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말 세종지역 의병의 항일투쟁

        김상기(Kim, Sang-ki)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1905년 을사늑약에 항의하여 세종 출신인 곽한소는 노성 궐리사에서의 유림 집회에 참여하고 최익현의 거의를 위해 노력하였다. 세종지역에서는 1907년 8월 군대해산 이후 비로소 의병의 활동이 나타난다. 세종지역 의병은 공주와 연기, 전의 지역의 산림지역을 근거지로 삼고 일제의 추격을 피하면서 기민한 작전으로 전과를 올렸다. 이 시기 대표적인 의병 활동으로는 1907년 9월에 있었던 소정리역 급습사건이 있는데, 기차 역을 습격하고 역사를 소각한 것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이후 세종지역에서의 의병 활동은 대평리 남쪽, 전의 서북쪽, 장척면 대교시장 일대, 북면 동리 등지에서 일어났다. 세종 지역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의병장으로는 林大洙가 있다. 송담리 출신인 그는 權正南, 林士日과 함께 의병을 봉기하고 연기, 공주일대에서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전투로는 1907년 11월 7일 있었던 복룡전투를 들 수 있다. 임대수 의병으로 보이는 의병 30여명이 남면분파소를 습격하고 난 뒤 조치원에서 추격해 온 일본군 수비대와 경찰대의 연합부대와 복룡 일대에서 전투를 벌였다. 임대수와 권정남, 임사일 등은 이후에도 전의, 연기, 공주는 물론 천안, 청주, 문의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임대수 등은 1911년 6월 공주의 의당면 태산리에서 일본 기마대의 공격을 받고 피살되었다. 이들 외에도 세종출신의 의병으로 월하리 출신의 안광조가 있다. 그는 1907년 채응언의병대에 들어가 황해도와 평안도 일대에서 1915년까지 활동하였다. 그는 1915년 채응언이 체포된 후에 은신생활을 하다가 1919년 체포되어 평양지방법원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1920년 순국하였다. 세종지역 의병 활동은 비록 비교적 늦은 시기인 1907년 이후 봉기하였으며, 대규모의 항전으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이는 교통의 요지로 일본군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임대수의병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치열한 항일전을 전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Anti-Japanese struggle of Righteous army in Sejong area began to take action after Korean army was forced to disband by Japanese imperialism in August 1907. The Righteous army in Sejong area achieved a brilliant success in battle with agile military operations while avoiding the pursuit of the Japanese army on the basis of the forests of Gongju(公州), Yeongi(燕岐), Jeon-ui(全義) area.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ti-Japanese struggle by Righteous army during this period was the raid on the Sojeong-ri station in September 1907. Since then, Righteous army activities in Sejong area has occurred in the south of Daepyeong-ri and the northwest of Jeon-ui, and the Daegyo market in Jangcheok-myeon. Lim Dae-su(林大洙)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leader of Righteous army in Sejong area. He was from Songdam-ri, where he played a role in the Yeongi and Gongju area with Kwon Jeong-Nam and Im sa-Il. One of their most typical battles is the Bokryong battle, which took place on November 7, 1907. When around 30 Righteous armies led by Lim Dae-su were preparing to attack Japanese police station on the Nam-meon of Yeongi-gun, the Japanese army garrisons chasing them from Jochiwon(鳥致院) attacked and fought in Bokryong area. Even after that, Lim Dae-su kept active with Kwon Jeong-Nam and Im sa-Il in Cheonan, Cheongju, However, Lim Dae-su and others were killed in June 1911 when attacked by Japanese armed cavalry in Taesan-ri of Euidang-myeon, The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in Sejong area were not up to large-scale struggle. This might be related to the Japanese military garrison stationed in Jochiwon which was the main point of traffic. However, as can be seen from Lim Dae-su’s Righteous army, local residents actively participated and developed a fierce anti-Japanese war.

      • KCI등재

        임진왜란기 구미 지역의 사족 동향과 의병 활동

        박인호(朴仁鎬)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현재의 구미시를 구성하고 있는 옛 군현인 선산과 인동지역에서 일어났던 임진왜란기 의병 활동을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우선 지역 사족들이 임진왜란 직전 당시 정세를 어떻게 보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 선산과 인동 지방관들의 초기 대응을 간략히 살펴본 다음 지역 사족들에 의해 이루어진 의병 활동을 살펴보았다. 1592년 4월 14일 부산포를 시작으로 22일 인동과 24일 선산을 점령하여 이듬해 5월 완전히 철수할 때까지 오늘날의 구미 지역은 일본군의 점령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 시기 선산부사 정경달丁景達과 인동현감 조첨趙詹이 주도한 관군의 항전이 있었으나 선산과 인동에는 자발적으로 일어난 의병도 있었다. 당시 의병은 창졸간에 무너진 관군을 대신하여 이듬해인 1593년까지 주로 활동하였다. 선산과 인동은 일본군이 직접 주둔하였던 곳이었기 때문에 읍내에서 벗어나 금오산, 해평, 장천과 천생산, 약목 등과 같은 외곽 지역에서 의병이 일어났다. 선산 지역의 경우 해평에 근거를 둔 노경임 최현, 금오산에 근거를 둔 고한운 등이 의병을 주도하였으며, 상주의 김각金覺의진과 연계되어 있었다. 반면에 인동 지역의 경우 인동에 근거를 둔 장제원 장내범, 군위에 근거를 둔 이보와 장사진 등이 의병을 주도하였으며, 안동의 김해金垓 의진과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해평의 경우 길운득 박수일 등이 의병을 주도하였는데, 낙동강으로 인해 교통에 어려움이 있어 선산부의 서쪽 무을 연악산에 기반을 둔 정경달의 관군이나 금오산에 기반을 둔 선산 의병보다 안동의 김해 의진과 소통하고 있었다. 당시 선산과 인동 의병이 직면하고 있던 상황은 쉽지 않았다. 군기가 상시적 부족하였으며, 훈련되지 않은 병사들로 의병을 일으켰기 때문에 전투 능력이 그다지 강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선산과 인동은 경북의 남북부를 오르내리는 교통로의 중심지에 있었으므로 이 지역에서의 의병 전투는 일본군의 전력을 분산시킨 효과는 분명히 있었다. 또한 선산의 안강노씨 · 밀양박씨 · 전주최씨 · 해평길씨 · 안동고씨 · 신천강씨 · 덕수이씨와 인동의 인동장씨 등 당시 선산과 인동 지역을 대표하는 사족들의 임진왜란 의병 참여는 후일 지역 사회에서 사족으로서의 지배체제를 유지하고, 지배집단으로서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강원도 영서지역소재 의병관련 고서ㆍ고문서자료 연구

        嚴燦鎬(Eom Chan-Ho)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강원의병은 전항쟁기간에 걸쳐 그 규모로 보아 가장 끈질기게, 가장 오랫동안 내외에서 의병항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강원도지방의 의병항쟁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중앙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강원도 각 지역의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기존의 연구들도 춘천ㆍ원주ㆍ강릉의 몇몇 의병장들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일부의병장에게 연구가 집중되는 현상으로 보이고 있으며, 여타의 의병장이나 의병들의 항쟁에 대해서는 간략히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강원지방의 자료들이 정리되고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나 아직 자료의 수집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뿐더러 기존 수집자료도 연구자들이 접근하기 쉽게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br/> 현재 조사 정리된 강원지방 의병문서의 성격을 살펴보면 우선 자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간찰을 통해 한말 강원도 의병항쟁의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던 화서학파의 학맥과 이들의 의병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간찰의 상당수가 발신자와 수신자가 불분명하거나 생성된 연도를 알수 없고, 내용도 을미의병 이전의 것과 일제강점 이후의 것이어서 강원의 병항쟁의 직접적인 전개양상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br/> 다음으로 이들의 사상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강원도 의병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볼 수 있다. 곧 강원도 의병은 외세의 침략에 직면하여 소중화적 위정척사론을 견지하고 있던 화서학파의 유림들이 의병항쟁을 주도하였는데, 그들은 서세의 등장을 경계하여 존화양이의 수구적인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으나 일제의 침략에 따른 국권의 위기의식 속에서는 거의소청에 앞장서 항일 구국투쟁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화서학파의 위정척사 사상이 단순히 옛것을 지키고 중화주의적인 사대사상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자하는 실천의식에서 발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br/> 마지막으로 안사람의병가를 비롯한 여성들의 의병항쟁에서의 역할과 의병가사문학을 살펴볼 수 있다. 윤희순은 유교윤리에 묶여있던 조선말 안사람으로 가정내에 안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나서 의병의식을 고취하는 등 안사람들을 독려하여 의병활동에 나서게 하였다. 아울러 고병정가 사나 윤희순의 의병가는 의병가사문학 및 한글 가사문학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Saw over total resistance periods to the scale, and Gangwon patriotic soldier put for the longest time most steadfastly on a display of a patriotic soldier resistance in the inside and outside. However, a researcher is short about the rewards which until now a researcher is proceeded mainly the central data with bases the existing study about a patriotic soldier resistance of Gangwon-do country, and is concrete of a region each Gangwon-do yet. The existing study are looking by the phenomena that a researcher is proceeded a few patriotic soldier chapters to the centers, and is concentrated a researcher on some patriotic soldier chapters of ChuncheonㆍWonjuㆍGangReung, and be briefly treated about other patriotic soldier chapter or a resistance of patriotic soldiers. Data of Gangwon country are arranged, and must be studi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but a collection of data is not made well, and the existing collection data cannot be arranged yet so that researchers are accessible.<br/> Currently can grasp HwaSeoHakPa(華西學派) forming stream to be large of a patriotic soldier resistance of Gangwon-do of the Chosun Dynasty final stage through a letter which occupies the majority of preference data if we watch character of the Gangwon country patriotic soldier document which investigate, and was arranged and their patriotic soldier smoke pipe anger. However, the sender and a recipient are indistinct, or a number of a letter cannot know a year generated, and be thing of before EulMiUiByeong(乙未義兵) and Japanese Empire strength this kindness things, and there is a limit in grasping with a spread aspect direct of a Gangwon patriotic soldier resistance contents.<br/> Understand stream, and can look into enemy background of Gangwon-do patriotic soldier of them by the followings in history in history. Faced aggression of the influence abroad, and they for Confucians of HwaSeoHakPa adhering to WiJeongCheokSa(衛正斥邪) of small China to have led a patriotic soldier resistance watched an emergence of West empire, and Gangwon-do patriotic soldier soon was adhering to a will keep old thing attitude of JonHwaYangI(尊華攘夷), but almost led a request in crisis consciousness of national sovereignty along aggression of the Japanese Empire, and put on a display of the fight that will calculate a country which was a port.<br/> Finally, can look into role and patriotic soldier words literature in patriotic soldier resistances of the women which originated from to AnSaRamUiByeongGa(안사람의병가). YunHuiSun(尹熙順) let encouraged back wives did not live in peace in Confucianism ethics to be hawks shipbuilding language wipe among homes, and left positively, and to inspire patriotic soldier consciousness in, and patriotic soldier activity leave. And GoByeongJeongGaSa (告兵丁歌辭)ㆍUiByeongGa(義兵歌) of YunHuiSun is becoming important data to study of patriotic soldier words literature and literature domestic Korean.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 나타난 의병서술의 관점과 의미 -민용호의 의병운동을 중심으로-

        유현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The Righteous Army movement, which took place between 1895 and 1907, is described as a history of nationwide protes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within several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ase of the first righteous army, direct incidents such as the Eulmi Incident (murder of Queen Min) and the Danbal Decree (order to cut Korean male’s traditional topknot) were causal, and after that, national outrage and resentment arising from relations with Japan such as the Treaty of 1907 and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of 1905 were identified as the main causes of the uprising. However, in textbooks there has been an oversimplific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righteous army uprising that took place simultaneously in various places across the country. Textbooks tend to regard the righteous army movement using the modifiers "national," and "patriotic," and in detail, even the lower class participated. In particular, the weight of the "righteous army" in the popular imagination was also a motivation to simplify the historical explanation of the righteous army. From this point of view, Min Yong-ho's uprising has many implications and giv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uprising of the righteous army and its cause in a more diverse way. However, since textbooks do not explain the detailed driving force behind the uprising under the catch phrases of "national" and "opposite Western," there is a major concern that it will foster an inaccurat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how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had been taking place since the existing changes, reforms, and opening of ports, led to the righteous army uprising. There were activities of the righteous army based on 'Obedience' and 'Righteousness', but the actual troops that occupied the main force of the righteous army consisted of various kinds of people who did not stand on these Confucian concepts. It was necessary to mobilize armed force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ake a more specific approach to move systematically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Min Yong-ho's private records of his experiences about the uprising are expected to provide a more diverse perspective on the righteous army even if some problems have been found in terms of reliability. however, we must scrutinize it to separate exaggeration from historical accuracy. 박은식은 의병에 대해 ‘국가가 위급할 때에 즉각 義로써 분기하며 조정의 징발령을 기다리지 않고 종군하여 敵愾하는 사람’으로 정의했다. 임진왜란과 같이 국난을 당하여 전민족적으로 ‘義’를 기반으로 봉기한 의병은 친일파와 대비되며 아래로부터 일어난 국난극복의 노력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당시 의병은 전근대사회의 해체와 맞물리며 참여한 계층이 단일한 목표에 따라 의병에 합류한 것이 아님이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오히려 의병을 ‘의’를 기반하여 전민족적으로 신분과 관계없이 일어선 이들로 단순화시킨다면 의병운동이 갖는 다양성과 의병을 통해 읽을 수 있는 당대의 시대상을 단순화시켜 함몰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박은식이 정의했던 ‘의병’이 갖는 무게때문에 다양한 의병연구에 대해 제약이 생겼고 이러한 경향이 지금까지 계속되어 교과서에도 한정된 서술로 이어지고 있다. 민용호의 의병활동은 이러한 전형적인 틀과 비교적 다른 모습들을 보여주며 의병운동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청과 명에 대한 관점, 성리학적인 의리론에 대한 태도, 동학농민군과 의병의 관계에서 의병의 다양한 층위를 그가 남긴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교과서에 획일적으로 구획된 의병에 대한 설명은 도식적인 이해차원에서 매우 효과적이지만 실제 당대 변화하는 시대상 속에서 의병의 실제적인 의미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민용호의 의병활동은 전형적이지 않고 오히려 의병이라면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측면에서 다른 점들을 보이고 있다. 이는 오히려 당시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던 의병의 실제모습과 가까울 수 있다고 보인다. 민용호의 의병운동 사례를 통해 교과서에서 제시한 구획된 의병의 문제점에 접근하고 이를 이해하며 의병의 실체에 다가갈지 본 고를 통해 고민하고 있다.

      • KCI등재

        후기의병 황해도 평산의병의 陣容과 活動

        裵한솔(BAE Han-sol) 한국근현대사학회 2021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8 No.-

        평산의병은 활동기간과 내용에 비해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래서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들도 단편적인 사실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는 평산의병에 대한 파편화된 사실들을 종합하여 활동의 전체적인 실상을 밝히고, 더 나아가서 이북 지역에서 일어났던 의병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1907년 8월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면서 후기의병이 크게 일어나자 황해도 평산지역에서도 의병이 일어났다. 이들은 황해도지역을 비롯해 경기 북부와 강원도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화서학파의 거두 유인석을 따라 연해주와 만주지역을 무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평산의병은 거의 초기에는 화서학파 유생들을 중심으로 의진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1908년 8월 유인석의 연해주행에 평산의병 지도부였던 화서학파 유생들이 뒤따르면서 전투가 불가능했던 다수의 유생들이 의진에서 빠지게 되었다. 평산의병은 실질적인 전투를 위한 조직이 되었다. 또한 연해주를 오가며 신식무기를 국내로 반입하여 전투력을 강화하였다. 필요에 따라 합진과 분진을 전략적으로 사용하여 전투를 이어갔다. 1910년 국권피탈 이후 일제의 토벌이 강화되자 일부는 만주로 넘어가 독립군이 되었으며, 일부는 국내에 남아 토벌을 피해 잠시 잠적하였다가 다시 활동을 재개하였다. 비록 국내에서의 의병활동은 1914년 5월 김정환 부대의 항전을 끝으로 끝나게 되었으나 만주로 넘어가 독립군이 된 이들을 통해 평산의병의 정신은 계속 이어졌다. Pyeongsan Righteous Armie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its activity period and content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fragmented facts about Pyeongsan Righteous Armies to reveal the overall reality of the activity and further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In August 1907, when the Korean Empire’s military was forcibly disbanded, a large number of soldiers occurred in Pyeongsan area of Hwanghae-do. They worked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including Hwanghae Province. Pyeongsan Righteous Armies was form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Hwaseo Confucian scholarship. In August 1908, however, Yoo In-seok’s trip to Primorsky Province was followed by Confucian scholars who were leaders of the Pyeongsan Army. Pyeongsan became an organization for practical combat. It also strengthened its combat capabilities by bringing new weapons into Korea while traveling between Primorsky and Primorsky. Although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in Korea ended in May 1914, the spirit of Pyeongsan continued through those who moved to Manchuria and became independent troops.

      • KCI등재

        한말 경북지역 의병일기의 사료적 특징과 활용을 통해 본 선비정신

        심상훈(沈相勳)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스토리테마파크 구축에 활용된 의병일기를 소개하고, 의병활동 등과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2015년은 을미사변이 일어난 지 120년이 되는 해이다. 아울러 을미의병 12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한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15년도 스토리테마파크』 구축 자료로 그동안 정리된 의병 일기 자료를 대상으로 이야기 소재를 추출하였다. 한말 의병전쟁에 관해서는 그동안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수많은 자료가 발굴되고, 이용되어 왔다. 의병전쟁 관련 자료들을 정리, 편찬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집도 의병전쟁 연구의 수준과 정도에 상응하여 그동안 꾸준하게 발간되어 왔다. 한말 의병전쟁에 관한 자료는 의병 자신들과 그 관련 인사들이 남긴 의병측자료와 의병을 탄압하였던 일제측(대한제국 정부측 포함) 자료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의병을 탄압한 일제측의 방대하고도 체계적인 자료 역시 의병전쟁의 성격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의병측이 남기 1차 자료가 절대적인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한국사에서 의병은 국가와 민족이 위급할 때마다 일어났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임진왜란을 극복하기 위해 일어난 임란의병과 일제의 무력 침략에 반대하여 일어난 한말의병이다. 임란의병과 한말의병은 외세의 침략에 대응하여 백성들이 ‘의義’를 실천하기 위해 전개한 무력투쟁이었다. 이들이 택한 의병전쟁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는 투쟁이다. 의병전쟁은 민족공동체가 소중히 생각하여 고귀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기꺼이 바치거나 혹은 생명을 내걸고 총칼로 불의한 대상을 직접 제거하려는 의거이다. 한말 의병전쟁을 주도한 유생들과 병사로 참여한 백성들은 결국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투쟁하였다. 그 옳은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유생이나 병사들에게는 위정척사衛正斥邪였고, 충의정신忠義精神이었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에 정부가 시키지 않아도 흔연히 일어나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쳐 싸우려는 우국충정憂國哀情이 그 정신이었다. 또 이를 통하여 국가의 주권을 지키고, 민족의 위신을 되찾는 것이 그 목표였다. 그들이 국가 멸망의 위기 상황 속에서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도덕적 책무를 성실히 이행해 나갔으며, 그것은 바로 이들의 본분에 충실한 삶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의병전쟁은 대의명분과 의리정신을 지키고 싶다는 명분 그리고 부끄러운 삶을 살지 않겠다는 선비정신과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실천이 담겨져 있었던 것이다. 한말의병전쟁은 성공과 실패의 여부보다는 어디까지나 그 정신과 목표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말 호남의병 연구의 현황과 과제

        홍영기 ( Hong Young-k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한말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방후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논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이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말 호남의병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에 이르러 본격화되었다. 그 이후 현재까지 약 7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박사학위논문도 2편이나 제출, 간행된바 있다. 물론 그 이전에는 독립운동사를 개관하는 과정에서 호남의병을 단편적으로 혹은 의병장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다. 그후 자료집이 발굴, 간행되면서 1세대 연구자들이 1980년대 중반까지 호남의병 연구의 디딤돌을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1990년대에 이르러 2세대 연구자들이 연구와 자료집의 간행을 주도하였고, 2000년대에는 한층 심화된 연구로 진전되고 있다. 향후 과제로는 첫째 앞으로 호남의병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자를 시급히 양성해야 한다. 둘째, 중·소 규모의 의진과 그것을 주도한 인물에 대한 연구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호남의병이 후기의병을 주도한 직접적 배경이나 다양한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넷째, 호남의병의 생활사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타 지역 의병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각 지역별 의병의 특징을 밝혀야 할 것이다. 나아가 가능하다면 다른 나라의 민족운동과도 비교함으로써 한말의병의 세계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status and future tasks of research for Honam Righteous Armies(HRA) in the Great Han Empire. For this, several prior studies which published since independence were examined and looked into especially in the 1970s which this subject started. In addition,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A research on HRA of the Great Han Empire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Since then, about 70 papers have been released so far, including two doctoral thesis. In the process of overview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ties of the RA leaders were focused while HRA were described in small parts. After this, the biographies of RA were discovered and released, amounting to the first generation of researchers studying HRA in the mid 1980s. As a result, a second generation of research lead to the publication around the 1990s and deeper studies were broadened in the 2000s. Future tasks are as follows : first, new researchers urgently need to be trained for the developmental study on HRA in the future. Second, the study should intensify into small and medium sized groups for RA and their leaders. Third, direct background research on several factors of the third RA which took the main lead by HRA, needs to be found. Fourth, studying the life history of HRA is also necessary. Fifth,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A should be found through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regions. Futhermore, comparing RA of the Great Han Empire more with other countries` national movements will have a more meaning in a worlds historical way.

      • KCI등재

        강원 영동지방 정미의진의 활동과 전황(戰況)

        임호민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39

        Gangwon district is the core area of Hanmal-euibyeong,where outstanding righteous army,including Yu Inseok and Min Geungho,was turned out.The active nature of righteous army in Gangwon than any other places was because, first, Confucianists in the area had strong Cheoksa, anideology which expels wickedness. Second, as cooperating with large number of mountain hunters, Gangwon strengthened fighting power.Next,they took the advantage of mountainous areas to successfully carry out guerrilla warfare.And lastly,since the army had built armories, it could supply the gun powder on its own. On June1907, Gojong,then-king of the Joseon Dynasty, secretly dispatched a number of emissaries to The Second Hague Conventions, which resulted in accelerating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The Japanese Empire forced Gojong to abdicate the throne and to conclude Junmi7 Treaty, another unequal treaty. The empire ordered the Dynasty to dismiss the military, the last bastion in Joseon. In opposition, Jonmi-euibyeong broke out on a large scale. It lasted for 2 months in Yeongdong area of Gangwon. People from various classes, like the dismissed soldiers, intellectuals, and Confucianists, joined in this anti-Japanese struggle. As dismissed soldiers involved, the militant movement became nationwide and the fight strategy improved. Also they secured more weaponary and diversified army’s members. The Japanese Empire knew it would be impossible to take over Korea completely unless they took control of Gangwon,both the core zone and foundation of righteous army.Therefore, Japanese’s large-scale-suppression in Gangwon occurred.Since this righteous army was a major setback for establishing colonial rule in Korea, it was necessary to repress the army above all things. This was Namhan Dae TobeolJakjeon, a military operation over Korean. Namhan Dae TobeolJakjeon, which started on September 1909,was an operation to completely get rid of righteous army located in suburbs. According to reports by Hankook Jucha gun, Japanese had stationed their garrisonsin Wonsan,Gangneung for Donghaean, Yeongseo for Wonju, Chuncheon, and other places,having them to fight against Korean army, which proves that they had prepared the military action far before it was publicly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army leaders and soldiers responded with massive troops organized with small military units. As Japanese suppression got into their stride,the righteous army shifted their strategies,for example,to attack Japanese guards or police out-stations. Keywords: Gangwon, Hanmal-euibyeong,Min Geungho,Jonmi-euibyeong, Namhan DaeTobeolJakjeo 강원도는 의병운동 진원지로서 유인석·민긍호 등과 같은 쟁쟁한 의병장을 배출하였다.이곳 의병활동이 다른 어떤 고장보다 활발하게 전개된 이유는,첫째,강원도 유림들이 지니고 있었던 척사이념이 남달리 철저했다는 사실,둘째지역적인 특성과 맞물려 산포수가 많아 전투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셋째 산악지대를 이용한 유격전으로 무기 등 열세적인 조건을 극복한 점,마지막으로 활동지역에 직접 무기제조장을 설치하여 병기를 자체적으로 생산·공급할수 있었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1907년 8월 초 강원 영동지방의 정미의병은 1907년 6월 헤이그 제2회 만국평화회의 밀사사건을 계기로 일제가 한국식민지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방편으로같은 해 7월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정미7조약이 맺게 하였고,결국 한국의마지막 보루인 군대 해산령까지 내려지게 되자,해산군인과 지식인,유학자 등다수의 인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항일투쟁으로 해산 군인이 참여함으로써의병운동이 전국화가 되었고,의병전술이 향상되거나 무기가 확충되고 의병구성원도 다양화되었다. 이에 일본은 이와 같은 의병의 진원지이자 세력기반인 강원도 지방에서의의진을 소탕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이른바‘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을 수립하여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전개하기에 이르렀다.1907년 8월부터 작성된 한국주차군 보고서에 따르면,강원도 지역의 경우, 원산을 거점으로 동해안은 강릉,영서지방은 원주,춘천 등지에 일본군 수비대를주둔시켜 해당 지역 의병 토벌을 주도하도록 하였다.이는 1908년 6월 15일~7월10일 사이에 펼쳐졌던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보다 앞서 일제는 영동지방 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단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의병장들과 참여의병들은 정미의병 초기에는 대규모 병력과 부대단위로 조직화된 의병투쟁을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한 토벌이 본격화되면서 특히 강원도 경우 일본군 수비대 및 경찰분견소를 기습하는 형태로 투쟁형태가 변화되었다. 주제어 : 정미의병, 영동지방, 북부수비구대토벌작전, 강릉, 해산군인

      • KCI등재

        李圭弘의 益山義兵과 항일투쟁

        김상기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4

        익산 출신의 李圭弘은 유학을 가학으로 수학하였으며, 중추원 의관을 역임한 관리 출신이다. 1906년 문형모, 박이환과 함께 임병찬의 문인이 되어 태인의병에 참여하였다. 고종의 강제 퇴위 소식을 듣고 1907년 12월 익산의병을 일으켰다. 부친 이기영은 장자의 의병 봉기에 적극 동참하여 가산을 팔아 무기 구입을 위한 군자금으로 지원하였다. 익산의병은 진안의 주천면 대불리에서 천제를 지내고 완주의 가금전투에서 일본군을 물리쳤다. 비봉면 내월리 불당동에 무기 제작소를 설치하여 무기를 수리하고 화약을 제조하였다. 1908년 1월에는 익산의 주재소와 세무서를 습격하였다. 이어서 여산 주재소와 우편취급소를 습격하였다. 1908년 2월에는 진안의 개화동 일대에서 일본군 용담분견대와 대접전을 벌였으나 이 전투에서 일본군의 화력에 밀려 큰 희생을 입었다. 의병장 이규홍은 참모들의 권유를 받아들여 1908년 5월 대전의 식장산에서 의병을 해산하였다. 그러나 유지명을 비롯하여 김흥여, 김성찬, 정판성, 김봉우 등 일부 의병진은 항전을 계속하였다. 이규홍은 그후 거주지를 옮기면서 항일투쟁을 모색하다가 1912년 독립의군부에 참여하여 익산 대표로 활동하였다. 1916년 대전의 송창재 송덕재 집에 찾아가 은신하였으나 다음 해 11월 대전경찰대의 급습을 받고 오도산에서 총격전을 벌였다. 탈출에 성공한 이규홍은 상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 요인들과 김좌진 등을 만나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국내에 돌아온 그는 가산을 팔아 거사를 계획하다가 1924년 2월 경찰에 체포되었다. 병보석으로 풀려났으나 1929년 옥고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였다. 이규홍은 양반의 후예로 유학을 업으로 살고자 했다. 그러나 나라의 위기에 적극적인 의병투쟁의 길을 택했으며, 국망 후에도 항일투쟁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부친과 동생은 가산을 의병 군자금으로 바쳤다. 비록 나라가 망해 목표했던 일제의 구축과 국권회복을 이루지는 못했으나, ‘慷慨한 선비’였던 그의 투쟁적 삶은 크게 평가되기에 충분하다. Lee Kyu-hong, a native of Iksan, studied Confucianism, and served jungchuwon uigwan(中樞院 議官). In 1906, he became a disciple of Lim Byeong-chan(林炳贊) and participated in the Taein Righteous Army. After he heard the news of the forced deportation of King Gojong, in december 1907, he raised the Iksan Righteous Army. His father, Lee Ki-young, sold the property of the house, and provided military funds for the weapons. Iksan Righteous Army performed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s at Daebulri of Jinan(鎭安), and defeated the Japanese troops in the Gageum battle of Wanju(完州). They built a weapons factory in Buldangdong of Bibongmyeon to repair weapons and manufacture gunpowder, and then raided the police station and post office in Yeosan. In February 1908, Iksan Righteous Army made a battle against the Japanese army of Yongdam detachment in the area of Gaehwa-dong, Jinan, but they were greatly sacrificed by the Japanese military. Lee accepted the recommendation of his staffs and dissolved the soldiers in Sigjang Mountain in Daejeon in May 1908. In 1912, Lee joined the Doglibuigunbue(獨立義軍部) and a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Iksan while seeking an anti-Japanese struggle by relocating his residence. In 1916, he hid in the house of Song Chang-jae of Daejeon, but in November 1917, he was raided by the Daejeon police force and had a gunfight at Odo Mountain. Lee, Gyu-hong exiled to Shanghai and me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representatives and Kim Jwajin(金佐鎭) to support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returning to Korea, he sold his property and planned an independence movement, but he was arrested by police in February 1924. He was released on bail because of his poor health, but died of the aftermath of prison torture. Although Lee did not accomplish the goal of expelling the Japanese empire and achieving independence, but his militant life is enough to be greatly appreciated.

      • KCI등재

        1910년대 사형 순국한 의병 연구 -『조선총독부관보』 ‘사형집행’조를 중심으로-

        전병무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논총 Vol.57 No.-

        이 글은 조선총독부관보(1910~1917년)의 ‘사형집행’ 기사를 정리하여1910년대 항일의병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굴, 제시한 것이다. 우선 이시기 의병관련 사형수를 약 225명으로 파악하였다. 이들의 사형집행 장소는대구감옥 114명(51%), 평양감옥 66명(29%), 경성감옥(서대문감옥) 45명(2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 대구감옥에서 의병 사형수가 가장많았던 것은 1908년 이후 의병활동의 중심지가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삼남지방으로 이전하여, 이 지역의 의병이 전국적으로 가장 왕성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의 출신 지역은 경상 53명, 전라 52명, 황해 29명, 평안 28명, 강원 1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병 항쟁의 중심지와 이에 대한 일제의진압 작전 지역이 출신 지역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의병관련 사형수 약 225명을 관련 자료와 공훈전자사료관의 <독립유공자공적조서> 등을 비교, 대조하여 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1) 정부로부터독립유공자로 포상되어 공인된 의병을 A그룹(51명), 2) 비독립유공자이지만확실한 자료가 있는 의병을 B그룹(34명), 3) 비독립유공자로 조선총독부관보에만 있는 의병을 C그룹(140명)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B그룹의 경우는, 의병으로 판단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여, 이들이 의병이었음을 입증하고자하였다. 이 가운데 평남 일대에서 활동했던 의병장 박운혁과 경남 일대를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했던 의병장 안범성을 찾아낸 것은 큰 수확이라고생각한다. B그룹과 C그룹의 의병은 지금까지 제시된 바 없는 것으로, 추가 자료발굴과 검증 단계를 거친다면 기존의 의병 판결문 연구가 가졌던 수량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 시기의 의병사 연구에 주요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