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공연산업의 수익구조에 관한 연구

        최동길(Choi Dong Gil),전병준(Chun Byung June),박찬희(Park Chan Hee) 한국예술경영학회 2011 예술경영연구 Vol.0 No.18

        무대 위에서 실연을 통해서 유통될 수 있는 공연예술상품은 ‘현장성’이라는 경쟁우위 요소를 갖는다. 하지만, 이 때문에 여타의 문화콘텐츠상품과는 달리 수익을 내기 어려운 점에 주목하여서 공연예술의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즉, 공연예술분야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제약하는 조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의 시장성을 강조하고 공연예술의 상품적 성격에 착안하여 시장원리의 관점에서 수익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공연예술상품은 시간제약성, 즉흥성, 노동?지식집약성, 경험적 특성과 같은 본연적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내적 특성은 공연예술상품의 사후적 이용을 어렵게 하여 전반적인 수익성을 제약한다. 즉시성과 시간제약성으로 인하여서 2차 가공을 통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고정비용인 인건비의 비율이 매우 높아서 일정한 공연기간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 수익성 악화로 직결될 수 있다. 또한, 공연예술상품의 수익성 문제는 한정된 공연 수요, 부족한 공연 기반시설, 높은 관람가격, 규모의 영세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접근성의 제고와 시장 확대를 통한 수익성 개선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산업화의 초기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공연예술시장의 진흥을 위한 과제의 도출과 대안으로서 사전경험, 글로컬 콘텐츠 발굴, 융합과 공생마케팅, 협력과 경쟁, 합리적 경영관리를 공연예술상품의 수익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structure of the Korean performing art business, and suggests the policy agenda for the sustainable business structure. Bound by the time and space specificity, the performing art business has limits in the one-source multi-use strategies. The experiential and improvising nature also limits the business opportunities. Coupled with the narrow and distorted market structure, the poor hardware infrastrucure narrows the business potential. Based on the careful review of the revenue structure of the performing art business,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improved profitability. Further differentiation of the performance contents in terms of timing, space, and playing time is expected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the better accessibility,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d profitability. Proper artistic exposure and educational efforts regarding the performing arts should also provide the necessary accessibility. Synergistic combination with the various cultural contents is also expected to provide the wider business opportunities.

      • KCI등재

        공연예술콘텐츠의 가치와 융합적 구조

        허난영(Hur-Lan You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공연예술의 제작․유통 과정을 콘텐츠진흥법상 기술·산업과의 융합형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이후 영역 간 콘텐츠 생산과 공유방식은 공연예술의 제작․유통구조를 전환시키고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공연예술실황영상은 공연예술의 시공간적 경계를 뛰어넘어 예술 창작과 소통의 영역을 확장하여 기존 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성과 공간적 제한성을 전제로 출발되었던 공연예술은 실황영상화를 통하여 시공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플랫폼을 창출하고 있다. 공연예술은 기술·산업 영역과 융합하여 보편적 접근성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으며, 문화적 형평성이라는 공공 공연장의 공공적 가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급예술로 불리어지는 오페라, 클래식, 발레 등의 공연예술이 영상산업과 어떤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서 공연예술콘텐츠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course of performing arts and its converged form with technology and industry in terms of the Contents Promotion Act. Since the 2000s, the inter-area contents making and sharing methods have been changing the making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performing arts. The recent product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live videos extends the areas of arts crea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time and spatial boundaries of performing arts and changes the existing systems. The performing arts which started with nowness and spatio-temporal restriction on the premise is now creating a new platform over the spatio-temporal boundary through the live video. Performing arts, in convergence with the areas of technology and industries, expands universal approaches and shows the public value of cultural fairness at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possible extension of performing arts contents by examining how the so-called high-class performing arts such as opera, theatre and classical music combines with the visual industry.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연예술축제를 구성하는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 분석 -아비뇽 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정아 ( Jeung Ah Ryo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90년대 중반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던 축제는, 비록 적절한 속도의 조정을 받기는 하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 속에서 자신들의 문화예술적 욕구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축제에 대한 수요의 정도와 구체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축제문화는 아직도 직접적인 참여보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수동적으로 즐기는 경향이 강하고 이러한 경향은 축제문화가 삶 속에 뿌리 내리기 전까지는 당분간 지속되리라고 볼 때, 늘어나는 축제의 상당부분은 축제 참여자가 여전히 관객으로 남아 있는 공연예술축제가 되리라는 점에 대해서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현재 일반시민들의 참여적 문화예술적 욕구를 공연예술축제로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축제의 예술성과 축제성이 각각의 특성을 어떻게 잘 표현해 내는가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공연예술축제에서는 축제적 특성과 예술적 특성 간에 상호 충돌과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 두 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공연예술축제는, 여타 종류의 축제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생력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기가 어렵다는 점,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공연예술축제가 증가하면서 프로그램이나 재원의 구성에서 차별성이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여유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공연예술축제가 예술성과 축제성보다는 상업적 대중성에 영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축제가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자율성에 침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공연예술축제가 현대사회에서 가지는 중요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공연예술축제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비뇽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예술축제에서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예측하는데 참조 가능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 그리고 미래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보다 구체화된 문제 중심적 축제연구의 진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is growing increasingly in South Korea. This trend is mainly held in large cities which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closely among residents. South Korea, while the pace of city life and speed of development are very fast, increasing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with communal characteristics is in the natural process of festival evolution in large cities. In the evolution of the contemporary festival, it is natural to see some increase of modern festival afte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folk festivals.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express the two elements, artistic character and festivity, not only in distinctively but also in harmony.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should consider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networking systems of the human communication process, resource use, etc. For the success of the festival, we must obtain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wo attributes: festival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senses. Therefore, we chose the ``Festival d`Avignon`` as the reference of the total representation of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festivity. From the cas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get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festival in South Korea. To explain the festival value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spontaneity and openness to public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s and works,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communicative image, etc. To explain the artistic attributes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mission to reconcile the artistic and the popular, to promote the artistic know-how, understanding how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o consider more artistic quality than commercial benefits. Essentially,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and the vision to forecast the future as well as the recent proliferation in various field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is study may help to improve analytical precision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 KCI등재

        연쇄극의 정체성 논의 -총체예술론적 관점에서-

        김수남 ( Soo Nam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한국에 영화가 전래된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1903년 6월로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한 국영화의 효시에 대한 논쟁은 김도산의 연쇄극 <의리적 구토>(1919년)를 영화로 인정하 느냐 아니면 연극으로 인정하느냐의 문제이었다. 조선에 연쇄극이 처음 들어 온 것은 일 본 세토나이카이 일행의 <선장의 처>로 알려져 있지만 또 다른 설은 1915년 10월 16일 대한매일신문의 연재소설을 무대화한 미쯔노 강게쓰 일행의 <짝사랑>이 부산의 부산좌 에서 공연된 것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서울에서는 1917년 3월 14일부터 황금관에서 <운 명의 복수>가 무대에 올랐다. 연쇄극은 우리의 독창적인 공연형식이 아니다. 연쇄극이 조선연극계에서 전성을 누렸던 시기는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공연된 김도산의 <의리적구토>부터 3년 정도에 불과하다. 연쇄극의 공연형식은 연극이 진행 되 는 중에 영화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특별한 극형식이다. 연극이 기존의 예술을 종합한 종합예술이라면 연쇄극은 새로운 매체인 영화까지 무대에 도입한 새로운 종합예술(총체 예술)로서 확대연극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마디로 연쇄극의 영상 도입은 영화적 행위의 삽입이며 연극적 표현의 확대기능으로서 새로운 공연예술로서 총체예술의 관점에서 논의 되어야 한다. 현재 연쇄극의 학술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연극으로서 연쇄극인가 또 는 영화로서 연쇄극인가의 개념 정의는 우선 연쇄극의 정체성과 그 미학적 확립이 요구 된다. 조선영화 비평가, 임화는 연쇄극 필름을 영화라고 부를 수 없는 것은 활동사진을 영화 라고 부르지 못한 것 이상이다. 라고 연쇄극의 정체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연쇄극이 활동사진만치 독립된 작품도 아니고 연극의 보조수단에 불과한 영화의 한 태생 에 그치는 것이라고 연쇄극을 연극으로 결론 내렸다. 조선영화 초창기의 대표적 감독인 안종화 역시 연쇄극이 무대에서는 도저히 실연할 수 없는 야외활극 같은 것을 촬영해서 연극 장면에 적당히 섞어서 상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당시 연쇄극이란 연극과 활동사진 이 결합된 형식의 공연물로 영화는 연극의 보조수단으로 보았다. 공간이 제한된 연극무대로는 표현하기 곤란한 정경이나 극적인 장면들을 야외에서 촬영하였다가 무대공연시 필요한 대목에 극장 내의 불을 끄고 백포장에 영사하다가 다시 불을 켜고 무대공연을 계 속하는 식의 공연양식이었다. 연쇄극은 작품에 있어서도 진지한 연구가 없이 일본 연쇄 극의 제작방식을 그대로 답습하여 그 내용에서도 신파극의 잔재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당시 일간지 지상에서는 연쇄극이란 개량신파극의 모방이므로 약식있는 연극인들이 가질 무대가 아니라는 혹평을 연일 게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연극이냐 영화이냐의 정체성이 불분명한 연쇄극의 형식미학을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 과정으로서 연쇄극의 등장 배경과 공연형식 그리고 새로운 공연 예술로서 연쇄극을 총체예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그 결과 연쇄극은 영화가 아닌 확대 연극의 개념으로 규명하고 새로운 공연예술로서 재평가하고자 한다. I. Identity of Yeonsegeuk as total arts.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arrange the identy of Yeonsegeuk(Kino-Drama) which is theatre or film. The process of study is tried to discuss on the aethetic of Yeonsegeuk. II. Appearance of Yeonsegeuk and negative disputation of yeonsegeuk The first imported Yeonsegeuk from Japanese in Korea is <One Side Love(짝 사랑)> made by the group of Mizuno Ganggetsu(水野觀月) on Oct. 16. 1915 at Pusan and also <Revange of Civilization> to run in Seoul at Hwanggeumgwan. The first of Korean Yeonsegeuk is <Eurijeokguto(의리적 구토)> by Kim, Dosan, a leader of Singeukjwa(theare group) on Oct. 27. 1919 at Danseongsa.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 all made korean Yeonsegeuk are 28 works. III. Dramatic form of Yeonsegeuk I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Yeonsegeuik and Sinpageuik(new theatre of modern drama in 1920`s). I find that Yeonsegeuik admitted the thechnics of the Sinpageuik and the contents. If We think that the theatre is synthetic art which genealize all arts, we can insist that the Yeonsegeuk is valued the total art as new performance to comply with film art to theatre. Conclusionly Yeonsegeuk is called ``Expanded Theatre`` as the new performance which must be dicussed in the view of total art. VI. Discussion on the the aethetic of Yeonsegeuk When we compare the structure of film with the structure of theatre, we can`t find a diffrent element between the structure of two art in art semiotic. But we find a fact that film art has special elements in mechanics character which are camera working and motage. These technics influence on the audience`s mind. It is different point between Japan and Korean`s Kino-drama and Germany`s that is to admit the aethetic of total art or not. V. Yeonsegeuk as new performance During Korean modern times Kino-drama was first a kind of total art with stage and screen. But it is regretable that Kino-drama didn`t have the background of theory which discourse on the comprehension of total art. As the result Kino-drama bring the confusion of argument that Kino-drama is total art or expanded theatre. This confusion will be disputed on film art as performing arts or future art as expanded film and total art.

      • KCI등재

        일반논문 : 무용공연예술의 효율적인 기획과 마케팅의 방안

        장선애 ( Seon Ae Jang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1

        현대사회가 발전되면서 개인의 문화적 욕구는 전문화, 다양화되고 있다. 사람들이 공연장에 가는 이유는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아야한다. 그것은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이다. 무언가를 보고, 느끼고 싶은 감흥을 가지고 싶어서이다. 그러나 무용공연은 기대감을 가지고 오는 관객들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잃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이유는 작품이 관객을 가지고 오는 기대감을 채워주지 못하는 기획능력 부족과 홍보의 부족이라고 볼 수 있다. 공연예술의 시대적 변화에 의한 무용 공연예술론은 21세기에는 발전을 위한 동기 형성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무용사적 이론과 교육방법을 이미 터득했다면 더욱이 공연예술의 진보적 방법은 현시점에서 실행해야한다고 본다. 결국 공연예술의 순수성은 물론 대중을 위한 대중성이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는 지적과 함께 상업성이 있는 성격의 색깔은 즉 새로운 공연예술의 지속적인 작품을 위해서 이상적인 공연기획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용의 특수성과 공연현장의 내외적 경영환경을 분석하여 무용공연예술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는 예술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예술경영 방법론적, 마케팅믹스(4p)이론을 가지고 연구하여 무용예술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한무용공연예술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대와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al and cultural needs, individual specialization has diversified. We must think of why people go to see the show. It is for their joy and pleasure. They want to feel the inspiration that comes after watching something. Dance performances, however, are done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audience does not mind and that you can lose their attention. Reasons for consideration are that expectations for the work come with the viewer who does not plan to fill skill shortages and the lack of publicity. The generational alterations in the performing arts indicate a strong motivation that looks are important within the developing twenty-first century. Thus, If we have already mastered the theory and teaching methods behind the performing arts as well as dance history, we should take a progressive look at how they run at the moment. At the end of all things, there is a need for a pure ending as well as a need for some degree of public popularity gained through the performing arts. The purity of the performing arts as well as the public popularity to some extent is necessary for the intellectual with a commercial character. The new performing arts and the ongoing work for ideal performance planning will be attained through the marketing strategy, which is what will be needed. In this thesis, the uniqueness of dance and performing on-site will be analyzed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 to revitalize the study of dance. For understanding the performing arts and the arts management, we use a methodology which is known as Marketing Mix (4p). This theory will give the direction to revitalize the art of dance performance. We can hope and expect for continued research with this marketing strategy and hope that it will come true.

      • KCI등재

        효과적인 한국무용 예술경영학 연구

        이영희 ( Young Hee Lee ),박권일 ( Kwon Il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8 No.-

        한국무용예술의 공연행사에서 기존의 공연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구태의연한 연출과 안무작업으로 인하여 관객들에게 호평 받지 못 하는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해서, 그리고 관객들을 위해서 한국무용 연출가와 안무가 및 제작자는 새로운 변화의 모습을 보여야 하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무용예술을 접목하여 공연하는 모든 예술공연의 효과증진을 위하여 무용예술경영의 연구가 필요하다. 무대종합예술은 거의 대부분 무용예술을 활용한다. 그만큼 무용예술은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무대종합예술의 일종으로 오페라, 뮤지컬, 연극, 음악극, 무용극, 마당극놀이와 창극도 이 범주에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종합예술은 무용예술이 함께 연희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무용예술은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 재즈댄스 등 무용예술 전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종목 중에서 특별히 한국무용을 활용하여 공연예술이 효과적으로 공연되기 위해서는 무용예술경영학을 과감하게 그리고 필수적으로 도입하여 무대공연예술효과를 극대화 하여야 한다. 공연예술 중에서 무용만큼 우리와 가까운 예술은 없다. 우리들이 공연예술에 자신의 마음과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움직인다면 무용예술이 될 수 있다. 때문에 한국무용은 어느새 우리 가까이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가까워졌다는 친근감이 어떤 의미에선 무용을 불행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도 있다. 한국무용의 존재를 잃어버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무용예술의 공연현장에서 무용을 구하는 일, 이것이 새로운 한국무용예술을 창출하는 길이다. 생동감 있고 변화 있는 무용예술을 창작해야 하며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무용예술을 창작해야 한다. 한국무용예술이 관객과 만나게 되었을 때 공연작품속에 한국적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어야 효과적이다. 한국무용의 공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그리고 한국무용을 안무하고 연출하여 최종적으로 극장무대에서 관객들과 만나는 경우에 무용예술 경영화 작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Som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are not acclaimed and can not be more than just a one time event due to trite directing and choreography that couldn`t deviate from the custom. However,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and for the audience, Korean dance director and choreographer, and producer are facing a reality that have to show the face of new challeng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Dance Arts is planned to be introduced for effective promotion of all works of art performing by combining the Korean dance art. Dance Arts in Business Administration may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tage comprehensive art works almost take advantage of the dance art. So dance art has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our daily lives. Stage comprehensive art is as follows. Opera, musical, theater, music drama, dance drama, Madangguk(One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ance) are also included in this category.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Changgeuk should also be included(Korean traditional opera). All of these comprehensive art works include dance art. At this point, dance art includes the whole dance art : Korean dance, ballet, modern dance, jazz dance, etc. For this reason, for arts performanc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by utilizing the Korean Dance especially among these events, should maximize the effect of the stage performing art by introducing Business Administration in Dance Arts boldly and essentially. nothing is closer to people than Dance among all art works. If we move by giving a special meaning and own mind in this work, this can be a dance work. For this reason, Korean Dance has always existed in close us imperceptibly. However, this familiarity by approaching may be seen to make the misfortune to dance in a sense. Perhaps lost the presence of Korean dance works. Dance and producer did not even try to look for self-reflection for too long. Saving the dance in the reality of dance art, this is a way to create new Korean dance art works. Should creative lively and changing dance art works, and that can give pleasure to the audience. When Korean dance work meet the audience, It is effective that contains Korean image in the work. In order to maximize the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Korean dance work, And until finally lifting Korean dance works the theater to meet with the audience by choreographing and directing, arts management should be combined.

      • KCI등재

        공연예술 보호에 관한 저작권법상의 고찰

        김정완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49

        The performing arts is a synthetic art mixed with a various kinds of artgenre and are complicated with the relationship of rights from the planningstep to the distribution step. So this paper firstly divided the performing artsinto the music work, the theatrical work, and the dance work, secondly analysed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copyrighted work and performers on the stage,and finally examined the key issues at the practical side. This study individuallyreviewed the below,First, all the performing arts is regarded as combination work in the caseof musical ‘Singing in the rain.’, it doesn’t fit the nature of creative works. Thus we ne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 of each performing arts consideringthe process of creation individual. As the performing arts can not be separated as a whole is still in manycases, and that the character which is reciprocally associated with each othermakes the musical as a synthetic art. Therefore, legally reinforced the need of the protection of copyright forthe performing arts, more comprehensive and active protection consideringthe reality which any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공연예술은 다양한 예술장르가 접목된 종합예술이며, 기획·공연·유통단계에서여러 권리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데다 최근 공연예술의 산업화 현상이 확대되어 가면서 저작권 분쟁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연예술의 저작권을 고찰함에 있어서 전제가 되는 연극저작물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살펴본후, 공연예술에서 이용되는 음악, 각본·대본, 무용, 무대디자인, 연출 분야를 중심으로 대두되는 쟁점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검토하였다. 먼저 뮤지컬 ‘사랑은 비를 타고’ 판결에서처럼 공연예술을 일괄적으로 결합저작물로 보는 것은 공연예술의 특성에 맞지 않으며 작품별로 창작과정을 고려하여그 법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공연예술에는 여전히 전체로서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 상당수 존재하고 그러한 기여분이 상호간에 밀접한 관련속에 종합예술로서의 공연예술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연예술에 대한 저작권법적 보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보다 포괄적이고적극적인 보호를 위한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공연예술 구성요소에 대한 개별적 검토와 관련해서는, 음악의 경우, 무대공연에서 이용하는 음악저작물에 관한 책임주체는 일반적으로 규범적 이용주체론의 요소(관리지배성과 이익귀속성)를 적용함에 있어서 사례별로 신중히 판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비영리목적의 공연(제29조)과 관련해서는 공익성을 최대한 살린다는취지에서 제2항에 제1항과 같은 비영리목적을 명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본·대본의 경우, 일반적으로 공동저작물로서 인정될 여지가 적고, 연출대본은 그 성격상 2차적저작물에 해당한다고 본다. 무용의 경우, 연속된 동작이 창작적인지를판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법적 기준만으로 무용저작물의 보호범위를 판단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무용계의 통일된 기준 정립이 요구된다. 무대디자인의 경우, 개별요소를 창작한 자 뿐만 아니라 무대효과 전체를 창작한 연출도 보호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출의 경우, 연출자의법적 지위와 관련하여 현재와 같은 해석상의 논란을 막고 보다 창의적인 공연예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현행 저작권법 제2조 제4호 후단 규정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예당국제공연예술제 변천사 연구

        표원섭,유미경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선비와 충절의 고장 충남 예산 지역의 인구 8만의 작은 소도시에서 해마다 치러지고 있는 예당국제공연예술제에 대한 변천사 연구이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는 충남 유일의 국제공연예술 축제로 써 8회라는 짧은 운영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국제공연예술축제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 예당국제공연 예술제는 수도권과 지역의 예술적 양극화 심화 속에서 예술성과 창작성을 통해 질적으로 특화되고 향상 된 콘텐츠 개발의 성공적인 공연예술축제로 평가되고 있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를 고찰해보는 것은 지 역축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국제화를 지향하는 공연예술축제로써의 특화된 콘셉트의 중요성을 인식하 는데 필요하다. 지방 자치 시대의 도래로 축제를 통한 문화예술의 무형의 가치를 이용한 부가가치를 창 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공연예술축제는 문화예술의 가치적 접근과 문화소비를 촉진하는 도시 재생사업의 발전적 변화의 인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 에서 중요 내용을 연구함에 있어 개최동기, 국제교류, 공연의 발전내용, 연극예술인 발굴 등의 내용을 살 펴보고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를 연구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예당국제공연예술제 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서 지역민들에게 자부심과 정체성을 심어주고 지역 이미지 구축 제고와 지역 활 성화를 지속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실증적 틀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색된 방안으 로는 내재된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예술제와의 연계성 필요와 소비문화를 바라보는 상업적 관점에서의 전략적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에, 예당국제공연예술제의 변천사를 연구하여 공연예 술제가 국제화를 지향하는 글로컬(glocal) 축제로써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하겠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transition history of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which is held every year in small cities with a population of 80,000 in the hometown of Seongbi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is Chungnam's only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continues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despite its short operation of eight. Amid the deepening polar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regions, Considering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specialized concept as a performing arts festival aiming to form the identity of local festivals and internationalize them.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local autonomy, moves to create added value by utilizing intangible values of culture and the arts through festivals have become more active. Performing arts festivals require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pproach of culture and art and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promote cultural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international exchange, performance development, and the discovery of theatrical artists, and to study the history of the transition of the Geijut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methods. He also observ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edang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proposed a demonstrative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instill pride and identity in local residents and to promote regional imag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The measures sought should include the need for cooperation with the performance art festival utilizing the cultural resources inherent in it, and a strategic review from a commercial perspective that looks at the consumption culture. In response, it can be said that it studied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and confirmed the potential for the festival to grow into a global festival aimed at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공연예술

        이인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해 있는 현대사회에서 공연예술의 현재와 상황을 바라보고 현시대를 새 롭게 인식함으로 공연예술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중요한 문화 예술적 인프라라는 점에서 전통 및 공연예술의 중요성은 이미 가장 핵심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고 지속적인 정 부, 기업, 개인적인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환경변화, 생활양식의 변화 개인의 의 식변화, 나아가 과학기술의 발전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문화소비시장 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현대는 교류와 공유의 속도가 더하며 과학기술의 발달로, AI, VR 등 기술의 발전은 물론 감성까지를 포함한 트 랜스미디어(Transmedia)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 그 사회의 문화는 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현대문화와 미래사회를 대변하는 트랜스미디어, 대중문화, 융・복합 문화, AI, 5G 통신시대 등 현대를 상징하는 새로운 개념, 새로운 가치들이 변화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에서의 공연예술의 발전방향은 무엇인지, 어떻게 이 시대에 기여하고, 어떠한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지, 그래서 우리가 준비하고 연구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 좀 더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술과 과학의 발달은 지역과 민족을 초월하여 스포츠, 예술, 음식, 패션에 이르기까지 세계적 문화 공유 를 촉진하고 있다. 문화 예술의 대중화는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그 영역과 경계를 허물고 속도를 더 하게 되었고 1인 1미디어 시대를 맞이했다. 현대의 과학기술의 환경, 인터넷과 핸드폰 없는 생활을 생각 조차 할 수 없는 영상정보문화의 환경 속에서 공연예술은 어떻게 인간 본연의 가치를 실현해 가는 중요 한 수단으로서의 역할과, 이 사회에 좋은 영향력을 끼치며 발전할 수 있는가? 공연예술은 제한된 장소와 시간의 범위에서 관객과의 만남을 통해 공연예술이 문화소비재로서 소비되어진다. 즉, 제한된 환경에서 의 교환활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관객은 대부분 관련전문가, 전공하는 학생, 공연애호가들이 중심이 되 는 관객층을 형성한다. 다양한 다른 문화소비재의 빠른 변화와 대량생산에 의해 문화소비재로서의 공연 예술을 선택하고 참여하는 관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연예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대의 문화현상을 이해하여 공연예술의 가치를 공유하며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 공 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present and situation of performing art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cultures coexist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by newly recognizing the present age. In the sense of an important cultural and artistic infrastructur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nd performing arts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the most core value and there has been continuous government, enterprise, and personal efforts. Nevertheless, the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 change of lifestyle, the change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rought a lot of changes to the cultural consumption market The culture of the society also serves as a means of enhancing a nation's competitiveness. In addition, new concepts and new values symbolizing modern times such as transmedia, popular culture, fusion and complex culture, AI, and 5G communication age representing modern culture and future society are changing and evolving. What i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in this change, how to contribute to this era, and what value should be given, and what tasks should we prepare and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a deeper discussion about thi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promotes sharing of global culture, ranging from sports, art, food, and fashion, transcending regions and ethnic groups.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art has broken down the boundaries and speeds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s reached the era of one-person media In the environ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of image information culture that can not even think about life without the internet and cell phone, how can performing arts play an important role as an important means to realize human's original value and develop with a good influence on this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performing arts in the era of visual culture, which interacts, communicates and lives through the current video, to recognize the problems, and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roles in modern society.

      •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이주영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Culture is one of the most valuable legacies of human beings and their treasure chest of times. Among many aspects of culture, festivals can unify most cultural activities the best. Performing arts festivals are the most aesthetic and effective as concentrated culture among others in short times.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have been boosting up mutual understanding, economic growth, and global images between nation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NTOK hereinafter) is symbolic for performing arts of Korea. This study has been done into systematic analysi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of management for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WFNT hereinafter), specially programed, managed, and hosted by NTOK since 2007.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WFNT needs to keep its direction as early planned. This leads to identity and uniqueness of the festival. From audience's point of views, pellucid positioning of festivals' direction is an extremely significant and critical element for confirmation and general management of the programs. An active support and cooperations from government are needed. Second, lacking regular employees, TWFNT office needs to organize and run (a) festival team(s) for professionalism and continuity of the work. By setting up its own human resource management manual, it can maximize employing and using civil festival staff and volunteers. Third, TWFNT needs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management council. It should expand the period of appointment for the council members for two years so that the council can cooperate with TWFNT office for actual programming work. Considering programs of the year, TWF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uncil members and build the system for practical unition between TWFNT and the council. Fourth, TWFNT needs to fix programs match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festival in earlier stage. This is very critical for programming as theatre's planned performances and as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quality elevation and thorough checking on the spot, the programs should be chosen after being watched, invitations be posted after a close filtering, and the best ones must be taken strict standards for selection. These are for the organization to obtain enough time, secure finances, and professionalism. Fifth, TWFNT needs to develop advertisement resources continuously and set up executive market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basic tools in terms of advertisement and marketing. Co-advertisement and co-marketing plans allied with related organs must be set and done in a long run. Integrated marketing plans must be built through proper choices of the programs and concentration on the chosen programs of the year. Development of progressive management resources is effective for festival contents information to be connected to strategical advertisement and finally to get successful marketing outcomes, such as wider public awareness plans for the theatre and festivals. Marketing partnerships with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from participant countries to the festival are highly precise and efficient in terms of international exchanges. Based on the management of <The World Festival of National Theatres>, this study shows what TWFNT lacks for better management and programs, analyzes the results of the festival, and suggests revitalization methods of it. The result of the study will contribute for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as the capital of performing ar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heatre in Korea to grow as the international pivot in performing arts culture, to expand its global exchange with excellent performing arts theatres and organizations in the world and to activate the differentiated performing arts festival internationally. 인류의 가치적 소산이자, 시대의 보고(寶庫)가 문화이다. 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이 있지만, 이를 총체적으로 결집시킬 수 있는 것은 축제이다. 축제의 유형 중 단시간에 가장 심미적이면서도 효과의 정도가 높은 것이 공연예술축제이다. 그 중에서도 현대사회에서 국제공연예술축제를 통해 국가간의 상호 이해 증진, 경제의 활성화, 국가 이미지 제고 등 여러 효과를 증진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연예술을 대표하는 국립극장이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극장의 프로그래밍 차원에서 2007년부터 특별기획 되어져 현재까지 시행되어 오고 있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운영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에서 초기 설정한 방향성 유지이다. 이는 페스티벌의 정체성이자 고유성으로 직결된다. 수요자 중심 측면에서 볼 때 페스티벌의 방향성이 명징하게 포지셔닝 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래밍 확정 및 총괄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부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재편 및 인력운영 측면에서는 우선 세계국립페스티벌 사무국의 정규인원이 부족한 바, 전문성 획득과 연속성 확보차원에서 극장 내에 페스티벌(축제)팀을 신설, 운영함이 요구된다. 인력 운용 매뉴얼을 설정하여 자원봉사자들을 비롯한 시민 축제 요원들에 대한 적극 발굴과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운영자문위원회의 역할 강화이다. 위촉기간을 만 2년으로 둠으로써 사무국과 더불어 실질적 프로그래밍 업무에 함께 하도록 창구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을 감안하여 자문위원의 구성원 보강을 통해 실질적인 조직위가 구성되는 체계를 구축함이 중요하다. 넷째, 페스티벌 방향에 부합되는 프로그램 조기 확정이다. 이는 극장 기획공연으로서의 프로그래밍 측면과 국제공연예술축제로서의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질적인 고양과 실질적 검증을 위해 가급적 현장을 통한 작품 선정, 면밀한 필터링을 통한 초청작, 우수작에 대한 엄격한 선별과정이 필요하다. 결국은 충분한 시간과 재원확보, 전문성이 근간이므로 조직 차원에서 이를 충족시켜야할 것이다. 다섯째, 홍보 및 마케팅 측면에서는 기본적인 툴 외에 지속적인 홍보 소스 개발 및 마케팅 실행 전략 수립을 기해야 한다. 기관 및 단체들과의 공동(연계) 홍보, 마케팅은 지속적인 발굴과 실행이 요구된다. 해당년도의 프로그램에 맞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통합 마케팅이 필요하다. 극장 및 페스티벌의 인지도 확산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으로 페스티벌 콘텐츠 정보가 전략 홍보에 연동되어져, 마케팅의 결과물로 이어지는 단계별 운영 소스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교류 관점에서 참가국들의 기업, 기관과 파트너 마케팅의 추진은 적실성이 높다 하겠다. 본 연구는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의 운영실태를 토대로 문제점 도출 및 운영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민국 공연예술의 중심이자 대표 공연장인 국립극장이 세계 공연예술문화의 중심으로 성장하며 해외 우수 공연예술단체들과의 교류확대를 진작시켜 차별화된 국제공연예술축제의 장이 활성화 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