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과시제도를 구성하는 개별 과시가 조선 전기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신설되고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세기의 과시는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하는 춘추과시, 사학생과 각 도 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도회가 있었다. 태종대에 권학사목 에 의하여 과시법이 모색되고, 세종대에 춘추과시와 도회 규정이 정비되면서 각각 과시로서 성립되었다. 세조대에는 경학교육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제술 중심의 과시는 약화되었지만, 예종대에 다시 재개되어 성종대에는 『경국대전』 <장권>의 규정으로 수록되었다. 둘째 16세기에는 다양한 과시가 마련되었다. 16세기의 과시들은 이전의 춘추과시·도회와 같이 『경국대전』의 과시를 계승한 유형, 윤강·윤차 및 승보와 같이 학교시가 과시로 변화된 유형 그리고 정시·전강과 같이 신설된 유형으로 구분된다. 승보는 일찍부터 과시로 운영된 듯하지만, 나머지 과시들은 주로 중종과 명종대에 과시로 법제화되었다. 이러한 과시의 신설 경향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셋째 조선전기에 다양한 과시가 신설된 요인은 표층적·심층적 두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표층적인 요인으로는 제술·고강 병행정책을 들 수 있다. 제술과 고강을 병행하려는 정책 때문에 제술로 평가하는 과시와 고강으로 평가하는 과시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또한 심층적인 요인으로는 교육진흥에 관한 당시의 인식을 들 수 있다. 조선전기의 교육당국은 유생들이 자발적으로 학교에 오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기본 인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강한 인센티브를 주는 과시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이점에서 과시는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으면서 교육을 진흥시키려는 고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ollow the estabishment of Gua-Si in 15C-16C of Jo-Seon Dynasty. Gua-Si means the test which evaluates the students, selects some ones and gives the incentive to enter themselves for the second or the last stage of national examination for recruiting bureaucra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15C, only two Gua-Sis were established. Those were Chun-Chu-Gua-Si and Do-Hue. The former was for the students of Seong-Gyun-Gwan(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was for the students of Sa-Hak(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Hyang-Gyo(Public Distruct Schools). Second, in 16C, many new Gua-Sis appeared. For example, Jeon-Si? Jeon-Gang(for Seong-Gyun-Gwan), Yun-Gang?Yung-Cha (for Seong-Gyun-Gwan and Sa-Hak) and Seung-Bo(for Sa-Hak) were instituted. And the former Gua-Sis, eg. Chun-Chu-Gua-Si and Do-Hue were strengthened. Third, the factor of the increasing Gua-Sis was the educational policy which balanced the educuation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the cognition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which guaranteed the autonomy of the students more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 In short, Gua-Si was the product of the educational ado in the 15C-16C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18세기 과시운영체제 연구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6 교육사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과시체제의 형성 배경, 개별 과시의 유형, 그리고 과시체제의 기능을 고찰하는 내용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 과시체제는 유생층의 증가에 따른 교육현안과 그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산물이었다. 당시 조정에서는 모든 유생층을 학교에 수용하는 대신, 재정적 부담은 적으면서도 소속 유생들의 학업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시제도를 활용하였다. 둘째 과시체제를 구성하는 과시들은 교육형 과시, 관리형 과시, 그리고 선발형 과시로 구분된다. 교육형 과시에는 통독과 승보가 포함되는데, 이들 과시는 1년간 일정한 과정에 따라 반복적으로 평가를 시행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영향력이 크다는 특성을 갖는다. 관리형 과시에는 합제와 공도회가 포함되는데, 이들 과시는 각각 중앙과 지방별로 소속 유생 전체를 대상으로 학업을 장려하는 성격이 강하다. 마지막으로 선발형 과시로는 성균관 과시인 전강과 절제를 들 수 있는데, 이 과시들은 1회성 시험으로서, 우등자에 대한 특혜가 강화되어, 사실상의 급제를 수여하기도 하였다. 셋째 과시체제는 학교제도나 과거제도의 한 부분으로 간주할 수 없는 독자적인 제도였다. 조선전기에는 학교제도의 한 부분으로서 장학책에 불과하였지만, 17세기에 과시의 재구조화가 진행되고, 숙종 대에 과시제도가 전면에 부상하면서, 학교제도의 영역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여전히 유생의 학업을 장려하는 성격이 강하였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과거제도에 편입되지도 않았다. 넷째 과시체제는 조선후기 인재양성과 인재선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교육형 과시는 그 자체가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관리형 과시나 선발형 과시 또한 소속 유생층의 학업에 영향을 미쳤다. 이 점에서 과시체제는 조선후기 인재양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재선발의 측면에서도, 과시는 승보•합제→생원•진사→성균관상재생→전강•절제→급제로 이어지는 일련의 인재 선발 과정에서, 사전선발장치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system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Guasi, 課試) of Jeos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 were the rapid growth of the student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policy of the authorities. The authorities could not reply the need of the expansion of the students accommodation, and so make use of the examinations as the policy alternative. Second, the examin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ne is education type, another is management type, and the other is selection type. Third, the function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 can be said to educate and management the students and select the elites. The strengthening of the system shows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숙종 대의 과시정책과 운영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숙종 대의 과시정책과 운영상황을 검토하였다. 숙종 대는 18세기에 과시제도가 학제 운영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전환점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종 대의 과시정책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하나는 과시의 제도적 위상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대표적으로 『태학성전』(1689)과 『수교집록』(1699)을 편찬한 조치를 들 수 있다. 1690년대에 이들 성균관 규정집과 법전을 편찬함으로써, 당시까지 수교에만 근거하여 운영되던 과시의 법적 근거가 강화될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과시의 교육적 기능과 공정성을 강화하는 정책이다. 한 동안 폐지되었던 통독을 부활시켜 성균관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고, 다른 한편으로 부정행위자 처벌, 상피제 도입, 시관처벌 규정을 검토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숙종 대 과시의 운영상황은 기본적으로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비록 갑술환국과 같은 정변이나 『예기유편』 및 『가례원류』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제도의 원만한 운영에 장애요인이 되기는 하였지만, 그 영향은 일시적이었다. 셋째, 숙종 대의 과시는 교육적 기능과 선발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교육적 기능이 강한 과시는 정기적으로 유생을 평가하는 통독·승보·합제를 들 수 있고, 이들 시험은 모두 대사성의 책임 하에 시행되었다. 이에 비하여 선발기능이 강한 과시는 전강·절일제·황감제와 같은 일회성의 시험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별 차이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승보·합제는 엘리트 선발의 기능도 수행하였고, 전강·절일제는 유생의 학업에 영향을 주는 교육적 기능도 수행하였다. 과시는 숙종 대의 이러한 정책적 변화를 겪으면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여 영·정조대에는 학제(學制)로 인식할 정도로 당시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policy and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s (Gwasi, 課試) in the Sukjong regime. This period was the turning point that the examination system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in the 18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two directions. One was the enforcement of the legal status of the examinations. In 1690`s Confucian University Code (Taehakseongjeon, 太學成典) and King`s Command Compilation (Sugyojiprok, 受敎集錄) were published. These rule books became the legal grounds of the examinations. The other was the enforcement of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fairness of the examination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xaminations was stable. Though the period of Sukjong regime was a turbulent era, the effect of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controversy were temporary. Third, the examinations can be divided in two groups. One group contained Tongdok(通讀), Seongbo (陞補), and Habje (合製). The function of the examinations was educational. The other group covered Jeongang (殿講), Jeolilje (節日製), and Hwanggamje (黃柑製). The function of the tests was selectional. But the division is not absolute. Because the educational examinations had the selectional function and the selectional tests had the educational function.

      • KCI등재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최광만 ( Kwang Man Choi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이 글은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과시제도의 형성과정을 추적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과시제도의 재구조화 과정이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는?과시등록?을 기본 자료로 하되, 조선후기적인 과시제도가 규정되어 있는 ?속대전?을 개념틀로 삼아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의 과시제도는 1639년(인조17) 소학고강의 신설로 인한 공도회의 실시, 1655년-1659년(효종6-10) 사학합제의 시행과 공도회의 분리 그리고 1663년(현종4) 성균관 과시를 비롯한 제반 과시규정의 정비의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이후 몇 차례 부분적인 조항이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속대전?의 규정으로 정착되기까지 큰 변화는 없었다. 둘째, 조선후기 과시제도는 변화된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정책, 즉 소학교육 강화정책, 재가유생 중심의 학교운영 정책에 영향을 받으면서 강화되었다. 그리고 17세기 중반 이후 과시제도가 확립되면서 18세기에는 조선후기의 중요한 교육제도로서 교육현실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과시제도의 확립은 조선후기의 교육을 조선전기처럼 학교제도와 과거제도만으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변화된 조선후기의 교육환경에서 과시제도가 미친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Guasi Jedo, 課試制度) of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The primary sources are Guasi Deungrok(課試謄錄) and Sok Daejeon(續大典).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mportant phenomena of the process a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Hak(小學) test in 1639, the establishment of the Sahak Hapje(四學合製) in 1655-1659 and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in 1663. Secondly, the examination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olicy in 17th century. And the examination system became an important composing el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Lastly, the National Encourgement Examination System is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Joseon Dynasty educational system. It is not found even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So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적 과시와 인정의 사회적 형식

        이홍균 ( Hong Kyun Lee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2

        이혼율, 자살율, 저출산율 등 한국의 사회 병리 현상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리고 한국 사회의 명품 소비율, 결혼 비용, 성형 수술 비용, 가계 소득 대비 사교육 비용 등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 두 가지의 원인을 이 연구에서는 과시의 사회 압력이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높기 때문이라는 하나의 원인에서 찾고 그것을 이론적이고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서 검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시의 사회 압력이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높은 이유를 가설, ``한국 사회에서 과시의 사회적 형식은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매개로 한 인격 과시이기 때문이다``에서 찾는다. 한국 사회에서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 과시의 수단이지만, 과시의 목적은 인격적인 과시이고 그래서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에서 우열이 바로 인격적 우열로 인정되는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격적 무시를 감내하지 않으려는 것이 보통이고, 특히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에서 열등하기 때문에 인격적으로 열등한 대우는 더더욱 감내하려고 하지 않는다. 만약 한국 사회의 일반화된 타자가 인정하고 있는 과시의 수단은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이지 인격이 아니라면 한국 사회에서 인격적으로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게 될 것이고, 그 결과 한국 사회에서 과시의 사회 압력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가설은 1503명에 대한 설문조사와 37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서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매개로 한 인격 과시``가 한국 사회의 과시의 사회적 형식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에서 열등한 사람은 우월한 사람에 의해 인격적인 무시를 당하고 있었고 그것을 부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과시의 사회적 형식에 따라 인격적으로 무시당하지 않으려면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높이는 방법밖에 없다고 답변했다. 어느 사회 보다 한국 사회에서 과시의 사회 압력이 높은 이유는 인격 무시를 당하지 않기 위해 물질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높이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명품 소비, 사교육비용, 성형 수술 비용 등 생활비용을 높인다. 그러나 그 높은 과시의 사회 압력을 따라가지 못하는 처지의 사람들에게는 그것은 인격 무시를 감내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이혼율, 자살율, 저출산율의 ``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In Korea social pathologies such as divorce rate, suicide rate, and low birth rate rank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The amount of luxury consumption, marriage costs, cosmetic surgery costs, and private tutoring costs compared with household income in Korea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as well. This research maintains that the cause to such phenomena can be traced to the fact that the social pressure to "show off" in Korea outweighs that of other countries.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seeks to substantiate such argument.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ocial form of conspicuousness in Korea appears in the form of showing off one`s personality through the medium of material, social status, etc." Such hypothesis provides profound grounds to why the social pressure to make conspicuousness remains high. In the Korean Society, where material or social status works as means of conspicuousness, the primary purpose of such conspicuousness turns to be conspicuousness of personality. From this, we could hypothesize that the demonstration of superiority in material and social status converts to the superiority in one`s personality. The general public does not want to undergo the experience of being looked down, and more when the treatment originates from their low social status or lack of material. If the means of conspicuousness that the generalized others recognize show as "material and social status" but not personality, one would try to enhance his or her social status or wealth, and as a result the social pressure to make conspicuousness increases.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is empirically verified. Through the survey(1503 subjects), and in-depth interviews(37 subjects), it is proved that the social form of conspicuousness in Korea is ``the "showing off" of personality through material or social status. `` Subject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were being looked down by people of higher status, and considering the treatment wrongful, but answered that the only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was to enhance their own ``material or social status. `` One explanation to why the social pressure to make conspicuousness is higher in Korea is that people try to enhance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order not to undergo ignorance. Such phenomenon leads to the rise of costs in consumption of luxuries, private tutoring, cosmetic surgery, and so on. However, when people can not adjust themselves to such social pressure, there is no way but to put up with the condescendence. This can be ``one`` factor of the leading factors to high divorce rate, high suicide rate and the low birth rate.

      • KCI등재

        科詩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

        장유승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thesis examines the results and tasks of the research on the poetry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Gwasi, and investigated the type and literary form of Gwasi from the realistic background of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n the late Chosŏn period. While the formation of Gwasi was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the 18th century, the regulation was closer to the implicit method rather than explicit institutional regulation. Different from the prejudice that Gwasi might be the difficult due to the strict formative restriction, Gwasi was far easier to compose compared with general Chinese poems. The learning of Gwasi superseded the learning of general Chinese poem.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n the late Chosŏn period was changed to stress the social integration function rather than having discrimination which was the reason why the for mative regulation was not properly observed. If the formative style is stressed, it may increase discrimin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results in the alienation of those who are not benefited from learning environment. To prevent alienation, it is essential to relieve formative restrictions. The style and literature features of Gwasi demonstrated the change of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in the later Chosŏn period that sought fair and equal selection regardless of hierarchy, region and even the literary ability. The literature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cluding Gwasi was an output of dynamic change created by the tens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system and its embodied reality. 이 논문은 科詩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점검하고, 조선후기 과거제의 실상을 배경으로 과시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과시의 형식 규정은 18세기를 전후하여 성립하였으나, 그것은 제도적으로 명문화된 규정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형성된 요령에 가까웠다. 따라서 과시의 창작이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는 선입견과 달리, 과시의 창작은 일반 한시의 창작에 비해 수월하였으며, 과시의 학습 역시 일반 한시의 학습에 선행하였다. 과시의 형식 규정이 엄격하게 준수되지 않은 이유는 조선후기 과거제도가 변별력보다 사회통합기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형식이 엄격할수록 변별력은 높아지는 반편, 학습 여건의 수혜를 받지 못한 이들이 소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소외를 막으려면 형식적 제약의 완화는 필수적이다. 과시의 형식과 문체적 특징은 계층과 지역, 심지어 작문 능력까지도 막론한 공정하고 균등한 선발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조선후기 과거제도의 변화를 반증한다. 과시를 비롯한 과시문은 제도와 그것이 구현되는 현실 사이의 긴장관계가 만들어내는 역동적인 변화의 산물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학과시 정책의 추진과정

        최광만(Choi, Kwangman) 교육사학회 2017 교육사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사학과시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조선후기의 사학과시 정책추진과정을 탐색한 내용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법적 ·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데에 중점이 두어졌다. 인조 대에는 능력 있는 교관을 임명하여 일상적 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정책이 추진되었고, 효종 초에 반포된 「응행절목」에도 이러한 성격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응행절목」이 실패하고 그 대안으로 「사학지규」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전의 교육정상화 정책은 약화되고, 과시를 통한 교육진흥책이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숙종 대는 이러한 과시 중시의 정책이 집중적으로 시행된 시기로서, 『태학성전』의 편찬이나 『수교집록』과 같은 보완 법전의 제정으로 사학과시의 법적․제도적 위상이 강화되었다. 둘째, 18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이전의 정책을 계승하면서 과시의 공정성 확보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조치에 집중되었다. 그 결과 영조와 정조 대에는 과시를 통해 인재를 교육하고 양성하는 제도, 즉 과시 중심의 학교제도가 형성되게 되었다. 영조와 정조는 사학과시의 이러한 측면에 주목하여 공정하고 안정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셋째, 19세기의 사학과시 정책은 기본적으로 영조와 정조가 마련한 제도를 유지하는 데에 초점이 있었다. 즉 규정에 따라 사학과시를 시행하고,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과시는 무효로 처리하며, 새로운 과시 규정은 신설하지 않은 것이다. 한 마디로 선왕이 마련한 『대전통편』의 규정에 따라 과시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처리하는 것이 정책의 주 내용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표면적으로는 이전의 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지만, 그 이면에서는 사학과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약화됨으로써 여러 문제가 나타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policy of the Four National Attached Schools’(四部學堂) examination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y in the 17th century focused in stabiliz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of the examination as a substitute for strengthening the usual education of the Four Schools. The enactment of [the Rule of Four National Attached Schools(四學之規)] was the start point of the change. Second, the policy in the 18th century focused in securing the fairness and stabilizing the execution of examination.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e policy was the creation of the examination centered school system. Third, the direction of policy in the 19th century formally maintained the previous examination centered school system. But the actual efforts were weakened, so the new school system became relaxed.

      • KCI등재

        사부학당과시제도(四部學堂課試制度)의 정비와 사학합제(四學合製)의 성립과정

        여영기 ( Young Ki Yeo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1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 trends and the administrative principles of The National School Examination System(Keshi zhidu, 課試制度) by reconstructing the newly established process of Sixuehezhi(四學合製) on Josen Dynasty in 17th Century. Sixuehezhi(四學合製) was a Keshi(課試) that had made by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Sixue(四學) Examinations, that is, Sixue lunci caishu(四學輪次製述), Sixue shinian lunjiang(四學式年輪講), Gongduhui caishu(公都會製述), Xiaoxue kaojiang(小學考講).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ree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and reorganization on Guasi in 17th century, viz, principle of Encouragement of Schools,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pital and Province,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ishu(製述) and Kaojiang(考講). Therefore, Sixuehezhi was not a lower grade examin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under the kingdom(keju, 科擧)``, but one of Josen`s National School Examinations which had made under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for the nomalization and encouragement of schools. 본 논문은 17세기 四部學堂의 課試인 四學合製의 성립을 중심으로 사부학당의 과시제도의 변화과정을 재구성해 봄으로써 課試制度의 성격과 운영상의 원리, 그리고 교육제도의 조선후기적 변화의 양상을 검토해본 것이다. 사학합제는 17세기 양란 이후 사학의 과시제도를 정비하면서 신설된 시험으로, 그 후 『속대전』에 수록되어 陞補試와 함께 조선후기 사학 과시제도의 항식이 되었다. 본론에서는 주로 사학 합제가 기존의 사학의 과시인 四學輪次製述, 四學式年輪講, 公都會, 그리고 17세기 새로 추가된 小學考講이 과시 운영의 원칙에 맞게 통합되며 만들어진, 조선후기 사학 과시 정비의 종합적 결과물임을 규명 하였다. 17세기 인조-현종대 사학합제의 성립과정을 분석해보면, 크게 세 가지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고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장려의 원칙[장권의 요구], 제술-고강 균등의 원칙[교육과 정상의 요구], 서울-지방 균등의 원칙[교육행정적 요구], 이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세 원칙은 사학의 과시뿐만 아니라 국가의 학교 시험제도 전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는 조선후기 과시제도가 科擧의 하위시험이 아니라, 과거시험과는 별도로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업의 권장의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과시의 실제와 교육사적 의의에 대한 보다 진척된 논의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17세기 이외의 시기에도 적용되었는지, 사학합제 등의 과시들이 얼마나 실효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시행되었는지, 그리고 과시제도의 정비와 강화가 실제 학교의 운영과 학생들의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의 문제들이 향후 연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주제들에 대한 탐색은 조선시대 과시제도의 실제와 의의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학교제도와 과거제도 중심의 논의만으로 포착되지 않던 조선시대 교육의 실상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는 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숙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정지연(Cheong, Ji-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3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과시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숙종대의 성균관 과시 운영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종대 성균관 과시는 시관, 응시생, 상급 등은 규정대로 운영되었으나 시행 자체는 순탄하지 않았다. 정부의 유고나, 시관인 대제학이나 대사성이 유고하거나, 유생들의 공관으로 인하여 과시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시행여부는 과시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정기과시를 오랫동안 시행하지 못할 때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그를 보완할 수 있었다. 숙종대 전반에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과시의 시행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드러나지 않는다. 숙종대 후반에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시행 일자가 정해져 있는 과시의 시행을 보완했다. 삼일제가 시행되지 못하는 시기에는 특명제술을, 전강이 실시되지 못하는 시기에는 친림전강이나 ‘도기 유생전강’을 실시하였다. 과시의 은사는 제술 시험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친림전강과 ‘도기유생전강’의 경우는 후대로 갈수록 은사의 상급이 높아지고 인원도 확대되었다. 은사 중 직부전시는 식년시, 증광시, 별시에 사용하게 했던 반면, 직부회시와 급분은 식년시에만 사용하게 했다. 후대에는 식년시 시기가 뒤로 미뤄지면, 그 사이 시행된 과시에서 직부회시나 급분의 은사를 받은 이들이 당해 식년에 은사를 사용하도록 해서 은사자들을 배려했다. 숙종대 성균관 과시는 시관의 유고, 유생들의 상황, 혹은 국가의 행사로 인해서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적어도 숙종대 후반에는 그것 역시 규정 안에서 보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과시를 시행하지 못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라, 시행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보완책을 사용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rete aspects of the operation of the Seonggyungwan-Guasi(課試) during King Sukjong s reign(1674-1720). During King Sukjong 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examiners, entrants and special benefits(恩賜). But it was not usually implemented, because there was another occasion of the dynasty in the day of Seonggyungwan-Guasi, or the examiners had the other official works, or the entrants protested against the government. King Sukjong was able to order a special Seonggyungwan-Guasi implemented for the supplementation. This supplementation was not used during the first half of King Sukjong s reign, but it was during the latter half. King Sukjong made entrants perform a special writing test after the fixed writing tests in a festive day(節日製) were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Also he made entrants perform a special oral test about Confucian classics after the fixed oral tests in the palace(殿講) were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Using this system, the special benefits improved over time and the way of using the benefits improved for the entrants. During King Sukjong 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sometimes was not implemented. But, at least, during the latter half, there were some effort for the supplementation. Because it was thought of the problem that the Seonggyungwan-Guasi was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 KCI등재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이형실,이은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 consumer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30 adolescent consumers who were in the 8th grade of middle school in Guri c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 The influences of friends and mass media,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predict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 수준을 알아보고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소비생활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의 형성을 위한 청소년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과시소비성향의 하위영역인 지위인식적 과시소비성향, 브랜드지향적 과시소비성향, 수입품지향적 과시소비성향도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나 유행지향적 과시소비성향은 약간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또래집단과 대중스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소비자는 또래집단과 대중스타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았다.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또래집단과 대중매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