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친화성을 고려한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

        임경수 한국도시행정학회 2016 도시 행정 학보 Vol.2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마을만들기에 관해 이론적, 실증적 검토를 하고 이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2장에서 마을만들기의 전개과정과 고령친화도시에 관한 이론 및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3장에서 정읍시의 고령친화도시만들기에 관한 공무원 조사를 통해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 고령친화성을 고려한 마을만들기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5장에서 결론을 맺었다. 정책적 함의로서 첫째, 마을단위에서 WHO의 세부지침을 적용할때는 대상마을 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되 도시 전체의 고령친화도시 조성 목표에 부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령친화적 마을만들기는 수익사업 위주보다는 공동체 복원에 우선적 목표를 두어야 한다. 셋째, 고령친화적 마을만들기는 고령자뿐만 아닌 마을구성원 모두가 공동체 시스템 내에서 선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추진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령친화적 마을만들기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주민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를 위해서는 고령친화적 마을만들기에 참여하는 정부, 기업, 주민, 시민단체간의 거버넌스 구축이 선결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고령친화적 마을만들기는 마을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과 연계되도록 계획되고 수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 도출 연구

        이상준,정광수,이정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전통시장 내 도입가능한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한국과 일본의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정책을 검토하였고, 전통시장 내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의 도입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고령친화형 커뮤니티시설은 고령친화형 전통시장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결과 32개 시설이 도출되었다. 셋째, 건강․복지 시설, 공공행정시설, 문화․복지시설, 교육시설, 교통시설 등이 고령친화형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로 도입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duct appropriate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For these purposes, I reviewed on the policies of elderly-friendly in traditional market in Korea and Japan, and made questionare on the introducing priority of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making of safe and convenient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needs to the aged for an their society. Second, the concept and types of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y are deducted for making the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and 32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are extracted. Third, the health-welfare facilities,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welfare,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are recommended as high priority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in traditional market.

      •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에 관한 연구

        구영화 ( Young Hwa Gu ),이혜진 ( Hye Jin Lee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5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7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 양성의 필요성과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고령친화산업관련 기업체로 요양기관, 센터, 협회, 의료기기 제조 · 판매, 복지용구 제조 · 판매 회사 등 1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에서는 전체 응답자 100%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의 필요성으로는 매우 필요하다가 84명(75%)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고령친화산업기술 정도는 부족하다가 42명(38%)으로 나타났으며, 고령친화산업기술 인력양성의 목적으로는 인력의 고급화로 31명(28.0%)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고령친화산업기술 분야 및 영역으로는 고령친화용품 92명(82.5%), 고령친화의료 기기산업 67명(60.0%), 요양산업 44명(40.0%) 순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체의 전문인력양성의 높은 관심과 요구도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산업체의 관심과 요구도를 보아 향후 고령친화산업 전문인력양성을 할 수 있는 대학 등 전문교육기관을 설립하고 학회 및 기관을 통하여 교육과 세미나 및 특강을 이용하여 전문인력양성의 기회와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Objective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need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through a survey on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2 businesse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uch as medical care institutions, recuperation centers, associations, manufacturers and seller of medical equipment, and manufacturers and sellers of welfare medical devices. Results :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100% of all respondents said they were interested. 84 respondents (75%) replied that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strongly necessary. 42 respondents (38%) replied th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insufficient, and 31 respondents (28.0%) replied that the purpose of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was to have more skilled manpower. Finally, for areas and fields needed in the age-friendly industry, 92 people (82.5%) replied age-friendly goods, 67 people (60.0%) medical equipment in the age-friendly industry, and 44 people (40.0%) recuperation industry. Conclusion :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high interest and demand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Based on this interest and demand for such industr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train and educate professionals in the age-friendly industry. Furthermo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age-friendly industry should be arranged by education, seminar, and special lectures, through academic societie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고령친화용품 개발방향

        김태선(Kim, Tae Sun),조재경(Cho, Ja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고령사회로의 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고령자 집단의 특성에 따른 고령친화제품의 개발방향의 모색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우선 고령자를 위한 디자인 개념, 고령친화산업의 현황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고령자 라이프스타일 세분화, 건강⋅신체기능에 대한 자기평가,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태도 파악을 위한 고령자 대상의 1:1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고령자를 위한 디자인은 이상적 윤리성에 중점을 두는 보편적 디자인, 현실적 경제성에 중점을 두는 포용적 디자인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을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고령친화산업은 정체상태로 고령자친화제품은 수요자인 고령자의 특성(라이프스타일과 건강상태)에 따른 제품의 다각화가 요청된다. 이에 고령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1:1 대면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화적응과 유행 민감성’, ‘일에 대한 도전과 욕구’, ‘건강 및 자기관리’, ‘삶의 여유와 노후 만족’, ‘사회참여와 사교활동’의 라이프스타일의 5개 요인과 ‘활동적 노년 향유형", ‘실리적 생활밀착형’, ‘수동적 노년 향유형", ‘근로중심생활고형’의 4개 군집을 도출했다. 집단 간 특성비교를 위한 분산분석(AVONA)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령자 군집들은 신체기능정도, 고령친화제품에 대한 태도에서 군집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분석결과에 따른 고령친화제품의 개발방향은 다음과 같다. ‘고령자용’이라는 구별짓기적 접근을 지양하고 2-3개 유형의 공통성에 따른 포괄적 시장접근이 필요하다. ‘활동적 노년 향유형’은 일상용품, 외부활동관련 제품, 최신 유행의 반영이, ‘실리적 생활밀착형’ 은 근로활동과 관련된 실용적 제품개발이 요청된다. ‘수동적 노년 향유형’은 ‘활동적 노년향유형’과 함께, ‘근로중심 생활고형’은 ‘실리적 생활밀착형’에서의 결과의 반영이 효과적이다. Entering to unavoidable aging societ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strategy approaching to senior friendly product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enior segments. For the purpose, this study, first, executed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senior friendly design concep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enior friendly industry. Then, it conducted 1:1 paper based survey with elderly persons over 65 years to analyze their lifestyle segments, health and body function levels, and attitude toward senior friendly products. As design approaches focusing on the elderly, there are universal design emphasizing on ideal ethical spirits and inclusive design pursuing practical feasibility. Concerning the difference, it seems to be required to integrate the both concepts. Considering that the Korean senior friendly industry remains sluggish, senior friendly products are needed to diversify product categories and segments by the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s of the elderly as users. Hence, 1:1 paper based survey was conducted. Lifestyles of the seniors were classified in five dimensions: ‘acceptance of change and new trends’, ‘eagerness to get a job’, ‘satisfaction of the later life’, ‘health⋅self-management’, and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Through cluster analysis, lifestyles of the seni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tive life-enjoying seniors’, ‘practical middle class seniors’, ‘passive life-enjoying seniors’, and ‘insecure job-seeking seniors’. The findings, through ANOVA, were as follows; extents of comprehensive body functions and attitude to senior friendly products,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as follows; broad approaches to combine two or three senior groups is effective. For the ‘active life-enjoying seniors’ and the ‘practical middle class seniors’, it is needed to develop products related outdoor activities and trends, and practical jobs-related products respectively. For the ‘passive life-enjoying seniors’ and the ‘insecure job-seeking seniors’, it is efficient to follow the result from ‘active life-enjoying seniors’ and ‘practical middle class seniors’ respectively.

      • KCI등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미리 ( Mie Ree Noh ) 한국법정책학회 2016 법과 정책연구 Vol.16 No.3

        많은 국가들은 0-14세까지의 인구를 유소년인구로, 15-64세까지의 인구를 생산가능인구로, 65세 이상의 인구를 고령인구로 분류한다.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2000년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현재 추세대로라면 2017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65세 이상의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므로 고령친화산업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는 산업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 12월에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을 제정하였고, 위 법에 고령친화산업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하여 고령친화 우수제품 및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를 두고 있다. 고령친화 우수제품으로 지정된 품목은 매년 증가하는 반면, 고령친화 우수사업자의 경우에는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에 관한 보건복지부 고시가 제정되지 않았다. 본문에서는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와 유사한 국내 서비스 평가인증제도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외에도 고령친화산업의 핵심인 ‘노인’의 의미, 노인에 대한 인식 전환 등을 중심으로 하여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제도의 개선방안을 검토했다. 본문에서 검토한 개선방안 등이 반영된 고령친화 우수사업자 지정기준의 제정,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지원 강화 및 기술력 확보로 우리나라 고령친화사업자들이 국제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countries broadly classify the population into three (3) groups depending on age. These groups are the youth population from 0 to 14 years old,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from 15 to 64 years old, and the elderly population over 65 years old. If the proportion of over 65 years old population is more than 7%, it is an aging society. If it is more than 14%, it is an aged society and if it is more than 20%, it is a super-aged society. South Korea was an aging society in 2000, and if current trend continues, it is expected to become an aged society in 2017. South Korea is aging rapidly at record levels in the world. Senior-friendly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there was a need to nurture and support at national level. South Korea thus enacted Senior-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in December 2006. For the sake of development and support for senior-friendly industry, a designation system was placed on any senior-friendly products of good quality as exemplary senior-friendly produc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od product”). In addition, a designation system for any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y which provides a service of good quality as an exemplary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od business entity”) was also put in place. Items that have been specified and defined as good product, have increased every yea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good business entit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fication about specified criteria for a good business entity has not been enacted as yet. In this paper, domestic Service Quality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similar to a designation system of good business entity are analyzed in order to derive the specified criteria of a good business entity. That aside, changing the definition of senior citizens and the way of recognizing senior citizens can be considered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designation system of good business entity. Even though the definition of senior citizens is an essential part of senior-friendly industry, a definition clause about senior citizen isn`t put in the Senior-friendly Industry Promotion Act. It is hoped that senior-friendly business entities will be able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as a result of the enactment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fication which supports the senior-friendly industry and possession of technology etc.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고령친화사업에 대한 인식도 조사

        양영애,박수정,박수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0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인식도 및 관심도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의 육성에 있어 작업치료사들의 역할과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두 달 동안 작업치료사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 12.0 version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 중 고령친화산업을 있다고 응답한사람은 14.6%에 밖에 미치지 못했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6.3% 밖에 없었다. 작업치료사들의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관심도 73.4% 매우 높은 관심 또는 높은 관심이 있다고 답했으며, 고령친화사업에 대한 교육의 관심도에 대한 질문에서도 79.2%이 교육에 아주 높은 관심 또는 높은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고령친화산업의 분야별 작업치료사의 관심도와 관련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작업 치료사들은 공통적으로 고령친화산업 중 고령친화 요양산업, 고령친화 주거산업, 고령친화 여가산업에 대해 높은 관심 및 관련성에 대해 견해를 나타냈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은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부족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높은 관심과 교육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특히 고령친화 요양산업과 고령친화 주거산업, 고령친화 여가산업과 같이 작업치료사의 참여로 질 높은 수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제 막 시작 단계에 접어든 한국의 고령친화사업이 임시방편적이고 일회적인 복지사업이 아니라 향후의 예비노인과 궁극적으로는 전세대의 국민을 위한 산업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작업치료사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sent prospect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the Senior friendly Industry recognition(si1ver industries). And in other to offer basic survey of senior friendly industry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 : The way of this study was survey of 96 occupational therapists on May. 2007 to June. 2007. A statistic analysis program used generated by SPSS for Window 12.0 version. Result :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ollow. Responded that 14.6% know to Senior Friendly Industry. Responded that 6.3% know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Responded that 73.4% interest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79.2% need to occupational therapists for educational matter. Therapists agreed with importance about senior friend1y Industry(si1ver industries) senior friendly housing Industry and senior friendly leisure Industry in common. Conclusion : Regarding the low concept of Senior Friendly Industry, therapists want to know the area of the Senior Friendly Industry. They, in addition, put priority on the senior friendly Industry(si1ver industries) senior friendly housing Industry and senior friendly leisure Industry. Senior friendly Industry(si1ver industries) is just got started here in Korea, but it completely needs therapists's advanced concern and participation for the better and progressive business.

      • KCI등재

        고령자와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작업치료학과 대상

        김기태(Kim, Ki-Tae),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고령화 시대에 맞추어 고령 친화산업의 전문 인력이 될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고령 친화산업 및 고령자 인식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령 친화산업의 활성화 및 발전을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0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부산⋅울산광역시⋅경남⋅경북 소재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36명을 대상으로 고령 친화산업 및 고령자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8문항, 고령자와 고령 친화산업의 인식도는 각각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고령자의 인식 내용에서 심리적 영역, 신체적 영역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보여 주었으나, 가족관계 영역에서 3.0 이하의 낮은 점수의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개인적 변인(고령자의 유무, 고령 친화 서비스 이용 유무, 임상실습)에 따른 고령자 인식도 긍정적으로 보였다. 하지만, 임상실습과 고령자의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고령 친화산업의 전망과 교육 및 필요성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고령자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고령 친화산업의 필요성 및 활성화에 대한 가능성을 보았으며,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망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Objective :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through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who will become professionals in the aged-friendly industry in line with the aging era.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136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 Busan, Ulsan, Gyeongnam, and Gyeongbuk from March 20 to April 20, 2020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friendly industry and the elderly. Implement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 questions, the recognition of the elderly and aging-friendly industry was consisted of 10 questions, respectively. Results :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showed positive perceptions in both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reas of the elderly s perceptions, but showed a low score of 3.0 or less in the family relations are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other senior citizens was also positive in the students personal variables (whether there is an elderly person, use of aged-friendly services,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perception of the elderly. Positive responses were shown in the outlook, education, and necessity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Conclusion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addition, we have seen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revitalization of the aged-friendly industry, and inte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future role and prospect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고령친화 전통시장 조성을 위한 커뮤니티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예산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정광수,이정수,이상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고령친화 전통시장 조성을 위한 커뮤니티환경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산 지역 3개 전통시장에 적용가능한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고령친화 커뮤니티환경 조성 수준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령친화 전통시장은 고령자의 행동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별로 요구하는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이 다르다. 셋째,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appropriate ways for elderly-friendly community in traditional Markets. For these purposes, we derived applicable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via questionnaire and surveyed the barrier-fre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ree traditional markets in the Yes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raditional market is a place for communication, culture, and exchanging items for living in local area, so it should be established as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Second, som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re-located around traditional markets for elderly-friendly society in local area. Third, physical conditions of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refurbished according to guidelines of Barrier-Free(BF) Certification Standards.

      • KCI등재

        7개 특·광역시의 고령친화도 변화에 관한 연구: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이광현(Lee, Kwanghyun) 한국도시행정학회 2022 도시 행정 학보 Vol.35 No.3

        이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고령인구의 생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7년에 연구된 고령친화도시 지표를 활용하여, 7개 특・광역시의 고령친화도를 5년 전과 비교하여 개선해야할 지표를 확인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들은 고령친화도시의 지표를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 연구는 개발된 고령친화도시 지표를 활용하여 5년 전과 비교함으로써 7개 특・광역시의 고령친화도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그리고 고령친화도시 지표들 중 ‘외부환경&건물 영역’, ‘교통 영역’과 ‘주택 영역’의 4개의 영역의 22개의 물리적 환경부분에 한하여 고령친화도시 지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2025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 예정인 우리나라는 고령친화적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관심을 가져야한다. 그리고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령친화적 환경을 만들기 위한 구체적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ares the age-friendliness of 7 metropolitan cities with those of five years ago, using the age-friendly city index studied in 2017 to create an environment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living in the aging population, which is constantly increasing. I tried to identify the indicators to be improved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Whereas existing studies focused on preparing indicators for age-friendly cities, this study aims to confirm changes in age-friendliness in 7 special cities and metropolitan cities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five years ago using the developed age-friendly city indicators. There is a difference. In addition, changes in the age-friendly index were confirmed only for 22 physical environments in 4 areas of ‘Outdoor Spaces & buildings’, ‘transportation’ and ‘housing’ among the age-friendly city indexes. Korea, which is scheduled to enter a super-aged society in 2025, should pay attention to what policies are needed to create a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pecific policies for local governments to create an age-friendly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형 고령친화대학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 고령친화대학 가이드라인에 의한 국내 대학의 고령친화성 및 수용성 평가

        임진섭,박명배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을 대상으로 기(旣) 개발된 고령친화대학 가이드라인 지표를 적용하여 대학의 고령친화성 정도를 살펴보고 동시에 이러한 지표가 한국형 고령친화대학(AFU)지표로서 얼마나 적절한지를 탐색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의 관계자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2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첫째는 앞서 개발된 고령친화대학 가이드라인 지표를 활용하여 조사대상 대학의 고령친화대학의 수준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1단계: 실태조사). 다음으로 동일한 지표를 활용하여 이것이 국내 고령친화대학 가이드라인 지표로서 기능하에 있어 얼마나 적절한지를 평가(2단계: 적절성 평가)하는 단계별 조사로 구성된다. 본 조사는 구글 웹서베이(Google web-survey)에 의하여 2021년 5월 21일 부터 6월 14일까지 약 3주간 실시됐다. 분석결과 국내 대학의 고령친화성 정도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평생교육(2.35점)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참여 및 봉사(2.27점), 욕구조사(2.04점), 고령친화적 환경(2.02점), 미션․비전․행정체계 (1.83점)의 순서였다. 다음으로 지표에 대한 적절성 평가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평생교육(3.62점)이 가장 높았으며 고령친화적 환경(3.54점), 미션․비전․행정체계(3.48점), 욕구조사(3.44점), 사회참여 및 봉사(3.39점)의 순서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universities by applying the guidelines for age-friendly universities previously developed for domestic universities, and at the same time explore how appropriate these indicators are as indicators of Korean age-friendly universities (AFU). I would like to look at it from thi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5 officials from domestic univers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focusing on two areas. First, the level and status of senior-friendly universities in the surveyed universities were identified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guideline indicators for senior-friendly universities (Step 1: Fact-finding survey). Next, it consists of a step-by-step investigation using the same indicator to evaluate how appropriate it is in functioning as a guideline indicator for domestic senior-friendly universities (step 2: appropriateness evalu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3 weeks from May 21 to June 14, 2021 by Google web-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oking at the level of seniority-friendliness of domestic universities by area, lifelong education was the highest (2.35 points), followed by social participation and service (2.27 points), needs survey (2.04 points), senior-friendly environment (2.02 points), and mission/ The order was vision and administrative system (1.83 points). Next, looking at the adequacy of indicators by area, lifelong education (3.62 point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enior-friendly environment (3.54 points), mission/vision/administrative system (3.48 points), needs survey (3.44 point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order was service (3.39 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