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평가 환류(feedback)를 통한 도덕과 수업개선 방안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1 No.1

        Due to the fact that the one of meanings of feedback from evaluation is the information providing for instruction improvement of teachers, this article has focused on the way to improve instruction based on the use of evaluation feedback. For making the good use of evaluation feedback, teachers necessarily know three factors: the process of instruction and teaching activity, teachers` knowledge needed to perform each step of the process, and the framework for analyzing evaluation feedback. In this meaning, this article suggests the framework for analyzing evaluation feedback of moral evalu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process of moral instruction and the teacher knowledge. Moral teachers can use this framework to reform their instructions by correcting and developing necessary teacher knowledge.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칸트의 도덕교육 체계에 대한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모든 사람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공공교육을 강조한 칸트의 계몽주의적 교육사상은 여러 교육 중 도덕교육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칸트는 그의 교육론 책에서 도덕교육 의 명확한 목표, 알맞은 내용, 효과적 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학교교육에서 는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에 의해 인성교육이 매우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서 인성교육의 주관교과인 도덕과 교육의 발전을 위해 칸트의 도덕교육론은 적절한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다소 두서없이 쓰여진 칸트의 도덕교육 이론을 체계화할 필요 가 있다. 칸트의 도덕교육 체계를 종합해보면, 도덕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도덕적 원칙인 인간 존엄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살도록 돕는 것이다. 이렇게 도덕적 원칙을 파악하고 실천하려면 지적 능력이라는 인지적 내용, 감정의 절제라는 정의적 내용, 의무사항이라는 행동적 내용 요소들을 알 아야 한다. 그러한 내용을 가르칠 방법에는 소크라테스적 문답법과 예시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칸트의 도덕교육 체계는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발전을 위해 도덕교과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즉, 칸트의 이론에 힘입어 우리는 첫째, 도덕교육의 필요성보다 강력한 설득력을 가 진 도덕교육의 필연성을 강조할 수 있다. 둘째, 타 교과와 다른 도덕교과만이 가진 통합적 특성을 강조할 수 있다. 셋째, 교육의 최고 원리인 인간 존엄성의 윤리적 연구와 교육적 적용의 심화를 통 해 도덕교과의 중요성과 위상을 높일 수 있다. Due to the fact that Kant emphasized public schooling and moral education to the all students, Kant`s ideas of moral education is still influencing modern Education, especially Korean Moral subject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industrialization become deepened more and more people including parents and students want moral education in schools, in this situation, Moral subject education justly needs many suggestions from Kant`s moral education ideas. To get suggestions from Kant, firstly we need to systemize Kant` ideas of moral education. As for Kant`s structure of 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respect human dignity; the content consists of intelligent content, emotional content, and behavioral contents; the method includes Socratic catechism and the example method. From this structure of Kant`s, we`ve got three suggestions to progress Korean moral education: the logical necessity of moral education; the integration characteristic of mora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inquiring ethical meaning of human dignity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기획논문-201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 인성교육의 핵심활동으로서 윤리상담에 대한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인성교육은 현대 한국의 학교에서 반드시 실천하고 발전시켜야 할 과제이다· 인성교육은 도덕성, 사회성, 연대의식, 문화적 가치, 인간관계에서의 감성 등이 통합된 전일적 품성을 함양하는 교육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된 전일적 품성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는 도덕성이다· 즉, 어떤 사람의 성품이나 인성을 평가할 때는 그가 가진 도덕성을 기준으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인성교육은 도덕윤리교육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성교육을 주도적으로 담당할 실천세력은 도덕윤리교육이다· 도덕윤리교육이 교과교육 시간과는 다른 과정을 제도적으로 보장받는다면 그러한 역할을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수업시간 외에 교사와 학생이 도덕윤리 수업과는 별도로 진솔한 만남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면 도덕적 품성의 함양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시간과 과정을 윤리상담이라 말할 수 있겠다· 윤리상담은 윤리교과의 수업과 연계하여 상담교사가 내담자 학생들의 다양한 도덕적 가치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하여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과정이라 개념화 할 수 있다· 윤리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필수적 내용들은 가치관 형성, 인간관계, 진로개발 등이며, 윤리상담의 방법으로는 가치관에 대한 성찰을 돕는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이, 구체적 문제의 해결을 돕는 가치분석법이, 상담분위기의 조성에 기여하는 인본주의적 상담기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윤리상담의 개념과 목표, 내용, 방법이 통합되어 나타난 것이 윤리상담의 체계라 할 수 있는데, 윤리상담은 계획되고 일관된 체계를 통해 학생들 개개인을 만나고 그들의 고민을 들어주며 따뜻한 관계를 맺도록 하기 때문에 학교 인성교육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haracter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in modern Korean schools. To improve character education, there should be the leading subject, ethics education, with ethics counseling. which make caring atmosphere to facilitate students`` moral development. Ethics counseling is the counseling which helps students solve ordinary moral problems and establish their own value systems. Ethics counseling treats contents such as moral value, human relationship, and career. The methods of Ethics counseling are three things: Socratic questioning, value analysis, Rogers`` humanizing learning. The system of Ethics counseling, which includes concept, content, and methods,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one-to-one and individual caring of moral development.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개념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6 No.1

        이 논문은 ‘도덕과 교육‘의 개념을 시안(試案)의 형식으로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도덕과 교육’의 개념 제안을 위해 ‘도덕’, ‘교육’, ‘도덕교육’, ‘교과’라는 관련 개념들을 가지고 문헌을 통해 개념 수집, 개념의 핵심 내용 파악, 파악된내용의 종합이라는 과정을 거쳤다. 풀어 말하면, ‘도덕’개념과 ‘교육’개념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의 교집합에서 ‘도덕교육’의 개념을 찾으려 하고 ‘도덕교육’과 ‘교과’의 교집합에서 ‘도덕과 교육’의 개념을 찾으려 하였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모두 마치면 다음과 같은 도덕과 교육의 개념이 나타난다. “도덕과 교육은 도덕과 관련된 경험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학교교육의 한 분과를 통해 교육 대상자가 삶의 규범적 양식을 잘 영위하여 올바르게 살도록 돕는 일이다.” To get the concept of Moral Subject Eduction, I use Concept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My method has this procedure: first, I analyze the related concepts such as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and ``subject``; I collect those concepts from academic resources like books, articles, and encyclopedia. Second, I analyze those concepts and extract core content from them respectively. Third, I synthesize those contents into one concept and suggest the concept of the moral subject education. "Moral Subject Education is to help student establish and practice their normative life style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es as ``Moral Subject`` in schools.

      • KCI등재

        니일(A, S, Neill)의 도덕교육 사상의 구조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2 No.1

        니일은 서머힐이라는 학교를 세워 40여년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영국의 저명한 교육자이자 실천가이다. 자유를 위주로 한 그의 교육방식은 당시 기존 교육방식을 거부하였는데 특히 교조적이고 억압적인 도덕의 주입에 크게 반대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모든 종류의 도덕교육을 다 반대한 것은 아니다. 주입식의 강제적 도덕은 사라져야 하지만 자유에 기초한 자율적인 도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것은 새로운 도덕교육에 대한 생각이었고 그것이 그의 저작 서머힐에 명확히 나타나있. 니일과 같은 훌륭한 교육사상가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사항들은 도덕과 교과교육학의 연구에 있어서 도덕과가 나아갈 방향과 체제 구성에 귀중한 이정표가 된다. 그런데 그의 저작들에는 그의 도덕교육에 대한 목표, 내용, 방법 등 여러 생각들이 두서없이 섞여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은 그의 도덕교육 사상의 구조를 원문에 근거해 성격과 목표, 내용, 방법으로 정리하여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구조화 하고 그에 따라 현대 한국의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니일이 생각한 도덕교육의 목표는 ‘자유 속에서 자신의 흥미와 자질에 따라 능 력을 계발하여 타인과 공동체를 위해 살아갈 때 얻는 진정한 행복을 성취하도록 돕는 것’이라 파악된다. 또한 그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학교 수업에서 얻는 표면적 교육내용과 자유로운 학교 공동체에서의 경험을 통해 얻는‘자유의 도덕적 의미’라는 잠재적 교육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도덕교육 방법의 측 면에서 니일은 학생들의 발달 속도에 대한 인내를 통한 방법, 학생의 자율성 인정을 통한 방법, 학교의 도덕적 분위기를 통한 방법을 중시한다. 니일이 한국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니일이 강조한 자유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학교 도덕교육의 내용에 포함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둘째, 니일이 강조한 인정을 통한 도덕교육 방법을 한국의 도덕과 교육 수업에 적극 도입해야 한다. Neill established Summerhill school in which students freely learn what they want without any oppressions or coercions. Neill, in Summerhill school, never wants indoctrination of morals to the students but he wants students to get true moral norms which are achieved through autonomy. Actually, Neill has the structure of moral education which consists of three aspects: the purpose,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be happy through freely realizing their selves and harmoniously living with others in society’,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things: current content and latent content. Current content is rekated to what Students take part in classes such as math, language, and moral discussions. Latent content is connected to the experiences in free school atmosphere such as honesty without pretence, kindness without hypocrisy, and tolerance without reluctance. The method which is helpful to get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hree through’; through patience with the level of students’development, through the approval of all students’ good points, and through the free atmosphere of school which encourages students good behaviors.

      • KCI등재

        도덕과 교육의 정당화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3 No.1

        “도덕교과를 학교에서 가르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도덕 교사나 예비 도덕 교사들은 반드시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 교과에 대한 정당화가 교사들 마음속에 명확해야 그들에 의한 도덕과 교육이 학생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있기 때문이다. 도덕교과에 대한 정당화는 교과의 본질적인 가치에 기초한 이론적 정당화와 교과가 가진 수단적 효과성에 기초한 실제적 정당화로 나눌 수 있다. 도덕교과에 대한 이론적 정당화는 일반적인 교육의 핵심 목표인 도덕성의 함양을 도덕교과가 그 목표로 명확히 가지고 있다는 점, 윤리학의 학문전통에 따라 도덕을 가르친다는 점, 도덕교과는 고유한 학문적 개념체계와 연구방법을 가졌다는 점, 도덕교과가 자유교육 사상의 핵심요소를 대표한다는 점을 기초로 성립된다. 도덕 교과의 실제적 정당화는 도덕교과가 다른 과목보다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필수적인 도덕적 가치를 탐구하도록 돕는다는 점, 그리고 현대와 미래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판단능력을 신장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성립된다. To be a Moral Teacher in Korea, answering to the question “Why is Moral Subject needed in School?” is most important. Justification of Moral subject is divided into two pha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Theoretical justification has 4 reasons: Moral Subject has the cor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ing morality”; Moral Subject is connected with the academic tradition of ethics; Moral Subject has independent academic identity as a school subject; Moral Subject is integrated to the ‘liberal education tradition’. Practical justification has 2 reasons: Moral Subject is more helpful to facilitate the ability of value inquiring and to foster the skill of moral judgment than any other school subjects.

      • KCI등재

        도덕과 교과교육학 정립을 위한 일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4

        도덕교육을 도덕교과를 통해 학교에서 실시할 때 그에 대한 좋은 평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바탕은 도덕교과교육학에 대한 관심과 그 발전에 대한 노력에서 시작 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교과 교육학의 정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도덕교과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직접적 통로로 도덕교과교육에 대한 시각전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의 분류에 있어서 철학이나 논리학 등과 다른 도덕교과영역의 차별성에 대해 설명하고, 도덕교과교육학이 발전하기 위해 견지해야 할 방향과 그에 따른 연구 분야의 확대에 관련된 요소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과에 대한 분류를 살펴보면 ‘윤리’ 혹은 ‘도덕’이라는 영역은 다른 영역에서 연구하기 힘든 독립된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즉, 철학이나 논리학 등 다른 학문분야의 연구방법으로는 탐구할 수 없는 고유한 자리를 가지고 있다. 한편, 교과교육학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 중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서 보면 교과교육학의 학적정립의 가능성은 매우 적어지게 된다. 도덕교과의 모학문이 철학 등과 같은 특정학문임을 주장하면서 그것의 배타적 위치를 도덕교과에 선점하려는 시도는 이러한 ‘좁은 의미의 교과교육학’적 시각에 매몰되어 나오는 주장에 불과하다. 도덕과 교과교육학은 내용과 연구방법의 학제성을 더욱 강조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른 학문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도덕과 교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일 것이다. To get concerns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progress Moral education in schools as well as moral education in general. The critical point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is the verification of the Moral as a school-subject in terms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school-subject classification, the realm of 'moral', which is different from 'logics' or 'philosophy', is surely existing. To progress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moral education should not accept 'the narrow perspective of the school-subject study,' but take a new perspective of that which is willingly including interdisciplinary methodologies. To identify moral as a school-subject and to take a new perspective on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would be a basis of the firm establishment of the Moral school-subject study.

      • KCI등재

        페스탈로치의 도덕교육 체계에 대한 연구

        정탁준 ( Tak Joon J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6

        페스탈로치는 평생을 고아와 빈민의 자녀를 위한 교육운동에 헌신한 스위스의 저명한 교육 운동가이다. 그런데,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가 도덕교육을 매우 중시했다는 사실은 그의 주요 저작들에 명확히 밝혀져 있다. 훌륭한 교육사상가의 이론들은 도덕과 교과교육학의 연구에 있어서 도덕과 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체제 구성에 귀중한 이정표가 될 뿐 아니라 도덕 교과의 정당화와 필요성 논의에 있어서도 설득력 있는 근거를 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사상가이면서도 실천가인 페스탈로치의 도덕교육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그의 저작들에는 그의 도덕교육에 대한 목표, 내용, 방법 등 여러 생각들이 두서없이 섞여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이유로 당시 교육을 비판하며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그의 도덕교육에 대한 생각들이 현대의 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체계가 정리되지 않아 빛을 보지 못한 면이 있다. 이 논문은 그의 도덕교육 사상의 체계를 원문에 근거해 성격과 목표, 내용, 방법으로 정리하여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체계화 하고 그에 따라 현대 한국의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페스탈로치가 생각한 도덕교육의 목표는 ‘자기절제와 인간에 대한 사랑을 통해 개인의 행복과 독립성을 추구하고 사회와 인류 발전에 기여하도록 돕는 것’이라 파악된다. 또한 그는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사랑의 의미와 특성, 사랑의 필요성에 대한 바른 견해, 또한 사랑의 실천에 도움을 주는 덕들 등 세 가지를 강조하고 있다. 도덕교육 방법의 측면에서 페스탈로치는 사랑을 가슴, 머리, 몸의 측면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가슴은 사랑이 가진 도덕적 정서의 측면이며, 머리는 사랑에 대한 깊은 이해의 측면이며, 몸은 사랑의 체득과 관련된 측면이다. 페스탈로치가 한국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 이다. 첫째, 페스탈로치의 도덕교육 중시 사상은 한국 도덕과 교육의 정당성을 강화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의 도덕과 교육의 교육과정은 페스탈로치의 ‘사랑’의 의미를 받아들여 국가교육과정의 내용요소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J. H. Pestalozzi, the aim of moral education is to help a student be a ``love-giving person`` who practices both self-control in individual aspect and love for mankind in social aspect. In other words, the ideal person of Pestalozzi``s moral education has autonomy and contributes to the welfare of mankind. The content of Pestalozzi``s moral education, that is what is to be taught to help students be good people, has three things: the meaning of love, the necessity of love to the society, the virtues needed for love-practice. The method of Pestalozzi``s moral education has three things: they are related to heart, head, and hand respectively. Cultivating love-feeling is connected to the heart, developing love-understanding is to the head, and achieving love-practicing through exertion is to the hand. Pestalozzi``s suggestions to the current Korean moral education are two things: first one is that Pestalozzi``s ``morality-priority in education`` idea can strengthen the justification of moral subject which is taught in Korean secondary schools. And second one is that Pestalozzi shows us good model of how to teach love in Korean moral subject because Pestalozzi``s meaning of love is not difficult but easy and friendly to th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기의 인지적 특성과 도덕교육적 함의

        정탁준 ( Jung Tak-joon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상상적 청중은 내 주위의 사람들이 나의 생각과 행동에 나만큼 관심을 가진다는 믿음이고 개인적 우화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특별하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둘은 모두 청소년 시기에 크게 발현된다. 따라서 상상적 청중과 개인적 우화의 믿음을 교사가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청소년기의 도덕적 정체성의 형성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이들은 도덕교육에 참고할 중요한 대상이 된다. 이러한 청소년은 사소한 일도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상처를 받을 수 도 있다. 교사는 우선 청소년이 가진 상상적 청중과 개인적 우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고민을 안고 있는 청소년에 대해 올바른 대우를 하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적절한 기회를 제공하려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학생들의 건전한 도덕적 정체성 형성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maginary Audience is the belief that “everyone around me has interested in my thoughts and behaviors as much as I do.” and Personal Fable is the belief that “my thoughts and behaviors are special.” These two beliefs are important to moral education because these two beliefs are influential to the formation of adolescents` moral self-identity.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in adolescents` lives, the good treating adolescents who has Imaginary audience and personal fable belief, and the proper offering of opportunities to share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become the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secure formation of moral self-identity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