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인식 및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장유정,조유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2

        Recently,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corporations for the society(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getting grow. People think that economic entities are indebted to the society they belong and shall repay by some means. Many companies conduct various campaigns to meet the needs in prosperous times. In the situation of the world economic depression, however, these responsibilities are huge burden for many companies. And plenty of studies says that it cannot be long last and will finish up only for show. In the meantime the revolutionary concept of the Creating Shared Value (CSV) appears. CSV means that companies can make profit by solving the society problems which means the responsible entities may escape form their debts by earning their own money. It is innovative and step forward concept in comparison with CSV. However, as unusual concept CSV is required to have more accurate and actual meaning. As a matter of fact, the meaning of the CSV is not familiar even in the related academia.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practical conception of CSV. In this study, through the two methods, one way is comparing concept of CSR and the other is by in-depth interviews of field experts, the CSV may be recognised and accepted as a authentic theory. Firm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CSV is the first and utmost step for study of the CSV. By the first method, it is possible to clear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CSV and its own importance. CSV is coming form CSR but it will replace its origins by resolve the defects in realistic ways. CSV is not the extension of CSR but the new-born concept which break its own shell. CSR may be considered as “Zero sum” but CSR can be “Win-win”. This is whythe CSV can be the new strategy in the business field. With the second method, it can be proved the significance of CSV in actual business section and possibilities of CSV as an strategy of successful business especially by the cost-efficiency way. It shows and suggests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CSV in real world while the first method hereabove reflects the past of the CSV. Even though the CSV is only the beginnig so far, it might change the business world fundamentally at once. Thus, the main subjec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SV can be a new strategy of successful business, because the concept of the CSV came from the CSR but it overcome the weakness of CSR. CSV is based on the enterpreneurship that is basically focused on profit creation not the cost occurrence. Second, it is linked with the first one, in aspect of cost-efficiency, the potential of the CSV is more likely to spread ever than CSR. At last with these two understanding, case analysis of successful CSV business model can be made. 최근에 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와 사회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공유가치창출(CSV)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CSR)보다 진일보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의 의의와 배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의 비교 분석, 공유가치창출(CSV)의 전략 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공유가치창출(CSV)의 의의, 공유가치창출(CSV)의 현황 및 가능성을 살펴보고, 성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혁신 방향을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의 개념과 의의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CSV)은 사회적 책임(CSR)의 진화과정에서 도출되었으며, 공유가치창출(CSV)의 주요 특성은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기업의 진취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성공적인 기업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공유가치창출(CSV)의 현황 및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 공유가치창출(CSV)은 인식 및 확산이 덜 되어 있는 측면이 있지만, 앞으로 비용지출로 고려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보다 전략적이고 기업의 핵심활동과 연계되는 발전된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공유가치창출(CSV)이 기업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더 확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공유가치창출(CSV) 관련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CSV 활동에 의한 비즈니스 모델의 차이점을 비교해보았으며 비용적인 면에서 경제적 지출을 줄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공유가치창출(CSV) 관련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성공 요인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공유가치로서 노인 일자리 창출의 가능성 탐색 -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구혜경,김정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3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패턴이 다변화되고 있다. 향후 노인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시장의 안정적인 형성을 위해서는 노인 소비자들의 경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에 기여할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 참여 및 일자리 보급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 창출 이슈를 민간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과 접목 가능한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위해 국내외의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추출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란 Porter and Kramer(2011)가 제안한 개념으로 사회적인 문제나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통하여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구, 실현하는 경영전략이다. 이 때 노인의 빈곤 혹은 노인 삶의 질은 사회적 이슈로 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노인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공유가치창출 전략 수립을 통하여 경제적 가치 실현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접근법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한 사례분석틀을 도출하고, 사례분석틀에 근거하여 코카콜라, 네슬레, 딜란세이 스트리트, 에울렌, 메트로, CJ제일제당, 유한 킴벌리 등 일곱 개의 국내외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 일자리 창출은 민간 기업의 관점에서는 미래 확대될 신시장의 창출 및 대비의 측면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이를 위해 공유가치로 선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각 기업의 핵심적인 역량과 노인의 역량을 접목시켜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및 특성별 직무 요구, 요구와 부합하는 노인 적합 일자리 직종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사례분석의 함의와 같이 노인 소비자에 대한 지역 기반의 교육 강화 등이 중요한 이슈로 도출되었다. 이는 소비자학의 관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노인의 특성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노인 소비자의 증가 및 노인 시장의 확대를 대비한 기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는 시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 on the aged. The society has already been aging nowadays. Unlike in the past, today’s seniors have active lifestyle, and various consumption patterns. It is possible to expect market expansion for senior people so that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are important issue to prepare effective demand and stable life of senior. To create high quality jobs for senior, government allocate budget and practice senior job creation policies, however, the senior welfare policy related jobs are not able to guarantee senior’s living because of the low level wage. It is possible to solve these problem through the business part. Corporations have to be involv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s for senior and it will be better way to sustain the company in the future by preparing the senior market expansion. This study suggest the concept of CSV(Creating Shared Value) for business part to participate job creation. CSV is the notion to sustain business in the market, being the strategy for management, and also suggests that the business can pursue both economic benefit and profit through solving social issues and problems. Senior’s stable job issue is suitable to be accepted for business to plan CSV strategy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seven vdomestic and foreign CSV cases that was related to job creation issues as social problem to be solved. The seven CSV cases are Coca-Cola, Nestle, Delancey Street, Eulen Group, Metro Group, CJ CheilJedang, Yuhan-Kimberly. The major implications of these case studi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ases related job creation or reviving local economy focus on supply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recipient competency to be a good workers. Second, in the cases of business part focusing their core ability to manage CSV business, it is possible to meet the economic performance. Third, the clustering based on the local where the business activities are performed to manage CSV is the essential strategy to succeed CSV. Finally, to manage CSV business, the CEO’s leadership and the company’s culture are very important factors. CSV business is concerned with social issues and sometimes the economic benefits are not seen immediately so that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CEO is very important drive to manage CSV.

      • KCI등재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에 관한 연구

        조상미(Sangmi Cho),이재희(Jaehee Lee) 한국경영학회 2015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최근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데 비해,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인 공유가치창출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라는 점에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전자는 공유가치창출 활동 시 자사의 자원활용,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한 활동 내용 선정,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비영리ㆍ국제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 및 천연자원 이용,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기업과 임직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등이 전략적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시기적절한 연구이다.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about creating shared values(CSV), which pursues economic and social values simultaneously,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analyzed the CSV cases of South Korean corporation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CSV case of Samsung Electronics and identified its strategic CSV elements. The investigator used the diamond model by Michael E. Porter as the analysis framework in that CSV was a management strategy for corporations to secure their competitive edg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amsung Electronics had such strategic elements as using its resources for CSV activities, selecting the content of activities through enough market researches, engaging in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 links with nonprofi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king use of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and natural resources, and having it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lavish their active interest and support on CSV. The present study is timely and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a CSV case of a South Korean corporation at a time when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CSV.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을 위한 조직동적역량과 이론적 배경에 관한 연구

        권영철(Kwon, Yung-Chul)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4

        본고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 및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동적역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의 기업에 대한 요구와 기대는 다양하며, 서로 상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주주, 임직원 등 내부 이해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두는 반면, 정부,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의 외부 이해관계자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에 더 관심을 갖는다. 이는 경중은 다르지만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경제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 창출 모두에 관심을 기울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은 모든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만족시켜 지속가능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유 가치창출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유가치창출 개념은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마태복음 19:19)는 성경 말씀에 부합된다. 모든 이해관계자는 성경적 관점에서 이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이웃, 즉 모든 이해관계자를 사랑하는 마음 없이는 장기적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지속경영관점에서 기업은 경제적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이 관건인데, 본고에서는 이를 동적역량 관점에 적용시켜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공유가치창출을 조직 내 루틴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세 차원의 하위 동적역량이 요구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공유가치창출의 이론적 배경과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조직역량 구축에 대한 일련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organizational dynamic capabilities of CSV.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are shown to b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Generally, the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executives,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economic value whereas the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 local society and NGO, are more likely to be interested in creating social value. This implies that stakeholders overall are concerned with not only economic value but also social value. Therefore, assuming any companies can not survive without corresponding to the interests of stakeholders, CSV becomes an very important task for companies in view of stakeholders management and longterm survival. In this paper, dynamic capabilities are also analyzed to explain organizational routine of creating shared value. More specifically, three subcomponents of dynamic capabilities are analyzed for the consideration of CSV, namely environment sensing capability, innovation capability and resource renewing capability. Th result of this paper provides a meaningful implication to Korean firms in the matter of CSV.

      • KCI등재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한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에 관한 연구

        조상미(Sangmi Cho),이재희(Jaehee Lee) 한국경영학회 2015 Korea Business Review Vol.19 No.3

        최근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데 비해,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여 전략적인 공유가치창출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유가치창출이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영전략이라는 점에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전자는 공유가치창출 활동 시 자사의 자원활용,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한 활동 내용 선정,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 비영리ㆍ국제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친환경 기술 및 천연자원 이용,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기업과 임직원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등이 전략적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사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시기적절한 연구이다.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about creating shared values(CSV), which pursues economic and social values simultaneously,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that analyzed the CSV cases of South Korean corporation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CSV case of Samsung Electronics and identified its strategic CSV elements. The investigator used the diamond model by Michael E. Porter as the analysis framework in that CSV was a management strategy for corporations to secure their competitive edg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amsung Electronics had such strategic elements as using its resources for CSV activities, selecting the content of activities through enough market researches, engaging in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 links with nonprofi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king use of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and natural resources, and having its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lavish their active interest and support on CSV. The present study is timely and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a CSV case of a South Korean corporation at a time when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about CSV.

      • KCI등재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유형에 따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디자인 방안 연구

        윤해리,정정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현재 문화예술을 활용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예술작가 중심의 콘텐츠 전개방식으로 시민과의 공감대 형성 및 장기적인 유지의 한계점에 따라 공유가치 효과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의 참여유형에 따라 실효성 있는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시민참여형 공공미술과 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데스크리서치를 진행한 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의 참여 개입단계에 따라 의식적 참여, 체험적 참여, 협업적 참여로 참여유형을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외 대기업의 시민참여형 공공미술 CSV 사례를 분석한 뒤, 수요자 및 공급자 두 그룹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질적인 잠재욕구와 니즈를 도출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시민참여형 공공미술을 활용한 기업의 CSV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개방적이고 자율적인 콘텐츠 소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민이 자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기획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야 한다. 두 번째, 기업 내부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운영체계 구성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체계 구축과 더불어 객관적인 성과측정체계를 구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문화예술을 활용한 선순환 구조의 CSV 생태계를 구축하고 질적인 사회발전과 향후 지속가능경영 및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성화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Currently, CSV activities using culture and arts are increasing, but long-term consensus with citizens is limited and consensus formation through artist-centered cont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 corporate CSV design plan according to the public art participation type of citizen participation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First, after conducting a desk study on citizen participatory public art and corporate CSV, the participatory type of citizen participatory public art based on prior research was classified. After analyzing the case of public art CSV of domestic and overseas large corporations, the actual needs and need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mprehensive proposal for CSV design plan for civic participation public art companies. First, we provide an open content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ent planning framework. Second, configure programs and operating systems to enhance the internal functions of the enterprise.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with stakehold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a CSV ecosystem with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utilizes culture and arts, and suggest qualitative social development guidelines, sustainable management, and ways to activate the creation of shared values ​​for companies.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 시대의 소비자 연구 제안

        나종연 ( Jong Youn Rha ),김학균 ( Hakkyun Kim ),김학진 ( Hackjin Kim ),이유리 ( Yuri Lee ),이진명 ( Jin Myong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최근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CSV는 아직 생소하고 모호한 개념으로 공유가치가 정확하게 무엇이며,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CSV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CSV가 실무영역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SV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CSV를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향후 연구의 방향과 실천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CSV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을 재분배를 통해 사회에 환원하는 CSR과 달리 사회적 문제를 기업의 경제활동과 일체화시켜 기업과 사회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의 총량을 확대하는 발상의 전환을 의미한다. CSV는 사회적 문제를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보았다는 점에서 분명한 강점을 지니나 이론적 독창성과 개념의 모호성, 지나치게 이상적이라는 점 등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아직 태동기에 있는 CSV 패러다임이 건강한 사회, 건강한 자본주의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가치창출에 관련된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학문영역에서는 사회적 가치의 정의 및 CSV 혜택의 범위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고, 공유되는 가치 영역의 최적점(optimal point)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및 가치의 하위요소들 간의 갈등과 이를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CSV의 패러다임이 기존 자본주의의문제를 극복하고 사회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orter와 Kramer가 기업만을 CSV의 주체로 본 것에서 나아가, 소비 의사결정의 주체인 소비자의 영향력과 역할 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The term CSV(creating shared value) which refers to the notion of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value simultaneously has been gaining a lot of attention lately. The idea was first introduced in 2011 by Porter and Kramer, and soon it became sensation among leading companies all over the world, Korea being no exception. As Korea recently experienced market problems where economic value such as efficiency and social value as reviving small business collide, CSV beca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Korea, too. CSV has the obvious advantage in the point of seeing a social problem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corporate competitiveness. However CSV is only a recent concept and its limits have been raised which include the lack of theoretical originality, conceptual ambiguity, and excessive idealism. CSV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 where only framework concept is presented. A review of Korean literature on the topic revealed that research thus far have been limited to the topic of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and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the notion of CSV has not yet been cleared distinguished from the notion of CSR. Also, the number and scope of research on the topic thus far is very limi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CSV, the market environment and changes behind the introduction of CSV was reviewed, and the notion of CSV will be comprehensively explained. Second,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s that CSV has are critically investigated. Third, future subjects of study and practical tasks with regard to CSV are proposed. An integrative effort of all members of society in relation to value creation is required for CSV implementation. A company should make the structure of company in general so that CSV implementation is possible. And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ould actively support and cooperate so that the company can sufficiently display ability that the company has. Besides, consumers should recognize a role of consumer citizen, and should take an interest in the activities of company,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the academic area,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created value and the range of benefits through CSV.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find what is intersection of sets of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previously regarded as antagonistic to each other, and to find the optimal point of shared value area. Besides, we should carry out a study on a conflict between the stakeholders concerned in CSV and a plan of relieving it. We should eventually think whether the paradigm of CSV can overcome the problem of conventional capitalism and can act as an engin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expanding a discuss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and role of consumer that is the subject of consumption decision-making, going further than Porter and Kramer``s study that regarded only company as the subject of CSV.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CSV)활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치사슬 관점

        원종하,정대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4

        최근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이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성과에 사회적․경제적 가치창출이라는 사회적 문제해결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CSR과 CSV의 성과를 구분하여 확인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CSV 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기법의 개발과 소비자의 CSV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검증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업은 가치사슬의 혁신을 통한 사회문제의 해결과 더불어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어야 한다. 진일보한 CSV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파악하는 까닭은 아직 CSV가 초기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CSV 의의와 필요한 배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공유가치창출(CSV)의 상호비교 분석을 하였다. 더 나아가 CSV의 기존 연구의 범위가 매우 협소했던 한계점을 넘어 가치사슬에서 CSV의 필요성을 피력하고자 한다. 오늘날 다수의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기업의 지속성장성 측면에서 단순히 CSR의 충족만으로는 수익창출을 위한 비즈니스모델로써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었다. 하나의 대안으로 최근 공유가치창출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가치사슬관점의 CSV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가치가 기업이미지 및 기업신뢰도를 매개로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인과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 보았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는 기업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SV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해당 기업에 좋은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단초가 됨을 시사한다. 둘째, 사회적가치는 기업신뢰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CSV가 기업의 비용으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닌 미래의 발전과 더불어 상생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 접근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기업이미지와 기업신뢰도 모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V 활동을 통해 기업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를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기업의 최종 목표인 지속적 이익창출과 연계된다는 것을 감안하여 중장기적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se days,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 is drawn keen attentions to. This interest comes out of the expectation that Creating Shared Value(CSV) can offer an answer to some social issues by creating societal and economic values on the top of the achievements that exis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ma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achievements that the activities of CSR and CSV have made. In this regard, developing a methodology to make an actual proof analysis on the accomplishments of CSV and to verify customer’s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s the CSV is necessarily required. A company need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place as well as resolve a social issue by innovating value chain. The research has verifie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SV from the point of view of value chain and the purchase intention aroused by its economic, societal and cultural values through the company image and credibility with actual proof analysis and come up with following results. First, a societal and cultural value resulted in giving positive impact on a company’s image, which implies that CSV activities can be the thin end of the wedge through which customers have a good image of the company involved in CSV. Second, a societal value make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redibility of a company. In this regard, CSV should be recognized not just as a thing that generates a cost, but a way to win-win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 Third and las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both company image and credibility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Considering that CSV generates a positive evaluation on a company that will ultimately cause continuous profit-making, the company’s ultimate goal of activities, it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making a mid-and-long term strategy.

      • KCI등재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의 유형화와 실천전략

        이정기(Jeongki Lee),이장우(Jangwoo Lee)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2

        본 연구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통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경영방식인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CSR과 CSV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가치창출의 원천, 가치창출의 결과의 두 관점을 기반으로 유형화를 위한 분석 틀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CSV를 4개의 유형(시장-경제형 CSV, 기술-경제형 CSV, 시장-사회형 CSV, 기술-사회형 CSV)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다중사례연구로서 유형별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였는데, 분석대상으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유한킴벌리, CJ제일제당으로 이들 기업이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CSV 사업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제시된 CSV의 각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CSV 실천을 위한 명제를 도출하였고, 유형 간 추진방식 간의 비교, 기업생태계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각각 명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명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 기반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에서는 접근하고자 하는 시장에 따라 사회적 문제를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둘째,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에서는 기업생태계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협력업체의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CSV의 실천을 위하여 시장 기반의 공유가치창출(CSV) 전략은 Bottom-Up 방식으로, 기술 기반의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은 Top-Down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넷째, 기업생태계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유가치 창출(CSV)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Creating Shared Value(CSV), the concept that creating both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simultaneously. This study presents a framework for classifying CSV based on two perspectives – the source of value creation and the result of the value creation – derived from literal review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nd CSV.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this study divided CSV into four types – Market-Economic type, Technology-Economic type, Market-Social type, and Technology-Social type. In addition to this classification of CSV,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multiple-case study which analyzes the cases regarding the four types of CSV. Samsung Electronics, SK Telecom, Yuhan-Kimberly, and CJ CheilJedang were selected as the four ca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SV, overall four propositions for effective practice of CSV were derived and they were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governance among the four types of CSV. In addition, each CSV type was analyzed synthe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eco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ve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practice successful CSV are presented in this study.

      • KCI등재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기업의 역할 변화와 소비자 참여

        천혜정 ( Hyejung Cheon ),김시월 ( Si Wuel Kim ),이동일 ( Dong Il Lee ),이지현 ( Ji Hyu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방식으로 부각되고 있는 공유가치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의 개념을 고찰하고 소비자주의적인 접근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이미지 개선 및 다양한 측면에서의 효율 비용으로 취급되었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니즈는 전혀 고려되지 못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CSV의 성공 여부는 기업이 공유가치창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역할 변화에 대한 재고와 더불어 어떻게 효과적으로 소비자 참여를 유도할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공유가치창출에 관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면서 비교하고, 기업과 소비자라는 이해관계 당사자의 역할을 유형화하여 CSV와 소비자주의가 성공적으로 통합된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을 통하여 핵심적인 가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 대상은 국외의 경우 문구통신판매업체인 ASKUL(일본), 산지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유통채널 업체인 Shop Channel(일본), 유휴 공간 제공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Airbnb,(미국), 그리고 한국의 경우 소비자 의 자발적인 선지불운동인 미리내 운동이다. ASKUL은 소비자에게는 쓰레기 배출 비용을, 기업에게는 포장재 관련 비용을 절감시켜주는 배송방식의 변화를 통해 자원 재활용, 환경 보호, 편의성, 그리고 효율성이라는 가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Shop Channel은 공적자원을 최대한 이용하여 소비자로부터 구매와 다양한 상품에 대한 제안을 유도하여 소비자만족과 신뢰를 얻었을 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Airbnb는 소비자간 연결 플랫폼을 제공하여 소유가 아닌 대여를 통해 환경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협동경제를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한국의 미리내운동은 소비자의 자발적인 선지불과 참여기업을 통해 간편하고 단순하지만 의미 있는 소비실천방식, 이를 통해 나눔, 공동체주의, 그리고 상대적 빈곤에 대한 사회적 관심으로까지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을 종합해볼 때, 기존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이 이윤을 추구한 뒤 이익의 일부를 비 용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다분한 반면, 공유가치창출활동은 투자와 생산 초기 시점에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유가치창출은 기업과 소비자의 협력관계가 중요한 요인이며특히 소비자의 사회참여의식을 높이는 것이 관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공유가치와 목표는 무엇인지, 소비자의 참여를 유인하는 혹은 참여를 제한하는 조건이나 요인은 무엇인지, 기업의 능동적 참여를 유인하는 기업혁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공유가치창출 비즈니스화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Creating Shared Value (CSV),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with consumerism. CSV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CSR in several ways. For example, CSR is treated as costs in order to improve corporate image while CSV considers that companies can increase profitability by helping to solve social problems. Furthermore, traditional CSR does not count what consumers want from CSR. In this sense, whether CSV succeeds or not depends on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as well as business`` change of mindset. At first, we examine how the concepts of CSR and CSV are developed, and critique tradition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other CSR. After that, we analyze how successful cases which are integrated with consumerism are operated, what factors are contributed to their success, and what kinds of values are created. By doing this, we can draw the typology of cases in terms of stakeholder roles change. Four cases-ASKUL, Shop Channel, Airbnb, and Mirinae store-are selected as subject of analysis. The firstly, ASKUL offers more than 40,000 items with nationwide delivery within 24 hours. It has tried to take away unnecessary package which are resulted in saving both parties`` costs-consumers save trash throwing costs and the company save packing costs. Consequently, consumers and company shar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convenience, effectiveness related values. The secondly, Shop Channel is the TV home shopping channel.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hing they choose the products for sale is that consumers can suggest the local product they want to watch on TV for sale, and it leads to consumer satisfaction and trust itself. Incidently, it invigorates the local economy. Airbnb is an online marketplace for vacation rentals that connects consumer with property to rent with consumer looking to rent the space. Airbnb makes use of existing resources in a more sustainable way through collaborative consumption. Lastly, Mirinae Store has its origin in Suspended Coffee. The cooperation between consumers and small businesses become a partner for realize social responsibility. Although it is very simple, such as pay in advance for someone in need, it creates values such as sharing, Communitarianism, and social consideration for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After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it is critical that creating shared values requires different stakeholder roles and transforms relationships. Lastly, it discus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hat kinds of shared values consumers want to create with business, what goals consumer and business can achieve jointly, or what push and pull factors are influencing to stakeholder``s participation. These questions remained unanswered. Through answering those questions, integrative and sustainable business model for creating shared values can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