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다문화 사회통합 정책과 관련 법제 연구

        김영란 한국독일사학회 2015 독일연구 Vol.- No.29

        The aim of this study make an analysis of the cultural policies and legislation of Germany and set up desirable situation of multicultural policy and legislation in South Korea. Making an observation of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to the German, the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purpose and content on <Staatsangehörigkeitsgesetz> (2000) and <Zuwanderungsgesetz>(2005), the early stage of the foreign policy of Germany involved strongly an economic character and the late stage of its was to solve the the problem of labor supply and demand. On the purpose of the solutionthe on aging of the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of the German people, German government promised equal rights and social welfare to foreigners as germa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Zuwanderungsgesetz>(2005), it can be said, multicultural policy for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have been started. Nowadays, on the basis of <Staatsangehörigkeitsgesetz> (2000),<Zuwanderungsgesetz>(2005) and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the rights of constituents of german multicultural society is assured.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on the Foreign workers and the women and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been made in terms of 'management' and 'control'. Such multicultural policies are required reflection in direction of the review of their voices, namely, respecting the human rights of members of the Korea multicultural constituents.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상황에 있어서 바람직한 다문화 정책과 법안을 정립하는데 있어 이미 오래 전에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의 다문화 정책과 관련 법안을 분석하는 데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사회통합 정책과 관련 법제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대한 역사적 배경, 2000년 <국적법> 개정의 취지와 내용 및 2005년 <이민법>의 내용을 살펴 볼 때, 독일의 초기 외국인정책이 경제적 성격이 강하게 내포되었다면, 후기에는 국적법 개정과 이민법의 제정을 통하여 인구문제와 노동력 수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일 국민의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의 감소와 노동력의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독일 거주 외국인들에게 독일인들과 동등한 권한과 사회보장을 약속함으로써 2005년 <이민법> 이후 진정한 의미의 소통과 공준을 위한 다문화 사회통합 정책이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독일사회에는 국적법의 개정, 이민법의 제정 및 <유럽인권협약>에 의거하여 다문화 공동체 구성원의 인권이 보장되고 있다. 또 그러한 전제하에 다문화 구성원들은 법에 의한 신분과 노동조건 보장 외에도 그들의 가족까지 최대한 사회보장이 약속되고 내국인과 동등한 혜택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상황은 어떠한가? 외국인 노동자, 국제결혼가정 여성 및 아동들에 대한 지금까지의 ‘관리’ 및 ‘통제’의 차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다문화 관련 정책은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구성원들의 인권이 존중되고 그들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독일유학 한인들의 독일인식

        한해정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2

        이 논문은 1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 시기까지 독일로 유학한 식민지 지식인들의 독일인식을 분석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독일인식은 유학생들이한국에 보낸 글과 귀국 후 회고, 설문 등이 실린 잡지 및 일간지를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일제강점기 독일로의 유학은 의외로 일본과 독일관계가 좋지 않았던 바이마르공화국 시기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독일은 유학생들에게 매력적인 곳이었다. 독일은 저렴한 비용으로 유학할 수 있었던곳이자 배일감정을 공유한 곳이었고, 사회주의 운동을 비롯해 정치활동의실험장이었다. 이곳에서 유학생들은 전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위기를 이겨내는 독일인의 국민성을 보았고, 공화국을 지키려는 청년들의 기개를 느낄수 있었다. 이러한 독일의 국민성에 대해 유학생들은 조국의 재기를 위해본받아야할 것으로 한국에 소개했다. 국민성은 나치 시기에도 독일유학 지식인들 사이에서 높이 평가받았던 요소였다. 차이가 있다면, 바이마르공화국에서 국민성은 전후 위기의 독일을 재기시킬 수 있던 힘인 반면, 나치 시기에는 히틀러와 나치로 대변되어 전쟁을 이끄는 힘이 되었다. 일독관계가동맹체제로 바뀌고 2차 세계대전이 전개되면서 독일의 이미지는 그에 따라전이되어 식민지에서 소개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bout German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Koreans educated in the Republic and Nazi Germany. The analysis-sources are magazines and newspapers, to which Koreans studying in Germany contributed and after their return Korea did. After the first World War, the German-Japanese relationship went to worse. And the Weimar Republic had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But some Korean students went to Germany. The Weimar Republic was attractive to them. The cost of living was lower than other countries. German people had anti-Japanese feeling. And Germany was the testing ground for political systems and ideologies. There, the Korean students were impressed by the German national character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They informed the colonized homeland of the German national character which was worth to learn for the Korean Independence. The national character under the Nazi also was praised by the Koreans educated in Germany. In the Weimar Republic, the German national character was introduced as a power to overcome the post-war crisis, while in the Nazi regime, that was introduced as a power to go for a victory of war. The image of Germany in colonial Korea has been changed in the line with the German-Japanese new alliance-system.

      • 한국 개신교 교회의 인권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서독 개신교의 지원과 영향

        한운석 한국독일사학회 2014 한국독일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10

        한국 민주화운동, 노동운동과 도시빈민운동 그리고 도시 빈민운동 등 기층민중의 생존권운동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나와 있지만, 이러한 운동들에서의 개신교와 가톨릭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별로 없다. 더욱이 외국 교회가 어떻게 지원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부재. 김흥수가 10여년 전부터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WCC의 문서들을 수집하였으며 7년 전에 한국민주화기독자동지회에 대해서 논문을 발표한 것이 유일한 연구였다.1) 최근에야 손승호가 박사논문의 일부에서 에큐메니칼 연대에 대해 다루었다.2)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가 펴낸 1970년대 한국민주화운동사 등 여러 민주화운동사 관련서적들에서 WCC나 미국, 독일,영국, 네델란드, 스웨덴과 호주 그리고 일본의 교회가 한국의 인권과 민주화운동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에 대해서 언급하기는 하지만 lip service를 크게 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한독 교회협력 관계에 관한 문서들이나 에큐메니칼 협력의 양측 핵심 인물들과의 인터뷰는 외국의 도덕적 지원과 한국 정부에 대한 국제적 정치적 압력 행사 그리고 다양한 사업들에 대한 재정적 지원이 얼마나 큰 힘이 되었는지를 분명히 알려준다. 따라서 이에 대한 면밀한 연구와 재평가는 민주화운동사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한국 경제가 급성장하고 OECD 국가의 반열에 들면서 한국도 선진국들의 지구촌 빈곤지역들에 대한 개발지원에 점점 더 많은 참여를 요청받고 있다. 한국 교회는 세계 도처에 20,000명도 넘는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는 가운에 해외 선교와 에큐메니컬 협력의 실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여기에 1970년대와 80년대 WCC와 독일교회의 한국교회와의 에큐메니칼 협력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헝가리 백과사전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서술 : 1833-1930

        김지영(Kim Jiyoung) 한국독일사학회 2021 독일연구 Vol.- No.47

        한국과 헝가리는 189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한국(Korea)이 정식 외교 관계를 수립한 이래로 120여 년의 교류 역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한국은 외교관계를 수립하기는 했지만, 교류가 활발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헝가리는 한국과 수교 이전에도 아시아에 대한관심을 통하여 한국에 대한 지식을 쌓아 나갔다. 특히 백과사전류의 발간을통해 한국에 대한 지식을 확산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833년부터 1930년대초반까지 헝가리에서 발간된 백과사전을 분석하여 헝가리가 한국에 대해가지고 있던 지식과 이미지를 분석해 보았다. 당시 헝가리인이 한국에 대해알고 있는 지식은 매우 소략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 대한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담긴 백과사전의 발간은 헝가리인에게 한국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고 인식의 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이러한 백과사전의 발간은 한국에 대한 지식이 전파되는 창구의 역할을 했음은 분명하다. 이 글에서는 헝가리의 백과사전인 ‘공익지식의 보고’ , ‘일반 헝가리 백과사전’ , ‘영토와 민족들’ , ‘아테나움 (휴대용)소백과사전’ , ‘팔러시 대백과사전’, ‘리버이 대백과사전’, ‘톨너이 신세계 대백과사전’을 분석하여 헝가리인이 한국과 한국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그들의 한국에 대한 지식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Relations between Korea and Hungary go back some 120 years to when they were first formally established diplomatically in 1892 between Joseon and the Austro-Hungarian Monarchy.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did not immediately result in active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The Austro-Hungarian Monarchy, and scholars and tourists with great interest in Asia travelled to Joseon, and left records of the knowledge of the country that they had otherwise acquired. These records allow us to determine what the Austro-Hungarian Monarchy’s people thought of Korea.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en encyclopedias. Hungarians would have had a very vague understanding of Korea. Hence, encyclopedias were a vital source of information, and would have helped to broaden the frontier of potential knowledge. The following are analyzed herein: Közhasznú Esmeretek Tára(1833), Egyetemes Magyar Encyclopaedia(1872), A Föld és népei(1892), Pallas Nagy Lexikona(1895), Révai Nagy Lexikona(1915), Tolnai Új Világ Lexikona(1927), Katolikus Lexikon(1932), Új Lexikon (1936), Új Idők Lexikona(1939).

      • KCI등재

        역사적 상상력으로 접근하는 독일의 역사와 문화 : 「오르페우스의 창」 콘텐츠를 중심으로

        최선아(Sun Ah, Choi) 한국독일사학회 2021 독일연구 Vol.- No.47

        역사 교육 분야는 수업시수 부족과 입시위주 교육 등 여러 교육 환경의한계 및 학습지도 방법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학습자와 대중에게 역사적 상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오르페우스의 창」은 그리스․로마 신화의 ‘오르페우스오 에우리디케’ 신화를 가톨릭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 독일 레겐스부르크를 배경으로 창작되었다. 「오르페우스의 창」은 그리스․로마 신화의‘오르페우스’ 신화 코드를 접목하여 독일 제국 시기부터 1차 세계대전 시기를 배경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오르페우스의 창」저자는 「베르사이유의장미」라는 작품을 통해 일본과 한국 및 세계에 프랑스 혁명을 널리 알린바 있고, 또한 「오르페우스의 창」을 통해 많은 독자들에게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오르페우스의창」은 주인공 율리우스가 독일 민족의 신화 『니벨룽겐의 노래』, 비스마르크의 정책, 드레퓌스 사건의 여파, 독일 시민계급과 사회문제, 독일의 산업화와 계급, 독일의 음악과 시민사회 등 1차 대전 전․후로 겪게 되는 독일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역사적 추체험에 대해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전개를 진행하고 있다. 오늘날 역사를 탐구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고, 대중에게 소통되고 있는 만화를 포함한 역사․문화콘텐츠는 역사학자의 검증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역사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고 있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주로 다룬 시대배경은 「오르페우스의 창」전반부로 독일-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한1차대전 전․후의 유럽 사회의 역사 전개상황이다.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of the educaional enviroment, such as lack of number of clsses and admission-oriented education, and various methods ot teachinh. The Window of Orpheus strongly influences the Greek and Roman mythologly’s ‘Orpheuso Eurydice’ myth. Various ways to explore history are being sought today, including cartoons communicating with the pubic. cartoon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history and cul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and mass media. When using cartoons in history education, first of all, history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artoons.

      • KCI등재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

        김필영(Kim Phil young)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8

        20세기 초 제국주의가 고도로 발전했던 시기에 독일 선교 베네딕트회 오틸리엔 연합회 총아빠스 노르베르트 베버(Norbert Weber, 1870-1956)는 선교회를 지도하면서 직접 선교지역을 여행할 기회를 가졌다. 본 연구는 그의 ‘동아프리카’와 ‘한국’ 인식을 비교하면서 그가 두 문화적 ‘타자’를 바라보며 보유했던 ‘하나의 시선’을 식민주의와 선교 그리고 문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베버에게 독일 식민지 동아프리카의 비문명화된 ‘원시민족’ 흑인과 일본식민지 한국의 문명화된 ‘문화민족’ 한국인이 ‘기독교화’, ‘독일화’를 포함한 ‘유럽화’ 되어야 하는 ‘문화 활동’의 대상이라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비유럽 비기독교지역이 ‘유럽화’, ‘기독교화’ 되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세상의 모든 민족에게 ‘기독교 복음’을 전하라는 예수의 ‘선교명령’ 때문이었다. 또한 오틸리엔 연합회의 설립과 선교활동의 시작 계기가 1880년대 독일제국의 ‘보호령’ 획득이었고, 독일 제국에서 ‘민족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독일인 취급을 받았던 독일 가톨릭교도들이 교회와 조국에 대한 이중의 충성심을 증명하고자 해외선교에 대한 열정이 강했었다는 점으로 볼 때, 독일민족주의와 제국주의라는 시대정신 역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베버에게 선교활동의 목표는 ‘신과 조국’을 위한 것이었다. 오틸리엔 연합회가 선교방침으로 ‘타문화 존중’을 내세웠지만, 문명화 사명이 타문화가 자문화와 같아져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베버의 독일 조국을 위한 민족적 열정이 컸던 것으로 보아, ‘타문화 존중’ 태도가 과대평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Archabbot Norbert Weber(1870-1956) of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in Germany have had several chances to travel Eastafrica and Korea as mission area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age of imperialism’.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he had one view of the two cultural ‘others’, Eastafrica and Korea, in relation to colonialism, mission and ‘Kulturarbeit’, while it compares his perceptions of the two. Weber regarded Eastafrica and Korea as the mission objects by the Benedictines without differences which had to be ‘Christianized’ and ‘Westernized’, although he considered the black Eastafrican as uncivilized ‘Naturvölker’ and the Korean as civilized ‘Kulturvolk’. He justified this mission with the command of Jesus Christ to evangelize all nations of the world and with a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of Europe to the non-european cultures. And he had been influenced strong by the German nationalism which had induced the beginning of the Mission Benedictine of St. Ottilien and inspired the German Catholics who had been mistrusted as unpatriotic Germans because of their loyalty to the Pope their national patriotism. For Weber the mission, ‘Kulturarbeit’ aboard, meant his devotion to ‘God and Fatherland’.

      • KCI등재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5

        The world of today was integrated into one living zone beyond the dimension of a mutual exchange simply among countries, thereby having become the era that any race or nation cannot survive independently. Therefore, to proceed with liv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attitude and the ability of trying to understand about diverse cultures and values, which exist in the world, are essentially demanded and were magnified as the necessary quality. Learning the world history makes us available for rightly understanding history and culture in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nd for broadening the width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ense through thi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history textbook so far. But there are many cases of being limited mostly to national history textbook. The elements other than history textbook are having great influence upon form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For example, above all, even a question about how much one country and society are giving importance and putting value in history education may be much varied every country. It is also what can be called a level of 'memory culture' in one country or society on the whole. Accordingly,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harmoniously from the position of world history with escaping from a nationalistic sight, the education of world history is needed. There will be a need to be carried out history education that understands both distinctiveness in national history and the generality in universal history. By the way, a matter is that it is not so in the reality of world-history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 검정교과서인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는 국가가 정한 교육과정 세계사교과 내용체제와 준거안에 의거해 단원이 구성되었다. 세계사 교과서의 과제 중 하나는 서구 중심주의를 극복해야 하는 것이고, 서양사 서술의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교육과정은 사회의 변화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고, 세계사 교육은 비중이 약화되었으나, 글로벌 시대에 세계사 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세계사 교육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주요 개념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에게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국가 및 지역 사이의 인적. 물적 교류가 역사상 그 유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활발해져, 지구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되는 이른바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사’는대한민국의 청소년을 국가 또는 세계의 균형 잡힌 구성원으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과목이다. 그것은 현재의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동인에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 속에서 대한민국과 동아시아가 처한 현실을 냉철하게 이해하게 할뿐 아니라, 나아가 통합이 가속화되는 인류 전체의 평화공존에 필요한 가치를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세계사 교과서 중 천재교육, 금성출판사, 비상교육 3종을 비교 분석에서, 2009년 개정교육과정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에 나타난 독일의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독일은 양차대전을 일으킨 국가이고 냉전과 데탕트의 시기를 거쳐 통일을 이루었다. 남북한이 분단되어 있는 한국에서 통일을 논의하는 입장에서, 독일의 역사는 중요하게 평가받는 부분이다. 따라서세계사교과서에 서술되어 있는 독일 현대사는 통일을 대비하고 통일 전후역사교육을 대비하는 한국의 교육계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일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세계사 교육과정에서 독일사의 효용가치를 ‘통일과 분단’ 같은 한국사와의 연계성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에 더하여 오늘날 공교육과 교과교육 등 공히 민주시민으로서의 가치인 ‘인권’, ‘평화’에 대한 감수성을 아우슈비츠나 전쟁 일반의 비극을 포함한 독일 현대사를 통해 어떻게 함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독일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의 분단상황을 어떻게 연구하는지에대한 비교 분석 및 공동 연구와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독교 복음은 ‘노동의 복음’? 독일령 동아프리카 원주민에 대한 독일 선교사들의 ‘노동으로의 교육’과 ‘노동을 통한 교육’ (1885-1914)

        김필영(Phil-Young Kim)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4

        식민지에서 ‘원주민의 노동으로의 교육’과 관련하여 식민주의자들과 일정 부분 목표를 공유했던 기독교 선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들이 원주민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기독교의 복음’이 ‘노동의 복음’이었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의미에서 그렇다고 할 수 있는 지를 독일령 동아프리카에서 활동했던 독일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했다. ‘원주민의 노동으로의 교육’과 관련해서 신속한 시간 안에 경제적인 이익을 내고자 했던 식민주의자들과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주민의 내면 변화를 통한 교육을 추구했던 선교사들은 상이한 방법을 옹호했다. 식민주의자들이 식민정부의 권위에 기대어 노동의 의무와 같은 ‘직접적인’ 강제노동을 주장했던 데 대해서, 선교사들은 대체로 ‘직접적인’ 강제노동에 반대하고 세금과 같은 ‘간접적인’ 강제노동을 옹호했다. 하지만 선교사들 중 소수는 식민주의자와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선교사들이 원주민의 내면 변화를 통한 노동교육에 사용한 방법은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였다. 선교사들 자신들이 ‘기도와 노동’하는 삶을 본보기로 보였고, 선교학교는 지적 교육과 노동교육을 병행함으로써 ‘노동학교’ 역할을 했다. 이때 식민정책 관련자들은 특히 가톨릭 선교회의 활동을 ‘labora et ora’로 이해하면서 칭찬했으며, 개신교 선교회의 활동 ‘ora et labora’를 비난하는 근거로 사용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양 교파 모두 선교활동에서 ‘labora et ora’를 실천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독일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사들이 선교활동에서 원주민의 ‘노동으로의 교육’을 통해서 추구한 목표는 식민주의자와 차이가 있었다. 이들의 최종 목표는 원주민의 ‘문명화’라기보다는 ‘기독교화’였다. 이때 원주민의 경제적 자립이 중요했는데, 이것은 원주민이 선교회와 본국 독일제국을 위해 경제적 자립을 해야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아프리카 원주민 자신들을 위해서 경제적 자립을 주장했다. 원주민의 경제적 자립 없이는 아프리카에서 장기적인 기독교 선교의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독일령 동아프리카에서 활동했던 독일 가톨릭과 개신교 선교회가 ‘원주민의 노동으로의 교육’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한 궁극적인 목표가 유사했던데 대해서, 그 과정에 대해서는 조금 달랐다. 가톨릭 선교회가 노동으로의 교육을 아프리카인을 보다 높은 문화 수준으로 교육시키는 수단으로 간주한데 대해서, 개신교 선교회는 도덕을 향상시키는 이교도 선교의 결과가 노동으로의 교육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독일령 동아프리카에서 활동한 독일 양 교파 선교사들이 전하고자한 ‘기독교의 복음’은, 식민주의자가 선교회에 요구한 그들의 ‘노동의 복음’과는 일정 부분 달랐지만, 역시 ‘노동의 복음’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선교사들의 ‘노동의 복음’의 핵심은 기독교의 ‘노동윤리’에서 나온 것으로서, 원주민의 기독교로의 개종과 기독교인으로서의 자립경제를 목표로 제시했다. 그들의 ‘노동의 복음’은 가톨릭 선교회의 경우에는 ‘모든 사람의 의무’와, 개신교 선교회의 경우에는 온 인류의 ‘직업’ 혹은 ‘소명’과 연결되어 설명되었다. This study wants to investigate that it was ‘a evangel of labor’ for German Catholic and Protestant missionaries to preach to the natives of Africa while they evangelized them in German East Africa from 1885 to 1914. If so, in what sense can it be said so? When it comes to educating the natives of East Africa to labor, the colonialists and the missionaries used different methods. While the former advocated a direct forced labor like a compulsory labor duty, the latter an indirect like charging taxes on the Africans. But there were a few missionaries who spoke with one voice on this subject with the colonialists. In general, the German Catholic and Protestant missionaries used ‘pray and labor (ora et labora)’ to educate them to labor in their missionary stations. But their education strategies of both were estimated as ‘labor and pray (labora et ora)’ by historians. As far as the goals of educating the African natives to labor concerned, they tried to achieve different ends. The colonialists aimed at civilizing the Africans in order to obtain economic profit from them. For the German missionaries was their Christianization most important. On the whole they pursued their economic independence for their own missionary societies and their homeland, German Empire. But first of all for the natives in East Africa themselves. Because they thought that it could not promise a success of a longtime mission without their economic self-supporting. The gospel which the German Catholic and Protestant missionaries preached to the natives of German East Africa was a gospel of labor also. But i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lonialists. The essence of their gospel of labor came from the Christian labor ethics and aimed at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natives as Christians.

      • KCI등재

        세기전환기 독일사회의 모성담론과 직업관의 변화 연구

        최선아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1

        In Germany at the turn of century, the mental․moral regulations on women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Europe including Germany at that time, a social change rapidly took place owing to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such as steep population movement. This brought about a change in both male life and female life. A woman's role within home or social standing suffered a change. As a woman began to advance to office job, a man accepted a woman as the image called 'new rival' in the labor world. The conservative bourgeoisie in Germany regarded what a woman asks for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family and marital relationship as the collapse in a balance of German society. ‘Workplace’ and ‘home’ were separated within home of citizen class in German society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A woman began to be emphasized maternal instinct that is formed the emotional ties with children while devoting herself to child-rearing. In German society, a woman needed to be responsible for giving birth to a child and then bringing up or for taking care of family. Even after having been progressed industrialization, a woman's role was still limited to private realm and was excluded from private space or political activity, which can be said to be a man's sphere. In the meantime, a woman has been continuously discriminated by political power and has been imprinted as the image in a man's subordinate or sacrificer or passive existence. In the wake of the women's rights movement, which was begun in Western Europe and America with reaching the 20th century, a woman's polit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in German society also came to be more active.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in the period of the Weimar Republic following the World War I, allowed women in German society to b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more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Especially, when even birthrate dropped as rapidly as what casualties grew along with the World War I, a constant fall in birthrate caused a sensation of fear in German society.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the confusion of moral value criterion, the absence of maternal love, a decline in familial concept were regarded as a cause for a drop in birthrate. (Seowon University) 세기 전환기 독일에서는 여성에 대한 정신적․도덕적 규정이 빈번히 거론되었다. 당시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산업화, 도시화, 급격한 인구 이동 등 근대화로 인한 사회 변화가 급격히 일어났고 이것은 남성의 삶과 여성의 삶에 모두 변화를 가져왔다. 여성의 가정 내 역할이나 사회적 지위는 변동을 겪었고, 남성은 여성이 사무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자 노동세계에서 여성을 ‘새로운 경쟁자’라는 이미지로 받아들였다. 독일의 보수적인 시민계급은 여성이 가정과 부부관계에서 자율성과 독립을 요구하는 것을 독일 사회의 균형이 붕괴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산업화와 함께 독일 사회 시민계급의 가정 내에서 ‘일터’와 ‘가정’은 분리되었고 여성은 자녀 양육에 전념하며 자녀와 감정적인 유대를 형성하는 모성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독일 사회에서 여성은 아이를 낳아 양육하는 문제나 가족을 돌보는 일에 책임을 져야했고, 산업화가 진행된 이후에도 여성의 역할은 여전히 사적 영역에 한정되었으며, 남성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공적 영역이나 정치활동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면서 여성은 줄곧 정치권력에 의해 차별받고, 남성의 종속자나 희생자, 또는 수동적인 존재의 이미지로 각인되어왔다. 20세기에 이르러 서유럽과 미국에서 시작된 여권신장운동의 결과, 독일 사회에서 여성의 정치활동 및 사회 활동도 더욱 활발해지게 되었다. 1차대전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전개된 여성해방운동으로 독일 사회에서 여성들은 보다 다양한 정치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다. 특히 1차 대전과 더불어 사상자가 늘어나는 것에 못지않게 출산율도 급격하게 하락하자, 계속된 출산율 하락은 독일사회에 공포감을 불러일으켰고, 여권(女權) 신장, 도덕적 가치기준의 혼란과 모성애의 부재(不在), 가족 개념의 쇠퇴 등이 출산율 하락의 원인으로 간주되었다.

      • KCI등재

        유럽 난민 문제와 독일 극우주의의 부활

        김춘식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3

        This article points at the need for taking lessons from the past in the face of the current European migrant crisis arisen since 2015, thereby reminding of the rise of Rechtsextremismus (right-wing extremism) caused by the European migrant problem in the 1990s. European society considers the current European migrant problem as similar to the collapse of the Roman empire, as it was destroyed by an inflow of immigrants. Since the number of refugees coming to Europe increased, there have been various armed attacks against randomly chosen targets and terrorist assaults such as the Paris attack of November 2015, the 2016 Brussels bombing, the 2016 Niece lorry attack, etc. Many people believe there is no safe place left in Europe. The European migrant problem was the direct motivation for the British people to vote for the so-called Brexit, the United Kingdom's withdrawal from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become a huge obstacle to the future of the European Union. However, the biggest problem is a complicated phobia about terror prevailing in European society, and this atmosphere is a strong driving force behind the rise of Rechtsextremismus. In Germany, which has been tolerated by the refugees so far, the refugees' mood has changed rapidly and it is a dangerous situation that might change from "fear of terrorism” to the “intolerance of xenophobes and opponents of Islam". Historically, however, Germany experienced a situation in which the social horrors of National Socialism had entered another disaster: After the German reunification in the 1990s, when the number of refugees and foreigners grew, the force of the extreme right in German society increased, and many foreigners and refugees were killed by their violent acts. This historical experience suggests that in Germany a similar environment has just been created to bring German society into an unhappy period as seen in the past. Despite the different circumstances, anti-refugee, anti-Islam and anti-foreigner sentiment as observed in the 1990s can be revived in a new form. And the ghost of right-wing extremism will lead German society back into disaster. Germany has overthrown the ghost of the past with a firm conviction of "human rights and peace" and bears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not to repeat its misfortune and grief. 이 논문은 2015년 이래 발생한 유럽 난민 문제의 현황과 1990년대에 난민문제가 야기한 극우주의의 경향을 통해 역사적 교훈을 환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사회에서는 현재의 상황이 과거 다수의 이민자 유입과 이로 인한 내부 분열로 멸망했던 로마제국 말기와 유사하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향후 난민문제에 대한 해법을 찾지 못할 경우 유럽연합 또한 내부 균열로 통합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종말을 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서유럽으로의 대량난민 유입과 더불어 일어난 2015년 11월 파리테러, 2016년 3월 브뤼셀 테러, 2016년 7월 니스테러 등과 총기 난사 사건들로 인해 이제 유럽 지역의 그 어느 곳도 이제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인식이 팽배하다. 유럽의 난민문제는 2016년 6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했던 국민투표인 소위 브렉시트(Brexit)의 가장 직접적인 동기였으며, 나아가 향후 통합된 유럽의 미래에 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더 큰 문제는 유럽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테러에 대한 복합적인 공포(Phobia)이며, 이러한 분위기는 유럽 내 각국의 극우주의의(Rechtsextremismus)의 세력 확장에 가장 강력한 명분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그 동안 난민수용에 그나마 가장 관대했던 독일에서 또한 난민정서에 급격한 변화가 일고 있으며, ‘테러에 대한 공포에서 반난민, 반이슬람이라는 배타적 혐오’로 전이되고 있는 위험한 형국이다. 그런데 역사 상 독일은 나치시기에 이러한 사회적 공포가 또 다른 파국으로 전이된 상황을 경험했다. 독일의 재통일(Reunification) 이후 1990년대에 난민과 외국인 이민자 수가 증가하자 독일에서는 극우주의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고, 이들의 폭력행위로 다수의 외국인들과 난민들이 희생되었다. 독일에서는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면 독일 사회를 과거 불행했던 시기로 돌리려는 시도가 감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상이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과거 1990년대와 같은 반난민, 반이슬람, 반외국인 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극우주의의 망령이 다시 부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망령은 독일 사회를 또 다시 파국으로 전이시킬 것이다. 독일은 과거에서 온 망령을 “인권과 평화”라는 확고한 신념으로 극복하고, 동일한 불행을 반복하지 않아야 할 역사적 책임을 짊어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