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화 지향적 학교 통일교육과 2007도덕과 교육과정의 분석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8

        본 논문은 “평화 지향적 학교 통일교육”이라는 커다란 밑그림(Big picture) 속에서 학교 통일교육의 질적 전환의 한 방법으로서 ‘평화’의 내용을 통일 교육으로 도입하여 교육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교육과정상의 콘텐츠가 무엇이냐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내용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가 지향하고 있는 기본 방향은 “평화 지향적 학교 통일교육”이다. 평화 지향적 통일교육을 위한 정당성이 이론적·이념적으로 확보된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현장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먼저, 평화 지향적인 학교 통일교육을 위해서 이념적 근거와 몇 가지 논점을 해결하고자 했다. 이념적 근거로서 ‘평화주의’를 탐색했다. 사회적 합의의 산물인 헌법과 법체계 속에서,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적 논의, 그리고 우리의 민족정신에서 평화주의의 근거를 찾았다. 그리고 평화와 안보의 문제 및 평화 지향적 통일교육이 분단 극복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논점에 대한 해결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평화 지향적인 학교 통일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2007 도덕과 교육과정에 기술하고 있는 평화의 내용을 ‘덕목으로서의 평화’, ‘평화 실현을 위한 정의’, ‘통일교육의 질적 제고 수단으로서의 평화’라는 세 가지 틀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업의 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평화 지향적 통일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vised 2007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then to adapt themselves to the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his paper's big picture is the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the Upheaval of validity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we tried to solve the several problems for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search for theoretical basis for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he problems of relation between security & peace, of the view point of denial of unification are included in the such problems. Secondly, we analyzed the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revised 2007 moral subject curriculum. The criteria of analysis of the revised 2007 moral subject curriculum are 'the peace as virtue', 'justice for peace', ' the peace as the means of the quality upheaval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n we proposed a concrete program that get used in the peace-base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내용 체계의 설정 원리 및 반영 방안

        황인표(Hwang, Inp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는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내용 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내용 체계 구성의 원리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현재의 통일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체계적인 통일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해 내용 설정의 기본 원리에 입각해서 내용을 구성하고 선정하여야 한다는 전제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년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통일교육 내용은 양적인 문제와 더불어 통일교육 내용 선정의 무원칙성을 밝혔다. 다음으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내용 설정을 위한 원리로 초․중․고 연계성의 원리, 통일교육 이념 구현의 원리, 교과교육적 체계성의 원리, 주제(또는 덕목) 중심의 원리의 4가지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 설정 원리에 근거한 통일교육 내용 체계 재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최소한 내용 전개에서 분단 이해 요소, 북한 내용 요소, 통일 환경 요소, 통합 준비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내용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일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하나의 밑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ve principal on contents system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new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I stick to the premiss that we must solve the many problems in the domai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new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I treat the topics as follows. First, in the chapter2, I analyze the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of the 2015 year moral subject curriculum. In this chapter, I argue that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2015 year moral subject curriculum is insufficient, and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have no systematic structure. Second, I propose four principles as follows. ‘the principle of elementary․ secondary․high school linkage’, ‘the principle of realiz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philosophy’, ‘the principle of subject-matter-educational systemization’, ‘the principle of the theme(or virtue)-based topic’ And last, I suggest the ref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ses four principles in the new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I expect this study should be contributed to the contents systemiz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afterwards.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10학년)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본 연구는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이 발표되고 검토과정에 있는 현 시점에서 도덕과 10학년(고1)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모습의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현행 제 7차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의 개선점을 논의하였고, 이어서 새로운 교과서의 내용과 체제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 시안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방향과 교과서 모습을 예로 제시하였다.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특징으로는 나선형 교육과정에 따라 2개의 영역만을 다루게 되었다는 점 및 통일 교육의 영역을 체계적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형식적인 특징을 기술하였다, 문제점으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종합과 선택과정의 가교 역할을 하지 못한 점,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문제점, 그리고 교과서 구성상 교과서 기술의 문제, 분량의 문제, 내용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요구사항으로는 도덕적 주체를 중심으로 하는 가치 관계 확장과 주제 중심 접근이 구성 틀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에 따라 교과서의 개발 방향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과 선택과정의 중간을 잇는 교과서,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교과서, 이념적으로 사회적 합의에 바탕을 둔 교과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교과서, 주제 중심으로 잘 조직된 교과서, 도덕과의 정체성이 잘 표출된 교과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학생들의 흥미와 탐구를 자극하는 교과서의 모습을 예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investigation of models how the moral subject text book of grade 1(year 10) in the high school should be compiled when the new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plan is announced and being checked now. For this purpose, First, we discuss the features & problems of using moral subject textbook Second, we analyze new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plan. And then, we propose new moral subject textbook model. The features of using moral textbook are to describe dealing with two directions, over dealing with unification education. The problems in using moral textbook are to describe not playing the role of bridge in the curriculum, defect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the way of textbook writing, the fallacy of textbook contents, etc. The features of model how the moral subject textbook of grade 1(year 10) in the high school should be compiled are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play the role of bridge between the common curriculum & the selective curriculum,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can approach morality synthetically, the moral subject textbook based on social integrity ideologically,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derives the interest from students, the moral subject textbook whose theme is well organized, the moral subject textbook that identity is well expressed. And then, we propose an example of the moral subject textbook.

      • KCI등재

        도덕과에서 새로운 통일의 필요성 교육에 대한 일고찰

        황인표(Hwang, Inp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동안 통일부․교육부가 주관하여 시행된 ‘통일교육 실태조사’ 자료와 학계의 논의를 바탕으로 통일 필요성에 대한 교육의 기본방향을 어떻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한 논문이다. 지난 5차, 6차 및 7차 교육과정에서 ‘민족 공동체주의’입장의 통일 필요성을 강조한 이후,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통일 필요성 교육에 대한 논의를 도덕과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체계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다는 흠결을 극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통일 필요성 교육의 기본방향을 세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평화주의 입장의 통일 필요성 교육, 합리주의 입장의 통일 필요성 교육, 민족공동체주의 입장의 통일필요성 교육이 그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인 교과서 서술에서 세 가지 입장의 기본방향 내용이 어떠한 표현으로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에 맞는 내용 체계나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는 추후 새로운 지면을 통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reflect the education of the new unification necessitie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textbook. There have been no systematic trials on how to reflect the education of the new unification necessities in moral subject curriculum & textbook after the ethnic-communitarianism approach had been emphasized in the past fifth, sixth, and seventh moral subject curriculum & textbook. This study is to overcome this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I proposed three basic directions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the viewpoint of pacifism, the viewpoint of rationalism, and the viewpoint of ethnic-communitarianism. And then, I somewhat concretely proposed the description contents of the moral textbook based on the basic directions of the education of the new unification necessities. I expect this study should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on the new unification necessitie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textbook.

      • KCI등재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관점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 윤리에 대한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본 연구는 우리 도덕과가 지속적으로 다루어 온 국가공동체 윤리의 적정성을 탐색하는데 있 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을 살펴보았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하는 자유주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상실하고, 지나친 개인주의로 인 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였다. 공동체주의자들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을 공동체주의에서 찾 으려 하였다. 연구자는 이들이 상호 이론적 논의 가운데 점차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로 수렴이 이루어졌음을 살폈다. 이어 기존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국가공동체 윤리의 내용과 모습을 분 석하였다. 처음 도덕과가 생길 때에는 국가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국민정신 함양이라는 목적 달성 을 위해 많은 분량의 국가공동체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사회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 음을 살필 수 있었다.그리고 내용적으로는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는 주로 집단주의적 성격의 공동 체주의 입장에서 ‘국민정신 앙양’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이후 점차 민주화와 자유주의 경향에 맞추어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적 국가공동체입장의 내용 서술로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덕과의 국가공동체 윤리의 이론적 틀을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에 두고 바람직한 국가공동체 윤리의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ethics education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treated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first of all I treated the argument about the liberalism and the communitarianism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liberalism which emphasize the liberties & rights of individual miss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nd made many problems caused by selfishness. Naturally, communitarians would like to find the remedies against these problems in the community. And I investigated that the liberalism and the communitarianism gradually became to agree with each other in the middle of arguments. And then, I analyzed the contents & quantities of the national community ethic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The quantities of the national community ethic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have been decreas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ime. The contents destinations also shifted from collectivism of the authoritarianism to the liberalism. At last I proposed the improvement device of the desirable national community ethic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in the point of the liberalcommunitarianism. I expect this study should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ommunity ethic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도덕과 인성교육의 쟁점에 관한 일고

        황인표(Hwang, Inp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5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인성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적정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도덕과에서의 쟁점에 관한 논의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도덕과에서 인성교육의 역사적 고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속의 인성교육 역사를 다루었다. 그리고 도덕과 인성교육을 위해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 문제들을 논의하였다. 그러한 쟁점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성, 인성교육의 개념 정의 문제였다. 인성에 대한 사전적, 심리학적, 교육학적 의미를 살펴보면서, 인성은 실천적 의미에서 인간성(또는 인간다움:humanities)으로 정의 내릴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인성교육의 교과 주체성의 문제를 다루었다. 범교과 학습의 실효성 문제를 제기하면서 중심 교과로 도덕과가 설정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셋째, 인성교육에 대한 교화(indoctrination)의 문제를 다루었다. 교육에서 교화는 필연적인 속성의 하나로 생각할 수 있지만, 방법과 의도가 올바르고 도덕적인 전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덕목에 대한 합의와 수용 가능성을 전제로 가능한 접근이라고 피력하였다. 이러한 주장의 핵심 의도는 도덕과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정당화를 확보하는데 일조하기 위함이다.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ssues on the humanitie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first of all I treated the historical approach of humanitie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I treated the important issues on the humanities education in the relation to the moral subject education. They are as follows: At first, I treated the definition of humanities(including personality or character), and humanities education. I proposed the humanities as the definition in the view point of practice. Second, I treated the problem of main subject which would have to take charge of humanities education. I naturally empathized that the moral subject should take charge of humanities education. Third, I treated the indoctrination in the humanities educa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should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humanities education in the relation to the moral subject education.

      • KCI등재

        학교 인구교육과 도덕과 교육과정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본 논문은 현행 제 7차 도덕과 공통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수정 고시된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속에서 인구교육적 요소를 탐색하여 그 내용을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인구교육의 중요성과 학교 인구교육의 실태와 내용 범위를 탐색하였다. 인구교육의 실태는 초,중,고등학교 각 단계에서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새로운 인구교육의 패러다임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우선적으로 가능한 교과서 반영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점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어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안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인구교육을 위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을 위한 접근은 ‘저출산 대응 차원의 교육’ 내용과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차원의 교육’ 내용으로 하고, 그 각각의 문제의식에 대응하는 하위 요소들을 분류하여 그에 해당하는 교과서와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보았다. 특히, 새로운 교육과정이 ‘저출산고령화 대비교육’내용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선언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면에서 그리고 현행 교과서의 즉시 대응적 차원에서 이미 충분히 그 내용이 반영되어 있고, 향후 교육과정을 구체화한 교과서에서 반영할 수 있는 내용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덕과에서 이러한 인구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인구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급히 수용할 필요성, 새로운 사회 현상에 맞춘 가정 윤리의 재정립과 그에 부합하는 덕목의 설정 필요성, 도덕과의 특성에 맞춘 인구교육교수학습방법의 모색 필요성, 새로운 인구교육 패러다임의 수용 과정에서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의 모색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venth moral subject curriculum & new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from the new paradigm of population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argued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education, we searched the practice and scope of the school population education, we analyzed the popula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seventh moral subject curriculum & new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then we proposed several approach to population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Especially, in analyzing the popula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seventh moral subject curriculum & new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we approached to analysis into two dimension, 'low fertility rate preparation education', 'aged society preparation education'. In this part, some people said that there was not low fertility rate․aged society preparation education contents in the new revised moral subject curriculum, but that was not true. And in the last part, we proposed several approach to population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of the paradigm transferring for population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Rebuilding the family ethics and virtues according to society chang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population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oral subject education, the device of schock-ease off in the course of accepting the new paradigm of population education.

      • KCI등재

        교과서 개발의 관점에서 본 2015년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과 대안적 접근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3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중학교 영역에 한정하여 교과서 개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의 안정적 개발과 교과 목적에 맞는 개발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 과 같은 논의를 하였다. 먼저 논의의 전제로서 2015년 교육과정의 특징과 최근 교육과정의 중학교 내용 요소를 비 교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핵심 사항 중 하나인 교과서 구성의 관점에서 본 2015년 교육 과정 중학교 내용 체계의 문제점을 다루었다. 내용 요소상의 문제점으로는 Ⅰ영역의 내용 중 복의 문제, 다루어야 할 내용의 흠결 문제, 최신 이론의 무리한 반영 문제를 다루었고, 내용 체계의 형식상 문제점으로는 2권 체제에 대한 준비 부족, 내용 요소 위계 설정 미비, 초등학 교 및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 내용 요소의 위계 설정 고려 문제 등을 다루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제 4장에서는 교과서 구성 관점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개발의 모듈화 방안을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모듈화는 연구자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 라지는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 선정과 조직 문제 해결, 외부의 불합리한 요구에 대한 방 패막이 역할, 연구진들의 역량 낭비 방지, 도덕과의 학문적 범위와 계열에 따른 안정적 내용 요소 선정 등의 장점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Ⅰ영역과 Ⅱ영역의 모듈화를 본 연구자의 입장에서 예시하였다. 추후 학계의 심도 있는 모듈화 논의를 통하여 안정적 교육과정 개발의 초석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of middle school in the viewpoin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and finding the solution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Basically,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find devices of the stable and the suitabl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I treated the topics as follows. At first, I treated the features of the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 the comparison of contents of middle school among the 2007, 2011,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as the premiss of argument. And then, I treated the problem of the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contents of middle school which wa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is thesis. I treated the contents repetition of Ⅰ domain, the lack of contents, too early reflection of unproved theory as the problems of essential contents elements. And I treated the lack of preparation for two book system, the unpreparedness of contents hierarchy, the unpreparedness of contents relations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 And last, in the chapter Ⅳ, I proposed module device as the improvement device of moral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I argued that module device made several merits to upheave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I expect this study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afterwards.

      • KCI등재

        2015년 도덕과 교육과정의 시민성 교육 쟁점 분석에 대한 일고

        황인표(Inpyo, Hwang),강승희(Seunghee, K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본 연구는 2015년 도덕과 교육과정의 시민성 교육에 대한 쟁점들을 분석하고 시민성 교육의 기본 방향에 대한 가능한 대안을 탐색해보고자 한 논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본 논문의 핵심 사항인 도덕과에서의 시민성 교육을 위한 쟁점들을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민주시민교육의 주체성 논의, 도덕과의 시민성 내용과 개념의 논의, 도덕적 시민성의 가치·덕목들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다음으로 2015년 교육과정의 시민교육 내용 방향과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개인의 도덕적 시민성’과 ‘관계의 도덕적 시민성’을 기준으로 의무지향적 가치덕목과 권리지향적 가치덕목의 교육 내용이 어느 정도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향후 교육과정 개편에서 의무지향과 권리지향의 균형 잡힌 내용 반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도덕과에서의 바람직한 시민성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모듈이 산출되기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in the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basic directions of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I treated the topics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hapter Ⅱ, I analyzed the issues of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domain. In this chapter, I treated the issues of the subjectivity of civic education of korea, the citizenship contents & definition of the moral subject education, the citizenship virtues of the moral subject education. Second, in the chapter Ⅲ, I analyzed the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 directions in the 2015 moral subject curriculum. I emphasized that the duty-oriented citizenship values & right- oriented citizenship values both were to be balanced in the view point of ‘individual moral citizenship’ & ‘relationalmoral citizenship’. And last, I suggest the module of the directions & points in the new moral subject education curriculum. I expect this study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fterwards.

      • KCI등재

        남북통합을 위한 통일교육의 사회적 합의 내용에 대한 일고

        황인표(Hwang, Inpy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1

        본 논문은 남북통합을 위한 통일교육이 정치적 상황에 따른 부침을 극복하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통일교육에 관한 합의 내용을 시안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통일부가 새 정부에서 의욕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정책인 ‘통일국민협약’ 추진과 맥을 같이하면서 그동안 통일교육계에서 지속적으로 그 필요성이 강조된 숙원을 이루기 위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함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다른 나라의 사례로서 인용되고 있었던 보이텔스바흐의 합의(Beutelsbacher Konsens)’의 내용과 ‘독일 문제에 관한 교육지침’그리고 제 3장의 ‘실제수업에서 유의할 점’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에서 그간 논의되었던 동향을 소개하였다. 이어 ‘통일국민협약’의 명칭을 ‘통일문제에 관한 사회적 합의’로 명명하고 그것을 2원적으로 ‘일반적 수준’과 ‘세부 유의점 수준’으로 나누어 합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일반수준 합의’ 내용과 ‘세부 유의점 수준 합의’ 내용의 예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research the contents of social consensus of unification education. This is the very important process for overcoming the dependeccy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 for systematically educating unification education. It is also to make pace with government policy, and it’s also to propose the beginnings on this issues through this syudy. For the purpose of this goal, I reviewed a few samples. First of all, I analyzed the ‘Beutelsbacher Konsens’ of deutschland. And then, I analyzed some scholar’s ideas comparing to ‘unification education manual of korea’. I pointed out some problems such as the process of making national agreement, the way of contents expression and so on. Finally I proposed one of beginnings on the contents of social consensu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Especially I proposed two level types of social consensu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I expect this study should be contributed to building the contents of social consensus about unific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