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시설현황 및 복합유형 분석

        김수미(Sumi Kim),김석영(Suk-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급속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국민들의 복지욕구가 다양화되면서 문화, 의료, 정신과 정보 차원으로 확대된 국민들의 종합적인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에는 작은 단위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의 행정, 복지, 여가, 문화, 정보화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인 통합적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구축이 필요하다. 공동체 복합지원시설은 지역주민들이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만남의 장으로서 정보 교환을 비롯한 다양한 기초적인 서비스를 제공, 궁극적으로 주민들의 공동체 생활의 활성화에 기여하여 기존 도심의 재생과 활성화를 이루는데 이바지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일반적 현황과 물리적 복합 형태를 파악하고 복합유형을 도출, 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공급되고 있는 시설들은 이용자들 모두가 참여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복합 기능을 수용 수 있는 시설이 대체적으로 부족하다. 앞으로 계획되어질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은 프로그램과 복합기능을 모두 수용 할 수 있는 시설을 우선하여 공공행정시설이나 장애자 시설, 노인시설을 같이 배치하여 혐오시설로 느껴지지 않도록 배려하여, 서로 교류하는 공동체 삶을 추구하도록 시설의 설계단계부터 방법 또한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창의적인 복합개념이 도입되어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이용자들에게 돌려줌으로써 여러 가지 기회를 부가적으로 제공받음과 동시에 다양한 삶이 확보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이 되고, 이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하고, 사회적 변화에 순응과 변화를 동시에 기능할 수 있는 복합화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계로는 조사·분석만으로 도출된 결과로 보편성에서 다소 미흡하다 할 수 있지만 공동체복합 지원시설이 지역주민의 생활여건이나 현실적인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공동체복합지원시설 복합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Welfare desire has been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conomic level and rapid social change. The desire for comprehensive service on culture, medical, mental and information level has appear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 space of accepting administration, welfare, leisure, culture and informatization request in a small local community in the future. The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is a meeting place of local resident for information change, various basic service and ultimately for activation of commun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regeneration and activation of existing urban core. Thus, this study figured out general status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and physical mixed type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Current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has insufficient program and space to participate in by local residents and to accommodate mixed function. The future planned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must secure multiple opportunities for various types of life by returning time and cost to use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reative mixed concept. While reflecting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diversity of users, it needs to make mixed facility to cope with social change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by survey and analysis only.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planning of community mixed-support facility to cope with living conditions of local residents or realistic requirements

      • KCI등재

        노후주거지역에서의 공동체복합지원공간 공급 방안 분석

        김성엽(Kim, Sung-Yup),강동진(Kang, Dong-Jin),김경대(Kim, Kyung-Dae)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도시재생의 진정한 의미는 완전재개발을 통한 재생이 아니며, 과거의 공동체적 삶과 그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지역 재창조를 위한 재생’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기존도시 내 노후주거지 재생의 경우 지역 특성과 지역민들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공동체적 삶과 활동을 유지·강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복합지원공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광주 근대역사의 대표지역이자 재생이 필요한 노후주거지대인 양림동을 사례지로 선택하였다. 연구 목적은 노후주거지 주민들의 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공간(시설)과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공동체복합지원공간의 공급방안에 대한 이슈를 도출하고, 이의 대응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3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는 공동체 활동공간 및 경향을 도출하고, 2단계는 공동체 활동 증진을 위한 잠재공간을 도출하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잠재공간을 ‘신조성형’,‘ 재활용형’,‘ 결합형’,‘ 네트워크형’등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공급방안과 공급활성화 방안을 분석한다. 양림동에의 적용과정 속에서 단순히 공공의 주도적 역할이나 주민자력만으로는 실제적인 공동체복합지원시설의 공급에 제약이 따르며, 공공과 주민, 그리고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비영리단체의 상보적 협력을 통한 공급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였다. The urban regeneration does not mean the regeneration through complete redevelopment, but the regeneration for re-creation of the region reflecting the community life in the past and the unique regional identity in deed. In this sense, the urban regeneration of the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s required to secure the space to support on-going community life and relevant activities as well as reflect the regional,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he case of this study is a deteriorated area of YangLim-dong, Gwangju metropolitan city that has a lot of historic heritage of modern times in this area, but it needs to be rehabilitated since the overall residential area becomes deteriora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find issues of how to supply the space required for community activities of the residents as well as community mixed-support spaces specific to this area and finding out the corresponding action plans. It°Øs clearly recognized that the public and residents should take lead in stimulating supply of the community mixed-support spaces and securing proactive collaborations with NGOs based on the region.

      • 농촌마을 에너지 사용 및 공동시설 활용실태 분석

        천경록 ( Kyungrok Chun ),최진식 ( Jinsik Choi ),최영완 ( Youngwan Choi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지속되는 과소화 및 고령화에 따른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붕괴, 정주계층구조의 변화에 따른 읍·면소재지의 기능축소 및 서비스 수준 악화, 농촌마을 공동시설의 역할 증대에도 불구하고 시설의 활용저하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 농촌활력증진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동시설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 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의 에너지 사용 및 공동시설 활용분석을 통해 농촌마을 커뮤니티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향후 공동시설의 활용 및 유지관리 계획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농촌마을단위에서 주민들의 개별 에너지 이용실태 및 공동시설 활용실태 분석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농촌공간특성별로 농촌, 산촌, 어촌마을로 대구분하고,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추진되었던 3개권역 총 15개 마을을 사례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내용은 영농형태 및 소득, 주택형태(종류, 방향, 재료 등), 농촌주민 개인별 난방 및 취사, 온수 사용실태(그린에너지 설치여부 등), 계절별 전력 및 석유, 가스 등 에너지 사용량, 공동시설 이용실태(주요 이용시설, 계절별 이용시간 및 활용특성, 식사 등) 등을 조사하였다. 둘째, 농촌마을 공동시설 정비수준 및 활용실태 분석을 위한 조사대상 시설(활성화센터 및 마을회관, 노인정, 공동창고, 유휴시설 등)을 선정하고, 공동시설 에너지 사용실태 및 공동시설 정비수준, 공동시설활용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석유에너지 소비는 농촌마을이 가장 많은 평균 187,475.2원/년으로 조사되었고 그 뒤를 이어 어촌마을이 평균 144,141.6원/년, 산촌마을은 평균 126,070.0원/년 순이다. 각 마을별 12월과 1월의 평균기온은 산촌마을의 경우에는 -0.05℃이며 농촌마을은 0.38℃, 마지막으로 어촌마을은 2.2℃로 나타났다. 공동시설의 이용률을 살펴본 결과 산촌마을이 가장 높은 84.3%로 나타났으며 농촌마을은 40.7%, 어촌마을은 61.1%로 나타났다. 겨울철 평균기온이 낮다고 하더라도 공동시설을 이용함으로써 가구 내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공동시설의 이용률이 높은 권역이 그렇지 않은 권역에 비해 약 33%가량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동시설의 활용형태와 향후 신규시설 조성시 적정한 시설입지를 제안하여 주민들이 공동시설의 이용률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신규로 조성될 마을공동시설 및 기존 시설의 리모델링을 위한 효율적·경제적인 방법을 도모하여 앞으로 존폐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농촌마을 커뮤니티 재건에 기대를 모은다.

      • KCI등재

        자연물 미술치료가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송영(Song, Ryoung),김정희(Kim, Jung Hee)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1

        본 연구는 자연물 미술치료가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의 A아동양육시설과 B아동양육시설의 유아 22명으로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해 Cronbach s α,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아 행동 관찰기록, 저널, 작품 등을 분석하여 자료 안에 있는 의미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 미술치료는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동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연물 미술치료는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 행동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자연물 미술치료는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공동체의식 행동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물 미술치료는 아동양육시설 유아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on self-esteem, playfulne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children from residential nurse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children from institutions in J city in Jeollabuk-do. Among them, 11 children from A childcare institution 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children from B childcare institution are in the control group. Cronbach s α,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the meaning of the data was found by analyzing records of observation, journals, and works of draw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of the children from residential nurseries. It further identified changes of self-esteem of children in childcare institutes. Second,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fulness of the children from residential nurseries. It further identified changes of the playfulness of children in childcare institutes. Third,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children from residential nurseries. It further identified changes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children in childcare institutes. Therefore, the study reveals that art therapy using natural objects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playfulne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children from residential nurseries.

      • KCI등재후보

        지역공동체활성화프로그램 및 만족감이 노인용 주거시설 선택에 미치는 영향

        최윤영 한국감정원 2019 부동산분석 Vol.5 No.1

        This study aim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programs on people’s intention to moving to residential facilities for older adults when they become old. Recently, the rapid aging of Korean society drew attention to residential facilities for older people.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that their research was mostly on residential facilities for either low-income people or high-income people. Hence, we analyzed the necessity for revitalizing community while applying the concept of habitability. We applied a multilevel binary logistic model to the multi-structure data of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order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willingness to move to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old. At the individual level, gender, age, willingness to work after retirement, assets, housing occupancy typ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ctivities programs,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programs were significant factors. At the regional level,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ctivities program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programs, and financial independ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ctivation of programs for regional community activities can be a crucial factor for older adults to decide their residence and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지역의 공동체활성화프로그램이 노인이 노인의 주거시설에 입주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거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노인들의 대상으로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안되고 있는 거주의 정주성을 적용하여,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가 할 수 있는 공동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다층이분로지스틱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에 따라서 노인이 노인의 주거시설에 입주할 의향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개인수준으로는 성별, 연령, 은퇴 후 노동의사, 자산, 주택점유형태, 공동체활동프로그램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 공동체활동프로그램 참여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노인의 노인용 주거시 설에 입주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으로는 지역의 공동체활동프로그램만족도와 참여정도, 재정자주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인들이 노후의 삶을 현재 거주지에서 계속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 지역내의 공동체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이를 통하여 노인의 정서적 심리적 지원을 통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공동체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과 실태 분석: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의 공급주택을 중심으로

        김란수 한국협동조합학회 2019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하우징쿱주택협동조합이 공급한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로 공동체주택 내 커뮤니티 공간의 위치와 공간계획적 특성, 운영현황 파악 및 이용자에 대한 현황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체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은 건축법상 근린생활시설이나 주민공동시설로 공급되어 입주자들의 교류의 장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었으며, 접근성이 높은 출입구나 1층에 위치한 커뮤니티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주택에서의 입주자 만족도가 높은 반면 공동체 활동이 적은 주택에서는 입주자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커뮤니티 공간의 용도가 명확한 작은 도서관에서 지역주민도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충분한 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의 활용 및 만족도도 낮게 나타났다. 공동체주택에서 커뮤니티 공간은 접근성이 좋은 1층이나 주택단지의 입구에 위치하고 입주자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며, 공간의 용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복합용도인 경우에는 모임이외의 교육이나 강의를 위한 충분한 시설을 설치하여 커뮤니티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mmunity space of community housing in which the housing management cooperative is established or in preparation and analyzes the location and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the status of operation and the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of us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munity space was supplied to the neighborhood lining facilities or community facilities. It was enough to act as a place for exchange of residents. The use of community space was high in the entrance and the ground floor. It found that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houses which operated various programs. However, the residents’ satisfaction was low in the mixed-use housing where the community space was not utilized well or was inadequate. In order to activate the community, the community space should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well-accessible first floor a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space. In the case of mixed use, sufficient facilities should be set up for meetings, training and lectures.

      • KCI등재

        도시재생지역의 마을공동체역량강화 활동의 특징에 관한 연구 - 부산시 최초의 도시재생지역인 동구를 중심으로 -

        신병윤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activities of 16 village communities in Dong - gu, which is the first urban regeneration area in Busa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In addition to the enact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Act of 2013, urban regeneration has begun to be vigorously centered around the old city center. Currently,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is selected as the nation's major policy project and is being implemented nationwide. The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factor elements of good quality of life of Larry Lyon and Robyn Driskell; second, three factors of community composition; The last four are the views of R. Sherry Arnstein on Eight Rungs on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community activity can be assessed as satisfying six factors. I looked at how the present community meets the qualit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elements of community formation, I have looked at the area, the common ties, and the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tandards of excellent community activities of Busan City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there are six kinds of evaluation: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sustainability, necessity, publicness, achievement, and ripple effect.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R. Sherry Arnstein 's Eight Rungs on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I evaluated 16 communities. These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multi - faceted evaluation of community in Dong - gu in Busan, have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community in many urban regeneration areas in Korea.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최초의 도시재생지역인 동구 관내의 16개 마을공동체 활동들의 특징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2013년 도시재생특별법의 시행과 더불어 도시재생사업이 전국의 원도심을 중심으로 활기차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국가의 주요한 정책사업으로 선정되어 전국적으로 시행 중이다.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은 첫째는 레리 리용과 로빈 드리스켈의 좋은 삶의 질적 요소 관점, 둘째는 공동체구성의 3요소 관점, 셋째는 부산시 우수공동체활동 평가기준 관점 마지막 넷째는 아론스타인(R. Sherry Arnstein)의 주민참여단계 관점이다. 삶의 질적 요소 관점에서 6가지 요소의 충족정도로서 공동체활동을 평가 할 수 있다. 지금의 공동체가 얼마나 삶의 질을 충족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공동체 구성의 3요소의 관점에서는 영역(area), 공동의 유대관계(Common ties), 사회적 상호교류(Social interaction)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부산시도시재생지원센터의 우수공동체활동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한 것은 주민참여도, 공동체의 지속성, 필요성, 공공성, 성취도, 파급효과의 여섯 가지 이다. 마지막으로 아론스타인(R. Sherry Arnstein)의 주민참여단계의 관점에서 보면 동구 16개 공동체들을 평가하였다. 부산시 동구의 공동체에 대한 다면 평가를 통하여 규명한 이러한 특징들은 현재 한국의 많은 도시재생지역의 공동체 형성과 활동에 시사 하는 의미가 크다.

      • KCI등재
      • KCI등재

        해양레저스포츠시설로서 마리나 개발에 따른 지역주민의 기대감, 사회신뢰 및 공동체의식

        강명구,김우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3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6 No.3

        The research was to explore local community and residents' expectation, social trust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marina development as the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For this purpos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argeting local residents of Jeongok port located in Jeongok-ri, Seosin-myeon, Hwaseong-si, Gyeonggi-do where the Marina development was in progress. Research was conducted as participant observation during April-September in 2012,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1st to 9th. Participant observation was used for community and residents' consciousness and for the in-depth interviews, area and classification analysis were taken after 1-2 times individual interviews of 11 participants selected for the study by the aid of informants who resides in Jeongok port.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were taken as data analysis.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of the formation in social capital, improvement of local image and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ic were derived by expectation of analysing local residents' expectation, social trust and consciousness by exploring the change of community according to marina development as the marine leisure sports facilities. Second, by social trust of local resident according to marina development, conflict in interests between fisherman and marina users, demanding to civil service employees due to the dis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and distress of civil service employees by illegal acts of marina users have been identified. Third, as community spirit of local resident according to marina development, the concept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sense of belonging and mutual influence changes in consciousness were drown up. 본 연구는 해양레저스포츠시설로서 마리나 개발을 통해 변화된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기대감, 사회신뢰, 공동체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마리나 개발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2012년 4월부터 9월까지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9월 1일부터 9일까지 심층면담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참여관찰은 마리나 개발에 따른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의 의식을 관찰하였고 심층면담은 전곡항에 거주하는 제보자의 도움을 받아 11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여 개인별 1-2회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레저스포츠시설로서 마리나 개발에 따른 지역사회 변화의 탐색에서 도출된 지역주민의 기대감, 사회신뢰, 공동체의식을 분석한 결과 기대감에서는 사회간접자본형성, 지역이미지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둘째, 마리나 개발에 따른 지역주민의 사회신뢰에서는 어민과 마리나 이용자 간의 갈등, 지역주민의 불만족 해결을 위한 바람, 마리나 이용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공무종사자의 고충 등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셋째, 마리나 개발에 따른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에서는 사회자본형성, 소속감 및 상호영향의식 등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시립노인요양시설 관리자의 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홍란(Seo, HongLan),배영미(Bae, YoungMi)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시립노인요양시설 관리자들의 일 경험을 조명하고 시설운영의 효율성과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6월까지 약 4주간 서울시립노인요양시설 전체 7개 기관을 대상으로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시설의 사무국장, 간호팀장, 사회복지팀장으로 구성된 초점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총 3회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세 개의 FGI에서 공통으로 드러난 주제는 ‘돌봄공동체의 소중함을 체득함’,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이다. 직책 및 직군에 따른 일 경험을 살펴보면, 사무국장 FGI에서는 ‘임금협상과 임금조정으로 몸과 마음이 지쳐감’이, 간호팀장 FGI에서는 ‘역량 밖 기대에 대한 부담과 지지체계 부족’이, 사회복지팀장 FGI에서는 ‘직접실천보다 행정업무가 우선인 현장’,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전략개발’이 고유한 경험으로 밝혀졌다. 간호팀장과 사회복지팀장 FGI에서 드러난 공통 주제는 ‘요양보호사와의 협업의 어려움’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효율적인 조직 운영과 서비스 질 증진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lluminate the work experiences of managers of municipal nursing homes and to figure out the ways to operate facilities in efficient mann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Approximately for four weeks from May to June in 2019, a survey was conducted at all of the 7 Seoul municipal nursing homes. Also focus group interviews(FGIs) were conducted 3 times with general managers, nursing team managers, and social work team managers working at the Seoul municipal nursing ho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o common themes were revealed from the three FGI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care community’ and ‘low social awareness towards nursing home workers.’ The unique experiences revealed from each group were as follows. ‘Getting tired from negotiating salaries’ was revealed as a theme in the FGI consisted of the general managers. ‘The burden of expectations beyond their scope of practice’ and ‘lack of support system’ were revealed by nursing team managers. Also, the team manager of social work experienced ‘a site where administrative work takes priority over direct practice’ and ‘developing strategy for quality of services.’ The common themes from FGIs with both the nursing team managers and the social work team managers were ‘difficulty in collaboration with the caregive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operating the organization in efficient way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