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테문학의 치유의 모멘트

        최승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58

        In our age when man is overwhelmed by civilization and the essential values of our lives ​​have become disoriented, literature, along with the other arts, is trying to heal our damaged sick soul. The original suffering in our lives arises from the fact that rational man is thrown into the absurd, irrational world. Finiteness, the existential restlessness, the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e misfortune caused by fate, all these things make us despair.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ether we can find healing moments in Goethe’s works to overcome or reconcile such suffering. Suffering is, according to Goethe, an existential condition in our lives. Therefore, from this situation comes the principle, “I am suffering, therefore I am.” Man cannot escape suffering. But for man, the capacity for reflection is inherent. The suffering of separation could be a trauma to the lover, however the moments of traumatic petrification do not suggest that they should be banished from our imperfect existence, from the deficiency of life, but it allows the experience of happiness within the tragic dimensions. The pleasure of being can be stronger than the burden of existence. Suffering, never coming to rest, is balanced by the power of human metaphysical reflection. In this case, man only gains his value for the price of suffering In Geothe’s poem “Gingo Biloba” the ginkgo leaf from the East is seen as a symbol of love, the growth and decay of nature, and the love is relieved only from the moment it has turned into the written piece of art. Then love in art could last forever, which in reality is unfulfilled. The healing moment of renunciation is neither a coercive element nor self-sacrifice. Rather, the voluntary renunciation allows us to act as socially-recognized fellow human. That's the paradox of renunciation. Man may suffer from the blow of fate that unexpectedly assails us; however, we cannot escape from it at all. Goethe also demands a renouncing attitude, or to be more precise, the unconditional submission to the fate and will of God. Because we cannot find an alternative faced with the blow of fate, we should accept that. Only in this way do we learn humility and gratitude, and always do we gain balance. When we finally learn such healing moments from Goethe, we can take our first steps towards becoming a person of wisdom. 최근 인문학 연구는 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다양한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한편 문명에 압도되고 가치가 표류하는 시대에 휴머니즘에 근거하는 가치를 지켜내려는 노력이며, 다른 한편 왜곡되고 손상된 존재를 치유하기 위한 시도이다. 삶의 근원적 고뇌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이 부조리하고 비이성적인 세계에 내던져짐으로 해서 야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트라우마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삶의 유한함에 절망하고, 실존적 불안에서 안식에 이르지 못하는, 나아가 사회적 존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강박 등 고뇌의 계기들은 또한 부조리하고 납득할 수 없는 운명에 의한 불행으로 이어져 우리를 더욱 절망하게 한다. 이러한 고뇌를 이겨내기 위한 출발점을 괴테문학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괴테에게 고뇌란 존재의 기본조건이다. 따라서 ‘나는 고뇌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는 명제가 성립한다. 고뇌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삶의 조건이기에 고뇌에 대한 성찰 또한 필수적이다. 이별이란 트라우마는 이별은 피할 수 없다는 사랑의 법칙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이별보다 더한 사랑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려는 태도로 극복가능하다. 안식에 들 수 없는 불안한 존재인 우리의 숙명적 고뇌는 이를 성찰하는 또 다른 능력으로 보상된다. 삶의 유한성은 예술을 통해 시간성, 덧없음을 극복한다. 사회적 존재에게 필요한 체념은 강요에 의한 자아상실이나 자기희생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체념을 통해서만이 우리는 사회적 존재로 거듭날 수 있으며 나아가 부조리한 운명과 화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괴테의 메시지는 우리가 지혜로운 존재로 나아가는 첫걸음을 내딛게 한다.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SUB>崔興遠</SUB>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SUB>曆中日記</SUB>』내 한시<SUB>漢詩</SUB>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鄭煥局)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 『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 『역중일기』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_역중일기_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 KCI등재

        해방 직후 진보적 지식인 소설의 두 가지 양상

        권성우(Kwon, Seong-woo)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이 논문은 해방직후 진보적 문인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의 기관지 『문학』3호에 발표되었던 이태준의 「해방전후」와 지하련의 「도정」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의도로 작성되었다. 이 두 작품은 진보적 지식인의 내면과 고뇌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점차 진보적 이념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획득해가는 주인공의 형상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공통점이 존재한다. 동시에 이 두 편의 소설이 당시 <조선문학가동맹>이 주관하는 ‘해방문학상’의 수상후보로 거명되었다가, 결국 「해방전후」가 수상작으로 선정된 사실은 이 작품들을 둘러싼 정치적 맥락을 상징하고 있다. 일제 말의 행적에 대한 자기반성을 각기 인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이 두 편의 공통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방전후」가 대체로 자신의 일제에 대한 협력과 소극적 저항을 자기 합리화하고 있음에 반해 「도정」은 시종일관 철저하고 발본적인 자기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두 작품 모두 해방 직후에 분출된 진보적 이념과 조직에 대해 진지한 고뇌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이 작품의 소중한 공통점에 해당된다. 두 작품 모두 진보적 이념에 대한 선입견과 환멸을 극복하면서 궁극적으로 진보적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담보하고 있거니와, 사상적 갱신과 전환의 자연스러움, 진보적 이념에 대한 고뇌의 진정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 「해방전후」보다는 「도정」이 한층 돋보이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전후」가 결국 ‘해방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은 현저히 정치에 규정받을 수밖에 없었던 해방 직후 문학의 운명을 상징하고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mpare two novel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se novels are Li, Taejun(李泰俊)’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解放前後) and JI, Haryeon(池河連)‘s “The Distance”(道程). These novels were listed in Literature(No.3) which had been a magazine of ’Korean Writers Alliance’, a progressive literary organization. These two works showed mentality and anguish of progressive intellectuals vividly. Serious self-reflection on behaviors of colonial era was the important similarity of these two novels. The main character of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rationalized his cooperation in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the main character of “The Distance” showed intense self-examination. These characters showed serious distress about progressive ideology in the post-liberation. And through the process of overcoming prejudice and disillusionment against the progressive ideology, the two works ultimately secured positive outlook for progressive orga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naturalness of ideological renewal and authenticity of progressive idea, “The Distance” was considered as a better work tha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Nevertheless, the fact that “Before and After Liberation” was finally presented ‘Liberation Literary Award’, represented the fate,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affected by political impact.

      • KCI등재

        18세기 대구사족 최흥원崔興遠의 시세계와 내면 — 『역중일기曆中日記 』내 한시漢詩와 감회표출을 중심으로

        정환국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approaches towards the poetic world and inner side of Baekbulam (百弗庵) Choi Heung-won(崔興遠) by analyzing his literary works and diaries – his collections and Yeokjungilgi (曆中日記). First, it focuses on the fact that his Hansi(poetry written in Hanmun) were included in Yeokjungilgi as well as his collection. Some of the pieces are in common whereas most pieces in Yeokjungilgi are not included in hi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eces in each book are distinguishable. The agony and sympathy are intactly exposed in Yeokjungilgi while he Neo-confucianist ideas and personal disciplines are expressed in front in his collections. It helps us to identify the circumstances of his writings which could help in building a history of his poetry. His collection and Yeokjungilgi build the inside and outside of his poetic world. Secondly, it approaches towards the characteristics of Yeokjungilgi in regard to the author’s agony and introspection. He had been writing Yeokjungilgi for over a half century that Yeokjungilgi itself could be the history of his lifetime. The diary displays how he had managed and maintained the family, the events occurred in managing relationships in his region and the emotions arisen from occasion to occasion - nervousness, regrets, criticism and even grudge over the conflict. However, he would not outwardly show his emotions. The series of these unspoken emotions show change in his times of senescence as the concerns of maintaining his family arose.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in between the agony and introspection and his Hansi which was an unnoticed part of an influential literati and an administrator of 18th century Daegu.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uthor’s emotional line is thoroughly displayed in Yeokjungilgi and that the piece is a fruit of the conflicts and supplementations of his unstable states and insecure self. 이 글은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학과 그의 일기를 함께 본다는 취지에서 시세계와 내면을 소재로 접근한 것이다. 먼저 그의 한시가 『문집』뿐만 아니라 『역중일기曆中日記 』내에도 여럿 실려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일부 작품이 겹치기는 하지만 대개가 『문집』에는 없는 것들로, 그 성격 또한 상당히 이질적이다.『문집』의 한시들이 주로 성리학적 사유나 개인 수양의 지점이 전면화된 것들이라면,『역중일기曆中日記 』에 기록된 한시는 저자의 고뇌와 연민 등 다양한 정감이 그대로 노출되어있다. 따라서 두 자료의 한시들은 그의 한시세계의 안과 밖을 구성하고 있다고하겠다. 다음으로 『역중일기』의 성격을 그동안의 방식과는 달리 저자의 고뇌와 성찰이라는 자기서사의 산물로 접근해 보았다. 저자가 50년 넘게 기록한 역중일기는 그 자체로 그의 삶의 역사이다. 이 일기에는 집안을 건사하고, 가문을 유지하며, 지역에서의 관계 맺기 등의 과정에서 숱한 일과 인물을 마주하며, 그에 상응한 감정이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때로는 긴장하고 때로는 후회하는가 하면, 가끔은 경계를 늦추지 않거나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비판을 서슴지 않는다. 심지어 대립하는 상대방을 두고 험담을 넘어선 악감정을 토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런 감정을 밖으로 드러낸 것은 아니었다. 이런 외부로 표출되지 않은 사적인 감정은 중년을 넘어 노년으로 접어들면서 일정한 변화를 보인다. 집안과 가문 유지가 난망한 데 따른 고민이었다. 이런 고뇌와 성찰은 그의 일기 안에 수록된 한시들과 일맥상통하는 바, 18세기 대구 지역의 유력한 문인학자이자 경세가로 평가받는 최흥원의 삶의 궤적에서 주목되지 않았던 부분이었다. 결과적으로 『역중일기曆中日記 』는 저자의 감정선이 풍부하게 드러남으로써, 불안정한 현실과 흔들리는 자아가 상충하고 보완되는 양태를 띠었다. 곧 내면의 분투이자 고백의 산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시적 형상화

        신익호(Shin Ikho)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68 No.-

        Self-portrait shows the self-identity made by the attitude of life which a writer has had so far. Many writers have written poems with the same title, self-portrait. This article aims at studying what each writer wants to tell through self-portrait. JungJoo Seo’s Self-portrait shows the existential struggle and the transcendental self-consciousness. He suffered from the ontological and ultimate problems about life and described the extreme struggle with the animal imagination to free himself from the destiny of the original sin. Dongjoo Yoon's and Gongang Yoon's Self-portrait show the self-reflection with the archetype of narcissism myth. The narcissistic attitude brings a process of maturing for a self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realistic self and internal self with internalization of consciousness. Cheonmyoung Noh's, Yongrae Park's and Hawoon Han's Self-portrait are about the confession of self and are different from the 'personal' theory which is included in the impersonal theory of poetry. The narrator of each poem describes the confession of the personal experience not as an imaginative and divided self but as an autobiographical and confessional self. Seyoung Park's and Sang Lee's Self-portrait reflect the self-consciousness of discomfort and death under a turbulent period. Seyoung Park overcame the emotional sense of sorrow, recognized the reality specifically and tended toward internalization of the depressing self-reflection and passive response. Sang Lee depicted the recognition of the pessimistic and negative reality owing to physic trauma and chronic disease which were caused by the family background from child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