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 연계 모델 중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희숙(Park Hee-Su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가정 연계 모델 중심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부모들의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천 정도는 어떠한지, 가정-유치원 간 연계를 위한 환경교육 방안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연계 모델 중심 환경교육 방안에 대한 부모의 인식으로 구성된 질문지 225부를 배부한 후 183부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필요성에 대한 의지 점수는 높은데 반해 환경보전 실천 정도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들은 가정-유치원간 연계에 기초한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연계 방법으로 ‘가정에서 유치원과 연계된 환경교육 활동하기’, ‘교사와 의사소통하기’를 ‘의사 결정하기’와 ‘자원봉사 활동하기’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offering basic data to connec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family-kindergarten links model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qu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how does parents' awareness and practices aff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parent's awareness about method of family-kindergarten link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83 parents who sent their children to kindergartens.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and research and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gather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believ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necessary and were very interested in the subject of environment. The par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high, but parents' practice for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s believed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family-kindergarten links was necessary. Also, parents preferred to do parenting, communicating, and learning at home rather than do volunteering, decision making, and collaborating with community. The conclusions found through this study regarding the parents' awareness and require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research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family-kindergarten links.

      • KCI등재

        명화감상에 기초한 유치원-가정 연계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Lee, Seon Kyung),최혜윤(Choi, Hye Yo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명화감상에 기초한 유치원-가정 연계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광역시에 위치한 B유치원과 C유치원 만 5세 유아 4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22명)과 비교집단(23명)에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2주 동안 명화감상에 기초한 유치원-가정 연계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동일한 명화를 감상한 후에 느낌과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그림감상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서의 차이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유치원-가정 연계활동은 작품에 대한 태도를 제외하고 그림감상능력 전반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화감상에 기초한 유치원-가정 연계활동은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그림유형에 관계없이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화면구성, 재료와 도구의 적절성 측면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내용의 적절성은 주제화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독창성은 자유화에서만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화를 감상하고 유치원과 가정이 연계하여 실시한 다양한 활동이 유아의 그림감상능력과 그림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on young children’s ability to appreciate and express drawings. For this, a total of 45 5-year-olds attending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22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with 23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for 12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old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into drawings after appreciating the same masterpieces during the same period. For data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tests on the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appreciate and express drawings was conducted. As the results, firstly, the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improved the overall ability to appreciate drawings except for the attitude toward works. Secondly, the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improved young children’s ability to express drawings. In each sub-category,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drawings,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spec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harmonious screen composition, and the appropriate use of materials and tools.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thematization, while the originalit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liberaliz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kindergarten-home connected activities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masterpieces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ability to appreciate and express drawings.

      • KCI등재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유영 ( Yoo Young Jeo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경험하며 부모가 인식한 변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D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의 부모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14주간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은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모의 언어교육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을 경험하며 부모가 인식한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놀이를 통한 언어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기존의 교육방식에 대한 반성이 이루어지며 언어교육에 대한 이해가 변화되었다. 또한 부모는 본 연구의 활동을 통해 자녀의 현재 수준과 능력에 대한 이해의 변화, 가족 현상의 변화, 유치원 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변화를 인식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home links language activities on parents` attitude toward language education quantitatively and to analyze the changes that parents recognized qualitatively. The samples were 62 five-year-old children`s parents at ‘D’ kindergarten in Guri, Gyeonggi-d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14 weeks kindergarten-home links language activities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and implemented these activities between 2010/04/12 and 2010/07/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ost-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he score of parents` attitude toward language education. 2. The changes that parents recognized through these activities were the changes of understanding of language education,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phenomenon of family, and understanding of kindergarten program.

      • KCI등재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

        이대규 ( Dae Kyun Lee ),이아름 ( A Reum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치원과 가정 간의 연계지도를 위해 마련된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이야기를 분석해 봄으로써, 유치원에서 가정과의 연계교육을 시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A유치원에서 2012년과 2013년에 작성되었던 가정연계 발달기록부 300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연계 발달기록부에 나타난 학부모의 반응은 담임교사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의 바램과 담임교사에 대한 고마움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먼저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바램은 첫째, 거부감 없는 등원, 둘째, 원만한 친구관계의 형성 및 유지, 셋째, 문제행동의 수정, 넷째, 기본적인 학습태도 형성, 다섯째, 인성의 기초 형성으로 나타났으며,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고마움은 첫째, 유아들의 즐거운 유치원 생활, 둘째, 유아와 선생님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 셋째, 교사의 세심한 배려, 넷째, 유아의 성장과 발전, 다섯째, 유아의 학업적 측면에서의 성취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development notebook which was monthly delivered to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 ways to support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kindergarten and fami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kindergarten development notebooks for kindergarten children aged 3-5. As the parent’s demand, the first was adaptability to kindergarten. Second was the friend relationship. Third was the guidance for problem behavior. Fourth was the basic learning attitude. Fifth was the bringing up of human nature. As the parent’s gratitude, first was enjoying their kindergarten life. Second was to be loved by kindergarten teacher. Third was the kindness of kindergarten teacher. Fourth was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ir children. Fifth was academic accomplishment of their children.

      • KCI등재

        생태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희연(Kim, Hee-Youn),이문옥(Lee, Moo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생태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연구에 참여하게 하여 10주간 생태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환경친화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실험이 진행되면서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태도가 내면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태동화를 활용한 유치원-가정연계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indergarten-home cooperated ecology storybook-related activities on kindergarte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behavio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kindergarten-home cooperated ecology storybook-related activities on kindergarte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2. What are the changes in kindergarte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6 5-year-old children(28 for the experimental group, 28 for the control group) of two classes at J kindergarten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kindergarten-home cooperated ecology storybook-related activities for 10 weeks from April 28, 2011 to July 6, 2011. The control group followed the regular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higher on eco-friendly attitudes than the control group. The kindergarten-home cooperated ecology storybook-related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kindergarten children’s eco-friendly attitudes. Second,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havioral changes as the experiment went on. They had little interest in natural environment in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nd were lacking the images of protecting environment or saving natural resource. However, they demonstrated their love and interest in saving and protecting nature and environment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They also began paying attention to keeping and making clean environment.

      • KCI등재

        숲-유치원-가정이 연계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유아 창의·인성 활동의 개발 및 적용

        서희전 ( Suh Heej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숲-유치원-가정이 연계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유아의 창의·인성 활동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유아의 정서지능, 사회적 유능감, 창의성,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의 만 4세반 유아 7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개 반(39명), 비교집단 2개 반(37명)으로 구분하고 숲체험 창의·인성교육을 주 1회, 총 20주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지능 검사, 사회적 유능감 검사, 창의성 검사, 환경친화적 태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숲체험 스마트 창의·인성 활동이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친 효과를 보면 실헙집단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유능감이 각각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숲체험 스마트 창의·인성 활동이 창의성에 미친 효과를 보면 전체 평균점수에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하위요소인 독창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숲체험 창의·인성 교육 활동이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친 효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환경친화적 태도가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숲체험 스마트 창의·인성 교수·학습 방법으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유치원-가정이 연계한 체험학습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e, creativity,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ttitude in forest, kindergarten, and family integrated smart learning environment.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76 children of age 4 in G kindergarten located B city. Research instruments were an emotional intelligence checklist,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Figural), and CATES-PV(Children 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From April to August, 2015,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activities in forest, kindergarten, and family integrated smart learning environment. Results for this study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verall score of creativity. However, originality score, one of sub-abilities of crea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ird, a environmental-friendly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used in the field as forest experience and smart learning based creativity and charact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y can be also used as a basic data for designing educational methods of experiential learning integrating community, kindergarten and family activity.

      • KCI등재후보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

        채영란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 세 유아 부모 223명으로 경제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연구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및 x2 검증, t-test, ANOVA, Schéffe 추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부모들은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 으며, 그 이유로는 ‘경제에 대한 올바른 태도 형성’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경제교육이 적절한 연령은 만 5세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경제교육을 실시 하고 있었으며, 가정에서 경제교육을 담당하는 사람은 어머니가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뿐 만 아니라 유아경제교육 실시에 있어 부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아경제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parents' percepti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rvey for parents' percepti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17-item inventory were researched to 232 parent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x2 verifi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feel keenly the necessity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y answered that young children must get a economic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good habits about economic'.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s most pertinent to 5-year-old children. Most parents are content with economic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they have educate economic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at home. And parents want parental education to teach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