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한 공공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

        정석환,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역사 이미지가 확고한 도시의 경우 신도시 같은 개발 위주의 도시정책 보다 그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특성들을 강조하고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체성을 회복하여 시민들의 생활여건을 개선함과 동시에 역사 문화공간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공디자인 정책 중 하나로 공공조형물이 도시의 역사 정체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필요한 평가 요소를 도출하고, 공공조형물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역사도시의 공공조형물의 평가 지표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 역사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에 설치된 공공조형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둘째,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의 자문과 설문을 통해 역사적 특성을 지닌 공공조형물 평가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요소를 세부적으로 도출하고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중요도 분석 결과 각 요소별 배점을 활용하여 실제 사례평가를 통해 역사도시 공공조형물의 평가와 개발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결과) 문헌 고찰과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역사성, 브랜드성, 예술성, 기술성, 경제성, 장소성, 환경성, 상호작용성 등 8개의 개발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 요소별 CVR분석 결과 조형물의 장소성이 가장 중요한 개발 요인으로 밝혀졌고 그 다음은 역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예술성, 환경성, 상호작용 등이 동일한 수준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성과 브랜드성은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웅비탑과 삼족오의 사례평가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웅비탑이 삼족오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고 이는 도시의 역사적 가치와 역사 자산(유물)이나 인물의 인지도 등이 높은 데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론)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조형물의 설치는 도시재생 및 개발에 있어 도시 역사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디자인 전략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역사도시의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공공조형물을 탐구하고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역사 도시 조형물의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별 중요도 분석한 결과, 도시조형물은 역사 자산(유물)이나 인물의 인지도에 따라 역사성, 브랜드성, 상호작용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미치며 조형물이 설치된 공간의 인지도에 따른 접근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 KCI등재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이동기 한국독일사학회 2023 독일연구 Vol.- No.52

        In the first half of the 21st century, the commemoration and remembrance of 20th century history has overflowed into the public sphere. As different as the fields of public history are, so are their points of contention. The term "consuming history" does not capture the phenomenon. The older concept of "popularising history" prev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public history as "historiography by citizens" buries public history initiatives and interests from above, from politics and administration. Public history does not simply apply or express in public the historical truth that is the result of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but it is a historical account in its own right. Issues and tasks continue to accumulate around it. The ethics of the practice of public history should also be revealed. Public history should be accepted as part of university history research and education. Public history is the "area of responsibility" of historians. ‘Public History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21세기 전반 공공영역에서 20세기 역사의 기념과 기억화 작업이 넘친다. 공공영역에서 역사를 기억하고 기념하고 재현하고 활용하는 거대한 역사 실천이 새로운 역사 현상이 되고 있다. 역사가들은 그것을 비판과 분석, 연구와 토론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공공역사의 영역이 다양하니 그 쟁점도 다양하다. ‘역사소비’ 규정은 그 현상을 포착하지 못한다. ‘역사대중화’라는 낡은 개념은 그 현상의 이해를 막는다. 또 공공역사를 ‘시민의 역사쓰기’로 이해하면 위로부터의 공공역사 발의와 관심이 묻힌다. 공공역사가 단순히 학문적 역사연구의 성과인 역사적 진실을 공공영역에서 잘 적용하거나 발현시키는 것이 아니고 독자적인 역사 서술과 재현이기에 그것을 둘러싸고 는 쟁점과 질문, 과제가 계속 쌓인다. 공공역사의 실천 윤리도 밝혀져야 한다. 공공역사를 대학의 역사 연구와 교육의 일부로 수용해야 한다. 공공역사는 이미 역사학의 일부다. 공공역사는 역사가의 원천적 ‘책임’ 영역이다. 한국 공공역사학회 설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적용

        민윤(Min Y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역사교육의 대중화와 함께 새로운 지역사가 주목받고 있으며 지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공공 역사를 통해 찾을 수 있다. 공공 역사는 공적인 역사 서술과 재현의 모든 형식을 포괄한다. 박물관, 미술관, 기념관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하기가 포함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은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의 측면과 민주시민으로서 자신의 삶과 연결되는 지역에 대한 학습을 통하여 역사적 행위의 주체로서 시민 지향의 역사를 추구한다. 또한, 공공 역사 기반 역사는 과거의 사건 또는 역사 과정을 경험한 참여자, 증인의 인터뷰를 통해 증언을 채록하고 역사를 서술하는 구술사 연구 방법과 만나게 된다. 또한 마을과 학교를 학생이 주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생 주도의 역사탐구가 가능해진다. 공공 역사를 통한 지역사 교육과정을 구성하면서 지역교육과정 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지역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가지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권한을 지역/학교/교사에게로 돌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 수준에 맞게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체제를 의미한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적용의 사례로 경기도교육청에서 추진한 구술사 프로젝트와 지역 근현대사 교육자료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구술사 프로젝트는 구술사 방법론을 중심으로 학교사 아카이브 구축, 구술 생애사, 일제 잔재 청산 등 다양한 활동과 다원적 관점의 역사하기가 적용되었다.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사례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지역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의미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이 내실화하기 위한 한계 혹은 개선점 또한 존재한다. 우선은 시민 지향, 다원적 관점의 공공 역사 기반 지역사 교육과정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Along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education, new local history is drawing attention, and new horizons of local history research can be found throughout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encompasses all forms of public historical narratives.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pursues citizen-oriented as a subject of historical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s a local citizen and the learning of areas connected to one s life as a democratic citizen. Public history-based history also meets oral research methods that record testimony and describe history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or witnesses who have experienced past events or historical processes. In addition, student-led historical exploration will be possible as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exploring villages and school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ocal curriculum system while forming a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rough public history. A local curriculum means transferring the authority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um from the national level to the local community/schools/teachers, and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content and methods can be select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level. A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an oral history project performed by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he region are presented. The oral history project focused on the oralist methodology, and applied various activities such as building archives of school history, oral life history, and liquidation of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With the direction and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a public history-based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the possibility and meaning of a new curriculum for local history were ident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or improvements to the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o systematically promote a public history-based local history curriculum based on citizen-oriented and pluralistic views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 KCI등재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방법의 의미와 가치

        김경아(Kim, Kyung A)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오늘날 우리 사회는 대중이 역사를 즐기고 소비하는 역사 대중화를 넘어 역사 생산에 참여도 하는데 이는 ‘공공역사’라는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공공역사는 대학, 연구소 등 제도권 안의 기관들뿐만 아니라 제도권 밖의 영역을 포함한 공간에서 역사전문가들과 대중들이 함께 역사 지식을 생성하고 소비하며 공유(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역사가들의 역할 증가와 전문역사학계의 위기의식, 대중적 역사 소비와 생산을 가능케 하는 기술적 발달과 상업화의 논리, 이에 관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관심은 공공역사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공공역사에 대한 기대와 함께 우려도 있다. 정확성과 객관성, 교육적 가치와 오락적 가치의 균형 잡기, 상업화로 인한 지나친 단순화와 왜곡, 취업용 프로그램으로의 전락 등이다. 공공영역의 교육기관인 학교는 이 쟁점들을 공론화하고 완화할 정당성과 책무성을 부여받는다. 공공역사는 개개인을 역사 지식의 생산의 주체로 참여시키고, 학문적 민주화를 지향하며, 국가·사회적으로 공공선이 실현되는 민주시민사회로 나아가도록 하는 역사교육적 가치가 있다. 역사는 과거와 동일하지 않고 기억과 역사도 다르므로 한 사회의 합의를 통해 선택한 공식적 기억의 역사화 작업은 중요하며 이러한 과정에는 대중들의 참여와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공공역사를 학교에서 교육적으로 실천하는 한 방안으로 구술사를 활용할 수 있다. 구술사는 역사교육적으로 유용하다. 학생들을 역사 생산의 참여자로 만들며, 생생한 역사이해를 돕는다. 또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과 소수자,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역사화 하면서 개인을 역사의 주체로 인식할 수 있다. 스스로 역사를 이끄는 주체임을 인식하는 역사의식을 함양하고 민주사회의 일원으로 실천의식을 키운다. ‘구술사를 활용한 역사하기’를 통해 학생들이 구술사의 역사교육적 가치를 함양하기도 했지만 일부 아쉬운 점들도 있었다. 앞으로 구술사를 포함한 학교에서의 다양한 공공역사 실천방안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져야 하며 공공역사의 교육적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해 구술사와 같은 방법들을 교육과정에 통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Today, our society participates in the production of history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in which the public enjoys and consumes history, which can be described as ‘public history’. Public history refers to the creation, consumption and sharing (communic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gether with historical experts and the public in spaces that include areas outside the system as well as institutions within the system,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increasing role of mass historians, the sense of crisis in the professional history academia, the logic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at enable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mass history, and the interest of the historians and history education circles in this regard have aroused the discussion of public history. There are also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public history. Accuracy and objectivity, balancing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values, excessive simplification and distortion due to commercialization, and degenerating into employment programs. School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ublic domain, are given the legitimacy and responsibility to publicize and mitigate these issues. Public history has historical educational value that involves individuals as the main agents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aims for academic democratization, and moves toward a democratic civil society where public good is realized nationally and socially. Since history is not the same as the past, memory and history are different, the work of historicalizing the official memory chosen through consensus of a society is important, and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the public is important in this process. And an oral history can be used as a way to practice public history educationally in schools. An oral history is useful in historical education. It makes students participants in history production, and vivid history helps them understand. In addition, individuals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s of history while making the lives of socially excluded groups, minorities, and ordinary people. It cultivates a sense of history that recognizes itself as a leading body of history and develops a sense of practice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Students cultivated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 of oral history through “History Using Old Testament,” but there were some regrets. In the future, various public history practices should be explored in schools, including oral history,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o integrate methods such as oral history into the curriculum to revitalize educational practice of public history.

      • KCI등재

        개인적 서술에서 공공의 기억으로 : 구술사와 공공역사

        윤택림 한국구술사학회 2020 구술사연구 Vol.11 No.1

        이 논문은 역사소비시대에 곤경에 처한 역사학이 시도하고 있는 공공역사를 구술 사와 연결시켜 그 쟁점들을 파악해보고 구술사와 공공역사의 협업 지점들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공역사가 시작된 미국에서 공공역사운동의 발전 과정, 공공 역사의 개념 정의, 실천적 지향점들을 살펴보겠다. 미국에서 학계 밖에서 역사학자들 이 역사 연구방법을 실천하여 과거를 활용하는 공공역사는 역사학의 일부로서 인정받 고 학회가 조직되었고, 학술지도 발간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역사학자들의 통제 를 벗어난 대중역사에 직면하여 역사학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역사학자들이 최근에 공 공역사를 논의하게 되었다. 이에 한국 역사학자들의 공공역사 논의들을 이해하기 위 하여 개념 정의와 쟁점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런데 한국에서 구술사는 공공역사 로서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학자들의 공공역사 논의에 구술사 연구자들이 아 직은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역사학자들이 지향하는 공공역사는 근현대사 부분에서 구술사 연구자들의 참여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구술사와 공공역사의 관 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양에서 논의된 구술사, 공공역사, 기억연구의 관계를 살펴본 다. 그리고 한국에서 구술사와 공공역사가 협업할 수 있는 지점들을 개인적 기억의 공공 기억화, 개인적 서술과 문화 기억과의 관계, 구술전시와 역사박물관, 구술사와 역사교육에서 살펴보고 최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결론에서 필자는 구술사 와 공공역사는 개개인들이 모두 역사적 존재이고 개인적 삶이 역사성을 가지고 있다 는 인식을 도출해내서 공공 영역에서의 다원적이고 민주적인 과거의 재현을 지향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미 구술채록이 이루어진 다양한 영역과의 협업을 통해서 구술사 연구자들이 공공역사가로서의 역할을 할 것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seeks to relate oral history to public history and to locate the sit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two fields in face of the current history consumption era. In order to do so, the author first looks over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ublic history movement in the U.S. in terms of its background, definition, and features of practice. Public history movement which began as an historical practice in non-academic fields in the 1970s in the U.S. has grown to organize its association and publish its journal as one subfield of history. Meanwhile, dispute over public history started in South Korea as a way to deal with popular history which has gone out of historians’ control. To understand this situation, the author examines the definitions and issues discussed by Korean historians. Although oral history began as public history in the late 1980s, Korean oral historians are yet to be involved in this discussion. As far 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concerned, public history would not be constructed without the help of oral history. For oral historians to participate in public history produc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oral history, public history and memory studies. The author investigate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m in the context of Western academia focusing on the U.S. Lastly the author suggests four sites of cooperation between oral history and public history; first, configurations of pubic memories through private recollections; second,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memories and cultural memory; third, display of oral history video clips in history museum; the last, history education by using oral history. The author concludes that oral history and public history will contribute to multiple and democratic representations of the past at the public area through recognition of historicity of personal life located in communities. And the author argues that oral historians should play a role of public historian working with other researchers of various fields who have carried out oral history interviews.

      • KCI등재

        철도역사의 혼잡성이 역사 공공서비스공간에 미치는 영향

        황규연 ( Gyuyeon Hwang ),이정교 ( Jyeo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철도역사는 이용행태 및 수요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으로 진화되어왔다. 상업 및 문화시설의 도입, 타교통 수단과의 연계를 통한 다중적 기능 및 규모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준 없는 무분별한 개발 및 매장, 광고시설의 난립으로 혼잡한 역사 환경을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공공교통시설에서 이동 동선 흐름방해, 정보과다 및 중복설치로 인한 혼란초래, 공간 이용 혼란 등 역사 내 순기능인 공공성 및 이동편의성에 절대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철도역 사내에서 혼잡성 및 공공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원활하고 편리한 공공교통시설 이용과 종합적 조화를 고려한 환경개선에 기여, 기존철도역사의 인식제고 및 순기능회복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철도역사의 혼잡한 환경과 제공되어야 하는 공공서비스와의 상관성에 초점을 두고, 선행연구 조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혼잡성의 개념정립과 공간이용자에게 미치는 특성을 연구한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한 철도역사의 개념정립과 제공되어야 할 공공서비스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고객동선상의 공간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이들 중 환경혼잡성 유발로 인한 공공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원인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도출된 평가지표에 의하여 국내외 대형역사 6곳을 선정, 비교분석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한다. (결과)연구결과 혼잡은 인적혼잡인 ‘밀도와’물리적·공간적 측면인 ‘혼잡’으로 이원화 시켜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후자에 해당하는 환경혼잡성은 공간이용자에게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고 그 부정적 감정은 공간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또한 시간압박은 혼잡에 대하여 더 강한 부정적 요소로 나타나는데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철도역사공간에서 혼잡의 조절은 공공서비스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철도역사에서 제공되어야할 공공서비스 요소는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 그 공간을 잘 이해하기 위한 일관성, 이용자의 긍정적 감정 유도를 위한 쾌적성, 개방 및 연계를 통한 안전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들은 철도역사 공공공간 구성요소인 교통이용시설, 정보안내시설, 안전·방재시설, 상업시설, 광고시설의 상호관계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결론)그러므로 중요도에 따라 범위 및 범주를 설정, 직각적 인지 및 심리적 혼란을 최소화 하여야 하고, 기능별, 요소별 통합 및 최소설치를 통한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하여야하며, 기능별 동선의 효율적 유도를 위한 조닝계획 및 동선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관리·운영단 계에서의 고려가 아닌 설계, 건설, 관리·운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을 통하여 순기능 회복뿐 아니라, 나아가 문화복합공간으로써 고품격화 된 공간으로 탈바꿈 하여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ailway stations have been developed with complex functions based on changes in use behaviors and demands.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introduced with multiple functions and larger scal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ransportation means. However, thoughtless development and disordered positioning of shops and advertising facilities have resulted in confusion in station environments recently. Such problems cause hindrances to human traffic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examples include excessive information and duplicate installations and disorder in space use, which are absolutely correlated with publicity and movement convenience for proper functioning of a station. An aim of this study includes examining crowding and public services in railway stations, with the intent of promoting smooth and convenient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se improvements would contribute to environmental upgrades for comprehensiv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greater awareness of existing railway stations, and recovery of proper functions. (Method)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correlation between crowding and public services in railway stations. The concept of crowding is established, and its effect on space users is examined based on the documentary investig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 addition, space components related to user traffic have been extracted to analyze factors and causes related to crowding that affect public service negatively. Based on the findings, evaluation indexes have been developed,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and problem resolution are presented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six large railway stations at home and abroad.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rowding may be categorized as “density” or human crowding and “environmental congestion.” These classifications have physical and spatial aspects. In particular, environmental congestion causes negative feelings among space users, which may lead to avoidance of certain spaces. In addition, time oppression has more negative consequences when combined with crowding. In a space for movement, such as a railway station, crowd control directly affects public service. Public service ele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at a railway station inclu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 consistency (for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pace), a pleasant atmosphere for engendering positive feelings among users, and safety resulting from openness and connectivity. These factors are affected by the correlation among public space components of a railway station such as transport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safety/disaster (preventive) facilities, commercial facilities, and advertisement facilities. (Conclusions) The scope and categories of facilities need to be established to enhance intuitive recognition and minimize psychological confusio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also be pursued by integrating items according to similarity of functions and elements and minimization of installation space. For efficient direction of human traffic in each functional area, zoning and traffic planning are also necessary. With clear standards that can be utilized not only in management and operations but also in design and construction, recovery of the proper functions and an elevation in the status of the railway statio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achieved.

      • KCI등재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이동기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1

        공공역사는 대학과 학계의 외부인 공공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역사 재현이다. 공공역사는 과거에 대한 공공의 의식과 접근성을 확대하는데 의의가 있다. 역사학은 한편으로 역사에 대한 대중의 폭발적 수요와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응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 학문과 사회의 새로운 소통의 문제를 분석하고 연구해야 한다. 공공역사는 역사가 재현되고 해석되는 방식을 바꾸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업화나 학문적 엄밀성의 소실 우려 등 공공역사에서 생겨날 위험에도 주목해야 한다. 독일은 공공역사의 보고다. 역사박물관과 역사전시, 역사재단과 역사기념, 역사저술서와 매체, 전통과 역사유적지 조성, 역사정책과 과거사 정리, 역사 인물의 기념과 추모 논쟁, 지역별 다양한 문화축제, 시민 역사교육과 정치교육, 아카이브와 공동체 역사 프로제트 등. 독일의 공공역사의 양상을 분석하고 소개하는 일은 한국 사회의 공적 역사 인식과 재현을 둘러싼 정치적 학문적 토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Public history can be understood as the divers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outside the university and professional studies of the history. It aims to widen public awareness and accessibility to the past. The academic studies of the history have not only to respond to the social demand and popular need of the history, but also to analyse the new mode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cholarship and the society on the historical discussion. Public history has changed the way history is presented and interpreted. But, the historians have to confront with the risks resulted from the new way of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as commercialism and the loss of academic rigidity. Gemany has got a variety of aspects and developments of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in the public sphere as historical museums and exhibitions, heritage managements, politics on historical justice, political and historical education, popular writing on history and media history, and archive and community history projects. Our analyse and guide of the German public history in this journal can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Korean political and academic discussion on the public representation of history.

      • KCI등재

        공공역사, 게임과 미디어를 만나다 : 연구자와 기업의 협업을 중심으로

        김태현(Kim, Tae-hyun),김재원(Kim, Jae-won)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Since the 1990s, critical public opinion has emerged about “popular history.” The same was true in academia. The “criticism“ of history researchers has also made it difficult for history researchers to inroads into areas where they can make contact to the public. As a result, those called “knowledge retailers” dominate “popular history” by leading various broadcasting and public lectures. The researcher’s position in public history is passive rather than active, such as bystanders, critics, and following the public. So where should the researcher be located? Shouldn’t history researchers be “creators” who can lead the high quality history consumption? Public lectures, introductions through media, active participation and planning of history-related programs, entry into social media and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devices at the government level are also necessary measures. Therefore, researchers also need to consider their activities as producers beyond mediators and critics. Of course, I’m not saying that all researchers should participate. Even if you participate indirectly, you should know the truth to make a proper comment.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hare and check the “historical popularization” and “public history” experienced by each person. The gap between academia and ‘popular history’ is grea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researchers have not been very interested in or only have criticized about the history reproduced in the media and society. It is a step that requires mature consideration of how to connect with researchers to the public sector. Of course, the spread of research results should be continued. Meanwhile, in order for a historian to act as a “creator,” he first needs space to express his own point of view independently. Social media has shown its potential as a representative space. However, the limit of contents produced by a group of researchers only is clear. It would be amateurish to do the entir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of content by themselves, and the quality of content would not be high enough compared efforts. Therefore, collaboration is necessary. This paper focuses on corporations as a target for collaboration. The primary process here is to choose a company that sympathizes with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problem-consciousness. Through this, companies should reproduce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public domain, and researchers should create a structure that intervenes in society through specialized content in the public domain. In other words, rather than being dragged by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rticipate to lead the market and establish researchers’ activities in the public domain. 1990년대 이후부터 ‘대중 역사’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등장했다. 학계에서도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역사연구자들의 ‘비평가’적 대응은 역사연구자가 대중과 접점을 이룰 수 있는 분야에 진출하는 것을 미진하게 만들기도 했다. 그 결과 ‘지식소매상’이라 불리는 이들이 각종 방송과 대중강연을 주도하며 ‘대중 역사’를 장악하고 있다. 공공역사, ‘대중 역사’ 속에서 연구자의 위치는 방관자, 비평가, 대중 추수적 등으로 주체적이기보다는 수동적 위치에 있다. 그렇다면 연구자는 어디에 위치해야하는가. 역사의 질 높은 ‘소비’를 위해 역사연구자가 ‘소비’를 주도할 수 있는 ‘창조자’여야 하지 않을까? 강의실을 벗어나서 대중강연, 미디어를 통한 소개, 역사 관련 프로그램의 적극적 참여와 기획, 소셜미디어 진출, 그리고 정부 차원의 제도적 장치 수립요구 등도 필요한 조치다. 따라서 연구자 또한 중재자, 비평가를 넘어서 생산자로서의 활동까지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물론 모든 연구자가 참여해야 한다는 당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간접적으로 참여한다고 할지라도, 실상을 알아야 제대로 된 비평을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가 경험한 ‘역사 대중화’, ‘공공역사’를 공유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뜻이다. 학계와 ‘대중 역사’의 간극은 크다. 그 이유는 그동안 연구자들이 미디어와 사회에서 재현되는 역사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거나 비평가에만 머물렀기 때문이다. 연구자와 공공영역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서로 연결될 수 있을지 성숙한 고민이 필요한 단계이다. 물론 연구성과의 전파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분야이다. 한편 역사학자가 ‘창조자’로 역할하기 위해서는 우선 독립적으로 자신의 관점을 피력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소셜미디어가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그 가능성을 보여줬다. 다만 연구자집단만으로 제작하는 콘텐츠는 한계가 명확하다. 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 전 과정을 연구자가 직접한다는 것 자체가 아마추어적일 수밖에 없고, 시간 대비 콘텐츠 질도 높다고 할수 없다. 따라서 협업이 필요하다. 본고는 협업의 대상으로 기업을 주목한다. 여기서 연구자의 관점과 문제의식에 공감하는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일차 과정이며, 이를 통해 기업은 공공영역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재생산하고, 연구자는 공공영역에 전문화된 콘텐츠를 통해 사회에 개입하는 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즉 시장에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해 시장을 주도하며, 공공영역에서 연구자의 활동을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별호 : 2017 OOH광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철도역사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철도광고 태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진표(Jinpyo Park) 한국OOH광고학회 2017 OOH광고학연구 Vol.14 No.3

        철도광고에 있어서의 큰 변화는 2004년 4월 최초의 고속철도인 KTX의 개통으로 볼 수 있는데, 그 덕분에 전국이 2시간대로 연결되면서 철도 이용객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주요 철도역을 중심으로 유동인구가 늘면서 역사 내부에 다양한 상업시설이 들어서게 되었고 상업 공간으로서의 철도역사의 중요성도 증대되었다. 이제 철도역사는 단순히 철도서비스를 위한 여객공간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그 역할을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의 랜드마크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철도를 이용하는 전 국민을 위한 공공 공간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공간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철도광고가 집행되는 철도역사는 일반 상업시설의 내부공간보다 공적인 가치가 지배되는 공공 공간으로 여겨진다. 공간의 성격은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기인하여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역사내부 공간은 철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소비자들을 위한 공간이므로 철도서비스가 지닌 공적인 가치가 그 공간을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는지와 관련되어 있으며 공간이 가진 이미지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면 철도역사에서 집행되는 광고는 공공 공간으로 인식 될 가능성이 높은 철도역사와 그 공간이 지닌 여러 가지 특성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공간이 지닌 본질적인 특징인 공공성의 차원, 그리고 상업시설과 광고에 대한 인식, 광고인식과 같은 철도역사라는 공간과 관련한 다양한 원인변수들이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소비자특성과 관련한 변수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철도역사를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접근성, 개방성, 연계성의 측면에서 남성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역사를 공공 공간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는 광고와 상업시설이 설치되는데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철도역사의 공공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소비자는 광고와 상업시설이 설치되는데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도역사에 대한 공공 공간 인식은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공성 인식은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인식 또한 철도광고 매체태도와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철도광고 및 상업시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철도광고 태도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철도광고 매체태도는 철도광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철도역사의 공간적인 특성인 공공성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철도광고가 보다 체계적으로 집행되고 발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big change in train advertisements can be seen as the opening of KTX, the first high-speed railway in April 2004, which led to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railway passengers as the whole country was connected to 2 hours. With the increase of the floating population in the main railway stations,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have entered the st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railway station as a commercial space has also increased. Now, the railway station is expanding its role as a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beyond the passenger space for the railway service. In particular, the railway station serves as a symbol for a public space for all people using the railway as well as the role of a landmark. The railway station where the railroad advertisement is done is often considered to be a public space whose public value is dominant over the interior space of general commercial facilities. The character of the space can be determined by the activities performed in the spac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ublic value of the railway service i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as a public space and that it is reflected in the image of the space since the are inside the station is a space for consumers to use the railway service. In this case, the advertising carried out at the railway station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railway station, which is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public space, 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However, discussions about this have not been done until now. This study has attempted to research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space of the railway station such as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about the railway station, the dimension of publicity, the percep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advertising and their effect on the attitude of railroad advertis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related to consume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omen were more aware of railroad stations as public spaces than men and that they were more positive than men in terms of accessibility, openness, and connectivity. Consumers who perceive the railroad station as a public space have a negative perception that advertising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installed. However, consumers who evaluate the publicity of the railroad station positively have a positive perception that commerc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are installed. Although public awareness of railway stations does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railway advertising attitudes, public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railway advertisement attitudes. Advertising recognition also positively affects railway advertising attitude. The negative perceptions of railroad advertising and commercial facilities negatively affect railway advertising attitudes. And the attitude of the railroad advertisement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railroad advertis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railway advertising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and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to publicness, which is a spatial characteristic of railway stations.

      • KCI등재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쟁점과 대안들

        윤택림 역사문제연구소 2022 역사비평 Vol.- No.139

        Women’s history museums are the contending site in which women, history and museum as a public space are entangled. This paper star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history and museum, and reviews the feminist critics of the problems involved in museum exhibitions which are not likely to represent women’s experience. It also suggests woman’s public history as a new approach to women’s history museums in South Korea. While it reviews the recent process of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movement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two women’s history museums, National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and War& Women’s Human Rights Museum in terms of displaying structure, exhibition narrative and limitions. This examination draws out the important issues concerning constructing a women’s history museum; the limitations of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 by applying periodization of national history, expanding women’s diverse memories and experiences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through oral history, and establishing the collection policy in collaboration with gender history historians. These issues are followed by suggestions for alternative exhibition strategies to make a women’history museum as gender-cognitive space which will be the site for women’s public history. 여성사박물관은 여성, 역사 그리고 박물관이 서로 복합적으로 연류된 공공역사의 장이다. 그렇다면 공공역사와 관련하여 박물관에서 여성사는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공공역사의 장으로서 여성사박물관은 무엇을 지향하고 어떤 내용을 담보해야 하는가. 이 글은 여성 경험을 재현하는 장으로서 박물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한국의 대표적인 두 여성사박물관을 사례로 분석하여 공공역사와 여성사박물관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공공역사와 박물관의 관계를 검토하고 기존의 박물관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을 살펴본다. 또한 여성사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소개한다. 국내 여성사박물관의 사례로서 국립여성사전시관과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을 분석하여 박물관에서 여성 경험 재현과 관련된 쟁점과 대안들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공공역사를 향해 공공역사를 젠더인지적으로 만드는 여성사박물관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