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career maturity among adolescents. Data was collected from 425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ide in Seoul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ing behaviors affected peer relations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 influence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peer relation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진로성숙도의 관련성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래관계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쳐, 부모의 양육행동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또래관계의 향상을 위한 교육과 상담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또래관계를 통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과 진로성숙도의 관련성에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또래관계 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ide in Seoul. 425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ing behaviors affected self-esteem. Self-esteem of adolescents influenced peer rel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peer relations.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간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25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또래관계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쳤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또 자아존중감은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쳐, 부모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 자녀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양육행동과 또래관계 간의 관련성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이형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s of mother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children and their mothers.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arital conflict of mothers had negative effects on nurturant and autonomy-encouraging parenting styles. Mothers’ nurturant and autonomy-encouraging parenting styl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urturant and autonomy-encouraging parenting styles of mothe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of childre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s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for developing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유아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가 경험하는 부부갈등이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하였다. 방법 조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와 그 어머니였다.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은 어머니에게 질문지를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담임교사의 평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 변인 간의 관련성을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어머니가 경험하는 부부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자율적 양육행동은 적게 나타났고, 어머니가 유아에게 보이는 애정적 양육행동과 자율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자율적 양육행동 모두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의 부부관계와 양육행동의 중요성 및 그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WIN 25.0 통계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을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은 부부갈등에 많이 노출될수록 공격성 수준이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공격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영향을 미쳐, 공격성 수준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낮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은 학교생활적응에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부부갈등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과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 그리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개입의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482 middle school students of Seoul.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WI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rital conflict had positive influences on aggression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affected by aggression of adolescents.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have negative direc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gg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부갈등과 양육행동간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이형실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과 더불어 부부갈등, 우울, 양육행동이 관련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 를 사용하여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부 갈등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우울은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갈등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부갈등이 우울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of fathers. The data from fathers of 1703 4-year-ol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marital conflict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depression. Parenting behavior was predicted by depression. Marital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were mediated by depression.

      • KCI등재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이형실,이은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 consumer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30 adolescent consumers who were in the 8th grade of middle school in Guri c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 The influences of friends and mass media,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predict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 수준을 알아보고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소비생활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의 형성을 위한 청소년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과시소비성향의 하위영역인 지위인식적 과시소비성향, 브랜드지향적 과시소비성향, 수입품지향적 과시소비성향도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나 유행지향적 과시소비성향은 약간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또래집단과 대중스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소비자는 또래집단과 대중스타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았다.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또래집단과 대중매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모 간 갈등이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이형실,오샘물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482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 간 갈등에서는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 간 갈등과 공격성, 또래관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모 간 갈등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공격성에 부분매개 되어 남자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 집단에서는 부모 간 갈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격성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또래관계를 청소년 의 부모 및 가족 경험과 청소년 개인의 심리 정서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 among adolescents. Data from 482 middle school students of Seoul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aggression and peer relation of adolescents. For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parental conflict is positively related to aggression. Aggress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er relations of adolescents. 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 of adolescents are negatively related.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agg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and peer relations fo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is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family experiences and emotional states for understanding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부갈등,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

        이형실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6 놀이치료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conflict,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The data from mothers of 1703 4-year-ol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as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marital conflict was associated positively to depression of mothers.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had a strong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showed tha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 were mediated by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아동패널(PSKC)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부부갈등은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고, 우울은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갈등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구조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부갈등은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양육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이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 양육행동의 관련성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 관련성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이형실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2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in th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mothers living in Kyungki-do.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arital conflict of mothe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Rejectiv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depression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depression.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of mothers for improving parenting styl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