인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some problems in the current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nd to reflect the improvements in the financial reference and textbook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current curriculum by introducing NCS. This study reviews vocational competence in NCS and then compares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lso researches whether the factors for NCS ar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education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textbook and reference book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department of insur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Third. the developing work of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reorganized on new curriculum. Fourth. the revision of the contents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nnounced publicly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NCS in financial field are not reflected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prompt public announcement should be made on the revision of the financial curriculum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n the new financial textbook and insuranc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금융 교육과정을 검토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현장 직무 능력 적합성을 제고하도록 교육과정을 개정 및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분류 체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금융 분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반영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한 금융분야의 직무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관련 교과목을 편제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상 기준학과에 보험관련 학과를 제시하고 ‘보험일반’과 ‘보험실무’ 등 관련 교과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의 개발은 반드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교육현장의 요구사항이나 학교 여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과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통합공시 및 연계공시를 통해 산업체요구와 교육현장의 통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상업정보계열의 금융 교육과정의 경우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직무능력이 반영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교육과정의 수정 공시가 필요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재 교육과정의 법적 규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

        박창언(Park, Chang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법적 규정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 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논의된 내용은 첫째, 영재교육의 본질과 ‘영재교육진흥법’의 특별법적 성격과 교육의 자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본질은 인간의 성장에 대한 것이고, 이는 영재교육의 본질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인간의 성장을 위해서는 이에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학교의 자율성이 요청되었다. 둘째, 영재 교육과정의 법규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영재교육진흥법’과 동법 시행령에 제시된 사항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해 현행교육과정 법규에 대한 문제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법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여기서는 ‘초․중등교육법’ 전체 조문과의 관계, 법과 시행령에 제시된 교육과정 관련 용어 사용의 부정확성, 교육과정 결정자로서 교장과 학교의 관계,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과 지원체제, 영재 교육과정 규정의 종합적 검토를 행하였다. 논의 결과 영재 교육과정의 규정에서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에 제시된 규정은 삭제하고, ‘영재교육진흥법’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을 영재 교육기관이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legal issue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and autonomy of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nature of the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helped the grow of individuals and demanded autonomy in education place. Second, Legal statu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was analysed. Legal regulation associated with curriculum in gifted ducation 'Act of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ppeared to be superior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the gifted to receive proper education. In consequence,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should require to obtain autonomy. But it was found the right to decide the curriculum, inconsistency of curriculum between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nd 'Enforcement Decree Act of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tc. Third, It was discussed legal examination related to curriculum in gifted education. Article 23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choice of words about curriculum, the right to decide curriculum, expertise of the implementation and organization for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ere examined. In conclusion, further attentions to legal imperatives in gifted education need to reconstruct regulations related to curriculum.

      • KCI등재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 관점으로 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

        심상보(Shim, sang-b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에 관하여 영 교육과정 관점에서 논의하여 보다 나은 예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술교육에 관한 교육과정 관점으로서 영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학교교육에 나타난 예술교육정책분석과 비판을 위한 기초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구조와 특징,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예술교육을 영 교육과정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에 관한 잘못된 개념과 교육개혁 정책 때문에 중․고등학교의 예술 교육은 중․고등학교 교육의 주변에 남게 된다. 한국의 학교 교육이 전적으로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예술교과의 주변화는 당연시되어지고 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집중이수제와 교과군 통합으로 예술교과가 다른 주요교과와의 차등이 주어질 수 있고 소홀히 다루어질 소지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better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this, art education has been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ull curriculum. Especially, art education reflected by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scrutinized by criticizing and analyzing the properties, structures, and problem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indicated that art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s remains insignificant because most of the school curriculum has served for the purpos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s a result, art education has been marginalized in Korean educational system. Secondly, there could be more possibility that art education can be treated as less significant than the other main curriculum because of focused course-taking and curriculum integration reflected by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2009 개정(改定) 교육과정(敎育課程)에서 한문과(漢文科) 위상(位相)과 새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4 No.-

        본 論文은 2009 改定 敎育課程의 運營에 따른 漢文科의 位相을 알아 보았으며, 향후 개정될 漢文科 敎育課程의 方向을 밝힌 것이다. 최초 독립교과로 편성된 3차 교육과정부터 한문과는 6차교육과정까지는 큰 변화없이 필수 교과의 편제시수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7차 개정 이후 한문과는 중, 고등학교에서 선택교과로 되면서 최대 단위시수보다 최소 단위시수로 운영되었다. 이후 한문과의 위상이 낮아졌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 한문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학교교육과정 편성시에 60% 이상의 한문과 교가사 한문과 교과 시수 감소를 경험했다. 이에 따라서 30% 이상의 한문과 교사가 타과목 상치(相馳)를 요구받았다. 비정규직 한문과 기간제 교사의 경우는 재계약을 못하는 경우도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상황은 동일한 학교내에서 한문과 교사가 타교과 교사에 비해 신분적 안정이나 대우의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한문과 교사들이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는 경우도 상당히 많았음이 밝혀졌다.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다시 개정한 2009 한문과 교육과정은 첫째, 중학교 성취기준이 통합되었다. 둘째, 중학교한문, 고등학교 한문Ⅰ, 고등학교 한문Ⅱ의 학습 요소를 성취기준으로 전환하고 동시에 성취기준을 위계화(位階化)하였음이 밝혀졌다. 셋째, 내용체계를 대영역에서는 한문 영역을 ‘독해, 문화’ 두 영역으로 나누어 모두 ‘독해, 문화, 한문지식’ 세 개 영역으로 확장했다.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여러 가지 방면에서 이전의 교육과정(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에 비해서 개선된 측면이 많았다. 그러나 몇 가지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도 드러났다. 첫째, 전체적인 것으로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해설서’가 없어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참고해야 한다. 따라서 변경된 내용에 대한 혼란이 심하므로 ‘해설서’ 또는 그에 준하는 것이 있어야 함이 밝혀졌다. 둘째, 교육환경이 크게 변함에 따라 ‘인성’에 대한 영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영역, 중영역을 바꾸어야 함이 밝혀졌다. 셋째, 편제시수의 감소에 따라 성취기준의 양을 적정화해야 함이 밝혀졌다. This paper researched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and put forward the way of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afterwards. Chinese character had kept certain number of modules for necessary subjects without any special change from the third curriculum, which was organis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t first, to sixth curriculum. However, since seventh revision, Chinese character has been operated by the minimum modules rather than the maximum modules, changing into an optional subject. Since then,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 has been lowered. The survey about the management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was carried out with the Chinese character teachers. As a result, more than 60% of them experienced the reduction of the modules of Chinese character course in the organisation of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it was revealed that 30% of the teachers have been required to transfer to another subject or even there were some cases of failing to renew the contract in case of temporary teachers, who are irregularly employed. These situations cause disadvantages to Chinese character teachers comparing to the teachers of other subjects in a same school in terms of the positional stability or the treatment. Because of this, many of them tend to feel anxious psychologically. In the 2009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which is revised on the basis of 2007 curriculum, firstly,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in middle school was integrated. Secondly, the elements of study in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Highschool Chinese characterⅠand Highschool Chinese character Ⅱ changed into the standards of accomplishment, and simultaneously put them in order. Thirdly, the content structure was expanded to three kinds of area ``Reading, Culture, and Chinese character knowledge`` in total, largely dividing it into two kinds of areas ``Reading and Culture``. 2009 revised curriculum have more improvement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s(2007 revised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im various aspects. However, there were several points requiring to redeem. Firstly, 2009 revised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doesn``t have ``reference book`` so that it requires to refer 2007 revised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reference book``, or sort of things are needed. Secondly,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changing largely, there is the necessity to develop an area about ``humanity``. Following this, the big field and the middle one have to change. Thirdly, the quantity of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should be modifi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organised modules.

      • KCI등재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이선영(Lee, Sun-Young),김수향(Kim, Soo-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1학년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하여 두 기관의 놀이 교육의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유⋅초연계의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분석 대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놀이이해자료, 놀이실행자료’(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1학년 교사용 지도서이다. 분석방법은 두 기관의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운영방향, 교사 역할, 교육영역의 내용범주 분석은 황윤세(2012)의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 준거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하였고, 놀이실행의 계획-실행-평가는 귀납적 분석방법(이림, 2015; 최호성, 박경희, 2002)을 활용하여 2020년 12월20일부터 2021년 6월30까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운영방향, 교사역할, 교육영역 및 내용범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연계 정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그 중 교사 역할면에서의 차이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놀이 실행(계획-실행-평가) 비교 분석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는 유아 관심의 시작에서부터 놀이가 시작되고 놀이의 흐름에 따라 교사의 놀이 지원을 통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반면,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교사가 놀이를 활용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성취기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결론 두 기관 교육과정의 공통점은 학습자 중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 전환 및 확대 운영에 초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두 기관의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에서 놀이선정 및 교수학습방법 운영에 있어서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차이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초연계 관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of the two institutions by comparing the play-oriented curriculum between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e targets for analysis are “2019 revised Nuri Course Commentary, Play Understanding Data, Play Execution Data”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and the first-year teacher guid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goals, operation directions, teacher roles, and content categories of the two institution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research criteria analyzed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of Hwang Yun-se (2012). Also, The plan-execution-evaluation of play execu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from December 20, 2020 to June 30, 2021 using inductive analysis methods (Yirim, 2015; Choi Ho-sung, Park Kyung-hee, 2002). Results Firs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goals, operation directions, teacher roles, education areas, and content categories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e degree of connection is very good. Among them, the defference in teacher roles was the highest. Second,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play implementation (plan-execution-evaluation)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play begins from the beginning of infant interest and the play-oriented curriculum is conducted through the play support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flow of play while the first grad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ims to reach the achievement standard by reorganizing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Conclusions In conclusion, what the two institutional curriculum has in common is that it focuses on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of the curriculum to a learner-centered play-oriented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first-year play-oriented curriculum in the operation of play selection and teaching methods in the contents of the two institutions. Therefore, we hope that this study results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first-year elementary school play-oriented education course will be basic data that can be implemented from a point of view of the connection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세계화에 대비하는 고교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탐색: 균형 있는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시론(試論)

        강익수 ( Ik Soo Kang ),박하식 ( Ha Sik Park ),백경선 ( Kyeong Sun Bae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3

        세계화로 인해 우리 교육은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 세계의 상호관련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 능력, 태도를 가르쳐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상은 교과 중심, 입시 위주 교육에 편중되어 세계화라는 흐름과는 아직 거리가 있으며, 교육목표인 세계시민적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세계화에 대한문제는 `각 문화 간의 경쟁적인 사회적 의제에 대한 토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세계화는 교육과정에서 새로운 집중과 강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교과간 균형에 의한 통합적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시민적 자질, 즉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와 교과외 활동의 균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간은 물론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간의 균형을 잡아주도록 구성하고 운영하는 것이 세계화를 대비하는 교육과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형잡힌 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형태를 IB DP 중 특별활동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Creativity, Action, Service(CAS)와 교과 통합적 프로그램인 Theory of Knowledge(TOK)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과 세계 시민적 자질 함양을 위한 CAS와 TOK의 운영 사례는 우리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균형있게 구성·운영함으로써 세계화를 이루는데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를 우리 현실에 맞게 적용하려는 노력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Globalization offers a major provocation to our education in whic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re taught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nations. However, the current highschool curriculum is operated with a tendency toward subject matter-centered and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which is far removed from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the curriculum is being delivered properly to achieve the goal of education, developing global citizenship. It is possible for us to conceive globalization through a debate of competing social agendas between cultures. Globalization requires new focus and emphasis in curriculum and this means curricular change.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in the context of gloabalization to organize and operate the curriculum, balancing domains between subject matter and non-subject matter as well as between subjects. A prominent example of a balanced curriculum can be found in Creativity, Action, Service (CAS), one of the various special activity program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 DP) and Theory of Knowledge (TOK). The case in which CAS and TOK are being operated to promote highschool students` holistic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shows us how to organize and operate our well-balanced high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globalization. Effort in applying this case to our reality will provid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advance our highschool curriculum to a global level.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변천 연구

        정은주(Jung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변천을 분석하여 향후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개발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이 도입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대상으로 기본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및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시간 배당은 교육과정 개정과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수학과의 시간 배당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구성 체제는 일관되게 교과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세부적인 변화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내용은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범위와 수준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의 보다 실효성 있는 적용을 위하여 기본 교육과정 적용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한 고민,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연구 및 내용 영역별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mathematics of the Basic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from the 7th curriculum in which the Basic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e format and contents of the Basic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ime allocation for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However, in common, it was found that as the school grade went up, the time allocation for the mathematics decreased. The composition system of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consistently maintained a large frame of subject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showed detailed changes by reflecting the changes caused by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Lastly, the contents of the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cope and level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study on the Basic Curriculum-eligible students for a more effective application of mathematics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This study also emphasized the needs for a study on the adequacy analysis of the contents of Basic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a study on in-depth research by content area.

      • KCI등재

        우리나라 초⋅중등 교육과정을 통해 본 체육사상 고찰

        김세기(Kim, Se Ki)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2015 교육과정까지 초·중등 체육과 교육과정 변천의 중심사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문헌 고찰을 주요 연구 방법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초·중등 체육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미국의 교육제도와 함께 신 체육이 도입되어 실용주의에 기초를 두고 변천하여왔다. 둘째, 교육과정별 강조한 중심사상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아래에 진보주의, 국가주의, 실용주의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시작부터 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가 주도의 획일화와 집중 경향이 강했으며, 6차 교육과정부터 실용주의에 바탕을 두고 분권화 경향과 교육과정 권한 이양 및 개인의 자율성과 다양성 추구에 중심을 두고 교육과정 변천이 이루어졌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of main thought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from 1945 liberation to 2015 curriculum Method: Curriculum from public institutions such as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and concerned documents within the period mentioned above are closely analyzed. Results: Firs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s nationalized one, which is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from Korean traditional humanitarian ideal and has changed under the pragmatism with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education system and new physical education. Second, stressed main thoughts on each curriculum are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pragmatism under educational thoughts from the humanitarian ideal. Third, standardization and centralization were prominent from the first to fifth curriculum, whereas decentralization, curricular devolution, pursuance of personal autonomy and diversity are sought from the sixth curriculum based on the pragmatism. Conclusi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s based on humanitarian ideal and pragmatism and it shows nationalism, progressivism and pragmatism.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국제비교 연구

        김사훈(Kim, Sa-Hoon),이동엽(Lee, Dong-Yub),이영아(Lee, Young-A),백경선(Baek, Kyeong-S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교육과정의 미래 방향 탐색을 위해 세계 주요국의 교육과정 등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편제를 수업시수와 연계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데, 이는 각 국가 교육과정 편제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 국가 및 분석 준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비교적 명확하게 제시된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 일본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를 비교·분석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과정 편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상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보다 다소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1~2학년의 교과 시수가 비교 국가에 비해 적게 편제되어 있다. 둘째, 국어, 수학의 편제시수는 비교 국가에 비해 다소 적었다. 이 역시 초등학교 저학년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를 통해 발견한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국어 교육은 프랑스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부터 편제되어 있고, 핀란드는 3학년부터 편제되어 있지만, 학교 선택에 따라 1학년부터 자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캐나다는 4학년, 일본은 5학년에 편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차기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심도 있게 논의될 필요성이 있는 사항을 제시하였다. Despite increased attention to research that enable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the world's major countries;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s in connection with class hours. Identifying a research target and comparison criteria is the major difficulty because curricular are diverse in each country. Thu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national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of Korea by comparing with Canada, France, Finland, and Japan. They are offering relatively clear general guidelines. The result firstly showed that class hours in Korea especially for the first two years of elementary school, is low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econd, annual instructional time of languages, mathematics is allocated less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r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cross countries are shown as follows. France allots school hours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first year of school.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of Finl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officially begins in the third grade, but it can be started from the first year depending on school management. Canada starts it in the fourth grade and Japan assigns it to the fifth grade.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olicies in Korea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박창언(Park Chang 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현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교육부 령으로 제시하는 개정 법률 안이 제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하위 입법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법제화를 위한 논의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육과정의 관계에 대해 논의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제출된 개정 법안의 제안 이유와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법제화 방안 탐색을 하였다. 논의 결과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반영 방안은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과 국가 교육과정을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법규를 통해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 내용, 방법과 같이 직접적으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사항을 교육하여야 할 부분에 해당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법령 체제를 정비하여야 하는 외형적인 측면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시기와 내용 및 방법의 내용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가 교육과정 부분에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총론은 교과에 해당되는 사항을 일괄적으로 제시하거나 각론의 지침에 해당되는 내용이 제시되므로, 구체적인 사항보다는 지침의 역할을 하는 사항 위주로 제시하였다. 각론은 해당 교과별로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교과별 성취기준의 반영 정도를 달리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서 현재의 교과별 반영 비중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반영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눈데 시사를 준다. This study suggested legislation for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in curriculum fields.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urriculum, and then examines the grounds for offer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amendment in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he regulations an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methods reflected through regulations are time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on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A time of education is properly set at four hours each year. The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 the understanding, case study, and coping method of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eaching methods are lecture method instruction, field study, and role play etc. The plan to apply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proposes the general guideline and subject matter curriculum. The general guideline prescribes the guidance related to the preventativ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The subject matters curriculum reflects achievement standards by each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