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론 ― 고마쓰가와 사건과 1960-70년대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3

        Since Shōhei Ōoka's Jiken was published in 1961, it is obvious that Jiken was influenced by the Komatsugawa incident. The fact that Jiken described boy’s murder as an ordinary juveniles crime story instead of the Komatsugawa incident is an evidence of anti-reaction to the social awareness interpreting Komatsugawa incident only as a national matter. In the current thesis, I tri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juvenile crime in 1960s and the trial described in Jiken for examining the problems that Ōoka wanted to point out.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Jiken in 1970s, I endeavored to figure out the issue of juvenile crimes and executions that were formed in Japanese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To comment, Ōoka sought a real and ideal solution through Jiken by describing a juvenile crime without considering any political and ideological issues. He urged understanding of the juvenile delinquency at that time, and pointed out inconsistencies in the outcome of the trial in reality. He also tried to explain the juvenile trial realistically and critically through mystery-suspense plots to excite the reader's interest. After reading Jiken with these points of view, Jiken can be regarded as a novel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as well as Komatsugawa inciden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rial matters only. Thus, Jiken can be considered as Ōoka’s social accusations and comments on wrong rulings, such as juvenile executions, and as a work that revealed the problem of a boy in death row in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은 집필 시기가 1961년이라는 점에서 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년의 살인을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평범한 이야기로 풀어낸 점은 고마쓰가와 사건을 민족적 틀에서만 해석하려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본고는 『사건』에서 묘사한 소년범죄와 재판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여 오오카가 소설을 통하여 지적하고자 한 현실의 문제점과 그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1977년 단행본으로 출판된 이후의 수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960년대와 1970년대 일본사회에 형성된 소년범죄와 사형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 결과, 오오카는 『사건』에서 정치적, 사상적의 문제 보다는 소년범죄에 초점을 두고 당시 횡행하고 있는 소년범죄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현실의 재판 결과에 대한 모순을 지적하여 오오카가 추구한 이상적 결말을 제시하며 문학을 통한 진정한 해결을 도모하였다. 또한, 소년의 살인을 다루는 재판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설명하면서도 추리적 요소를 통해 재판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양상을 갖추며 독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켰다. 『사건』을 이와 같은 오오카의 시도로 다시 읽을 때 재판소설로 읽던 기존의 관점에서 나아가 소년범죄 문제와 고마쓰가와 사건의 소년사형과 같은 잘못된 판결에 대한 오오카의 사회 고발과 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1960-70년대 일본의 소년 사형수의 사건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석범 문학이 재현하는 사건의 교차성

        조수일 ( CHO Suil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0 No.-

        본 논문은 제주 4ㆍ3 사건,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고마쓰가와(小松川) 사건을 재현하는 김석범 문학의 양상을 고찰하고, 김석범 문학 읽기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문학적 지표를 범박하게 제시하였다. 첫째, 김석범 문학에 있어 ‘사건’이란, 죽은 자의 목소리와 산 자의 목소리를 교차시키는 것이다. 김석범 문학은 주체가 되어 불가시화/불가청화된 존재의 목소리를 가시화/가청화함으로써 상상과 사유의 가능성, 새로운 역사의 연속성을 연다. 둘째, 김석범 문학에 있어 ‘사건’이란, 사건과 사건을 교차시키는 것이다. 김석범 문학은 한 사건에 대해 시공간을 달리하는 사건과 ‘겹쳐보기’를 하며 역사의 반복성을 확인하고, 또 동시에 자기 성찰과 그 언어화를 통해 과거 청산을 촉구한다. 셋째, 김석범 문학에 있어 ‘사건’이란, 개별성과 보편성을 교차시키는 것이다. 김석범 문학은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건을 문학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들여다보기’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개별적이고 특수한 것에서 전체와 보편을 지향하고, 또 개별적이고 특수한 것으로 회귀하여 사유하는 것이 바로 문학이 갖는 순환의 힘이 아닐까 생각한다. This paper considers the aspects of Kim Sokpom’s works that reproduce the Jeju 4ㆍ3 Incident,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Komatsugawa Incident, and presented literary indicators that can be derived through Kim Sokpom’s works reading. First, in Kim Sokpom’s works, the ‘incident’ is to cross the voices of the dead with the voices of the living. Kim Sokpom’s works opens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reason, and continuity of new history by becoming the subject and visualizing/audible voices of beings. Second, in Kim Sokpom’s works, ‘incident’ is the intersection of incident and incident. Kim Sokpom’s works calls for the liquidation of the past through self-reflection and linguization by “overlapping” with events that vary time and space. Third, in Kim Sokpom’s works, ‘incident’ is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Kim Sokpom’s works proposes various possibilities of “look-in” by reproducing individual and special events, and I think it is the power of circulation in literature to aim for the whole and universal from individual and special.

      • KCI등재

        재일조선인 혐오의 계보와 인권운동 -고마쓰가와 사건, 김희로 사건, 히타치 투쟁을 중심으로-

        이영호 ( Lee Young-ho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4 No.-

        본고는 일본에서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발생한 혐오 사건의 계보를 정리하고 고마쓰가와 사건, 김희로 사건, 히타치투쟁을 통해 재일조선인 인권운동의 의미와 역할을 규명한다.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학살부터 최근의 헤이트스피치까지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혐오사건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일조선인들은 인권운동을 전개하며 혐오에 대한 투쟁을 가시화한다. 1958년 이진우의 고마쓰가와 사건, 1968년 김희로 사건, 1970년 박종석의 히타치투쟁 등은 일본사회에 재일조선인의 존재를 알리는 사건이었다.인권운동 발생 이후의 전개를 살펴봄으로써 일본 언론의 조선인에 대한 부정적 표상의 확산, 공권력의 비상식적인 절차 수행과정, 일본사회 기저에 내재된 재일조선인을 향한 혐오감정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재일조선인 인권운동은 일본의 혐오와 배타적 내셔널리즘을 공론화하며 일본 시민사회 및 국제사회와 연대한다. 이와 같은 재일조선인의 활동은 공생사회 일본을 향한 행보이자 혐오와 배타적 내셔널리즘의 안티테제로서 재일조선인의 역할을 증명하는 것이다. This thesis organizes the lineage of hatred incidents targeting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also examines the meanings and roles of human rights movement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Komatsugawa incident, Kim Hee-Ro incident, and Hitachi fight.From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to the recent hate-speech, the hatred incidents targeting Korean residents in Japan have been continued. Under this situation,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visualize their fight against hatred by developing human rights movement. The incidents like Lee Jin-Woo’s Komatsugawa incident in 1958, Kim Hee-Ro incident in 1968, and Park Jong-Seok’s Hitachi fight in 1970 informed the existenc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Japanese society.By examining the development after the human rights movement,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verify the spread of negative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Japanese media, irrational procedural performance process of governmental authority, and hatred against Korean residents in Japan, inherent in the basis of Japanese society.The human rights movement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brings up the hatred and exclusive nationalism of Japan to the public sphere, and also builds up the solidarity with Japanese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society. Such activiti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re not only the movement towards Japanese symbiotic society, but also proving the role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n antithesis of hatred and exclusive nationalism.

      • KCI등재

        오시마 나기사와 재일조선인 그리고 국민국가

        채경훈(Che, Kyeong-Hu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5

        오시마 나기사는 재일조선인이 자신의 영화 작업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가 있다. 1992년 재일조선인 전후보상을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에서는 재일조선인이 일본인의 추한 모습을 드러내는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말하며 일본인들은 그러한 거울을 통해 자신들의 추악함을 반성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시마에게 재일조선인이 어떠한 존재였으며 무엇을 보려했는지를 〈교사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재일조선인이 주인공이라는 점도 있지만 전후 일본사회에서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 중 하나이자 재일조선인 범죄로 대표적인 사건인 ‘고마쓰가와 사건’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사회에서의 재일조선인 문제가 새롭게 조명되고 일본의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범인인 이진우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들었다. 〈교사형〉 또한 이들 작품 중 하나로, 이진우를 모델로 한 주인공 R을 통해 국가와 국민 그리고 재일조선인 간의 관계를 파헤치며 국민국가 안에서 벌어지는 타자에 대한 폭력의 정체를 폭로한다. 〈교사형〉은 일본사회의 피해자이자 일본인 여성 2명을 살해한 가해자라는 이율배반적인 상황 속에서 ‘조선인-사형수’로서의 실제의 자신에 도달하는 주인공에 초점을 맞추며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이를 통해 오시마는 국민국가의 비실체성을 폭로하고 구성원들이 국가나 민족을 상상하기 위해 타자의 희생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고발한다. 그리고 오시마는 관객에게 세상과 타자를 ‘직접’ 체험하기를 요구하면서 타자를 상상의 대상으로부터 경험의 대상으로 옮겨온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시마에게 재일조선인은 보다 나은 일본국과 일본국민이 되기 위한 반성의 도구가 아닌 실재를 담지하고 있는 거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재일조선인이 있는 공간이 실제 세계이며 일본인이 있는 공간이 가상으로, 허구의 국가가 부여한 실체 없는 대상에 대한 책임이 아닌 실체 있는 대상, 재일조선인들과 같은 타자들에 대해 책임이 요구되는 것이다. Oshima Nagisa has repeatedly stated that ‘Zainichi Koreans (Koreans in Japan)’ hold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film works. In 1992, at a mass rally demanding postwar compensation for Zainichi Koreans, he said that they are like mirrors that reveal the ugliness of the Japanese and Japanese should know how ugly they are through such mirrors. In this context, I examine the meaning of Zainichi Koreans for Oshima Nagisa through his film, Death by Hanging (1968). This film has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based on the Komatsukawa Incident, which is a representative case of Zainichi Korean crimes and also one of the major events in postwar Japanese society. This incident led to the emergence of Zainichi Korean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poverty, etc. in Japanese society and many Japanese artists inspired by Lee Jin-woo, who was the criminal of the unprecedented incident, created their works for him. Death by Hanging, as also one of those works,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the nation, and Zainichi Koreans through the protagonist R, modeled on Lee Jin-woo, and reveals the violence against the others in the nation-state. This film goes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ism by focusing on R who achieve authentic existence as a ‘Chosenjin - death row convict’ in the controversial situation of the perpetrator, who murdered two Japanese women, and the victim of Japanese society. In this way, Oshima exposes the non-reality of the nation-state, and criticizes the nation in need of sacrifice of the others to imagine their own state. Oshima, thus, demands Japanese to experience the world and the others ‘directly’ like R, who is facing the reality, and moves the other from the object of imagination to the object of experience.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Zainichi Koreans are mirrors bearing the existence of reality rather than as a tool of reflection to become better Japan and Japanese. In other words, the space in which Zainichi Koreans are situated is actual and the space where the Japanese are situated is non-actual.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is not for the substanceless objects such as the nation-state, but for the others who really exist as victims of Japan.

      • KCI등재
      • KCI등재

        ‘고마쓰가와 사건’의 감옥 글쓰기와 재일조선인의 ‘이름’을 둘러싼 자기 기획: 『죄와 죽음과 사랑(罪と死と愛と)』(1963), 『이진우 전서간집』(1979)을 중심으로

        조은애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9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exchanged correspondence between Yi Jin-woo, a Zainichi Korean death row inmate known as the culprit of the Komatsugawa Incident, and journalist Park Soo-nam as a case of “prison writing.” It aims to shed light on the scripts of self-designing regarding the life/death of Zainichi Korean individuals. Particularly, attention is drawn to the divergent reasoning of the two Zainichi Korean individuals, who can be considered as co-authors of the prison writing affected by the incident, as decisively revealed in the use and transformation of “proper names.” Through this perspective, the self-narratives produced through prison writing following the Komatsugawa Incident can be interpreted as scripts that are constructed within the naming of various layers, shedding light on the subject’s planning. First and foremost, it is noteworthy that Yi Jin-woo attempted to sign with his Korean name, asserting the singularity inherent in his own name. The Korean name “Jin-woo” exists solely within his own writing, performed through the formal rigor and declarative nature of the signature, where we discover an inherent singularity that cannot be attacked, damaged, or violated by any means. On the other hand, Park Soo-nam, in her work titled “The Complete Correspondence of Yi Jin-woo” published in 1979, 16 years after “Crime, Death and Love”, demonstrates an attempt to expand the name “Yi Jin-woo” into a more typical and collective name. It is a method of reappropriating the Zainichi Korean character “R” and “Rs” from Oshima Nagisa’s film “Death by Hanging,” released in 1968, as “another R.” Park Soo-nam’s process of twisting the representation of “R” from the film “Death by Hanging,” which was accepted as a “typical” portrayal of Zainichi Korean individuals and “faced death,” to find a new direction of “life” rather than “death,” was achieved through a connection with the writings of male/national subjects who were authors of prison writing, such as Yi Jin-woo, Kim Hee-ro, Seo Seung and Seo Jun-sik. Although they each had different political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e sense of connecting it with the time of the “nameless others” allowed for its realization.

      • KCI등재

        오에 겐자부로의 외치는 소리(1962) 속 소년과 죽음, 범죄에 관한 소고

        남상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1 외국학연구 Vol.- No.58

        Sakebigoe deals with the Juvenile crime even it affected from the Komatsugawa Incident and reconstructed it. Hence, in this article, I analyzed the Sakebigoe as a Crime story. I reviewed Takao’s desperate for the death and the Ōe’s perspective how he accepted the social problems. Takao, the 18-year-old boy, commits the rape-murder to prove himself as an ‘authentique’. However, he got the real identity when his mother called his own name and accepted him as it is, not through the murder. This shows the importance of acceptance from their family, mother. Despite the boy’s murder is hugely important in Sakebigoe, recognition of it is hard to find out. There is no comment about juvenile protection nor victims. Absent of victims naturally leads to the absent of atonement. This tells the Ōe’s perspective who did not focuse on Juvenile crime but agonize over the Zainich’s problems or existentialism. Also means there’s a paradox of reading Sakebigoe as a Juvenile Crime story. Nevertheless, the result comes because I tried to review and relocate the Sakebigoe as a Crime story,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can give room to fill in the areas of Ōe’s studies that have been overloo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