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체육교육과정의 분석

        김용환(Yong Whan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3

        2009년에 개정된 신체활동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교육과정 개정의 이론적 근거가 불분명하여 인문학적 접근을 감상문 쓰기 등을 강조하고 생활중심 신체활동을 과거 문화적 유산의 기능 숙달로 잘못된 해석을 하고 있었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철학적 의미와, 역사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안내되지 않았다. 또한 신체활동가치적 측면에서 보면 건강과 여가는 외재적 가치를 도전, 경쟁, 표현은 내재적 가치를 추구하는 혼재적 가치로 구성되어 있었다. 체육교육은 신체활동에 대한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상호적 변화를 가져오는 과정이어야 한다. 교육과정 모형의 측면에서는 교육목적은 생태론적 개인의미모형, 기본기능이라는 점에서는 학문중심교육과정이며 정의적 가치를 관점에서 보면 인간중심 사회성 교육모형을 종합한 교육과정모형이다. 교육과정 구성틀은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 기본기능, 태도”로 구성되어져 있다.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은 신체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지적 지식, 기본기능은 심동적 목표를 위한 기본기술, 태도는 정의적 목표를 개념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체육내용은 건강활동, 도전활동, 경쟁활동, 표현활동, 여가활동의 상위개념에서 하위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문서적 교육부 고시의 관점에서 보면 ‘의미와 특성’, ‘기본기능’은 개념적 용어로 정의적 개념은 용기, 끈기, 협동심등 구체적인 용어로 기술되어 있어 문서적 결함이 있었다. 의미와 특성과 기본기능도 구체적기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curriculum by analyzing teaching materials relat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finding are following : First, the background curriculum theory about life skill in physical activity was loosely cunstrued and did not illuminat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In a view of value orientations,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transferred interactly the external value to internal value. Second, the current curriculum design was shaped by the values upon the content and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Such as use of a conceptual top-down framework, the currnet curriculum was not concret in the key concepts ; ``meanings and characters``, basic skills. The key concepts was related to the objective domain ; ``meanings and characters`` to be cognitive domain, basic skills to be psychomotor domain, the concret social and psychologic word to be affective domain. Third, implications of curriculum for instruction were the instructional model of tactical games approaches on the based best practice.

      • KCI등재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과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 논고

        배영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이 글은 Donald Oliver, James Shaver, 그리고 Fred Newmann이 출간한 법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근거로 하여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 글의 목적은 법리적 교육과정의 토대가 되는 주요한 논리(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검토함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가들은 가치갈등이 불가피한 다원주의 사회의 본질을 고려할 때 중등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공공 쟁점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용 선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비판받아야 할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내용 선정) 논리에 있어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타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이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수용한다면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을 구축하고자 할 때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 Based upon various research papers on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published by Donald Oliver, James Shaver, and Fred Newmann, this essay review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by examining in detail the rationale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pluralist nature of the American society,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ists insist that a rational decision-making about public issues should be the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pite of some criticis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because it i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It clearly shows that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totally different from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logic of content selec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is an exemplary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to which we could refer in developing our own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 KCI등재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 탐구

        신기철,차민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which were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e and his concerns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of its educational elements, including the teacher. A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narrative inquiry from February 2011 to February 2012 with a single participant who could inform them about his concerns regarding changes in the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and document collection. The meetings with the participant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occurred seven times, and all the conversations were recorded with the agreement of the participant.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omain analysis and the taxonomic analysis which Spradley (1979) presented, and the research text was constructed through peer briefing and re-conversation with the participa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rns with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urriculum showed the patterns that follow: power struggle, which shows the deprivation of authority resulting from the induction of new curriculum; having opened mind, which shows that he has concerns on the availability of new curriculum; reviewing curriculum, which shows the teacher’s self-reflection exposed in the process of re-evaluating the curriculum; and sharing the curriculum values, which shows the expression of authority due to a new belief system. Major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teacher’s concerns were the authority and availabil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cultur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라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체육과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 교사의 관심사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교사 관심의 변화 과정을 교사를 포함한 교육 요소들의 상호작용이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변화를 풀어낼 수 있는 연구 참여자 한 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의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7회에 걸친 만남을 통해 주제와 관련된 경험에 대해 연구참여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이를 녹취함으로써 현장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참여자가 의미 있는 경험으로 제시한 수업일지, 에세이, 저널 등의 내용을 이야기의 모티브로 활용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Spradley(1980)가 제시한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를 전문가 토의 및 연구 참여자와 다시 이야기하기는 과정을 거쳐 연구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의 관심 변화 과정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유입에 따른 권위의 박탈감으로 대변된 교육과정과 힘겨루기, 교육과정이 주는 유용성에 기인한 교육과정에 마음열기, 교육과정의 재평가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각적 반성을 보인 교육과정 다시보기, 새로운 신념체계가 갖는 권위의 발로로 형성된 교육과정 가치 나누기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 때, 교육과정이 갖는 권위와 그 유용성, 그리고 초등학교 체육교육 문화가 각 변화의 주된 동기 요인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신체활동 가치중심 교육과정의 현장 정합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탐구

        김만의(Kim, Man 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2007․2009 개정 신체활동 가치중심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실행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D광역시와 K도 초등학교 체육 전담 남교사 3명을 선정하여, 질문지, 심층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제별 약호화 및 분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가치중심 교육과정이 전인교육을 재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기능부족에 따른 수업 부담을 해소하여 교사와 학생의 적극적이고 즐거운 수업을 유도하고, 특히 창의·인성 교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교과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신체활동의 위축과 운동기능의 저하를 초래했다고 비판하고, 체육의 본질적 요소인 활발한 신체활동과 운동기능의 복권을 주장했다. 신체활동 가치 선정과 내용 구성에서는 가치 선정의 주관성, 신체활동 가치의 제한성 및 활동 내용의 폐쇄적 구조화를 비판하면서도 현실을 수용하고 전인교육과 인성교육에 효과적이라는 이중적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잦은 교육과정 개정 자체를 현장성이 결여된 그들만의 리그로 받아들이고, 교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개정 주기를 길게, 범위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맞추어 현장교사들이 공감하고 수업 적용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연수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how the physical activity value-based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2009 had been accepted and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fields. The subjects evaluated the value-based curriculum as motivating them to see whole person education in a new light, inducing teachers and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ely and pleasantly by solving the burden of class due to the lack of skills, and particular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negative recognition about subjects by making creative and character education easier. On the other hand, they criticized it for stunting physical activities and for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motor skills, and argued that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and motor skills, the essential elements of P.E., should be reinstated. Regarding the selection of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they assumed a dual attitude by criticizing subjectivity in selecting values, limitation in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exclusive structurization of activity contents, and simultaneously, by accepting the reality and considering it as effective for whole person and character education. Yet, on the whole, they understood the frequent revisions of curriculum itself as their own league wanting in on-the-spotness, and demanded that the period between amendments should become longer and the range of revision should become minim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the subject. Lastly, they also asked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raining following revision of curriculum, which can help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sympathize with it and enhance their abilities to apply it to their classes.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는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이 발표되고 검토과정에 있는 현 시점에서 도덕과 10학년(고1)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모습의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현행 제 7차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의 개선점을 논의하였고, 이어서 새로운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 시안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방향과 교과서 모습을 예로 제시하였다.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특징으로는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라 2개의 영역만을 다루게 되었다는 점 및 통일 교육의 영역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형식적인 특징을 기술하였다, 문제점으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종합과 선택과정의 가교 역할을 하지 못한 점,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문제점, 그리고 교과서 구성상 교과서 기술의 문제, 분량의 문제, 내용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요구사항으로는 도덕적 주체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 관계 확장과 주제 중심 접근이 구성 틀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에 따라 교과서의 개발 방향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과 선택과정의 중간을 잇는 교과서,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과서, 이념적으로 사회적 합의에 바탕을 둔 교과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교과서, 주제 중심으로 잘 조직된 교과서, 도덕과의 정체성이 잘 표출된 교과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학생들의 흥미와 탐구를 자극하는 교과서의 모습을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investigation of models how the moral subject text book of grade 1(year 10) in the high school should be compiled when the new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plan is announced and being checked now. For this purpose, First, we discuss the features & problems of using moral subject textbook Second, we analyze new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plan. And then, we propose new moral subject textbook model. The features of using moral textbook are to describe dealing with two directions, over dealing with unification education. The problems in using moral textbook are to describe not playing the role of bridge in the curriculum, defect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the way of textbook writing, the fallacy of textbook contents, etc. The features of model how the moral subject textbook of grade 1(year 10) in the high school should be compiled are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play the role of bridge between the common curriculum & the selective curriculum,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can approach morality synthetically, the moral subject textbook based on social integrity ideologically,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derives the interest from students, the moral subject textbook whose theme is well organized,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identity is well expressed. And then, we propose an example of the moral subject textbook.

      • KCI등재

        대학 교양교과의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설계 및 적용

        이수연,방담이,최영민,이상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제 인식’-‘통시적 쟁점 고찰’-‘공시적 쟁점 분석’-‘실천적 의사결정’의 네 단계가 순환하는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지식, 태도, 실천을 통합적으로 설계한 것으로 ‘주제 인식’ 단계는 지식, ‘통시적 쟁점 고찰 단계’는 지식과 태도, ‘공시적 쟁점 분석’ 단계는 태도와 실천, 마지막으로 ‘실천적 의사결정’ 단계는 실천을 중심으로 한다. 설계한 모형에 따라 자유와 책임, 인간의 존엄성, 인격적 관계, 윤리, 자아정체성, 인간의 기원, 육체와 영혼, 성숙한 사랑, 가치와 생명의 9개 주제에 대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쟁점 중심 인성교육과정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수도권 대학의 기초교양필수 강좌에 이를 적용하였다. 총 321명을 대상으로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인성역량과 가치인식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인성교육 설계 및 운영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an issue-centered character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explore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o this end, a four-stage model of the issu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was designed, cycling through ‘topic recognition,’ ‘diachronic issue consideration,’ ‘synchronic issue analysis,’ and ‘practical decision-making.’ This model is designed to integrat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 ‘topic recognition’ stage focuses on knowledge, the ‘diachronic issue consideration’ stage focuses on knowledge and attitude, the ‘synchronic issue analysis’ stage focuses on attitude and practice, and finally, the ‘practical decision-making’ stage focuses on practice. According to the designed model,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organized into nine topics: freedom and responsibility, human dignity, personal relationships, ethics, self-identity, human origins, body and soul, mature love, and life.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issue-centered character curriculum, it was implemented into basic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one semester.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as analyzed for a total of 321 university students, and both character competencies and value recogn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practice of character curriculum in universit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초등체육교육과정의 인성교육 방안

        김용환(Yong Whan Kim)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4

        2009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창의성과 인성교육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논의와 연구물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물들이 신체활동을 하면 자동적으로 인성교육이 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어 실제 현장교육에서 인성 교육은 잘 이루지고 있지 않고 있으므로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체육에서 인성교육의 문제점은 신체활동과 무관한 과정적 지식으로 인성교육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인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특정 신체활동과 접목된 실천적 지식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신체활동에 대한 내재적 가치는 외재적 가치로 외재적 가치는 내재적 가치로 가치의 변화가 일어 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교육을 해야 한다. 그리고 인성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의 의미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이를 실천하는 이해중심게임모형으로 학습자 중심의 인지적이고 사회적 좋은 수업을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aches to education related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a character education. The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finding are following: First, the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was to provide to the appropriate learning program to be considered of practical knowledge with a dependent character in physical activity. the specific themes of affective domain within under value based physical activity was realized through contentes dependent solutions of the practical knowledge. Second, In a view of physical education based-value , as the valuational responses of learners have been transferred interactly the external value to internal value. affective objectives in physical education were to identify observable specif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valuational categories or levels. Third, in order to educate a character in affective domain in physical activity. the particular attitudes specified in a program have been actually learned by the instructional model of tactical games approaches on the based humanities and the principles of best practice.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이경원 ( Lee Gyeong-won ),김철호 ( Kim Cheol-ho ),김아영 ( Kim Ayeong ),김완수 ( Kim Wan-s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7

        이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탐구이다. 이번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내용체계를 구성하려 하기 때문에 지식의 구조와 이해 중심교육 과정에 따라 이에 대한 탐색을 하였는데 전이가가 높은 깊은 이해를 돕는 교과의 핵심내용으로 파악된다. 지난 교육과정 내용체계 구성요소를 변경하여 보다 역량 함양이 실효적으로 추진되도록 하려는 의도로 [지식ㆍ이해], [과정ㆍ기능], [가치ㆍ태도]로 제시하는 근거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탐구에 이어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시안을 제안하고 있다. This research paper is a draft for the revised curriculum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Now in the middle of developing and revising of it, through the curriculum theory of understanding by design it is focus on the big ideas that’s the key and general concepts, contents to transfer. If we educated by this big ideas, we could reduce the heavy burdens to study and cut off the subjects to learn in school. Furthermore this paper inquired the what’s the frame of content table in the coming curriculum. As important items of it, we pointed out the 3 dimension, knowledge. understanding, process. skills, values and attitude. we could get the some findings through this arranging. Mainly by the next curriculum it will be a thinking school and thinking moral education because the 3 dimension is supported by intellectual aspects. So we must carefully and clearly distinguish the different meaning of skills betwee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and revised 2022 curriculum. Anyway through our research paper, we hope for the productive results by triggering lot’s of active discussion.

      • KCI등재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박형곤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은 제2차 교육과정에서 반공·도덕 생활로 처음 등장한 이래 5차례의 개정을 거쳐 오늘날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게 되었다. 최근에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과 전문가들로부터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의의 있는 연구 성과물들이 나오고 있다. 현행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학년별 2개의 생활 영역을 다루어 내용의 중복을 피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나름대로 문제를 가지고 있고, 제7차 교육과정 개정 당시와는 다른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어느 정도 개선이 불가피하다. 앞으로 새롭게 개정될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청소년들에게 적절한 주요 가치·덕목의 선정, 학교급간의 내용의 단절을 피하기 위한 학년별로 완성된 내용 체계, 학년별로 다루어야 할 내용의 축소, 청소년들의 바른 예절 생활을 위한 예절 교육의 강화 등이 반영되어야 한다. Since the moral curriculum appeared as anti-Communism & morals in the 2nd curriculum, it came to the 7th curriculum through the five times revisions today. Recently the exper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INSTITUTE CURRICULUM & EVALUATION and this subject made a study of the 7th curriculum revision and published the meaningful results of their work. In the 7th curriculum in use, the instruction-learning is consisted of the student-centered activities. Also we can prevent the overlapp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by dealing with two field in each grade. However some problems in this curriculum and the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s from the days of the 7th revision make a need to improve them to a certain degree. The moral curriculum that will revise newly must reflect the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s, the selections of the proper values and virtues to the youth, the system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completed in each grade to prevent the interruption of the contents between the schools.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방향성 탐색

        정탁준(JUNG TAK-JOON),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이 논문에서는 2003년부터 적용된 도덕과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설정근거와 목표를 먼저 알아본 다음, 그 동안의 성과와 부족한 점을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새로운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념틀(framework)로서 숙고의 접근법(deliberation approach)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숙고의 접근법은 생활영역확대법과 덕목 제시형을 탈피하여 가치 공간 확대법과 주제중심의 토론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시안은 그동안의 국민공통교육과정을 통해 얻은 지식을 전문적으로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적용하며, 궁극적으로 도덕적 원리를 확립하여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기 때문에 12년에 걸친 도덕교육의 대단원이라 볼 수 있는 고등학교 도덕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리라 본다. This paper reviews th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practiced since 2003. Based upon this review, I propose a new framework - a deliberation approach of moral education -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which involves a value-expansion perspective and issue-centered curriculum instead of life-expansion perspective and virtue-inculcation curriculum. A deliberation approach of moral education is more matched up with the original purposes of the high school moral education than the old curriculum perspective because it has some strong points: it enable students to deepen moral knowledge, to discuss and determine moral principles, and to practice them to the real world. In sum, the deliberation approach has a function to integrate and finalize the 12-year-old moral education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