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변성 결정기반 BPM 생성을 위한 가변성 의존관계 분석

        문미경,Moon, Mi-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6 No.5

        최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맞게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재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패밀리 모델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이 제시되었다. BPFM은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방법의 가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군 (family)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을 분석하여 이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모델이다. BPFM으로부터 여러 개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Business Process Model: BPM)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변성 결정 및 가지치기(Decision and Pruning)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때 가변성 사이에는 서로 협력적 또는 배타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고 이는 가변성 결정과 가지치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 제시된 BPFM에는 이러한 바인딩 정보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군에서 식별될 수 있는 가변성들 사이의 의존관계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가변성 정보를 독립된 의존관계 분석모델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추출된 모델을 기반으로 하나의 가변성 결정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다른 가변성들을 추적하여 선결정 처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가변성 결정회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잘못된 가변성 결정으로 인한 BPM의 기능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음을 사례연구를 통해 보인다. Recently, the business process family model (BPFM), which is new approachfor assuring businessflexibility and enhancing reuse in application development with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was proposed. The BPFM is a model which can explicitly represent the variabilities in business process family by using the variability analysis method of software product line. Many business process models (BPM) can be generated automatically through decision and pruning processes from BPFM. At this time, the variabilities tend to have inclusive or exclusive dependencies between them. This affects the decision and pruning processes. So far,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binding information of variability dependency in the BPF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analyzing various types of dependency relationships between variabilities and representing the variability and their relationships as a dependency analysis model. Additionally, a method which can trace the variabilities affected by a decision on the dependency analysis model is presented.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helps to reduce the number of variability decision and to solve a disagreement of functions in BPM produced by incorrectly deciding the variability.

      • KCI등재

        도메인 핵심자산의 가변성 분석을 위한 2차원적 접근방법

        문미경(Mikyeong Moon),채흥석(Heung Seok Chae),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6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활동들을 미리 계획하고 개발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 공학이다. 이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된 시스템들, 즉 도메인에서 공통성과 가변성(commonality and Variability: C&V)을 분석하는 일이다. 재사용가능 항목들은 분석된 C&V를 명시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자산이 된다. 이러한 핵심자산들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각기 다른 단계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표현요소들의 추상화 수준이 다르며 이로 인해 각 핵심 자산이 가지고 있는 가변성 또한 각기 다른 수준에서 각기 다른 유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핵심자산의 C&V 분석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핵심자산의 구분 없이 일관되게 가변성을 분석하였으며, 공통성과 가변성 식별을 단지 개발자의 직관이나 도메인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핵심자산의 가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적 측면과 수평적 측면으로 나누어 접근해가는 2차원적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수평적 접근 방법은 개발 프로세스의 각기 다른 단계에서 산출되는 요구사항, 아키텍처, 컴포넌트의 수준에서 가변성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고, 수직적 접근 방법은 가변성의 상세화 정도에 따라 공통성을 식별하는 수준과 가변점을 상세화하는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2차원적 가변성 분석접근 방법은 핵심자산들의 가변성이 서로 연관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며, 핵심자산의 재사용 활동이 끊어짐 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is a method that prepares for the future reuse and supports to seamless reuse in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Commonality and variability play central roles in all product line development processes. Reusable assets will become core assets by explicitly representing C&V. Indeed, the variabilities that are identified at each phase of core assets development have different levels of abstraction. In the past, these variabilities have been handled in an implicit manner and without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re assets. In addition, previous approaches have depended on the experience and intuition of a domain expert to recogniz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In this paper, we suggest a 2-dimensional analyzing method that analyzes the variabilities of core assets in software product line. In horizontal analysis process, the variation types are analyzed in requirements, architecture, and component that are produced at each phase of development process. In vertical analysis process, variations are analyzed in different abstract levels, in which the region of commonality is identified and the variation points are refined. By this method, the traceability of variations between core assets will be possible and core assets can be reused seamlessly.

      • KCI등재후보

        온톨로지 기반 컴포넌트 가변성 처리 기법

        김정아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09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6 No.5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위해 가변성을 식별하고 가변성 처리 기법을 정의하여 컴포넌트를 설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개발한 컴포넌트 역시, 가변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하고 구현하였다면,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없다. 즉, 구현 기술이 핵심이기 보다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설계 개념이 재사용성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덕트 라인에서 재사용 가능한 핵심자산의 가변성을 처리하기 위하여 온톨로지 개념을 도입하였다. 온톨로지 개념으로 컴포넌트의 가변적 특성인 속성의 가변성, 인터페이스의 가변성, 구현의 가변성을 정의하고 처리할 수 있는 아키텍처와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보험 상품 시스템에 제안한 아키텍처 및 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온톨로지 기반 가변성 처리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서 가변성 분석을 통한 도메인 아키텍처 개발 방법

        문미경(Mikyeong Moon),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4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을 구축하고자 할 때, 첫 단계 활동은 도메인 분석을 통해 요구사항들에서 가변성을 식별하는 것이고, 다음 단계는 일련의 관련된 프로덕트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메인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메인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 라인에 포함되어 있는 프로덕트들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기술함으로써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자산이 된다. 핵심자산의 가변성은 개발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식별될 수 있는 가변 요소의 종류와 상세화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아키텍처 수준에서 식별될 수 있는 가변성을 정의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식별하여 아키텍처 모델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키텍처 수준에서 고려해야 하는 가변성은 아키텍처 구성 요소들에서 발생하는 가변성뿐만 아니라 이들의 구성(configuration) 관계를 나타내는 모델에서 나타나는 가변성들까지 고려해야 하기때문에, 이들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며 이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통성과 가변성이 명시적으로 고려되는 프로덕트 라인의 핵심 자산으로서 도메인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최근 Object Management Group(OMG)에서 채택한 재사용 자산 명세(Reusable Asset Specification; RAS) 모델을 확장하여 공통성과 가변성 개념이 명확히 정의된 도메인 아키텍처 메타모델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메타모델에는 아키텍처의 구성요소들이 정의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와 모델에서 식별 될 수 있는 가변성이 상세화 수준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메타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도메인에 대한 아키텍처에 가변성이 명시적으로 표현되는 방법을 보인다. When the decision to initiate a software product line has been taken, the first step is the domain analysis describing the variability in the requirements, the second important step is the definition of a domain architecture that captures the overall structure of a series of closely related products. A domain architecture can be a core asset in product line by describing the commonalities and variabilities of the products contained in the software product line. The variabilities, which are identified at each phase of the core assets development, are diverse in the level of abstr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learly define, systematically identify, and explicitly represent variability at the architectural lev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represent the variability which should be considered at the architecture level, because these may be appeared in architecture elements and in architecture configur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developing domain architecture as a core asset in product line wher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are explicitly considered. First of all, we will describe a domain architecture metamodel that can explicitly defin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concepts by extending the Object Management Group's (OMG™) Reusable Asset Specification (RAS) model. Using the domain architecture metamodel, architecture elements are defined and the variations that can be identified at the architecture level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according to abstract level. Additionally, we describe a domain architecture wher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are explicitly considered on basis of this metamodel.

      • 컴포넌트 가변성 유형 및 Scope에 대한 정형적 모델

        소동섭,신규석,김수동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5

        시스템 개발 시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개발 비용과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이 산업계에서 보편화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표적인 CBD는 한 회사나 하나의 어플리케이tus에 의존적인 컴포넌트를 개발하고 있다[1,2]. 따라서 어떤 도메인의 여러 패밀리에서 컴포넌트를 재사용하기 위한 컴포넌트 가변성이 강조 되고 있다. 하지만, 컴포넌트 가변성의 정의나 유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된 연구가 미흡하여, 컴포넌트의 주 목적인 재사용 측면보다. 유지보수 목적의 컴포넌트가 개발되고 있다[3].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컴포넌트 특징을 반영한 컴포넌트 가변성을 정형적으로 정의한다. 또한, 기존의 컴포넌트 가변성으로 인식된 논리 가변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추가로 3가지 가변성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컴포넌트에서 존재하는 모든 가변성 유형을 제시한다. 컴포넌트 커스터마이제이션시에 가변성의 경우의 수를 예측, 확인 할 수 있는 컴포넌트 가변성 Scope를 제시한다. 컴포넌트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여러 패밀리 멤버에서 재사용 할 수 있는 고품질의 컴포넌트 개발을 지원 할 수 있다. Component-based development(CBD) has been generalized in industry to master the complexity and reduce the development cost and time. However, current CBD practice is developing the component which is dependent on single application[l][2]. Therefore component variability is emphasized to reuse the component in many family members in a domain[8]. However, components are developed for the reason of replaceability rather than the reusability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component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he study of component variability definition and type[3]. In this paper, we formally specify the component variabilit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 to increase the component reusability. We define the logic variability which was recognized as the existing component variability and we propose all types of variability existing in the component by suggesting three more variability types. And we propose the component variability scope which makes us estimate and verify the number of cases of the variability when we customize the component. We propose these component variability types and scope through formal specification. By applying these techniques in developing components, we can develop high quality components reusable in many family members.

      • KCI등재

        언어의 가변성과 비제어 다양체 분석

        남호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1

        A primary complication in linguistic studies is the high degree of variability observed in various aspects of languages. Excessive variability leads to failure to communicate (e.g. caused by overlap in phonemic categories). Lack of variability, on the other hand, can lead to excessive control, which can in turn lead to disfluency. A middle range of variability is not only benign but has been shown in several domains to provide flexibility that supports adaptation to novel circumstances. Although the studies that have begun to separate these kinds of variability have been performed in diverse domains, little has been done in languages. This study proposes to take advantage of advances in nonlinear dynamic systems analysis to partition non-structured variability into two classes: benign flexibility and destructive noise. We rely on two complementary approaches for quantifying flexibility. The method identifies those dimensions within a task space that affect the success of the task (the controlled manifold or CM) as well as those that vary without affecting the success of the task (the UCM). 언어 연구의 주요 난제는 언어의 다양한 면에서 관찰되는 높은 가변성 때문이다. 과도한 가변성은 (예를 들어음소 중복과 같은 현상때문에) 의사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반면, 가변성이 부족하면 과도한 통제로 인하여능숙하지 못하게 된다. 중간 정도의 가변성은 적절할 뿐 아니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하는 유연성을보장해 준다.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가변성을 분리하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언어 연구에는 거의 시도되지 않고있다. 본 연구는 비선형 역학 시스템 분석에서의 최신 연구를 이용하여 가변성을 좋은 가변성과 나쁜 가변성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분석 방법을 통하여 가변성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한다. 즉, 과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인 제어 다양체 공간과, 과제의 성공과는 무관한 공간인 비제어 다양체 공간으로 구분한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라인 가변성 기술 기법: OV이

        이지현 ( Ji Hyun Lee ),강성원 ( Sung Won K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1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라인에서 가변성은 프로덕트라인의 멤버제품들을 차별화하는 특성으로, 가변성의 기술은 의미가 명확하고 선택이 용이 하도록 가시화되어야 하며 관리하기 용이하여야 한다. 가변성 기술은 크게 개발 모델에 통합하는 방법과 개발 모델과는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OVDL (Orthogonal Variability Description Language)은 독립적 가변성 기술 방법이면서 타 방법들의 가지는 의미의 모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가변성 표현 언어이다. 이 논문은 독립적 가변성 기술 방법의 기반을 제공한 OVM (Orthogonal Variability Model)으로 기술된 IWF (Inter-Working Function) 프로덕트라인의 가변성이 OVDL로 번역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OVDL의 가변성 기술 역량을 검증한다. Variability of the software product line that differentiates member products within a product line must be described with precise meaning and visualized so as easy to select. Moreover, it should be easy to manage. Variability description approaches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wo approaches, integrated variability description approach and orthogonal variability description approach. Orthogonal Variability Description Language (OVDL) was developed for clear and precise description of variability without ambiguity. This paper validates the variability description capability of OVDL by translating the variability models of Inter-Working Function (IWF) product line described by using Orthogonal Variability Model (OVM) notations into variability descriptions in OVDL.

      • KCI등재

        가변성을 고려하는 VENTOS 기반 군집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김영재 ( Youngjae Kim ),홍장의 ( Jang-eui H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2

        군집주행은 여러 대의 자율 주행 차량이 통신을 사용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하며 하나의 군집을 이루어 주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군집주행 기술은 더 좁은 차량 간 간격을 유지하며 주행함으로써 도로의 통행량 증대, 에너지 소비 및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군집주행의 좁은 차량 간 간격은 긴급한 사고 발생 시 대처를 더 어렵게 만들며, 이에 따라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군집주행의 안전성을 보장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특히 주행 중 나타날 수 있는 가변성은 군집주행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성은 발생 예측이 어렵고, 재현이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가변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방지하는 안전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주행 중에 생겨날 수 있는 가변성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가변성을 고려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가변성을 핸들링할 수 있는 안전 대책을 고안, 적용하였으며, 또한 오픈소스 군집주행 시뮬레이터인 VENTOS를 확장하여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변성으로 인한 군집주행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군집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제시하는 가변성 대응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군집주행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In platoon driving, several autonomous vehicles communicat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drive in a single cluster. The platooning technology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increasing road traffic,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pollutant emission by driving in short distance between vehicles. However, the short distance makes it more difficult to cope with an emergency accident,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fety of platoon driving, which must be secured. In particular, the unexpected situation, i.e., variability that may appear during driving can adversely affect the safety of platoon driving. Because such variability is difficult to predict and reproduce, preparing safety guards to prevent risks arising from variability is a challenging work. In this paper, we studied a simulation method to avoid the risk due to the variability that may occur while platoon driving. In order to simulate safe platoon driving, we develop diverse scenarios considering the variability, design and apply safety guards to handle the variability, and extends the detail functions of VENTOS, an open source platooning simulator.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we have confirmed that the risks caused form the variability can be removed, and safe platoon driving is possible. We believe that our simulation approach will contribute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o ensure safety in platoon driving.

      • KCI등재후보

        가변성을 적용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욱 ( Jinwook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 농촌거주 구성원의 다양화와 이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인해 농촌지역 정주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직업군의 구성원 증가와 귀농, 귀촌 가구의 증가에 따라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조건 또한 다양하게 되었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농촌주택 표준설계도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여건들을 수용하도록 다양한 유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설계도가 아무리 선택 가능성의 범위를 넓혔다고 하더라도 모든 상황들을 수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주택에 적용가능한 가변성의 유형과 계획 방법 등의 분석과 함께 가변성을 적용한 기존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계획 특성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발되는 표준설계도의 실질적인 적용성과 보급 확대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먼저 이전의 연구들을 통하여 주거공간에서 적용가능한 가변성의 유형에 대하여 분석한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건축될 수 있는 단독주택이 가지는 건축여건들을 반영하여 건축물의 내외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변성에대해 모두 분석한다. 다음으로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에 나타난 가변성의 사례들을 조사하여 적용되고 있는 가변성의 현 상황을 분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표준설계도에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변성의 계획 방식을 분석하도록 한다. (결과)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에 적용 가능한 가변 기법은 ‘선택형 가변’과 ‘변화형 가변’으로 구분한다. 선택형 가변은 계획 수립 단계에서 제시된 가변 기법들을 검토하여 선택하는 형식이며, 변화형 가변은 사용 중에 발생하는 변화에 대응하여 필요한 가변 기법을 도입하여 주거공간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둘째, 가변의 범위는 외적 가변과 내적 가변으로 구분하며, 가변의 방식은 확장, 전환, 다기능으로 구분한다. 셋째, 가변 기법들 중 공사의 양이 많고 구조적인 부분들과 관련된 것들은 최초 계획시 선택형 가변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적 범위에서 실들간의 간단한 통합과 분리 정도의 수준이라면 사용 후 변경도 용이하다. 넷째, 최근 보급된 표준설계도는 가변 기법들이 대부분 적용되어 있지만, 비교적 간단한 기법들만 적용되어 있어 사용자들의 다양한 여건들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결론)농촌주택 표준설계도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활용되어지므로 앞으로 표준설계도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양한 가변기법들이 도입되어야 한다. 특히 현재 사용되지 않지만 과거에 보급되었던 표준설계도의 기법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 내용들을 수정하여 도입할 필요가 있다. 표준설계도의 가변성은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 후 변경 가능성을 확보하여 표준설계도의 보급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modern rural areas is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of the diversification of members and the accompanying change of their lifestyle. The requirements for living spaces are diversified with an increase of members who have diverse occupations and return to farms and rural areas. Various types of standard rural house designs are considered acceptable for current residents’ diverse situations. However, the range of possibilities for the selection of standard designs has widen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 plan, and flexibility of rural houses and to analyze the flexibility applied to characteristics of standard rural house design in order to improve applicability and extended dissemination of future standard rural house designs. (Method) Initially,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research on types of flexible living spaces. In particular, interior and exterior flexibility were analyzed, reflecting the architectural conditions of rural detached houses. Next, case studies of the present conditions of flexibility applied to standard rural house design were analyzed. This analysis suggested real, applicable flexibility methods for standard design. (Resul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exibility methods for standard rural house design were classified as “selective flexibility”or“changeable flexibility.” Selective flexibility is based on alternative flexible methods chosen in the planning period, and changeable flexibility changes a living space with alternative flexible methods in the use period. Second, the range of flexibility was classified as internal or external flexibility, and the form of flexibility was classified as expansibility, convertibility, or versatility. Third, flexibility methods that create large quantity and structural problems during construction preferably have selective flexibility in the planning period. Simple integration and separation of interior rooms is easy to do in the use period. Fourth, most recent standard designs have a flexibility method, but the simplicity of this method cannot satisfy users’ diverse situations. (Conclusions)Standard rural house design must have a diverse flexibility method for improvement of applicability. In particular, the previous methods, which are not currently in use, have to be considered, modified, and then imposed. The flexibility of standard rural house design providesa wider range of selection and change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xtended dissemination of future standard designs.

      • KCI등재

        OVM 중심 가변성 추적 방법에 대한 효용성 검증

        이지현(Jihyun Lee),황선명(Sunmyung Hwa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5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0 No.3

        추적성은 이해당사자들이 변경으로 인한 산출물들 간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단일 제품 개발과 달리 제품군(群)을 대상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덕트라인은 도메인 공학과 어플리케이션 공학의 두 개발 라이프사이클이 있으면서, 가변성과 두 라이프사이클 간의 추적성을 유지하고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그 복잡도가 매우 높다. 이에 개발 산출물과 별도로 가변성을 관리하는 직교적 가변성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가변성 추적성 유지 방법이 개념적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이 소프트웨어 제품라인에서 필요로 하는 추적성을 모두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직교적 가변성 모델을 중심으로 하는 추적성 유지, 관리 방법이 필요한 추적성을 모두 지원하는지 예제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OVM 중심 가변성 추적 방법은 변경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산출물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그렇지만, 변경으로 인해 실제영향을 받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산출물들을 추적하지는 못했다. Traceability targets provision of information to stakeholders required for analyzing impacts among artifacts due to changes. Unlike single product development, in software product line developing the family of products the complexity of maintaining and managing traceability between two life cycles, domain and application engineering is so high. Accordingly, variability traceability management approach centred on orthogonal variability model that manages variability separated from development artifacts has been conceptually proposed, but its efficiency has not verified yet. This paper verifies whether orthogonal variability model based traceability can provide required traceability through an example. As the results, the OVM-based variability tracing method supports well to narrow down artifacts affected by the changes. However, the method does not support tracing the exact artifacts or exact part of an artifact affected by th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